KR20200087958A -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958A
KR20200087958A KR1020190004348A KR20190004348A KR20200087958A KR 20200087958 A KR20200087958 A KR 20200087958A KR 1020190004348 A KR1020190004348 A KR 1020190004348A KR 20190004348 A KR20190004348 A KR 20190004348A KR 20200087958 A KR20200087958 A KR 2020008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iability
users
blockchain
user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무홍
Original Assignee
(주)인프라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프라케이 filed Critical (주)인프라케이
Priority to KR102019000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958A/ko
Publication of KR2020008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에서 추구하는 사용자들의 익명성을 보장하면서도 한 편으로는 블록체인 서비스에서 일정 조건과 규칙에 따라, 사용자의 신뢰도를 측정하고 수치화하여 사용자들에게 타 사용자의 신뢰도가 공개됨으로서 비사회적, 비윤리적, 비상식적인 사용자들의 일탈적인 행동을 인공지능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스템적으로 차단하고, 신뢰도가 낮은 사용자들과의 거래, 계약 등의 중요한 부분들을 진행시 중요한 지표로서 활용하도록 하여, 보다 블록체인의 사용자 환경을 정화시킬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하는데 시스템적으로 접근하고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The user utilized anonymity method make reliability at blockchain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결합한 기술로서 온라인 서비스에서 익명성을 담보로 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고 적용함으로서 서비스 자체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생성하도록 하여 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자율적 판단에 맡김으로서 사용자들의 일탈행동이나 비상식적인 행위나 거래, 계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서비스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일탈행위나 문제 발생에 대해 대부분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들이 특정 사건이나 문제가 발생 시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적절한 해결책을 내놓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수동적 조치는 결론적으로는 문제를 해결한 것처럼 인식될 수 있으나, 이미 해당 서비스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피해자가 속출할 수 있는 환경을 그대로 노출시키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오프라인에서처럼 상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한계가 있기에 블록체인을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투명한 서비스의 질을 구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온라인 서비스의 익명성을 담보로 한 사용자의 일탈행위나 비사회적, 비윤리적, 비상식적인 사용자들을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사용자의 자발적인 개인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 신뢰도를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조치를 함으로서 익명성 때문에 사용자간 불신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구나 어디서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사용 시, 사용자간의 투명성과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제기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이나 각종 정보들을 빅데이터로 구축하는 자율적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블록체인 시스템에 계정 생성을 하면서 개인정보 및 기타 부가정보 등을 제공하는 제1 단계; 계정 생성 및 개인 정보 제공에 따른 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의 최초 신뢰도가 부여되는 제2 단계; 신뢰도는 1등급(최상)에서 10등급(최하) 단계가 있으며,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연동되어 신규 가입한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들이 신뢰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 및 수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제3 단계; 사용자가 블록체인 서비스에서 활동하는 행위를 수집 및 빅데이터에 적용하고 신뢰도 측정 알고리즘에서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적용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며, 종래의 온라인 기반의 서비스들이 블록체인의 익명성 보장을 위해 투명성과 신뢰성을 모두 갖추기 위한 빅데이터 구축과 신뢰도를 측정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단계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계정 생성을 하는 단계로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 이 외에 개인정보 및 기타 부가정보를 요청하는데 개인정보 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수치가 다르게 적용됨으로 어떤 항목이 신뢰도에 많은 영향을 주는지 중요도를 항목에 함께 표기하여 사용자가 정보 입력에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하고, 신뢰도가 앞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얼마나 중요한 부분인가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제2 단계는 사용자가 계정 정보, 개인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Input Interface를 통해 입력하면, 알고리즘에서 계산하여 최종 Output Interface를 통해 신뢰도 수치를 출력한다.
제3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출력된 신뢰도 수치를 신규 가입자와 다른 사용자들이 간단하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단계별 수치 및 이미지 형태로 블록체인 서비스 활용 시 확인 할 수 있게 제공하도록 하며, 신뢰도는 1등급(최상)에서 10등급(최하)로 나눠진다.
