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402A -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402A
KR20200087402A KR1020190003620A KR20190003620A KR20200087402A KR 20200087402 A KR20200087402 A KR 20200087402A KR 1020190003620 A KR1020190003620 A KR 1020190003620A KR 20190003620 A KR20190003620 A KR 20190003620A KR 20200087402 A KR20200087402 A KR 2020008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tude
frequency
sound
spring
sp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952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브레인소프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인소프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레인소프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952B1/ko
Priority to US17/268,444 priority patent/US20210183403A1/en
Priority to CN201980088800.4A priority patent/CN113316816A/zh
Priority to PCT/KR2019/016347 priority patent/WO2020145509A2/ko
Publication of KR2020008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952B1/ko
Priority to US18/210,866 priority patent/US2023041082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10L21/0364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for improving intelligibi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1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spectral information of each sub-b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 G10L21/0308Voice signal separat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ameter measurement, e.g. correlation techniques, zero crossing techniques or predictive techniqu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15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formant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따른,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순음 예측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과 상기 순음 예측 진폭을 곱함으로써 순음 여과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순음 여과 진폭의 극댓값에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FREQUENCY ESTIMATION METHOD USING DJ TRANSFORM}
본 발명은 주파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 해상도와 주파수 해상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주파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시간 푸리에 변환은 음성 인식, 화자 인식 등 소리를 다루는 다양한 분야에서 주어진 소리에서 주파수를 추출할 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푸리에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서 시간 정밀도와 주파수 정밀도를 동시에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푸리에 불확정성 원리는 짧은 시간 동안의 소리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면 해상도가 낮은 주파수 성분을 가지게 되고 정확한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긴 시간 동안의 소리를 사용하면 측정된 주파수의 발생 시점에 대한 시간 해상도는 낮아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사용할 때 윈도우 크기를 25밀리초로 하고 사각형 필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조건에서 추출된 주파수는 40 Hz의 해상도를 갖게 된다. 즉, 주어진 소리에 420 Hz 주파수가 존재할지라도 추출된 결과에는 400 Hz 주파수와 440 Hz 주파수만 나타나고 420 Hz 주파수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420 Hz 주파수만으로 구성된 순음과 400 Hz와 440 Hz 주파수로 구성된 복합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게 된다. 이번에는 추출된 주파수에 4 kHz 소리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추출 결과에는 4 kHz 소리가 25밀리초 내의 어느 시점에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4 kHz 주파수가 0~10밀리초에 발생한 소리와 10~20밀리초에 발생한 소리가 구분이 되지 않는다.
주파수 해상도가 20 Hz가 되도록 하려면 윈도우 크기를 50밀리초로 늘려야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시간 해상도는 50밀리초로 커지게 된다. 또한 시간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 윈도우 크기를 12.5밀리초로 줄이면 주파수 해상도는 80 Hz로 커지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드 오프에 의해서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면 시간 해상도와 주파수 해상도를 동시에 높일 수 없게 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사람의 청각 능력은 푸리에 불확정성 원리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의 이러한 청각 능력에 착안하여 달팽이관을 구성하는 유모 세포의 동작원리를 기반으로 시간 해상도와 주파수 해상도를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주파수 추출 방법인 디제이 변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순음 예측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과 상기 순음 예측 진폭을 곱함으로써 순음 여과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순음 여과 진폭의 극댓값에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 추출 장치는,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함으로써,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변위 및 속도를 산출하는 용수철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순음 예측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과 상기 순음 예측 진폭을 곱함으로써 순음 여과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순음 여과 진폭의 극댓값에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주파수를 추출하는 주파수 추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대해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 중,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입력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 추출 장치는,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순음에 대해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함으로써,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변위, 속도, 에너지 및 진폭을 산출하는 용수철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 중,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추정하고,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에너지를 계산하고, 상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입력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주파수 추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은,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두 시점에서의 진폭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Ai,s)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단, t1 및 t2는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두 시점이며, t2>t1 이고, Ai(t1)은 t1에서 상기 복수의 용수철 중 어느 하나의 진폭이고, Ai(t2)은 t2에서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진폭이고, ζ는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감쇠 비율이고, ω는 ωi가 상기 하나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일 때,
Figure pat00002
의 식을 만족함)
상기 두 시점의 차는,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의 주기일 수 있다.
상기 두 시점 중 하나를 t1, 상기 입력된 소리의 샘플레이트를 SR,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T라고 할 때, 상기 두 시점 중 나머지 t2는 다음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은,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적어도 두 시점에서의 진폭을 하기의 식에 대입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단, A(t)는 시점 t에서의 상기 복수의 용수철 중 어느 하나의 진폭이고, As는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이고, Ac는 시점 tc에서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진폭이고, ζ는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감쇠 비율이고, ω는 ωi가 상기 하나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일 때,
Figure pat00005
의 식을 만족함)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변위 및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변위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용수철의 개수는, 추출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범위 및 주파수 해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이 기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추출 방법은,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상기 입력되는 소리가 어느 시점까지는 제1 주파수를 갖다가, 상기 시점 이후에는 제2 주파수로 변경될 때, 상기 변경되는 시점에서의 주파수 변환 결과가 상기 제1 주파수를 나타내고, 상기 변경되는 시점 직후의 주파수 변환 결과는 상기 제2 주파수의 10퍼센트 범위 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은 시간 해상도와 높은 주파수 해상도를 갖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주파수가 유사한 소리를 좀더 세분해서 구분할 수 있고, 음성에서 음소들의 순서 정보를 정밀하게 추출하여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노이즈가 있는 환경에서 안정적인 음성 인식이 가능하고, 음성 인식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의 규모가 작아질 수 있다.
