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242A -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242A
KR20200086242A KR1020200081469A KR20200081469A KR20200086242A KR 20200086242 A KR20200086242 A KR 20200086242A KR 1020200081469 A KR1020200081469 A KR 1020200081469A KR 20200081469 A KR20200081469 A KR 20200081469A KR 20200086242 A KR20200086242 A KR 2020008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lectrode
skin care
mask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현
박찬현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20008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242A/ko
Publication of KR2020008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재가 탑재된 마스크 부재; 상기 마스크 부재에 구비되어,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극부재; 및 피부관리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재 및 상기 전극부재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시트부재가 사용자 피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마스크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전극부재는 상기 전도성 패턴에 전류를 전달하는, 마스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MASK DEVICE FOR SKIN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광원을 이용한 광자극 및 미세전류를 이용한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 미용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까지의 통계 결과를 비추어 볼 때, 피부과, 피부 관리실을 방문하는 고객의 대다수는 여성들이었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피부 관리를 하는 남성들도 증가하고 있다.
피부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술 중에 광원을 이용하는 기술은, 빛이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사실에 기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로는 레이저, UV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는 기술들이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광원을 이용하는 기술은 피부 관리뿐만 아니라,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하여도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광원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재생 또는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피부과 등에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개인용으로 광원을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616707호(발명의 명칭: LED 마스크) 등이 있다. 상기에 설명한 기술 외에도 피부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흡수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이온 도입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이온 도입 방식을 통하여 피부 관리를 하는 경우, 피부톤 개선 등 피부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음은 분명하다. 다만, 피부과, 피부 관리실에서 이용되는 이온 도입 방식을 이용하는 기술은 기기 자체의 부피가 크고 고가라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피부과에 방문하는 것을 꺼려하는 남성들이나 바쁜 직장인들의 경우는 이러한 관리를 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휴대용 또는 소형으로 가정에서 이온 도입 방식으로 손쉽게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며, 피부에 영양소를 흡수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LED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결 관리,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피부톤 개선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LED 광원을 조사하고, 이와 함께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하이드로겔 성분의 흡수율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피부 관리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는 피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재가 탑재된 마스크 부재; 상기 마스크 부재에 구비되어,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극부재; 및 피부관리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재 및 상기 전극부재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시트부재가 사용자 피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마스크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전극부재는 상기 전도성 패턴에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마스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개시는 전극부재에 접촉하는 컨택부재의 저항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시트부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트부재에 매핑된 피부관리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관리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소자 및 전극부재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에 LED 광원을 조사하고, 이와 함께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된 하이드로겔 성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다양한 피부관리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재가 탑재된 마스크 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시트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전극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피부에 이온 영동 기능을 구현하는 개념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모드 전환 시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재가 탑재된 마스크 부재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시트부재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1000)는 마스크 하우징부(200), 발광부(300), 전극부(500), 커패시턴스(50), 스위칭부(60), 사용자 입력부(70),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의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00)는 적어도 두 겹 이상의 마스크를 겹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마스크 하우징부(200)는 마스크 장치(1000)의 구성 중 가장 바깥쪽 구조물일 수 있다. 마스크 하우징부(200)는 눈 부위 및 호흡을 위한 홀 이외의 얼굴에 대면하는 부분은 피부를 둘러싸고 외부로부터 빛을 거의 차단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얼굴의 굴곡 및 곡면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00)는 마스크 하우징부(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광원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소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재(320)는 LED 소자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PCB, FPCB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의 굴곡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절삭된 PCB들 상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발광소재의 구성 및 배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전극부(500)는 마스크 하우징부(200)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전원을 공급받아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피부에 하이드로겔 성분과 함께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경우, 하이드로겔 성분이 미세전류에 의해 성분이 이온화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침투되므로, 피부세포에서 하이드로겔 성분의 흡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500)는 PCB(310) 상에 전원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재(510~540)를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에서는 이마부위의 양측 및 팔자주름부위의 양측에 각각 전극부재(510, 520, 530, 540)가 구비된 일 예를 개시하나, 전극부재의 개수와 배치에 대해서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치된 전극부재들 중에 일부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부(500)는 금, 은, 동, 카본 등과 같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전도성 재료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스크 하우징부(200)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전도성 물질의 포고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패시턴스(50)는 마스크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전원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피부에 미세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전원을 축전하며, 축전된 전원을 전극부(500)로 방전할 수 있다.