제4 단계는 가입된 사용자들은 블록체인 시스템 및 사용자들 간에 다양한 행위를 하게 되는데 이때, 기본적으로 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자율적인 판단기준을 근거하여 신뢰도에 변화를 줄 것인지 유지하게 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사용자들의 행동패턴이나 성향을 빅데이터로 구축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온라인 서비스들과 다르게 블록체인기술은 사용자들의 익명성을 더욱 요구하는 상황으로 자율적인 신뢰도 측정이나 서비스의 문화가 정착이 되지 않으면, 다양한 일탈행위 및 비사회적, 비윤리적, 비상식적인 행위들을 전혀 관리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행위를 특정 관리자나 개발자가 관리한다면 더욱 개인정보 보호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로, 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시스템적으로 사용자들의 인권과 권리를 보호하면서 한편으로는 부정적이거나 일탈적인 행위를 자율적으로 제어하게 함으로서 익명성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사용자가 최초 가입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식방법과 신뢰도 단계별 이미지 표시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문서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을 한다. 단,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에 설명함으로서, 아주 핵심적이며 반드시 이해해야 할 내용들에 대해서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 부차적인 설명이나 예시들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체인 시스템(010)에 사용자들(030)이 계정생성 및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순서(02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자(030)가 정보 제공(020)단계에서 입력하는 항목들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이 신뢰도를 측정하는 항목이 중요도와 함께 요청되어 지게 된다. 중요도 수치 및 단계는 변경이 가능하며, 신뢰도 수치 적용방식도 알고리즘에서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게 될 것이다. 이는 빅데이터가 증가하면 하면 할수록 알고리즘이 기준을 수정하거나 강화하는 조치를 자율적으로 처리할 것이다.
<신뢰도 측정 항목>
중요도 : 10(아주 높음), 9(많이 높음), 8(조금 높음), 7(높음), 6(보통 상),
5(보통 하), 4(낮음), 3(조금 낮음), 2(많이 낮음), 1(아주 낮음)
신뢰도 수치 적용방식 : 항목(항목 입력 시 신뢰도 값 / 항목 미입력 시 신뢰도 값)
1.개인정보 오픈여부
이름(10/1), 생년월일(10/1), 성별(8/1), 이메일주소(10/1), 접속IP정보(10/1), 지문(10/1), 홍채(10/1), 사진(10/1), 자신의 음성(10/1)
2.트랜잭션 발생횟수(6/2)
3.Log정보 저장 및 오픈여부(9/1)
4.접속유지시간(7/2), 접속횟수(7/2)
5.개인정보외 부가정보 오픈여부
직업(6/2), 결혼여부(8/2, 기혼시 자녀(6/2)), 연소득(8/2), 거주지역(6/2), 학력(7/2), 정치성향(8/2)(진보,보수), 흡연(7/2), 취미(8/1), 혈액형(6/2), SNS활동여부(9/1), 좋아하는 색+음악+운동(8/2), 차량소유여부(8/2), 자택소유여부(6/2), 자주 활용하는 교통수단(8/2), 반려동물 존재유무(8/2), 만성적인 질환이나 병(8/2), 최근관심사항(8/2)
6.블록체인 시스템에 연동된 타 서비스별 특별항목
위의 신뢰도 측정 항목을 전부 입력했을 경우 총합계는 250점이며, 전부 입력하지 않은 경우 총합계는 50점이다. 최상 신뢰도와 최하 신뢰도의 차이는 200점으로 10단계로 구분되어진 신뢰도(100)의 한 단계의 구간 점수는 20점씩이라는 걸 파악할 수 있다.(6번 항목제외)
최초 계정 생성 시, 기입하지 못한 항목들은 추후에라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기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뢰도가 높았을 경우 Advantage를 확실히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010)은 상기 기술된 트랜잭션 발생횟수나 Log정보, 접속 횟수 등을 토대로 전체 사용자 대비 현재 측정 사용자의 활동을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꾸준한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신뢰도(100)은 가변적이며 수치를 색상이미지로 표기하게 함으로서, 직관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신뢰도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함께 어떤 행위를 할 때 파트너로서 또는 거래, 계약의 당사자로서 믿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게 해주는 아주 중요한 결정요소에 해당하게 될 것이다.