도 1은 외부 힘이 0일 때 용수철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2는 외부 힘이 주어졌다가 사라질 때 용수철의 진폭 변화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 상태 순음 진폭과 입력 순음 진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진폭이 일정한 1 kHz의 소리가 입력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 상태 순음 진폭, 순음 예측 진폭 및 순음 여과 진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복합음이 입력된 경우, 순음 여과 진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과 상이한 복합음이 입력된 경우, 순음 여과 진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순음이 입력된 경우,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제이 변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입력된 순음의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제이 변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입력된 순음의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점멸 신호 및 지속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 신호의 주파수 성분, 디제이 변환 결과 및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1 kHz 및 2 kHz의 소리가 교대로 입력되는 경우, 입력 소리의 주파수 성분, 디제이 변환 결과 및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순음 및 복합음이 입력되는 경우, 디제이 변환 결과 및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모 세포는 기저막에서 발생한 기계적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일차청각피질로 신호를 전달한다. 유모 세포는 약 3,500개의 내모 세포와 12,000개의 외모 세포로 구성되며 각각의 유모 세포는 자신의 특징 주파수의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유모 세포의 이러한 특성은 용수철이 자신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외부 힘을 받을 때 공명을 일으켜서 진폭이 커지는 현상과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점을 활용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용수철을 사용하여 유모 세포의 움직임을 모델링한다.
사람의 가청 주파수는 20 ~ 20,000 Hz이고 사람의 목소리 주파수는 80 ~ 8,000 Hz로 알려져 있다. 음성 인식 등의 분야에서 다루는 주파수 범위는 8 kHz 이내이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음성 처리에 사용할 때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를 50 Hz부터 8 kHz까지를 1 Hz 간격으로 구분하여 고유 주파수 기준으로 서로 다른 7,951 종류의 용수철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주파수 해상도가 1 Hz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용수철의 갯수를 늘림으로써 주파수 해상도를 높이거나, 주파수의 범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용수철로 모델링된 유모 세포의 움직임은 구동 조화 진동의 운동 미분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소리는 용수철에 가해지는 다양한 사인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외부 힘에 해당한다. 각각의 용수철은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일련의 소리 샘플들에 의해서 고유의 운동 궤적을 그리게 된다. 각 용수철의 운동 궤적은 룽게-쿠타 방법 등의 수치해석 기법으로 구동 조화 진동의 운동 미분 방정식의 해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용수철
Figure pat00006
의 고유 주파수를
Figure pat00007
라 하자. 용수철
Figure pat00008
는 청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모 세포 중
Figure pat00009
주파수 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모 세포의 소리에 대한 반응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된다.
소리
Figure pat00010
가 입력되면 용수철
Figure pat00011
의 소리에 대한 반응
Figure pat00012
는 다음의 식(1)의 운동 방정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1)
여기서
Figure pat00014
는 용수철의 길이가 균형점에서 벗어난 거리(변위)이고
Figure pat00015
은 용수철에 매단 물체의 질량이다.
Figure pat00016
는 감쇠 비율로서 속도에 비례하는 마찰 계수가
Figure pat00017
이면
Figure pat00018
가 된다.
Figure pat00019
는 용수철
Figure pat00020
의 탄성 계수이다.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가 모두 0일 때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이며
Figure pat00024
이다.
식(1)은 일반 해를 갖는 미분방정식으로서
Figure pat00025
일 때, 그 해는 식(2)와 같다.
Figure pat00026
...(2)
여기서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는 용수철의 초기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값이고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31
...(3)
Figure pat00032
...(4)
Figure pat00033
가 -180도와 0도 사이가 되도록 정수
Figure pat00034
을 지정한다. 만약
Figure pat00035
이면 용수철은 도 1과 같이 주기적 감쇠 진동을 하게 된다. 또한,
Figure pat00036
이고 시간이 많이 지나서 용수철이 안정 상태에 도달하면 식(2)의 첫 번째 항은 사라지고 두 번째 항만 남아서 용수철의 안정 상태 궤적
Figure pat00037
는 식(5)를 따르게 된다.
Figure pat00038
...(5)
정지 상태의 용수철
Figure pat00039
에 이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
Figure pat00040
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소리가 외부 힘으로 주어지는 상황을 고려해 보자. 이 용수철이 안정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용수철의 움직임은 식(6)으로 기술된다.
Figure pat00041
...(6)
따라서 용수철의 진폭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궤적을 따라서 점점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Figure pat00044
가 된다.
시점
Figure pat00045
에 외부 힘이 사라지면 용수철의 진폭은 빠르게 감소하여 용수철은 정지 상태에 이르게 된다. 식(2)에서
Figure pat00046
인 경우에 해당하며 이 과정에 진폭의 변화는 아래 식을 따른다.