스위칭부(60)는 전극부(500), 커패시턴스(50) 및 접지(GND) 사이에 구비되고, 제어부(100)에 의해 전극부(500), 커패시턴스(50) 및 접지 사이의 스위칭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위칭부(60)는 커패시턴스(50)로부터 전극부(500)로 방전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0)는 마스크 장치(1000)와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6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70)는 사용자로부터 마스크 장치(1000)의 전원 턴온/턴오프 실행 입력, 피부관리모드 선택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시트부재(400)는 사용자 피부에 접촉하도록 마스크 하우징부(200)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전극부(500) 및 발광부(300)의 상위로 마스크 하우징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마스크 하우징부(200)에 대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400)의 눈, 코 및 입 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외의 면에는 전도성 패턴(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410)은 일 실시예로,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 각각 기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소정의 패턴 형태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500)로 전류가 공급되면, 얼굴 형태에 상응하도록 골고루 분산 배치되어 있는 패턴 형태의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따라 사용자의 얼굴 피부에 전기적 자극이 가해지고, 따라서 사용자의 얼굴 전반에 걸쳐 이온 영동 기능 및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온 영동 기능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도성 패턴(410)은 미리 매핑된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시트부재(400) 상에서의 배치 및 전도성 물질의 저항값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패턴(410)은 얼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패턴과 상이한 조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시트부재(400)는 얼굴부위에서 상대적으로 주름이 많이지는 팔자 주름 부위, 미간 및 턱 부위일수록 전도성 패턴(410)을 상대적으로 밀도 높고 치밀하게 구비함으로써, 미세전류 자극에 의한 미용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시트부재(400)의 접촉면에 골고루 분산 배치되는 패턴 형태의 전도성 전극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 전반에 걸쳐 미세전류에 의한 이온 영동 기능 및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시트부재(400)는 피부 표면 가까이에 신경이 밀집해있는 정도에 따라 전도성 패턴(410)의 밀도를 상이하게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부재(400)는 안구 주변, 아래턱 및 잇몸과 같이 상대적으로 피부 표면 가까이에 신경 밀집도가 높은 부위에 대응해서는 전도성 패턴(410)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성글게 구비함으로써, 신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전도성 패턴(410)은 예컨대, 금, 은, 동 및 카본 등과 같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전도성 재료로 구비될 수 있고, 압착, 인쇄 및 도포 등에 의해 시트부재(400)에 부착되거나, 시트부재(4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부재(400)는 피부관리모드 별로 고유한 저항값을 갖는 컨택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택부재(420)는 전도성 패턴(410)의 적어도 일부이거나, 전도성 패턴(410)과 분리된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컨택부재(420)는 시트부재(400)가 마스크 하우징부(200)에 부착되는 경우, 전극부재(510~540)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하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재(400)는 가제 등의 천연 섬유나 부직포 및 실리콘과 같은 합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고, 도포, 침수 및 코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하이드로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00)는 개괄적으로 피부에 빛을 출력하는 구성(a), 피부에 미세전류 자극을 제공하는 구성(b) 및 하이드로겔 성분을 흡수시키는 구성(c)의 조합으로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마스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00)가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경우, 복수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일부는 물리적으로 이격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피부관리모드 결정부(110), 피부 수분도 측정부(120), 발광소재 출력 결정부(130), 전극부재 출력 결정부(140) 및 스위칭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피부관리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재(320) 및 전극부(5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피부관리모드는 예를 들어, 클린징 모드, 소프트닝 모드, 영양 공급 모드, 리프팅 모드 및 화이트닝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피부관리모드 결정부(110)는 전극부(500)에 컨택부재(420)가 접촉하는 경우, 해당 컨택부재(420)의 저항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시트부재(4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부재(420)의 저항값이 A 범위로 검출된 경우, 피부관리모드 결정부(110)는 시트부재(400)가 영양 공급 모드에 이용되는 전용 시트부재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컨택부재(420)의 저항값이 B 범위로 검출된 경우, 피부관리모드 결정부(110)는 시트부재(400)가 리프팅 모드에 이용되는 전용 시트부재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크 장치(1000)의 저장부는 저항값에 따라 매핑된 피부관리모드 전용 시트부재의 정보를 미리 저장해둘 수 있다.