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112A - 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112A
KR20200086112A KR1020190002315A KR20190002315A KR20200086112A KR 20200086112 A KR20200086112 A KR 20200086112A KR 1020190002315 A KR1020190002315 A KR 1020190002315A KR 20190002315 A KR20190002315 A KR 20190002315A KR 20200086112 A KR20200086112 A KR 2020008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ents
sub
subjec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0573B1 (en
Inventor
옥성수
Original Assignee
옥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성수 filed Critical 옥성수
Priority to KR102019000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573B1/en
Publication of KR2020008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is a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 which comprises: a contents input module receiving contents including a major topic from an author; a keyword extraction module extracting any one of words and phrases constituting the contents for each major topic and setting the any one as a keyword; an image processing interface including an image database including an image for expressing the keyword and an image extraction module extracting an image reminiscent of or referring to the meaning of the keyword from the image database; and a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images extracted for each major subject while excluding the contents.

Description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A system for memorizing and learning the subject of a table of contents by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본 발명은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목차에 의해 연상되는 이미지를 상기 목차가 구성되는 도서의 초기 페이지에 적용함과 아울러 도서의 표지에는 목차 없이 해당 이미지만을 삽입하여, 독자가 이미지 연상기법에 의해 목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morizing and learning the subject of the table of contents. More specifically, the image associated with the table of contents composed of text is applied to the initial page of the book in which the table of contents is composed, and only the corresponding image is inserted into the cover of the book without the table of content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morizing and learning the subject of a table of contents by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 that enables the reader to remember the table of contents more effectively by the image association method.

목차는 출판물의 본문의 주요 구성부분을 순서대로 또는 그 중요도의 순으로 열거하여 찾아보기 쉽도록 해 놓은 것으로, 흔히 차례라고도 한다. The table of contents lists the major parts of the main body of the publication in order or importance, making it easy to find and often referred to as a turn.

이러한 목차는 본문의 중요한 흐름을 간단명료하게 정리하여 본문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개략적으로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독자로 하여금 사전에 본문 내용을 검색 해보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This table of contents serves to outline the overall flow of the text simply and clearly, and serves to outline the overall story of the text and to have the reader search the text in advance.

때때로, 독자는 체계적인 순서대로 본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숙지하기에 앞서 목차를 암기하기도 한다.Sometimes, the reader memorizes the table of contents before reading the t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xt in a systematic order.

그런데 공지의 도서, 책자에서의 목차는 텍스트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용이 딱딱하고 정형적이라 독자가 이를 암기하기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고, 목차의 첫 자를 따서 일명 두 문자 암기 방식으로 목차를 암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두 문자 자체가 특정 의미를 갖지 않는 이상 두 문자도 어려워 잘 암기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따른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der is difficult to memorize the contents because the contents of the bulletin books and booklets are made of text only, so the contents are hard and formal, and memorizing the table of contents by a two-character memorization method after the first letter of the table of contents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that two characters are difficult to memorize as long as the two characters themselves do not have a specific meaning.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030호의 ‘자동 목차 작성 장치 및 방법’에서는, 문서를 스캔하여 기준에 따라 목차 제목을 추출하여 목차를 자동으로 작성함으로써 목차 작성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in the'Automatic Table of Con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38030,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f creating a table of contents by automatically scanning the document and extracting the table of contents title according to the criteria. It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목차 작성의 편의성을 제공할지는 몰라도 공지의 도서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텍스트 문자로 이루어져 있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한 상황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 although it may provide convenience of creating a table of contents, it is still insufficien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because it is still composed of text characters as well as a known book.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3206호의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에서는 텍스트 문자로만 구성되던 공지의 목차 작성 방식을 탈피하여 텍스트 문자에서 핵심이 되거나 작가가 지정한 단어를 이미지로 화체하여 해당 이미지를 목차와 함께 목차의 일부 구성으로 작성함으로써 목차 암기 및 이해의 편의성을 도모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the'Image Table of Contents Editing System for Memorizing the Table of Contents of a Book'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As a result, the technology that promotes the convenience of memorizing and understanding the table of contents by composing the image as a part of the table of contents together with the table of contents by combining the words that are the core of the text characters or words designated by the artist into images.

다만 상기 기술에서는 목차가 도서의 초기 페이지에만 구성되어 있어, 도서가 책꽂이 등에 꽂힌 경우에는 독자가 목차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도서를 펼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더욱 가시적으로 독자에게 목차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However, in the above technology, the table of contents is composed only of the initial page of the book, so if the book is stuck on a bookshelf, etc., the reader has the trouble of opening the book in order to check the table of contents. It is a situation that requires skill.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텍스트로 이루어진 목차에 의해 연상되는 이미지를 상기 목차가 구성되는 도서의 초기 페이지에 적용함과 아울러 도서의 표지에는 목차 없이 해당 이미지만을 삽입하여, 독자가 이미지 연상기법에 의해 목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technology, and applies an image reminiscent of a table of contents made of text to the initial page of a book in which the table of contents is composed, and only inserts the image without a table of contents on the cover of the book.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that applies images to a book cover that enables readers to remember the table of contents more effectively by the image associatio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은, 작가로부터 대주제를 포함한 목차를 입력받는 목차 입력모듈; 상기 목차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상기 대주제 별로 추출하여 키워드로 설정하는 키워드 추출모듈과, 상기 키워드를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수록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모듈을 포함한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 상기 목차는 제외한 상태로 상기 대주제별로 추출된 상기 이미지를 배열하여 도서표지에 표시하는 도서표지 적용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by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that receives a table of contents including a major topic from an author; A keyword extraction module that extracts any one of the words and phrases constituting the table of contents for each of the major topics and sets them as keywords, an image database containing images for expressing the keywords, and reminiscent or referring to the meaning of the keywords An image processing interface including an image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images from the image database; And a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for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images extracted for each major subject in a state other than the table of contents.

더불어, 상기 도서 표지는, 상기 도서의 전면표지, 후면표지, 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ok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cover, the back cover, and the belt of the book.

추가적으로, 상기 도서표지 적용모듈은, 각각의 상기 이미지의 일 측에 상기 목차의 순서에 따른 상기 대주제의 순번을 표시하는 순번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quence numb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equence number of the main subject in the order of the table of contents on one side of each image.

본 발명에 따른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목차에 대주제 및 소주제 각각에 의해 연상되는 이미지를 통해 독자가 목차를 보다 쉽게 이해하거나 암기할 수 있다.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in which an image is applied to a book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rea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or memorize a table of contents through images associated with a main topic and a sub topic in a table of contents composed of text.

나아가, 목차 뿐 만 아니라 도서표지에 해당 이미지만을 삽입함으로써 독자가 도서를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미지 확인이 가능하여 이미지 연상기법을 통해 목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Furthermore, by inserting only the image on the book cover as well as the table of contents, the reader can check the image even when the book is not opened, so that the table of contents can be more effectively remembered through the image association method.

이에 더하여, 대주제 및 소주제 각각과 연관된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이미지를 목차에 삽입하거나 대주제 이미지 및 소주제 이미지의 계통에 연관된 계통도를 목차에 삽입함으로써 독자가 보다 쉽게 대주제와 이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효과적으로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a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image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major topics and sub-themes into the table of contents, or by inserting a tree diagram related to the system of the main-subject images and sub-subject images into the table of contents, readers can more easily remember the major topics and their sub-classes, sub-topics can do.

더불어, 소주제 이미지를 도서의 본문에 삽입함으로써 독자가 본문을 읽는 경우 반복적으로 소주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으로 목차를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subject topic image into the body of the book, the reader can repeatedly check the subject topic image when reading the text, thereby effectively remembering the table of contents.