Figure pat00047
...(7)
도 2는 외부 힘이 주어졌다가 사라지는 과정에서 용수철의 진폭 변화 그래프의 예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유모세포를 모델링한 용수철의 움직임을 기초로 하여,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및 진폭을 추출하는 방법 2가지를 제안한다.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및 진폭 추출 방법 Ⅰ
1. 안정 상태일 때
(1) 주파수 추출
공명하는 용수철은 다른 용수철보다 더 큰 진폭으로 진동한다는 특성을 기반으로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순음
Figure pat00048
가 주어지면 안정 상태에서 용수철
Figure pat00049
의 진폭은 식(5)에 의해서
Figure pat00050
가 된다. 모든 용수철에 매달린 질량
Figure pat00051
이 동일하면 진폭이 가장 큰 용수철은
Figure pat00052
가 최소가 되는 용수철이다. 이러한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
Figure pat00053
와 순음의 주파수
Figure pat00054
사이의 관계식은 식(3)을
Figure pat00055
에 대해서 미분하여 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56
...(8)
여기서
Figure pat00057
이다. 만약
Figure pat00058
가 0에 근접하는 작은 값이라면
Figure pat00059
가 된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60
일 수 있다.
진폭이 제일 큰 용수철을 추출하기 위해서 룽게-쿠타 등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수치 해석 방법을 사용한다. 순음
Figure pat00061
가 주어지면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식(1)의 해에 해당하는 각 용수철
Figure pat00062
의 변위
Figure pat00063
와 속도
Figure pat00064
를 계산한다. 각 용수철이 가지는 에너지는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이므로 용수철
Figure pat00065
가 갖는 에너지는 식(9)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66
...(9)
안정 상태에 도달한 용수철의 에너지는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속도
Figure pat00067
가 0인 시점의 변위
Figure pat00068
가 용수철
Figure pat00069
의 진폭이 된다. 그러므로 용수철
Figure pat00070
의 안정 상태의 진폭
Figure pat00071
는 아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72
...(10)
추출한 용수철들의 진폭 중 최대인 진폭의 용수철이 공명하는 용수철이다. 따라서, 진폭이 제일 큰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
Figure pat00073
와 식(8)을 사용하여 주어진 순음의 주파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2) 진폭 추출
안정 상태에서 용수철의 궤적은 식(5)로 주어진다. 따라서 용수철
Figure pat00074
의 안정 상태 에너지
Figure pat00075
와 주어진 순음의 진폭
Figure pat00076
의 관계는 식(11)로 기술할 수 있다.
Figure pat00077
...(11)
또한 안정 상태의 에너지
Figure pat00078
는 수치해석 방법으로 식(1)의 해를 구하여 얻어진 안정 상태에서의 변위
Figure pat00079
와 속도
Figure pat00080
를 식(9)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순음의 진폭
Figure pat00081
는 아래와 같이 된다.
Figure pat00082
...(12)
외부 힘에 공명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
Figure pat00083
는 외부 힘의 주파수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Figure pat00084
을 식(3)에 대입하면
Figure pat00085
가 된다. 이 결과와
Figure pat00086
를 식(12)에 대입하면 입력 순음의 진폭
Figure pat00087
는 식(13)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88
...(13)
2. 전이 상태일 때
(1) 주파수 추출
순음
Figure pat00089
가 시간
Figure pat00090
동안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모든 용수철들은 변위와 속도가 모두 0인 초기 상태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수치해석 기법을 사용해서 매 시점에 용수철들의 에너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식(10)에 대입해서 각 시점에 용수철의 진폭을 구한다. 그 후 진폭이 제일 큰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를 식(8)에 대입해서 주어진 순음의 주파수를 계산한다.
(2) 진폭 추출
수치해석 방법으로 찾은 공명 용수철
Figure pat00091
의 에너지를
Figure pat00092
라 하자. 식(10)을 이용하면
Figure pat00093
로부터 시점
Figure pat00094
의 용수철
Figure pat00095
의 진폭
Figure pat00096
를 계산할 수 있다.
식(1)의 일반해에 의하면 주어진 음파와 공명하는 용수철
Figure pat00097
의 진폭
Figure pat00098
는 식(6)의 궤적을 따르므로 정지 상태에서 시작한 용수철
Figure pat00099
는 시간
Figure pat00100
에서 안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Figure pat00101
의 궤적을 따르게 된다. 여기서
Figure pat00102
는 안정 상태에 도달했을 때 용수철의 진폭을 의미한다.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면
Figure pat00103
내의 두 시점
Figure pat00104
,
Figure pat00105
에서의 에너지
Figure pat00106
Figure pat00107
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결과를 식(10)에 대입하면 진폭
Figure pat00108
Figure pat00109
를 구할 수 있다. 이 결과를
Figure pat00110
에 대입하면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11
를 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아래 식과 같다.
Figure pat00112
...(14)
이번에는 주파수는 동일하지만 소리 크기가 변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시점
Figure pat00113
에서 주어지는 소리의 진폭이
Figure pat00114
에서
Figure pat00115
로 변했다고 가정하자. 진폭이 바뀌는 시점
Figure pat00116
에서 용수철의 진폭을
Figure pat00117
라 하고 외부 힘이
Figure pat00118
로 변한 후 안정 상태에 도달한 용수철의 진폭을
Figure pat00119
라 하자. 이 때의 진폭 변화는 다음 식으로 기술할 수 있다.