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맥락으로, 피부관리모드 결정부(110)는 식별된 시트부재(400)의 정보에 매핑된 피부관리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부재(400)가 영양 공급 모드 전용 시트부재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피부관리모드를 영양 공급 모드로 결정할 수 있고, 시트부재(400)가 리프팅 모드 전용 시트부재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피부관리모드를 리프팅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피부 수분도 측정부(120)는 도 3에 도시된 전압 인가 전극(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소정 전압을 인가하고, 전류 검출 전극(700)을 통해 피부로부터의 전류량을 검출하며, 검출된 전류량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수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 인가 전극은 전도성 패턴(410)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거나, 피부 수분도 측정을 위한 전용 전극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피부 수분도 측정부(120)는 측정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레벨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수분도를 상, 중, 하 레벨로 구분할 수 있고, 상 레벨로 갈수록 피부 수분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피부관리모드 및 사용자의 피부 수분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소재(320) 및 전극부(5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00)는 피부관리모드 및 사용자의 피부 수분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시트부재(400)의 전도성 패턴(410)에 전류를 인가하는 시간, 복수의 발광소재(320)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강도, 광원의 색상 및 발광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피부관리모드는 3 단계로 나눠지고, 피부관리모드의 총 실행시간은 12분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일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피부관리모드는 클린징 모드, 소프트닝 모드, 영양 공급 모드, 리프팅 모드 및 화이트닝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탈 케어 모드의 경우, 1단계에서는 5분동안 전극부(500)를 턴온시키고, 발광소재(320)의 색상을 레드로 발광시키고, 2단계에서는 5분동안 전극부(500)를 턴온시키고, 발광소재(320)의 색상을 옐로우로 발광시키며, 3단계에서는 2분동안 전극부(500)를 턴오프시키고, 발광소재(320)의 색상을 블루로 발광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전극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피부에 이온 영동 기능을 실행시키는 개념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극부(500)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극부(500) 및 전극부(500)에 전기적으로 컨택된 전도성 패턴(420)을 통해 시트부재(400)에 함유된 하이드로겔 성분이 이온화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침투되므로, 피부 세포에서 하이드로겔 성분의 흡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500)를 통해 양이온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띈 노폐물을 흡착시키는 클린징 모드를 실행할 수 있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500)를 통해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호작용에 의한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피부가 정돈되는 효과를 갖는 소프트닝 모드를 실행할 수 있으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500)를 통해 전극이 동일한 이온 간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이온을 띈 하이드로겔 성분을 피부에 침투되게 하는 영양 공급 모드를 실행할 수 있고,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500)를 이용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에 의한 미세전류 발생을 통해 피부에 자극을 제공하는 리프팅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피부 수분도 측정부(120)에서 분류된 사용자의 피부 수분도 레벨에 기초하여 도 6에 개시된 피부관리모드 별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의 출력을 좀 더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관리모드는 토탈 케어 모드이면서, 피부 수분도는 하 레벨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토탈 케어 모드의 3단계에 해당하는 전극부(500)에 대한 턴오프 실행 설정을 턴온 실행으로 변경하고, 전극부(500)에서 출력되는 미세전류의 값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와 더 불어, 제어부(100)는 피부 수분도의 레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피부관리모드의 설정에서 발광소재의 색상, 발광 강도, 발광 시간 및 미세전류 공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변경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마스크 장치는 피부에 미세전류를 전달하기 위해 캐패시턴스(50)에 전원을 축전하고, 축전된 전원을 전극부재(500)로 방전하는데, 피부관리모드가 전환될 때에도 그대로 커패시턴스(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환된 피부관리모드를 실행하기 시작할 때, 커패시턴스에 남아있던 전원에 의해 순간적으로 과전류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따가움 등의 불편함이 발생될 수가 있다.