또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각각의 이미지데이터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태그를 구비함에 따라, 이미지 추출모듈에서 키워드의 의미에 대응되는 태그를 구비한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구현될 수 있다.Also, as each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has tags corresponding to keywords, it may be implemented to extract image data having tags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keywords in the image extraction module.

또한, 작가로부터 제공받은 작가멘트를 소주제가 표시된 제1 영역의 근처인 제2 영역에 삽입함으로써 독자에게 작가의 서평 등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or's comment provided by the author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reader by inserting the author's comment into the second area, which is near the first area where the soju theme is displayed.

특히, 이 경우 소주제 키워드 및 작가멘트의 핵심단어의 연관도에 따라 제1 및 제2 영역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각각 차등 제어함으로써 독자가 중심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소주제 키워드 및 작가멘트의 핵심단어와의 연관도를 파악하게 할 수 있으며,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영역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각각 차등 제어함으로써 독자의 시각적 가시성의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is differenti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keywords and the key words of the author, so that the reader only checks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ers of the subject keywords and authors.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key word can be grasp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an be differenti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region, thereby ensuring the comfort of the reader's visual visibility.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표지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목차에 이미지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목차의 중제목 및 소제목의 연결 관계를 이미지로 나타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소제목에 관한 이미지를 본문에 삽입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목차의 중제목 및 소제목의 연결 관계를 이미지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6의 소제목에 관한 이미지를 본문에 삽입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도 6의 소제목에 관한 이미지를 본문에 삽입한 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제1,2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제1,2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ver provided by 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of FIG. 1;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inserted into a table of contents.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showing an image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title and the small title of the table of contents.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mage of the subtitle of FIG. 4 is inserted into the text.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 image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title and the small title of the table of contents.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mage relating to a subtitle of FIG. 6 is inserted into a text.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image relating to the subtitle of FIG. 6 is inserted into the text.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the dist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calculating the dist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표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목차에 이미지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 of contents subject learn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ver provided by 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y learning system 10 of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inserted into a table of contents.

본 발명의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은 종이로 이루어진 책자는 물론 전자매체를 이용한 이북(e-book)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술한 책자 및 이북 자체는 물론 이들을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포괄한다.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books using electronic media as well as booklets made of paper, providing the above-mentioned booklet and e-book itself as well as a basis for producing them It encompasses things.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은 도서를 제작하는 출판사 등에서 사용되는 도서 제작 시스템(10)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learning memoriz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book production system 10 used in a publisher or the like that produces a book.

본 발명의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은 후술할 세부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바, 하드웨어는 시스템(10) 서버, DB 서버, 웹/앱 어플리케이션 서버, 목차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버는 CPU, 메모리, 저장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내지 상기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하기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이와 같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learning learn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ardware and software that perform detailed function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ardware may include a system 10 server, a DB server, a web/app application server, and a table of contents server. Each server includes CPU, memory, and storage space. In addition, software will be embodied below as performing a program or a series of processes based on the hardware. That is,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such hardware and software are organically combin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은,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으로서, 목차 입력모듈(100),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 도서표지 적용모듈(300), 목차 분류모듈(400), 목차 적용모듈(500), 합성 이미지 적용모듈(600),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700),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800) 및 연관도 파악모듈(90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learning system 10 is a table of contents subject learning system 10 by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300, table of contents classification module 400, table of contents application module 500, composite image application module 600, subtopic image application module 700,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800, and association degree identification module (900).

본 발명의 목차 입력모듈(100)은 작가로부터 텍스트로 이루어진 목차를 입력받는 것으로, 작가는 자신이 집필한 콘텐츠를 도서(종이책, 이북 등을 포함)로 제작하려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목차, 즉 콘텐츠의 본문 내용의 주제 또는 핵심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또는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텍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목차로 구성함으로써 독자에게 본문 내용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개략적으로 알리고자 한다.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 table of contents composed of text from the author, and when the artist wants to produce the content he has written into a book (including paper books, e-books, etc.), the table of contents related to the above contents, namely By creating a text that summarizes the subject or core content of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in a simple or concise manner, and organizes it into a table of contents, it is intended to inform the reader of the overall story of the main content.

이러한 목차는 주로 단어의 조합 또는 문장 형식, 다시 말해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가가 이와 같이 직접 목차를 작성하여 제공하는 경우, 상기 목차 입력모듈(100)에서 작가로부터 상기 목차를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목차를 도서의 초기 페이지에 목차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Such a table of contents is mainly composed of word combinations or sentence forms, that is, text, and when the author creates and provides a table of contents in this way,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receives the table of contents from the author to receive the table of contents. You will be able to compose a table of contents on the initial page of the book.

가령, 후술하겠으나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 2장, 3장을 대주제라 하고, 상기 대주제는 하위 개념인 소주제를 받을 수 있는데 이는 1), 2), 3)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illustrated in FIG. 2(a), chapters 1, 2, and 3 are referred to as major subjects, and the major subjects may receive sub-subjects, which are sub-concepts, represented by 1), 2), and 3). Can be.

이 때, 상기 목차 입력모듈(100)은 작가의 클라이언트 서버(PC 또는 어플리케이션)로부터 상기 목차가 작성된 문서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공받은 문서를 별도의 목차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may be provided with a document in which the table of contents is created from the author's client server (PC or application),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the provided document in a separate table of contents server. .

여기서, 상기 목차 서버라 함은 주로 출판사에 구비된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고 작가가 작성한 집필본을 입력 및 저장하는 기능은 물론 목차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table of contents server mainly means a server provided in a publishing company, which can be linked with a computer program or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and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nd storing an article written by an author as well as a function of receiving a table of contents. Can provide.

한편, 작가로부터 입력 받은 목차(11)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대주제(13)와 대주제별 소주제(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목차 입력모듈(100)은 상기 대주제(13) 및 상기 소주제(14)를 포함한 목차(11)를 입력 받는 것이라 할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of contents 11 received from the author may include one or more major topics 13 and sub-topics 14 for each topic as shown in FIG. 2(b), and accordingly,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 100) may be said to receive a table of contents 11 including the main subject 13 and the sub-form subject 14.

본 발명의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목차의 상기 대주제 및 상기 소주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관된 이미지를 상기 목차가 차지하는 도서의 페이지 영역이나, 도서의 표지 영역 또는 도서의 본문 내용이 작성된 영역에 삽입하는 것으로, 키워드 추출모듈(210),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 및 이미지 추출모듈(230)을 포함한다.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an image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major subject and the minor subject of the table of contents into the page area of the book occupied by the table of contents, the cover area of the book, or the area where the body content of the book is written The keyword extraction module 210 includes an image database 220 and an image extraction module 230.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210)은 상기 목차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상기 대주제 별로 추출하여 키워드로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키워드라 함은 목차의 각 대주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단어 중에서 가장 대표가 되거나 상징적인 단어 또는 어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서표지, 목차, 본문 등에 삽입될 이미지를 화체하는 의미를 가진 것이다.The keyword extraction module 210 serves to extract any one of words and phrases constituting the table of contents for each of the major topics and set them as keywords. Here, the keyword means the most representative or symbolic word or phrase among a plurality of words included in each major subject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has a meaning of converting images to be inserted into a book cover, table of contents, text, and the like.

이 경우, 상기 목차를 작성한 작가가 스스로가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대표적인 단어로 여기는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에서 상기 목차에 포함된 문장 맥락에서의 중요 단어를 추출하는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중요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키워드를 선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writer who created the table of contents may select words that he or she considers important or regard as a representative word as a keyword. Alternatively, the key words in the context of sentences included in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10 Keywords may be selected by extracting important words through an extraction algorithm that extracts.

한편, 본 발명의 키워드 추출모듈(210)은 예를 들어 상기 대주제를 구성하는 문장에서 명사에 해당하는 단어를 1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동사, 형용사의 경우 명사보다 이미지로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명사를 우선적으로 키워드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미지 표현의 직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the keyword extraction modul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imarily extract words corresponding to nouns from, for example, sentences constituting the main subject. That is, in general, verbs and adjectives constituting sentences are more difficult to express as images than nouns, so nouns are preferentially selected as keyword targets to ensure intuition of image expression.