Figure pat00120
...(15)
진폭이
Figure pat00121
에서
Figure pat00122
로 변하는 중간의 두 시점
Figure pat00123
,
Figure pat00124
에서의 진폭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가 주어졌을 때
Figure pat00127
를 구하면 식(14)와 동일한 결과가 나옴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Figure pat00128
에서 외부 힘이 사라져서
Figure pat00129
이 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외부 힘이 사라지면 용수철의 에너지는 식(7)을 따라서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힘이 사라진 시점부터
Figure pat00130
초 후에 용수철의 진폭을 측정하면 용수철의 진폭은
Figure pat00131
가 될 것이다. 이 측정 결과를 식(14)에 대입하면
Figure pat00132
이 되므로 외부 힘이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용수철의 에너지를 두 번 이상 측정하면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33
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진폭과 에너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식(10)을 사용하면 안정 상태의 에너지
Figure pat00134
를 계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식(13)을 사용하여 주어진 순음의 진폭
Figure pat00135
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용수철에 가해지는 힘은 주기 함수이므로 전이 상태의 1주기 내에서 에너지가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해서 위에서 기술한 두 시점
Figure pat00136
,
Figure pat00137
를 선택할 때 시간 간격이 주기와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샘플레이트와 용수철의 고유주파수의 관계에 의해서 1주기 차이가 나는 두 시점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인접한 소리 샘플 중 주기와 차이가 작은 샘플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오디오 데이터에서 샘플의 위치
Figure pat00138
과 주기
Figure pat00139
가 주어지면 두 번째 샘플의 위치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1
로 계산한다. 두 점의 시간 정보와 각 시점에서의 진폭을 식(14)에 대입해서 안정 상태 예측 진폭
Figure pat00142
를 계산한다.
두 번째 방법은 선형 회귀 분석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여러 점에서의 진폭을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식(15)에 대입한 후 선형 회귀 분석으로 안정 상태 예측 진폭
Figure pat00143
를 계산한다.
전술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a)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대해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하는 단계;
(b)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 중, 시점별 진폭
Figure pat00144
이 최대인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45
을 추정하는 단계;
(c)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46
에 기초하여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에너지
Figure pat00147
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에너지
Figure pat00148
에 기초하여 입력 소리 진폭
Figure pat00149
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변위
Figure pat00150
및 속도
Figure pat00151
를 측정하는 단계(식 (1)을 참조); 상기 변위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에너지
Figure pat00152
를 계산하는 단계(식 (9)를 참조); 및 상기 에너지
Figure pat00153
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진폭
Figure pat00154
을 계산하는 단계(식 (10)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b) 단계는, 식 (14)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55
은,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두 시점에서의 진폭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두 시점의 차는,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의 주기일 수 있다.
상기 두 시점 중 하나를 t1, 상기 입력된 소리의 샘플레이트를 SR,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T라고 할 때, 상기 두 시점 중 나머지 t2는 다음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156
상기 복수의 용수철의 개수(N)는, 추출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범위 및 주파수 해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주파수가 2 kHz이고 진폭이 일정한 순음이 0.2초부터 0.8초 사이에 주어졌을 때 고유주파수가 2 kHz인 용수철의 시간에 따른 에너지
Figure pat00157
를 식(13)에 대입해서 구한 결과이다. 이 결과를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이라고 하자.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은 용수철의 에너지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고 계산된 입력 순음의 진폭을 의미한다. 시간이 지나면 용수철의 에너지는 안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도 3(a)에서 볼 수 있듯이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은 시간이 지나면 안정 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 때의 진폭은 입력 순음의 진폭
Figure pat00158
에 해당하게 된다.
도 4의 (b)는 측정된 용수철의 진폭들을 식(14)에 대입해서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59
를 구하고 그 결과를 위 주파수 추출 방법의 (c) 단계와 (d) 단계에 적용해서 구한 입력 순음의 진폭
Figure pat00160
을 보여준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음의 시작 시점부터 입력 순음의 진폭이 추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및 진폭 추출 방법 Ⅱ
전술한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및 진폭 추출 방법 I에 의하면, 입력된 소리가 순음인 경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및 진폭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복합음
Figure pat00161
을 구성하는 순음의 종류가
Figure pat00162
개라고 가정하자.
Figure pat00163
이라면 용수철 중 진폭이 제일 큰 용수철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주어진 소리의 순음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Figure pat00164
이면 진폭 순위로 상위
Figure pat00165
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복합음을 구성하는 순음들을 찾기 어렵다.
첫 번째 이유는 진폭이 제일 큰 용수철과 주파수가 인접한 용수철의 진폭이 복합음을 구성하는 다른 순음과 공명하는 용수철의 진폭보다 클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도 2의 0.8초 이후의 궤적이 보여주는 것처럼 외부 힘이 사라지더라도 용수철의 진폭이 0이 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므로 다른 순음의 진폭보다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소리의 진폭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각 시점의 용수철 진폭 중에서 극댓값을 찾는 대신에 안정 상태 예상 진폭과 전이 상태 진폭을 곱한 결과에서 극댓값을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1. 안정 상태 예상 진폭과 여과 진폭
먼저, 복합음을 구성하는 순음을 추출하기 위해서,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I의 (a) 단계를 복수의 용수철에 적용하여 각 용수철
Figure pat00166
의 진폭
Figure pat00167
을 계산한다. 도 5(a)는 주파수가 1 kHz이고 진폭이 일정한 소리가 200밀리초에 시작되었을 때 215밀리초에 측정된 결과로서 고유 주파수가 1 kHz 근처인 용수철들의 진폭을 보여준다. 도 5(a)로부터 공명이 발생하지 않는 용수철의 진폭은 공명이 발생하는 용수철의 진폭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용수철
Figure pat00168
의 진폭
Figure pat00169
에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I의 (b) 단계를 적용하여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70
을 계산한다. 그러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계산하는 식(14)는 공명하는 용수철의 움직임을 기술하는 식(7)로부터 유도된 수식이다. 따라서 도 5(b)가 보여주는 것처럼 공명 주파수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파수에서도 큰 값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음의 단계를 수행한다. 세 번째 단계로 용수철
Figure pat00171
의 진폭
Figure pat00172
를 식(13)에 대입하여 전이 상태 순음 진폭
Figure pat00173
을 계산한다. 또한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74
에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I의 (c) 단계와 (d) 단계를 적용해서 순음 예측 진폭
Figure pat00175
를 계산한다.