온라인상에서 신뢰도를 판단하기란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자율적인 인공지능에 의한 알고리즘이 이를 판단하고 적용한다면, 누구의 개입도 없이 자신들을 형평성을 갖고 인지해주고 있음에 보다 높은 신뢰도 수치를 획득하기 위한 개인정보 추가 기입이나 활동성을 강화하고자 함이며, 블록체인기술을 도입 및 참여하거나 투명하고 신뢰도 높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검토나 분석을 통해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010 : 블록체인 시스템(신뢰도 측정 인공지능 알고리즘 내재)
020 : 신규 사용자 계정 생성 요청
030 : 블록체인 시스템 사용자
100 : 신뢰도 등급 및 단계별 색상 이미지
200 : 블록체인 시스템 사용자
300 : 블록체인 시스템 사용자(슈퍼노드)

Claims (3)

  1. 블록체인의 P2P 시스템에서 계정 생성 시 입력해야 할 항목들을 체크하는 단계; 에 있어서, 개인정보로 판단되는 항목들을 중요도로 구분하여 입력을 받는 방법.
  2. 입력받은 개인정보들을 중요도별로 수치화하여 해당 수치가 높으면 사용자의 신뢰도가 높게 측정이 되고 타 사용자들에게 색깔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
  3.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활동을 하면서 정당한 트랜잭션을 많이 발생시켜 활동이 활발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및 접속 시간이 오랠수록 서비스 활동에 대한 충성도(Loyalty)가 높다고 판단하는 등의 신뢰도 평가 방법으로, 전체 사용자 대비 자신의 활동성을 평가하도록 하여 최대한 객관적이고 수치적으로 환산하여 신뢰도가 높은 사용자들에게는 활동에 Advantage를 주는 등의 보상을 통해 꾸준한 활동을 유도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KR1020190004348A 2019-01-13 2019-01-13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KR20200087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348A KR20200087958A (ko) 2019-01-13 2019-01-13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348A KR20200087958A (ko) 2019-01-13 2019-01-13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958A true KR20200087958A (ko) 2020-07-22

Family

ID=7189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348A KR20200087958A (ko) 2019-01-13 2019-01-13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79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1339A (zh) * 2020-12-16 2021-03-30 深圳市深汕特别合作区智慧城市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平开放性的智慧城市社会要素表述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1339A (zh) * 2020-12-16 2021-03-30 深圳市深汕特别合作区智慧城市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平开放性的智慧城市社会要素表述系统
CN112581339B (zh) * 2020-12-16 2024-03-29 深圳市深汕特别合作区智慧城市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平开放性的智慧城市社会要素表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Privacy preference modeling and prediction in a simulated campuswide IoT environment
Rosales et al. Ageism in the era of digital platforms
Faelens et al. Negative influences of Facebook use through the lens of network analysis
CN109690608B (zh) 外推信任得分中的趋势
TWI599901B (zh) 用於更新信任分數之方法及系統
US10154030B2 (en) Analyzing facial recognition data and social network data for user authentication
Carminati et al. Security and trust in online social networks
US9613341B2 (en) Calculating trust score on web based platform
US20170249698A1 (en) Crowdsourcing of trustworthiness indicators
US11567949B2 (en) Data discovery solution for data curation
Kapsammer et al. iVOLUNTEER: a digital ecosystem for life-long volunteering
US9317803B2 (en) Authentication score quantifing similarity between a user&#39;s online persona versus that user&#39;s physical characteristics
TWI691929B (zh) 互動式服務平台及其運作方法
Javaid et al. ARCA-IoT: an attack-resilient cloud-assisted IoT system
KR20200087958A (ko)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Drakopoulos et al. Computing Massive Trust Analytics for Twitter using Apache Spark with Account Self-assessment.
US105460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reliability based on analysis of user activities on social medium
Morlok et al. Snap. share.(don’t) care? Ephemerality, privacy concerns, and the use of ephemeral social network sites
Nepal et al. MoodCapture: Depression Detection Using In-the-Wild Smartphone Images
Arman et al. Cloud plan selection under requirements of multiple applications
Kumar et al. Review on Social Network Trust With Respect To Big Data Analytics
Guidi et al. SentiTrust: A New Trust Model for Decentralized Online Social Media
KR20230163140A (ko)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우울증 진단 챗봇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TWI742531B (zh) 互動式服務平台及其運作方法
Ahmad et al. Privacy loss in Online Soci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