이에 더하여,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210)은 키워드를 분석하여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언어 라이브러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상 단어를 수록한 연상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 keyword extraction module 210 may be provided with a language library to analyze keyword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keywords. Here, the language library may include an associative word database containing associative words composed of any one of words and phrases whose meanings have been reconfigured so as to associate words corresponding to non-fluids with a specific image.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키워드를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수록하는 것으로, 즉, 특정 단어를 특정 유체물로 표현하거나 연상 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사진을 총괄하는 이미지를 수록하는 것이다.The image database 220 is to record an image for expressing the keyword, that is, to express an image in which a specific word is expressed as a specific fluid or a picture that can cause an associative action.

상기 이미지 추출모듈(230)은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미지 추출모듈(230)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에서 대주제별로 적합한 이미지를 추출한다.The image extraction module 230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an image reminiscent or referring to the meaning of the keyword from the image database 220. In other words, the image extraction module 230 extracts images suitable for each major subject from the image database 220.

이 때,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에서의 각각의 이미지데이터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태그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해바라기 그림이 이미지데이터인 경우 메인 태그는 ‘꽃’, 서브 태그는 ‘해바라기’와 같이 계층적으로 태그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이미지 추출모듈(230)은 키워드의 의미에 대응되는 태그를 구비한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으로 구체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220 may be provided with tags corresponding to keywords. For example, when the sunflower picture is image data, a tag may be applied hierarchically, such as'flower' for the main tag and'sunflower' for the sub tag. Accordingly, the image extraction module 230 may implement a specific function by extracting image data having tags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keywords.

이는 상기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10) 차원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에 접속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작가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특정 키워드 또는 연상 단어와 가장 적합하게 어울리거나 의미의 일체성을 가진 이미지를 직접 추출하여 추출된 이미지를 업로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is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accessing the image database 220 at the dimension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10 dimension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n author can view the image database 220 to provide specific keywords or associated words. It is also possible to upload the extracted image by directly extracting the image that suits or fits the most appropriately.

물론, 키워드 자체는 작가가 직접 설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키워드 자체까지 독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해당 키워드에 독자 스스로 연관성이 강한 이미지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에 존재할 때 초기에 제공된 이미지와 별개로서 해당 키워드를 연상할 수 있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독자의 개인적 취향을 부가할 수도 있다.Of course, since the keyword itself is often set directly by the author, it is not desirable to allow the reader to arbitrarily change the keyword itself, but when the image database 220 has a strong image of the reader itself, the keyword itself The reader's personal preference can be added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n image reminiscent of the keyword as a separate image.

이와 같은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는 본 출원인의 특허인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23206’호의 이미지 추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is the same as the image extraction configuration of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123206', which is the patent of the applicant, a separat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도서표지 적용모듈(300)은 상기 이미지 추출모듈(230)에서 상기 대주제별로 추출된 상기 이미지를 배열하여 도서표지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도서표지는 전면표지, 후면표지(상기 전면표지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 띠지(상기 전면표지 및 상기 후면표지의 사이에서 상기 전면표지 및 상기 후면표지 각각과 수직으로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표지 또는 상기 후면표지가 상대적으로 상기 띠지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독자가 도서를 펼치지 않고도 더욱 용이하게 목차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서표지 적용모듈(300)은 상기 전면표지 또는 상기 후면표지에 이미지를 배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The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arrange the images extracted for each major subject in the image extraction module 230 and display them on the book cover. In this case, the book cover is a front cover, a back cover (locat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ront cover), a strip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positioned vertically with each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It can be at least one. Here, since the front cover or the back cover is formed with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strip, the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300 is configured so that the reader can more easily check images correspon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without opening the book.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arrange the image on the front cover or the back cover.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의 전면표지에 목차의 대주제별로 추출된 이미지들이 배열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images extracted for each major topic of the table of contents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cover of the book.

더 나아가, 각각의 이미지의 일 측에는 상기 목차의 순서에 따른 대주제의 순번을 표시하는 순번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Furthermore, a sequence number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image to display the sequence number of the major topic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able of contents.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차의 대주제가 1장, 2장, *?**?*, 7장인 경우, 상기 도서표지에는 7개의 이미지가 배열될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이미지의 일 측에는 숫자 1, 2, *?**?*, 7을 나타내는 순번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 when the main theme of the table of contents is 1, 2, *?**?*, 7, seven images may be arranged on the book cover, and at this time, one of each image On the side, a sequence number indicating numbers 1, 2, *?**?*, 7 may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목차 분류모듈(400)은 상기 목차를 대주제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의 초기 페이지에 삽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able of contents classification modul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ssify the table of contents into a plurality of blocks based on the main topic and insert them into the initial page of the book as shown in FIG. 2.

즉, 상기 목차 분류모듈(400)은 상기 목차의 대주제를 파악하여 상기 대주제를 기준으로 상기 목차를 블록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대주제인 ‘1장. 슈만의 아내 여성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클라라’와 그에 포함된 소주제들과, 다른 대주제인 ‘2장. 숱한 명마를 딛고 일어선 불굴의 의지의 바일러니스트 파가니니’와 그에 포함된 소주제들을 각각 블록으로 분류 처리하여, 각각의 블록을 문단으로 처리할 수 있다. That is, the table of contents classification module 400 performs a function of grasping the main topic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processing the table of contents as a block based on the topic. For example, as shown, one major subject is'Chapter 1. Schumann's wife, a female pianist and composer, Clara, and the subtopics included in it, as well as another major topic,'Chapter 2. You can classify each block as a paragraph by classifying each block into a block that contains the infinite willful bailist paganini” and the small subjects included in it.

이와 같은 상기 목차 분류모듈(400)은, 후술하는 목차 적용모듈(500)에서 이미지를 각각의 블록의 영역 내 또는 일 측에 삽입하기 이전에 이미지가 배열될 수 있는 형식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이미지가 복수개의 분류된 블록의 어느 한 곳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시 말해 목차에서 분류된 하나의 블록 당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생성에 대한 형식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In the table of contents classification module 400, the image is set by setting a formal criterion in which an image can be arranged before inserting an image into an area or a side of each block in the table of contents application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It serves to prevent bias from being plac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classified blocks, that is, to present a formal criterion for image generation that allows one image to be generated for each block classified in the table of contents.

본 발명의 목차 적용모듈(500)은 상기 도서의 목차에서 상기 블록의 영역 내 또는 일 측에 상기 대주제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 내지 7장 각각의 목차(2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 처리되므로, 각각의 블록{21, 22, *?**?*, 26, 27}의 일 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주제의 키워드를 지칭하거나 연상하는 이미지가 삽입될 수 있다. In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book, the table of contents application modul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in topic in or on one side of the block. That is, as shown in FIG. 3, since each table of contents 20 in chapters 1 to 7 is block-processed as described above, each block {21, 22, *?**?*, 26, 27} As shown in the figure, an image referring to or reminiscent of a keyword of a large subject may be inserted.

이 경우, 블록 1개당 1개의 이미지가 삽입되도록 정형화되는 것은 아니며, 작가의 설정 또는 시스템(10)에 의하여 블록 1개당 2개 이상의 이미지가 삽입되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it is not standardized to insert one image per block,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wo or more images per block by the author's setting or the system 10.

한편, 도 4는 목차의 중제목 및 소제목의 연결 관계를 이미지로 나타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소제목에 관한 이미지를 본문에 삽입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title and the small title of the table of contents,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mage of the subtitle of Figure 4 is inserted into the text .