마지막 단계로 전이 상태 순음 진폭
Figure pat00176
와 순음 예측 진폭
Figure pat00177
를 곱하여 순음 여과 진폭
Figure pat00178
를 계산한다. 추가적으로, 진폭을 곱한 결과를 정규화 하기 위해서 소리가 가질 수 있는 진폭의 최대값으로 나누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가 16비트 정수로 표현하였다면 32,767로 나주어 준다.
여과 진폭은 1) 소리가 사라지면 진폭이 0이 되는 특성과 2) 공명 주파수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폭이 낮은 특성을 동시에 갖게 된다.
도 5(c)는 도 5(a)와 도 5(b)를 동일한 주파수별로 곱한 결과인 여과 진폭을 보여준다. 도 5(d) ~ 도 5(f)는 각각 고유 주파수가 1 kHz인 용수철에 의해서 구한 전이 상태 순음 진폭, 순음 예측 진폭과 순음 여과 진폭을 보여 준다. 특히 도 5(d)에서 소리가 사라져도 진폭이 감소할 뿐 남아 있는 부분이 도 5(e)와 도 5(f)에서는 진폭이 0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잇다. 도 5(g) ~ 도 5(i)는 고유 주파수가 1,020 Hz 용수철에 의한 결과를 보여준다. 순음 여과 진폭
Figure pat00179
가 도 5(f)의 공명 용수철의 순음 여과 진폭
Figure pat00180
과 비교해서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2. 극댓값들 중에서 순음 찾기
도 6은 100, 250, 500, 1k, 4k Hz의 5가지 순음으로 구성된 복합음의 주파수 대 여과 진폭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복합음을 구성하는 음들의 주파수 간격이 크면 순음 주파수는 극댓값 중에서 극댓값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여과 진폭으로 구한 주파수 대 진폭 그래프에서 극댓값을 구하고 구한 극댓값들 중에서 다시 극댓값을 찾은 후 찾은 주파수를 복합음을 구성하는 순음의 주파수로 처리한다.
그러나 주파수 간격이 좁으면 극댓값과 극댓값 사이에 다른 극댓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112 Hz, 181 Hz, 1,034 Hz, 5,017 Hz, 5,034 Hz의 5가지 순음으로 구성된 복합음의 주파수 대 여과 진폭 그래프의 일부분으로 주파수가 인접한 5,017 Hz와 5,034Hz에 의해서 생성된 극댓값들 사이에 다른 극댓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의 특징은 주파수 간격이 작고 두 주파수 순음의 여과 진폭이 비슷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주파수 간격이 일정 수준 비율(예: 진폭이 큰 주파수의 밴드폭) 이내이고 두 주파수 순음의 여과 진폭 비율이 일정 수준(예: 0.5) 이상이면 두 개의 주파수를 모두 복합음을 구성하는 순음의 주파수로 처리한다.
전술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1)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
Figure pat00181
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
Figure pat00182
을 모델링하는 단계;
(2)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
Figure pat00183
의 변위 및 속도에 기초하여,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
Figure pat00184
을 계산하는 단계;
(3)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85
을 계산하는 단계;
(4)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86
에 기초하여 순음 예측 진폭
Figure pat00187
을 계산하는 단계;
(5) 상기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
Figure pat00188
과 상기 순음 예측 진폭
Figure pat00189
을 곱함으로써 순음 여과 진폭
Figure pat00190
을 계산하는 단계;
(6) 상기 순음 여과 진폭
Figure pat00191
의 극댓값에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1)단계는,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변위
Figure pat00192
및 속도
Figure pat00193
를 측정하는 단계(식 (1)을 참조); 상기 변위
Figure pat00194
및 속도
Figure pat00195
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에너지
Figure pat00196
를 계산하는 단계(식 (9)를 참조); 및 상기 에너지
Figure pat00197
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진폭
Figure pat00198
을 계산하는 단계(식 (10)을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는 식(13)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3)단계에서는 식(14)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4)단계에서는 식(13)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용수철의 개수(N)는, 추출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범위 및 주파수 해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199
은,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두 시점에서의 진폭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
Figure pat00200
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201
(단, t1 및 t2는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두 시점이며, t2>t1 이고,
Ai(t1)은 t1에서 상기 복수의 용수철 중 어느 하나의 진폭이고,
Ai(t2)은 t2에서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진폭이고,
ζ는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감쇠 비율이고,
ω는 ωi가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일 때,
Figure pat00202
의 식을 만족함)
상기 두 시점의 차는,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의 주기일 수 있다.