이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제어부(150)가 전극부(500), 커패시턴스(50) 및 접지(GND) 사이에 구비된 스위칭부(60)를 제어함으로써, 커패시턴스(50)로부터 전극부(500)로 방전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관리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스위칭 제어부(150)는 스위칭부(60)를 통해 커패시턴스(60)를 접지(GND)로 연결시켜 리셋시킨 후, 다시 커패시턴스(60)를 전극부(500)로 연결시킴으로써, 과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00)는 마스크 장치(1000)의 실행 중에도 컨택부재(420)의 저항값의 변화가 측정된 경우, 변경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시트부재를 다시 식별하고, 식별결과에 기초하여 변경된 시트부재를 인식하며, 변경된 시트부재에 매핑된 피부관리모드로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 장치(1000)에 리프팅 모드 전용 시트부재가 부착되어 리프팅 모드를 실행하던 상태에서 제어부(100)가 컨택부재(420)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 변화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마스크 장치(1000)에 새로 부착된 다른 모드 전용 시트부재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모드 전용 시트부재가 만약, 영양공급모드 시트부재로 식별된 경우, 제어부(100)는 먼저 커패시턴스(60)를 리셋시킨 후, 영양공급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의 구동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00)는 영양공급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커패시턴스(60)에 남아있던 전원을 모두 접지시킨 후, 커패시턴스(60)에 전원을 다시 축전하여 영양공급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피부 수분도를 더 고려하여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의 출력을 다시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00)는 마스크 장치(1000)에 시트부재가 부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마스크 장치(10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시트부재를 부착하여 마스크 장치(1000)를 착용한 상태인지, 또는 시트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피부에 곧바로 마스크 장치(1000)를 착용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전극부(500)에 컨택된 물질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전극부(500)에 컨택된 물질이 시트부재인지 아니면 피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시트부재를 부착하여 마스크 장치(1000)를 착용하나 상태인지, 또는 시트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마스크 장치(1000)를 착용한 상태인지에 따라서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시트부재의 착용 여부에 따라 제어부(100)는 동일한 피부관리모드더라도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발광소재 및 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전극부재에 접촉하는 컨택부재의 저항값을 검출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검출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시트부재를 식별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 식별된 시트부재에 매핑된 피부관리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130). 다음으로, 피부관리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소자 및 전극부재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S140). 다음으로, 피부관리모드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마스크 장치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150). 전술한 각 단계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 바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모드 전환 시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시시예에 따른 피부관리모드 전환 시 마스크 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컨택부재의 저항값이 변경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S160), 변경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시트부재를 식별할 수 있다(S170). 다음으로, 변경된 시트부재에 매핑된 피부관리모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부관리모드로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S180). 다음으로, 전환된 피부관리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커패시턴스를 리셋시킬 수 있다(S190). 다음으로, 전환된 피부관리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S200). 전술한 각 단계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마스크 장치 100: 제어부
200: 마스크 하우징부 300: 발광부
400: 시트부재 500: 전극부

Claims (1)

  1. 마스크 장치.
KR1020200081469A 2020-07-02 2020-07-02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6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469A KR20200086242A (ko) 2020-07-02 2020-07-02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469A KR20200086242A (ko) 2020-07-02 2020-07-02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189A Division KR102134987B1 (ko) 2019-01-08 2019-01-08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242A true KR20200086242A (ko) 2020-07-16

Family

ID=7183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469A KR20200086242A (ko) 2020-07-02 2020-07-02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2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3562A (zh) * 2023-11-10 2024-01-02 阿木(深圳)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可自收纳处理的tens微电流美容面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3562A (zh) * 2023-11-10 2024-01-02 阿木(深圳)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可自收纳处理的tens微电流美容面膜
CN117323562B (zh) * 2023-11-10 2024-05-17 阿木(深圳)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可自收纳处理的tens微电流美容面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698B1 (ko)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led 마스크 시스템
US7331784B2 (en) Mouthpiece
US7204846B2 (en) Beauty device
KR101832909B1 (ko)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탈모 치료 헬멧
CN111246913B (zh) 光照射装置及光照射装置的制造方法
JP2019517354A (ja) イオントフォレシス装置、イオントフォレシス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皮膚美容機器
US10589115B2 (en) Inner ear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nner ear therapy device
KR101558180B1 (ko) 비염 치료 장치 및 비염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134987B1 (ko)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6242A (ko)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38595A (ko) 충전식 색광 치료용 패치
CN101001669A (zh) 皮肤治疗光线疗法设备
KR102370929B1 (ko)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34562B1 (ko) 마스크 장치와 마스크 시트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80311A (ko)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마스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KR102363447B1 (ko)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Trevlakis et al. Electrical vs optical cell stimulation: A communication perspective
CN210687849U (zh) 一种光照模组及使用该光照模组的智能睡眠设备
KR102372110B1 (ko) Ir led 및 천연광물을 이용한 파장 발생 장치
KR102614001B1 (ko) 피부 미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방법
WO2013172859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KR101083061B1 (ko) 휴대용 피부 광선 치료기
KR101937382B1 (ko) 피부 개선용 장치
KR101192034B1 (ko)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CN220213657U (zh) 一种磁吸发光多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