상기 목차 입력모듈(100)은 작가로부터 상기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적어도 하나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목차에서‘1장’에는 그 하위분류인 5개의 소주제가 포함되고, ‘2장’ 및 ‘3장’ 각각에는 그 하위분류인 3개의 소주제가 포함되고, ‘4’장에는 그 하위분류인 2개의 소주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대주제에는 소주제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sub-category that is a sub-category of the main topic from the author. For example, in the table of contents shown in FIG. 2,'Section 1'includes five sub-categories of its sub-categories, and'Chapter 2'and'Chapter 3'each include three sub-categories of its sub-categories, ' Chapter 4'may include two sub-categories that are sub-categories, and as such,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ub-category is included in the main topic.

상기 도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내에 상기 대주제와 이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텍스트로 표시한 소주제 목차 페이지(40)를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book may include a subtopics table of contents page 40 in which the main topic and subcategories subcategories thereof are displayed as text in pages containing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main topic.

즉, 상기 도서는 한 장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를 구성하여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에 하나의 대주제와 상기 대주제의 하측에 상기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소주제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book may constitute the subtopics table of contents page 40 composed of one page so that one main topic and the subtopics subcategory of the main topic are placed on the subtopics table of contents page 40. have.

이와 같은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에 대주제를 지칭하거나 연상시키는 이미지는 물론 이의 하위분류인 각각의 소주제를 지칭하거나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소주제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상기 소주제 별로 추출한 소주제 키워드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소주제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is a word constituting the sub-topic in order to insert the image referring to or reminiscent of the main topic, as well as each sub-category sub-category or image reminiscent of the sub-topics table of contents page 40. And a sub-theme image reminiscent of or referring to the sub-subject keyword extracted from each of the sub-subjects in the image database 220.

다시 말해,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의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210)은 상기 대주제뿐만 아니라 상기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소주제 각각의 키워드를 추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의 상기 이미지 추출모듈(230)은 상기 대주제의 키워드뿐만 아니라 상기 소주제의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keyword extraction module 210 of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extracts keywords of each of the sub-subjects that are sub-categories of the main subject as well as the main subject, thereby extracting the image of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The module 230 may extract, from the image database 220, an image reminiscent or referring to the meaning of the keyword of the sub-topic, as well as the keyword of the main topic.

이와 같이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합성 이미지 적용모듈(600)은 상기 대주제의 이미지와 상기 소주제의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의 일 측에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table of contents page 40 of the subdivision is provided, the composite image application module 600 generates a composite image of the image of the main topic and the image of the subdivision and creates a composite image of the subdivision table of contents page 40 The composite image is displayed on the side.

예컨대, 상기 합성 이미지 적용모듈(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에서 상기 대주제 및 상기 소주제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합성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상기 합성 이미지는 상기 대주제 및 사이 소주제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상기 대주제의 하부에 상기 소주제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주제의 상부 또는 상기 소주제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omposite image application module 600 may display the composite image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main subject and the subjugation in the subtopics table of contents page 40. However, the composite image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main agent and the inter-subject agent, but alternatively, the sub-subject agent may be formed under the main agent or under the sub-agent.

이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는 상기 대주제의 키워드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일부와 상기 소주제의 키워드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형태 또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posite image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image representing the keyword of the main subject and a part of the image representing the keyword of the subjec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r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의 대주제가 ‘1장. 슈만의 아내 여성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클라라’인 경우, 상기 소주제는 ‘1) 1850년 낭만주의 문화의 꽃을 피우고있던 독일’, ‘2) 5명의 자녀들과 함께 이사온 뒤셀도르프’ 등의 5개의 소주제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대주제의 키워드를 나타내는 이미지와 상기 5개의 소주제 각각의 키워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이 서로 일부 중첩되거나 근접하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한 장의 이미지로 합성되어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에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main theme of the table of contents page 40 of the sub-category is'Chapter 1. In the case of Schumann's wife female pianist and composer Clara, the soju system consists of five sub-categories: '1) Germany, which bloomed the romantic culture of 1850', and '2) Düsseldorf, who moved in with five children. In this case, the images representing the keywords of the main subject and the images representing the keywords of each of the five sub-topics are synthesized into a single image in a manner in which they are partially overlapped or closely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table of contents page 40 of the sub-topics. Can.

상기와 같이 합성된 합성 이미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이지, 즉, 상기 대주제가 ‘1장’인 경우 상기 ‘1장’의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는 페이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이지의 일 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독자가 상기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 설명을 숙지하는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를 확인하며 상기 합성 이미지와 상기 대주제를 매칭시키며 숙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합성 이미지를 암기하는 것만으로 상기 합성 이미지가 나타내는 대주제 및 이의 하위분류인 소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ynthesized image synthesized as described above is at least one page among pages containing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major topic, as illustrated in FIG. 5, that is, when the major topic is'one piece', the major topic of the'one piece' It may be insert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ages describing the content related to, and accordingly, when the reader is familia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main topic, checks the composite image and displays the composite image and the main topic. It becomes possible to match and understand,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contents related to the main subject represented by the composite image and sub-subjects thereof, by simply memorizing the composite image.

나아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700)은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이지 일 측에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독자가 상기 이미지를 암기함으로써 소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보다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the sub-subject image application module 700 may display the sub-subject image on one side of at least one page among pages containing content related to the main subject, thereby allowing the reader to memorize the image. You can make it easier to memorize the content related to the soju.

도 6은 목차의 제목 및 소제목의 연결 관계를 이미지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소제목에 관한 이미지를 본문에 삽입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6의 소제목에 관한 이미지를 본문에 삽입한 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mage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title and a sub-title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mage of the sub-title of FIG. 6 is inserted into the text; FIG.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image relating to the subtitle of FIG. 6 is inserted into the text.

상기 목차 입력모듈(100)이 작가로부터 특정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적어도 하나 입력받는 경우, 상기 도서는 상기 특정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내에 상기 대주제와 이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receives at least one sub-category that is a sub-category of a specific main topic from the author, the book is a text of the main topic and its sub-category sub-topic within pages containing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fic main topic. Can be displayed.

이 때, 상기 도서는 상기 소주제가 상기 대주제를 기준으로 계통선(61)(achematic line)에 의해 연결 표시된 계통도(schematic diagram)를 포함하는 소주제 계통목차 페이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통도는 사물 간의 계통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주제에 복수의 소주제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소주제가 상기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ok may include a subtopics system table of contents page including a schematic diagram in which the subtopics are connected by an achematic line based on the main topic. Here, the phylogenetic diagram shows a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b-themes to the main subject, it may indicate that the plurality of sub-subjects are sub-classifications of the main subject.

다시 말해,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대주제에 이의 하위분류인 적어도 하나의 소주제가 상기 계통선(61)을 통해 서로 연결된 계통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소주제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소주제들 각각이 상기 계통선(61)을 통해 상기 대주제에 연결된 계통도를 형성함으로써 독자가 상기 계통선(61)을 통해 연결된 상기 소주제들이 상기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것을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ystem table of contents page 60 includes a system diagram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sub-subject which is a sub-category thereof to one major subject, as shown in FIG. 6, in this embodiment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sub-agents are formed, each of the sub-subjects forms a tree diagram connected to the main subject through the branch line 61, so that the readers are sub-classes of the sub-subjects connected by the reader through the branch line 61 You can make it easier to recognize.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소주제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상기 소주제 별로 추출한 소주제 키워드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소주제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extracts from the image database 220 a subtopical image reminiscent of or refers to a subtopical keyword in which any one of the words and phrases constituting the subtopical is extracted for each subtopical. do.

다시 말해,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의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210)은 상기 대주제뿐만 아니라 상기 대주제의 하위 분류인 소주제 각각의 키워드를 추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200)의 상기 이미지 추출모듈(230)은 상기 대주제의 키워드뿐만 아니라 상기 소주제의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한다.In other words, the keyword extraction module 210 of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extracts keywords of each of the sub-subjects, which are sub-categories of the main subject, as well as the main subject, thereby extracting the image of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200 The module 230 extracts from the image database 220 an image reminiscent or referring to the meaning of the keyword of the minor subject as well as the keyword of the major subject.