상기 두 시점 중 하나를 t1, 상기 입력된 소리의 샘플레이트를 SR,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T라고 할 때, 상기 두 시점 중 나머지 t2는 다음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203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제이 변환의 성능을 보이기 위해서 디제이 변환과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비교하였다. 디제이 변환에서는 고유 주파수가 50 Hz ~ 8,000 Hz인 7,951개의 용수철을 사용하였다. 각 용수철의 주파수 간격은 1 Hz로 하였다. 단시간 푸리에 변환에는 25밀리초 크기의 윈도우를 사용하였다.
디제이 변환은 코어 개수가 3,072개이고 메모리가 12 GB인 엔비디아 M40 GPU 환경에서 수행되었고 Cuda Toolkit 8.0의 C 언어 API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1초의 음성 데이타를 디제이 변환하는데 약 0.6초 시간이 소요되었다.
도 9는 주파수 해상도 측면에서 단시간 푸리에 변환과 디제이 변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첫번째 행은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두번째 행은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세번째 행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제이 변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에서 보듯이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의 주파수 해상도는 40 Hz이다. 또한 순음의 주파수가 400 Hz, 408 Hz, 416 Hz일 때 400 Hz에서 피크를 출력하고 424 Hz, 432 Hz, 440 Hz에서는 440 Hz에서 피크를 출력하였다. 반면에 디제이 변환 결과는 순음의 주파수와 모두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즉 디제이 변환 결과의 주파수 해상도는 1 Hz임을 보여준다.
시간 해상도 측면에서 디제이 변환 결과와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세 가지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입력 주파수가 변경되는 지점에서 추출된 주파수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도 10(a)는 1 kHz 순음이 500밀리초까지 입력되고 500밀리초부터는 2 kHz 순음이 주어지고, 도 10(b)는 2 kHz 순음이 500밀리초까지 입력되고 500밀리초부터는 1 kHz 순음이 주어지고, 도 10(c)는 4 kHz 순음이 500밀리초까지 입력되고 500밀리초부터는 2 kHz 순음이 주어지고, 도 10(d)는 2 kHz 순음이 500밀리초까지 입력되고 500밀리초부터는 4 kHz 순음이 주어질 때, 디제이 변환에 의해서 추출된 주파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0(a) ~ 10(d)에서 볼 수 있듯이 500밀리초를 전후로 두 가지 주파수의 경계가 모두 명확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00밀리초까지는 입력된 순음의 주파수인 1 kHz, 2 kHz, 4 kHz 및 2 kHz가 명확히 나타나고, 500밀리초 직후에는 변경된 순음의 주파수인 2 kHz, 1 kHz, 2 kHz 및 4 kHz가 약 10퍼센트의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는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경계선에서 두 가지 주파수가 동시에 추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두 번째 실험은 짧게 나타났다 사라지는 소리에서 주파수를 추출하는 실험이다. 도 12의 첫 번째 행은 200밀리초부터 800밀리초 사이에서 5밀리초 동안 1 kHz 순음이 발생하고 다음 5밀리초 동안은 무음인 상태가 반복될 때(점멸 신호가 입력될 때)의 주파수 추출 결과를 보여준다. 두 번째 행은 200밀리초부터 800 밀리 사이에서 1 kHz 순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때(지속 신호가 입력될 때)의 결과를 보여준다. 왼쪽 열은 입력 소리의 시간에 따른 주파수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가운데 열은 디제이 변환 결과이고 세 번째 열은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이다.
중간 열의 도면들을 보면 디제이 변환은 순음과 무음이 반복되는 경우는 점선 결과를 생성하고 일정한 소리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선 결과를 생성하여 두 경우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오른쪽 열의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보면 두 경우 모두 1 kHz에서 강한 실선을 생성하고 있어서 두 경우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가운데 열의 위 쪽 도면은 1.1 kHz와 0.9 kHz에서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점선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입력이 10밀리초 주기로 반복되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100 Hz 신호가 존재하여 발생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에 단시간 푸리에 변환에서는 도 10의 오른쪽 위 도면을 보면 0.88 kHz, 0.92 kHz, 1.08 kHz와 1.12 kHz에 실선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100 Hz 신호에 의해서 발생하는 0.9 kHz와 1.1 kHz 주파수 성분이 푸리에 변환의 40 Hz 주파수 해상도에 의해서 40 Hz 간격으로 분리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세 번째 실험은 두 번째 실험의 확장으로 200밀리초부터 800밀리초 사이에서 5밀리초 동안 1 kHz 순음이 발생하고 다음 5밀리초 동안은 2 kHz 순음이 발생하는 상태가 반복될 때의 주파수 추출 결과를 보여준다(도 13). 도 13(b)에서 볼 수 있듯이 디제이 변환은 5밀리초 단위로 1 kHz 순음과 2 kHz 순음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된 결과를 생성한다. 반면에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면 도 13(c)와 같이 그 경계를 구분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4의 첫 번째 행은 420 Hz 순음이 입력될 때 입력 파형, 디제이 변환 결과 및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보여주고 두 번째 행은 400 Hz와 440 Hz의 복합음이 입력될 때, 입력 파형, 디제이 변환 결과 및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4(a)는 입력 파형이고 도 14(b)와 도 14(c)는 각각 디제이 변환 결과와 단시간 푸리에 변환 결과이다.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디제이 변환은 순음에서는 420 Hz 주파수를 추출하고 복합음에서는 400 Hz와 440 Hz 주파수를 추출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단시간 푸리에 변환은 순음에서 추출한 결과와 복합음에서 추출한 결과에 차이가 거의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복합음은 400 Hz와 440 Hz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 14(a)의 하단처럼 40 Hz 주기로 진폭 증감이 발생한다. 도 14(b) 하단에서 볼 수 있듯이 디제이 변환은 이와 같이 진폭이 증감하는 특성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추출 장치(100)는 용수철 모델링부(110) 및 주파수 추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수철 모델링부(110)는 식(1), 식(9) 및 식(10)을 이용하여 복수의 용수철의 변위 및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용수철 모델링부(110)는 복수의 용수철의 개수에 해당하는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스레드는 각각의 용수철에 대응할 수 있다.