나아가 이 경우, 본 발명의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800)은 상기 계통도 내에서 상기 대주제의 일 측에 상기 대주제에 관련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소주제의 일 측에 상기 소주제에 관련된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표시한다.Furthermore, in this case, the system image applying modul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image related to the large subject on one side of the main subject in the system diagram, and displays the image of the sub-percent related to the sub-agent on one side of the main subject. do.

즉,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는 대주제 및 소주제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구비할 뿐 만 아니라, 상기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800)에서 상기 대주제 및 상기 소주제 각각의 텍스트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대주제 및 상기 소주제 각각에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함에 따라, 상기 대주제 및 상기 소주제 각각에 관련된 이미지도 구비하게 된다.That is, the system table of contents page 60 not only includes texts representing major subjects and minor subjects, but also each of the major subjects and the minor subjects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texts of the major subjects and the minor subjects in the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800 By displaying the image related to, the image related to each of the major subject and the minor subject is also provided.

이를 통해 독자는 상기 계통도를 통해 대주제와 이의 하위 분류인 소주제를 보다 쉽게 숙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나아가 상기 계통도에 대주제 및 소주제 각각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상기 이미지 각각이 표시하는 상기 대주제 및 상기 소주제를 암기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reader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main subject and sub-category sub-subjects through the system diagram, and at the same time, each image is displayed more easily through the image by inserting images representing the main subject and sub-subjects into the system diagram. It is possible to memorize the large main agent and the small main agent.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700)은 본 실시예에서도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이지 일 측에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표시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sub-topic image applying module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plays the sub-topic image on one side of at least one page among page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main topic in this embodiment. .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700)은 대주제의 특정 소주제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 본문에 동일한 복수개의 상기 소주제 이미지(70)를 삽입함으로써, 독자가 상기 본문을 읽는 경우 반복적으로 상기 소주제 이미지(70)를 인지하도록 하여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상기 소주제 이미지(70)를 인지하는 경우 상기 소주제 이미지(70)에 관련된 소주제를 숙지하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7, the sub-topic image applying module 700 inserts the same plurality of sub-subject images 70 into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containing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sub-topical subject, thereby allowing the reader to read the main body. In the case of reading,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recognize the subjugation image 70 so that when the subjugation image 70 i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cognized, the subjugation related to the subjugation image 70 can be understood.

예를 들어, 소주제가 ‘1) 1850년 낭만주의 문화의 꽃을 피우고 있었던 독일’인 경우, 상기 소주제는 ‘꽃’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도시되고 있는데(도 6 참조), 상기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7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꽃’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상기 ‘1) 1850년 낭만주의 문화의 꽃을 피우고 있었던 독일’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 본문에 넣을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oju system is '1) Germany where flowers of romantic culture bloomed in 1850', the soju system is shown as an image representing'flower' (see FIG. 6), and the soju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700 As shown in Fig. 7, the image representing the'flower' can be put into the text containing the contents of the '1) Germany where flowers of romantic culture bloomed in 1850'.

다른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소주제가 ‘2) 5명의 자녀들과 함께 이사온 뒤셀도르프’인 경우, 상기 소주제는 5개의 ‘사과’를 나타내는 이미지(80)로 도시되고 있는데(도 6 참조), 이 경우 상기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700)은 상기 ‘사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2) 5명의 자녀들과 함께 이사온 뒤셀도르프’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 본문에 넣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8, when the soju agent is '2) Düsseldorf moved along with five children, the soju agent is illustrated as an image 80 representing five'apples' (see FIG. 6 ). In this case, the subjugation image application module 700 may put the image representing the'apple' in the text containing '2) Düsseldorf moved in with five children'.

한편, 상기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100)은 작가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소주제를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가령, 작가는 도 4의 소분류 ‘1)’을 ‘2)’보다 우선순위를 우위에 둘 수 있으며, 이 경우 ‘꽃’을 나타내는 그림은 ‘사과’를 나타내는 그림 보다 도서의 도서표지, 목차 페이지 등에 크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xt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may receive a priority from a writer for a plurality of the subject matter. For example, the artist may give priority to the sub-category '1)' of FIG. 4 over '2)'. In this case, the picture representing'flower' is the book cover and table of contents page of the book rather than the picture representing'apple'. It can be largely formed on the back.

다시 말해, 상기 작가로부터 상기 소주제의 우선순위를 입력받는 경우, 도서표지,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 및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를 포함한 도서의 목차 페이지 등에 우선순위가 우위에 있는 소주제를 더욱 크게 나타냄으로써 독자가 도서를 정독하며 이를 확인하여 더욱 중요한 소주제를 우선적으로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자가 참고서와 같은 서적을 공부하는 경우, 참고서의 목차 페이지에서 각각의 소주제에 대한 이미지의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중요한 특정 소주제에 관한 본문 내용을 유심히 살펴볼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priority of the sub-topic is inputted from the author, the sub-topics with priority in the book cover, the table of contents page of the book including the sub-topic page 40 and the systematic table of contents page 60 are further added. By making it larger, readers can read the book and check it to make them understand the more important subtopics. For example, when a reader is studying a book such as a reference book, the size of the image for each subtopic can be checked on the table of contents page of the reference book, so that the contents of the text on a specific subtopics that are relatively important can be carefully examined.

한편, 이와 같이 작가로부터 소주제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공받은 후, 상기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각각의 소주제와 연관된 이미지의 크기를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소주제의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소주제 이미지의 사이즈를 서로 다르게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상기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800)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사이즈 가변부를 포함한다.Meanwhile, in order to change the size of the image associated with each sub-topic based on the priority after receiving the priority for the sub-subject from the author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each sub-subject imag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sub-subject. Since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800 includes a size variable unit that performs this function.

즉, 상기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800)의 사이즈 가변부는 상기 소주제의 우선순위에 따라 소주제 이미지의 사이즈를 차등적으로 가변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소주제의 우선순위가 우위에 있는 순으로 소주제 이미지의 사이즈를 차등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variable sized portion of the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800 varies the size of the sub-subject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of the sub-subject, and adjusts the size of the sub-subject image in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sub-subject. Differential can be formed large.

이 경우, 상기 사이즈 가변부는 각각의 소주제 이미지의 사이즈를 일률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커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무작위 비율로 커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ize variable unit may make the size of each sub-theme image uniformly increase at the same rate, or alternatively, may be adjusted to increase at a random rate.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우위에 있는 경우, 상기 사이즈 가변부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를 임의로 또는 기 설정된 크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특정상수(예를 들어 1/2)를 곱한 크기로 결정하며, 상기 제3 이미지의 크기는 상기 제2 이미지에 동일한 특정상수(1/2)를 곱한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사이즈 가변부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를 먼저 결정한 후, 그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즉 상기 제1 이미지에 랜덤상수(1 미만)를 곱하여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이미지에 랜덤상수(1 미만)를 곱하여 상기 제3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riority is in the order of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the size variable unit determines the size of the first imag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t random or as a predetermined size. ,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first image by a specific constant (eg 1/2), and the size of the third image is the same as a specific constant (1/2) of the second imag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size multiplied by. Alternatively, the size variable unit first determines the size of the first imag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nd then multiplies the first image by a random constant (less than 1) in the order of the highest priority, that is, the second image. The size of the third image may be determined, and the second image may be multiplied by a random constant (less than 1)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third image.

한편, 상기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100)은 목차 페이지에서 작가로부터 소주제의 우선순위의 고저에 따른 각각의 소주제에 대한 작가멘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가멘트는 문장 형식의 소주제를 상대적으로 짧은 단어 또는 어구로 함축하는 멘트가 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언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주제가 ‘낭만주의 문화의 꽃을 피우고있던 독일’이고 소주제의 키워드가 ‘꽃’인 경우, 이 의미를 해석하자면 꽃이 부흥이나 발전과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바, 다시 말해 해당 소주제의 실질적 의미는 꽃을 피우는 상황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낭만주의라는 특정 시대의 발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가는 이 소주제를 하나의 단어로 상징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이를 작가멘트라 하며 상기 예에서는 ‘발전’으로 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xt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100 may receive a writer's comment for each sub-subjec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iority of the sub-subject from the author on the table of contents page. Here, the writer's comment may be a comment implying a sentence-type subtope in a relatively short word or phr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language the writer wants to convey to the reader. For example, if the soju system is'Germany that blooms the flowers of romantic culture' and the keyword of the soju system is'flowers', to interpret this meaning, the flower implies meanings such as revival or development. It can be seen that the actual meaning of soju-je is not the importance of the flowering situation itself, but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era of romanticism. Therefore, the writer can symbolize this subdivision in a single word, which is called the writer's comment, and in the above example, it can be expressed as'development'.

이와 같은 작가 코멘트는 앞서 설명한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40) 및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 모두에서 소주제에 더불어 상기 소주제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도 6를 다시 참조하여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에 상기 작가 코멘트가 형성되는 것만을 설명한다. Such author comments may be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b-topic in addition to the sub-topic in both the sub-top table of contents page 40 and the line-up table of contents page 60 described below. Only the comment of the author is formed in (60).

다시 말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는 계통도로 이루어지며 소주제들이 계통선을 통해 대주제와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에 표시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소주제 이미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작가 코멘트를 삽입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table of contents page 60 is composed of a system diagram and is displayed on the system table of contents page 60 in a state in which sub-topic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topic through the system line. The author's comment can be inserted in the adjacent part.

즉, 상기 계통 목차 페이지(60)에서 상기 소주제가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영역(91, 도 9 참조)과, 상기 제1 영역 주변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작가멘트를 표시하는 제2 영역(92, 도 9 참조)으로 구분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ystem table of contents page 60, the area in which the sub-theme is displayed is the first area (91, see FIG. 9) displaying the sub-subject image, and is located around the first area to display the author.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region 92 (see FIG. 9).

이 경우, 상기 제2 영역(92)은 도면 상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계통선의 대향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계통선이 대주제 및 복수의 소주제를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소주제가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상기 작가 코멘트가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계통선과 동일한 일 측에 형성된다면 독자가 상기 대주제와 상기 소주제의 계통 관계를 파악하는데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 92 is not shown on the drawing, but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ystem line based on the subjugation image. This is because the lineage indicates that a plurality of sub-subjects are sub-categories by connecting the main subject and a plurality of sub-subjects, so if the author's comment is formed on the same side as the line based on the sub-subject image, the reader will This is because it can be confusing to grasp the systematic relationship of the above-mentioned soju.

나아가, 보다 정확한 상기 제1 및 제2 영역(92)들의 구분을 위해,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 영역(92)은 상기 제1 영역(91)보다 차지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더 나아가 상기 제2 영역(92)은 상기 제1 영역(91)을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X축 및 Y축으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91)의 1사분면에 형성됨으로써 독자가 상기 작가코멘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눈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istinguish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92,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second region 92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region 91, in this case Furthermore, the second region 92 is formed in one quadrant of the first region 91 when the first region 91 is separated into a virtual X-axis and a Y-axis based on the center. You can make your comments more visible.

한편, 본 발명의 연관도 파악모듈(900)은 소주제와 상기 소주제에 대한 작가멘트의 단어 간의 연관도를 수치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관도 파악모듈(900)은 상기 소주제에서 핵심단어로 추정되는 단어(소주제 키워드)와 상기 작가멘트에서 핵심단어로 추정되는 단어의 연관도를 수치로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가멘트는 한 개의 명사 또는 두 개의 명사가 조합된 복합명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연관도 파악모듈(900)은 상기 작가멘트에서 첫 번째 명사를 핵심단어로 추출할 수 있으며, 텍스트로 이루어진 상기 소주제에서도 마찬가지로 첫 번째 명사를 핵심단어로 추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ssociation degree grasping module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asp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a subdivision topic and a word of the author about the subdivision. That is, the association degree determining module 900 may grasp the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word estimated as the key word in the subdivision topic (the keyword of the subdivision topic) and the word estimated as the key word in the author's comment. In this case, since the author's comment is preferably formed of a single noun or a compound noun combined with two nouns, the association identification module 900 may extract the first noun from the author's word as a key word. Also, in the above-described sub-topical text, the first noun can be extracted as a key word.

상기 연관도 파악모듈(900)은 이와 같이 상기 소주제 및 상기 작가멘트 각각에서 핵심단어를 추출한 후, 각각의 핵심단어마다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카테고리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association degree determining module 900 may extract a key word from each of the sub-themes and the authors, and then classify a category for each key word and calculate the association degree of each classified category.

가령, 소주제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소주제 키워드와 상기 작가멘트의 연관도를 가장 높은 연관도를 10점으로, 즉 관련성에 따라 연관도를 0.1점 내지 0.9점으로 판단할 때, 소주제 키워드에 대해 복수의 연관단어를 포함하는 카테고리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주제 키워드가 ‘꽃’인 경우, 제1 카테고리는 ‘해바라기’, ‘장미’, ‘진달래’와 같은 꽃의 종류를 포함하고, 제2 카테고리는 꽃의 상징적인 의미인 ‘행복’, ‘발전’, ‘희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로 제3...n차 카테고리까지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카테고리는 연관도 수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예에서 제1 카테고리는 연관도 0.9점, 제2 카테고리는 연관도 0.8점과 같이 연관도 수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원리로 연관도 수치는 카테고리 개수에 따라 0.1점에서 0.9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각 카테고리를 0.1점씩으로 구분한 경우 각각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단어가 0.1점 ~ 0.9점으로 연산되도록, 카테고리가 총 9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연관도 파악모듈은 2개의 단어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단어가 속한 복수개의 카테고리에 다른 하나의 단어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파악하고 포함된 카테고리에 설정된 연관도 수치를 파악하는 것으로써 두 단어의 연관도를 수치로써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ub-topic keyword and the author is based on the sub-topic keyword, the highest correlation is 10 points, that is, when the correlation is determined to be 0.1 to 0.9 according to relevance, a plurality of sub-topic keywords Categories including related words may be set. For example, when the subjugation keyword is'flower', the first category includes types of flowers such as'sunflower','rose', and'Rhododendron', and the second category is'happy', a symbolic meaning of flowers ','development','hope', and the like. With this logic,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third to nth categories. At this time, each category may include an association value, and in the above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the association value as 0.9 in the first category and 0.8 in the second category. With this principle, it is possible to set the association value from 0.1 to 0.9 depending on the number of categories. For example, if each category is divided into 0.1 points, the words included in each category are calculated from 0.1 to 0.9 points. , It may be desirable to form a total of nine categories. That is, the association degree determining module determines whether two words are included in a plurality of categories to which one word belongs based on two words, and the number of associations set in the included categorie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association as a numerical value.