주파수 추출부(120)는 용수철 모델링부(110)에서 계산된 변위 및 속도를 기초로 하여,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I의 (b) 단계 ~(d) 단계에 따라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주파수 추출부(120)는 용수철 모델링부(110)에서 계산된 변위 및 속도를 기초로 하여,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Ⅱ의 (2) 단계~(6) 단계에 따라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순음 예측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과 상기 순음 예측 진폭을 곱함으로써 순음 여과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순음 여과 진폭의 극댓값에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은,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적어도 두 시점에서의 진폭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Ai,s)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Figure pat00204

    (단, t1 및 t2는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두 시점이며, t2>t1 이고,
    Ai(t1)은 t1에서 상기 복수의 용수철 중 어느 하나의 진폭이고,
    Ai(t2)은 t2에서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진폭이고,
    ζ는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감쇠 비율이고,
    ω는 ωi가 상기 하나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일 때,
    Figure pat00205
    의 식을 만족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시점의 차는,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시점 중 하나를 t1, 상기 입력된 소리의 샘플레이트를 SR,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기를 T라고 할 때, 상기 두 시점 중 나머지 t2는 다음의 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Figure pat00206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은,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적어도 두 시점에서의 진폭을 하기의 식에 대입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Figure pat00207

    (단, A(t)는 시점 t에서의 상기 복수의 용수철 중 어느 하나의 진폭이고,
    As는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이고,
    Ac는 시점 tc에서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진폭이고,
    ζ는 상기 하나의 용수철의 감쇠 비율이고,
    ω는 ωi가 상기 하나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일 때,
    Figure pat00208
    의 식을 만족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변위 및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변위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용수철의 개수는, 추출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범위 및 주파수 해상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9. 제1항의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함으로써,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변위 및 속도를 산출하는 용수철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순음 예측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과 상기 순음 예측 진폭을 곱함으로써 순음 여과 진폭을 계산하고, 상기 순음 여과 진폭의 극댓값에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주파수를 추출하는 주파수 추출부;
    를 포함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장치.
  11.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대해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 중,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입력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Ai,s)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Figure pat00209

    (단, t1 및 t2는 t2>t1 를 만족하는 소리의 입력 기간 내의 두 시점이며,
    Ai(t1)은 t1에서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진폭이고,
    Ai(t2)은 t2에서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진폭이고,
    ζ는 상기 복수의 용수철의 감쇠 비율이고,
    ω는 ωi가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고유 주파수일 때,
    Figure pat00210
    의 식을 만족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변위 및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변위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시점별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14. 제11항의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기록 매체.
  15.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순음에 대해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함으로써, 복수의 용수철 각각의 변위, 속도, 에너지 및 진폭을 산출하는 용수철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 중,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추정하고,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시점별 진폭이 최대인 용수철의 에너지를 계산하고, 상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입력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주파수 추출부;
    를 포함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장치.
  16. 각 단계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상기 입력되는 소리가 어느 시점까지는 제1 주파수를 갖다가, 상기 시점 이후에는 제2 주파수로 변경될 때,
    상기 변경되는 시점에서의 주파수 변환 결과가 상기 제1 주파수를 나타내고,
    상기 변경되는 시점 직후의 주파수 변환 결과는 상기 제2 주파수의 10퍼센트 범위 내를 나타내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이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된 소리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는 복수의 용수철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복수의 용수철의 안정 상태 예상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안정 상태 예상 진폭에 기초하여 순음 예측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점별 전이 상태 순음 진폭과 상기 순음 예측 진폭을 곱함으로써 순음 여과 진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순음 여과 진폭의 극댓값에 해당하는 용수철의 고유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리의 주파수 추출 방법.