본 실시예에서는 단어 연관도를 기반으로 카테고리 연관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this embodiment, a method for measuring category association based on word associ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made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도 9는 제1,2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the dist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이상과 같이, 상기 연관도 파악모듈(900)에서 상기 소주제 키워드 및 상기 작가멘트 간의 연관도를 파악하면, 상기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800)의 영역 제어부(810)는 상기 연관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차등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800)의 영역 중첩부(820)는 상기 제1,2 영역의 거리 제어에 따라 상기 제1,2 영역 간의 중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2 영역이 서로 중첩되면 중첩 영역의 폐곡선(95)을 삭제 처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ssociation degree grasping module 900 grasps the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subject topic keyword and the author, the region control unit 810 of the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800 determines the associ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ssociation degre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may be differentially controlled, and the region overlapping unit 820 of the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800 may control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overlapping is performed between the regions 1 and 2,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verlap with each other, the closed curve 95 of the overlapping region may be dele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영역 제어부(810)는 상기 제1,2 영역(91, 92)을 상기 소주제 이미지 및 작가멘트 각각이 포함될 수 있는 면적의 가상의 동심원으로 처리한다. 이 경우,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 영역(91)의 중심 및 제2 영역(92)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the region control unit 810 processes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91 and 92 as virtual concentric circles of an area in which each of the sub-topical images and the artist's comments can be included. In this case,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91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92 may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수학식 1.

Figure pat00001
Equation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
Figure pat00003
은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까지 기본으로 설정된 거리, r은 제1 영역의 반지름, c는 상기 소주제 키워드 및 상기 작가멘트 간의 연관도, 단, 0<c<1,
Figure pat00004
는 거리 보정치일 수 있다.here,
Figure pat0000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Figure pat00003
Is a distance set as a default to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r is the radius of the first region, c i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topic keyword and the author, provided that 0<c<1,
Figure pat00004
May be a distance correction value.

가령,

Figure pat00005
은 1이고
Figure pat00006
는 1이고 C는 0.9로 동일한 조건이 주어진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r값을 대입할 때, r이 4이면
Figure pat00007
는 2.15이고, r이 6이면
Figure pat00008
는 2.73이다. chamberlain,
Figure pat00005
Is 1
Figure pat00006
Is 1 and C is 0.9, when the same condition is given, when substituting r into Equation 1, if r is 4
Figure pat00007
Is 2.15, and if r is 6
Figure pat00008
Is 2.73.

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91)의 반지름이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상기 제1,2 영역(91, 92)의 중심 간의 거리는 멀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s the radius of the first region 91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91 and 92 increases.

상기 제1 영역(91)의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제1,2 영역(91, 92)의 중심 간의 거리가 가까우면 상기 제1 영역(91)에 시각적으로 집중됨으로써 상기 제2 영역(92)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제1 영역(91)의 반지름의 사이즈와 상기 제1,2 영역의 중심 간의 거리가 비례하게 함으로써 독자의 시각적 가시성의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radius of the first region 91 is relatively lar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91 and 92 is close, the second region 92 is visually focused on the first region 91. It may be difficult to check,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radius of the first region 9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e proportional to ensure comfort of the visual visibility of the reader.

한편, 앞서 설명한 소주제 및 작가멘트의 단어 간의 연관도가 클수록 제1,2 영역(91, 92)의 중심은 가깝게 처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eater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words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writer's comment described above, the closer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91 and 92 can be processed.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연관도를 높은 순서부터 차례로 0.9, 0.8, *?**?*, 0.1이라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연관도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면, 예를 들어, r은 3이고

Figure pat00009
는 1이고
Figure pat00010
는 1로 동일한 조건이 주어진 경우, 연관도가 0.9 인 경우
Figure pat00011
는 1.72이며, 연관도가 0.8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12
가 1.9이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orrelations are 0.9, 0.8, *?**?*, and 0.1 in order from the highest order. Substituting this correlation into Equation 1, for example, r is 3
Figure pat00009
Is 1
Figure pat00010
Is 1, given the same condition, the correlation is 0.9
Figure pat00011
Is 1.72, and if the association is 0.8
Figure pat00012
Is 1.9.

즉, 연관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연관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독자에게 소주제 및 작가멘트의 연관성을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association,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when the degree of association is high. By making it closer, you can accurately tell the read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author's comment.

한편, 더 나아가, 연관도가 0.2 인 경우

Figure pat00013
는 3.9이며, 연관도가 0.1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14
가 4.9이다. 이 때,
Figure pat00015
값들의 차이는 앞의 실시예에서 연관도 0.9인 경우의
Figure pat00016
값과 연관도 0.8인 경우의
Figure pat00017
값의 차이 보다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
Figure pat00018
값을 log함수를 통해 구하기 때문이며,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연관도가 0.9, 0.8, 0.7인 경우)에는 연관도에 따라 소주제 및 작가멘트의 거리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나,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예를 들어 연관도 0.3 이하)에서는 소주제 및 작가멘트 사이의 거리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보다 단순히 소주제 및 작가멘트 사이의 거리를 멀리하는 것이 의미 있으므로 특정 연관도 이하에서는 상기 영역 제어부(810)가 상기 수학식 1의
Figure pat00019
값을 따르지 않고 상기 1,2 영역 사이를 임의의 거리로 이격시키도록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urther, when the association is 0.2
Figure pat00013
Is 3.9, and if the association is 0.1
Figure pat00014
Is 4.9. At this time,
Figure pat00015
The difference in values is when the correlation is 0.9 in the previous embodiment.
Figure pat00016
When the value and the association are 0.8
Figure pat00017
You can see that it is much larger than the difference in values. This is in this embodiment
Figure pat00018
This is because the value is obtained through the log function, and when the association is relatively large (in the case of correlations of 0.9, 0.8, and 0.7), it is meaningful to differentially control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author depending on the association. In the case where the association degree is relatively small (for example, the association degree is 0.3 or less), it is meaningful to simply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author rather than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author. In the area control unit 810 of the equation (1)
Figure pat00019
It can be processed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n arbitrary distance between the areas 1 and 2 without following a value.

도 10은 제1,2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calculating the dist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영역 제어부(810)는 상기 제1 영역(91)의 중심을 가상의 x-y 좌표면의 직교축의 교점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92)을 상기 x-y 좌표면의 제1사분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영역(91)의 둘레 외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하여 상기 제1,2 영역(91, 92)의 중심이 이루는 각을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region control unit 810 sets the second region 92 to the xy coordinate plane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91 is set as an intersection point of a virtual xy coordinate plane. It may be displayed outside the perimeter of the first region 91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adrant. In this case, the angle formed by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91 and 92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

Figure pat00020
Equation 2.
Figure pat00020

여기서,

Figure pat00021
는 상기 제1,2 영역의 중심을 연결한 선이 x축과 이루는 각(degree),
Figure pat00022
은 제1,2 영역의 중심이 이루는 기준 각(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
Figure pat00023
는 보정치로서 10<
Figure pat00024
<20(바람직하게는 15), d는 x-y 좌표면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의 최고점과 인접한 상부 측의 제1 영역의 최저점 간 y축 거리,
Figure pat00025
는 기준 y축 거리, r은 제1 영역의 반지름일 수 있다.here,
Figure pat00021
Is the angle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orms with the x-axis,
Figure pat00022
Is the reference angle (40 to 50°, preferably 45°) formed by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igure pat00023
Is 10 <
Figure pat00024
<20 (preferably 15), d is the y-axis distanc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first area and the lowest point of the first area adjacent to the xy coordinate plane,
Figure pat00025
Is a reference y-axis distance, r may be a radius of the first region.

tanh에 의해 제1,2 영역의 y축 거리보다 기준 y축 거리가 작으면 0과 1 사이의 양수값으로 처리하고 제1,2 영역의 y축 거리보다 기준 y축 거리가 크면 -1과 0 사이의 음수값으로 처리함과 동시에 거리 차가 클수록 1 또는 -1에 수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If the reference y-axis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y-axis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by tanh, it is treated as a positive value between 0 and 1, and if the reference y-axis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y-axis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1 and 0 At the same time, it can be processed to converge to 1 or -1 as the distance difference is larger while processing as a negative value between.