KR1020190003620A 2019-01-11 2019-01-11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KR102277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20A KR102277952B1 (ko) 2019-01-11 2019-01-11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US17/268,444 US20210183403A1 (en) 2019-01-11 2019-11-26 Frequency extraction method using dj transform
CN201980088800.4A CN113316816A (zh) 2019-01-11 2019-11-26 使用dj变换的频率提取方法
PCT/KR2019/016347 WO2020145509A2 (ko) 2019-01-11 2019-11-26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US18/210,866 US20230410821A1 (en) 2019-01-11 2023-06-16 Sou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dj trans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20A KR102277952B1 (ko) 2019-01-11 2019-01-11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02A true KR20200087402A (ko) 2020-07-21
KR102277952B1 KR102277952B1 (ko) 2021-07-19

Family

ID=7152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620A KR102277952B1 (ko) 2019-01-11 2019-01-11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83403A1 (ko)
KR (1) KR102277952B1 (ko)
CN (1) CN113316816A (ko)
WO (1) WO202014550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831A1 (ko) * 2021-07-27 2023-02-02 브레인소프트 주식회사 해석적 방법에 기반한 디제이 변환 주파수 추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08B1 (ko) * 2020-07-21 2022-04-04 브레인소프트주식회사 복합음을 구성하는 순음의 추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59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 신성씨앤티 2자유도 감지 모드를 갖는 멤스 자이로스코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0112A (en) * 1998-05-13 2000-06-27 House Ear Institute Acoustic tumor detection using stacked derived-band ABR amplitude
US6993480B1 (en) * 1998-11-03 2006-01-31 Srs Labs, Inc. Voice intelligibility enhancement system
US7828192B2 (en) * 2005-01-03 2010-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mplitude adjustment of an ultrasonic horn
US8489396B2 (en) * 2007-07-25 2013-07-16 Qnx Software Systems Limited Noise reduction with integrated tonal noise reduction
US8065140B2 (en) * 2007-08-30 2011-11-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redominant fundamental frequency
JP2010169506A (ja) * 2009-01-22 2010-08-05 Meidensha Corp 接触力測定装置及び接触力測定方法
EP2237266A1 (en) * 2009-04-03 2010-10-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lurality of local center of gravity frequencies of a spectrum of an audio signal
AU2010292140B2 (en) * 2009-09-11 2013-07-11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Low pulse rate cochlear implant stimulation in conjunction with a separate representation of fundamental frequencies and voiced/unvoiced distinctions
JP5626793B2 (ja) * 2011-03-01 2014-1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基本周波数モデルパラメータ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28496B2 (en) * 2011-10-26 2015-09-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Secretary Of The Navy Auto-ranging for time domain extraction of perturbations to sinusoidal oscillation
EP2992605B1 (en) * 2013-04-29 2017-06-0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Frequency band compression with dynamic thresholds
US9883312B2 (en) * 2013-05-2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Transformed higher order ambisonics audio data
US10755726B2 (en) * 2015-01-07 2020-08-25 Google Llc Detection and suppression of keyboard transient noise in audio streams with auxiliary keybed microphone
EP3121814A1 (en) * 2015-07-24 2017-01-25 Sound object techology S.A. in organization A method and a system for decomposition of acoustic signal into sound objects, a sound object and its use
JP6676258B2 (ja) * 2015-08-24 2020-04-08 学校法人 東洋大学 生体音測定システムにおける測定データの校正方法
US10360895B2 (en) * 2017-12-21 2019-07-23 Bose Corporation Dynamic sound adjustment based on noise floor estimate
US11270721B2 (en) * 2018-05-21 2022-03-08 Plan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of pre-processing of speech signals for improved speech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59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 신성씨앤티 2자유도 감지 모드를 갖는 멤스 자이로스코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omas F. Quatieri, Discrete-time speech signal processing, Prentice Hall PTR, 200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831A1 (ko) * 2021-07-27 2023-02-02 브레인소프트 주식회사 해석적 방법에 기반한 디제이 변환 주파수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509A3 (ko) 2020-09-24
US20210183403A1 (en) 2021-06-17
WO2020145509A2 (ko) 2020-07-16
KR102277952B1 (ko) 2021-07-19
CN113316816A (zh)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6493B2 (ja) 信号分析方法及び装置
RU2685391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авления шума
US8889976B2 (en) Musical score position estimating device, musical score position estimating method, and musical score position estimating robot
Murty et al. Epoch extraction from speech signals
KR20180098806A (ko) 자연어 인식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KR102277952B1 (ko) 디제이 변환에 의한 주파수 추출 방법
US8822804B1 (en) Digital aerophones and dynamic impulse response systems
US20240125669A1 (en) Vibration control system
KR102164306B1 (ko) 디제이변환에 기초한 기본주파수 추출 방법
Dubey et al. Zero time windowing analysis of hypernasality in speech of cleft lip and palate children
JP3174777B2 (ja) 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8185845A (ja) 1次元信号の変換値からのhlac特徴抽出方法および装置
Linke et al. Describing minimum bow force using Impulse Pattern Formulation (IPF)–an empirical validation
JP4469986B2 (ja) 音響信号分析方法および音響信号合成方法
KR101434592B1 (ko) 뇌의 음향처리에 기반한 음성신호 프레임 분할 방법
KR102382208B1 (ko) 복합음을 구성하는 순음의 추출 방법
Khulage et al. Analysis of speech under stress using linear techniques and non-linear techniques for emotion recognition system
Chowdhury et al. Formant estimation from speech signal using the magnitude spectrum modified with group delay spectrum
JP4166405B2 (ja) 駆動信号分析装置
KR20220127096A (ko) 음성 특성을 이용한 발화 속도 측정 방법, 이를 이용한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230410821A1 (en) Sou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dj transform
KR101614768B1 (ko) 뇌의 음성처리에 기반한 음성신호 프레임 가변 분할 방법
Ishizuka et al. A feature for voice activity detection derived from speech analysis with the exponential autoregressive model
CN106920558A (zh) 关键词识别方法及装置
CN108830232A (zh) 一种基于多尺度非线性能量算子的语音信号周期分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