즉, 상기 제1 영역의 반지름을 분모로 처리하여 tanh 값이 -1 또는 1에 쉽게 수렴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10과 20 사이의 보정치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1사분면을 벗어나지 않는(예를 들어 30도 이상의 각) 최종적인 각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adius of the first region may be treated as a denominator so that the tanh value is not easily converged to -1 or 1, and as a result, a correction value between 10 and 20 does not deviate from the first quadrant (for example, 30 degrees). The above angle) will be able to calculate the final angl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in which an image is applied to a book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Not limited to,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목차 입력모듈 200 :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
210 : 키워드 추출모듈 220 :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230 : 이미지 추출모듈 300 : 도서표지 적용모듈
400 : 목차 분류모듈 500 : 목차 적용모듈
600 : 합성 이미지 적용모듈 700 :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
800 :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 900 : 연관도 파악모듈
100: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200: Image processing interface
210: keyword extraction module 220: image database
230: image extraction module 300: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400: Table of contents classification module 500: Table of contents application module
600: composite image application module 700: sub-theme image application module
800: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900: Association degree identification module

Claims (12)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으로서,
작가로부터 대주제를 포함한 목차를 입력받는 목차 입력모듈;
상기 목차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상기 대주제 별로 추출하여 키워드로 설정하는 키워드 추출모듈과, 상기 키워드를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수록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모듈을 포함한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
상기 목차는 제외한 상태로 상기 대주제별로 추출된 상기 이미지를 배열하여 도서표지에 표시하는 도서표지 적용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As a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that applies an image to a book cover,
A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that receives a table of contents including a major topic from an author;
A keyword extraction module that extracts any one of the words and phrases constituting the table of contents for each of the major topics and sets them as keywords, an image database containing images for expressing the keywords, and reminiscent or referring to the meaning of the keywords An image processing interface including an image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images from the image database;
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for arranging the images extracted for each major subject in a state other than the table of contents and displaying them on the book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표지는,
상기 도서의 전면표지, 후면표지, 띠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ook cover abo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cover, back cover, strip of the book, the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applying an image to the book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표지 적용모듈은,
각각의 상기 이미지의 일 측에 상기 목차의 순서에 따른 상기 대주제의 순번을 표시하는 순번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ook cover application module,
And a sequence numb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equence number of the major topic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able of contents on one side of each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목차를 대주제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목차 분류모듈;
상기 도서의 목차에서 상기 블록의 영역 내 또는 일 측에 상기 대주제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목차 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A table of contents classification module that classifies the table of contents into a plurality of blocks based on a main topic;
In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book, a table of contents application module for display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in topic in or on one side of the block; a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차 입력모듈은,
작가로부터 상기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적어도 하나 입력받고,
상기 도서는,
특정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내에 상기 대주제와 이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텍스트로 표시한 소주제 목차 페이지를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소주제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상기 소주제 별로 추출한 소주제 키워드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소주제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대주제의 이미지와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소주제 목차 페이지의 일 측에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합성 이미지 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At least one sub-category, the sub-category, is input from the author,
The book above,
In the pages containing the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major topic, there is a sub-topic table of contents page in which the major topic and its sub-categories sub-topics are displayed in text,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And extracting from the image database a sub-topical image reminiscent or referring to the sub-topical keyword that extracts any one of the words and phrases constituting the sub-topics for each sub-top topic,
The system,
And a composite image appl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image of the main subject and the image of the subtopic and displaying the composite image on one side of the page of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subtopic.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차 입력모듈은,
작가로부터 상기 대주제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적어도 하나 입력받고,
상기 도서는,
특정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내에 상기 대주제와 이의 하위분류인 소주제를 텍스트로 표시하되, 상기 소주제는 상기 대주제를 기준으로 계통선(schematic line)에 의해 연결 표시된 계통도(schematic diagram)를 포함한 소주제 계통목차 페이지를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소주제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상기 소주제 별로 추출한 소주제 키워드를 연상하거나 지칭하는 소주제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계통도 내에서, 상기 대주제의 일 측에 상기 대주제에 관련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소주제의 일 측에 상기 소주제에 관련된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At least one sub-category, the sub-category, is input from the author,
The book above,
The main subject and sub-categories sub-subjects are displayed as text in pages containing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main subject, and the sub-subject includes a schematic diagram connected by a schematic line based on the main subject. We have a table of contents page for subtopics,
The image processing interface,
And extracting from the image database a sub-topical image reminiscent or referring to the sub-topical keyword that extracts any one of the words and phrases constituting the sub-topics for each sub-top topic,
The system,
In the system diagram, a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for displaying the image related to the main subject on one side of the main subject,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sub subject related to the sub subject on one side of the main subject. A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that applies images to book covers.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대주제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페이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이지 일 측에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표시하는 소주제 이미지 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or 6,
The system,
And a sub-subject image application module that displays the sub-subject image on one side of at least one page among pages containing content related to the main subje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차 입력모듈은,
작가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소주제를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입력받고,
상기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은,
상기 소주제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소주제 이미지의 사이즈를 차등적으로 가변 처리하는 사이즈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Priority is input for a plurality of the above sub-themes from the author,
The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And a size variable unit for differentially processing the size of the sub-theme image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sub-theme, a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applying an image to a book cov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목차 입력모듈은,
상기 우선순위의 고저에 따른 각각의 상기 소주제에 대한 작가멘트를 입력받고,
상기 계통도에서 상기 소주제가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소주제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주변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작가멘트를 표시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table of contents input module,
Writer's comments for each of the sub-topics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priorities are input,
In the schematic diagram, the area where the soju agent is displayed is,
A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using an image on a book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displaying the subdivision image and a second area displaying the author's comment as being located around the first are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2개의 단어 간의 연관도를 수치로 파악하는 연관도 파악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계통 이미지 적용모듈은,
상기 연관도 파악모듈에 의한 상기 소주제 키워드 및 상기 작가멘트 간의 연관도 고저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차등 제어하는 영역 제어부와,
상기 제1,2 영역의 거리 제어에 따라 상기 제1,2 영역 간의 중첩 여부를 판단하여 중첩 영역의 폐곡선을 삭제 처리하는 영역 중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system,
Also includes a module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wo words as a numerical value,
The system image application module,
An area controller for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area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ub-topic keywords and the author by the association degree determining module;
And an area overlapp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areas according to the distanc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and deleting and processing the closed curve of the overlapping area. Learning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제어부는,
상기 제1,2 영역을 상기 소주제 이미지 및 작가멘트 각각이 포함될 수 있는 면적의 가상의 동심원으로 처리하되,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26

(여기서,
Figure pat00027
는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 사이의 거리,
Figure pat00028
은 상기 제1 영역의 중심 및 제2 영역의 중심까지 기본으로 설정된 거리, r은 제1 영역의 반지름, c는 상기 소주제 키워드 및 상기 작가멘트 간의 연관도. 단, 0<c<1,
Figure pat00029
는 거리 보정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gion control unit,
The first and second areas are processed as virtual concentric circles of an area that can contain each of the subject images and the artist's comments,
A table of contents subject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using an image on a book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is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Equation 1.
Figure pat00026

(here,
Figure pat00027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Figure pat00028
Is a distance set by default to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gion, r is the radius of the first region, c i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keyword and the author. However, 0<c<1,
Figure pat00029
Is the distance correction valu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중심을 가상의 x-y 좌표면의 직교축의 교점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x-y 좌표면의 제1사분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영역의 둘레 외측에 표시하되,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하여 상기 제1,2 영역의 중심이 이루는 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는 상기 제1,2 영역의 중심을 연결한 선이 x축과 이루는 각(degree),
Figure pat00032
은 제1,2 영역의 중심이 이루는 기준 각(40 내지 50°),
Figure pat00033
는 보정치로서 10<
Figure pat00034
<20, d는 x-y 좌표면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의 최고점과 인접한 상부 측의 제1 영역의 최저점 간 y축 거리,
Figure pat00035
는 기준 y축 거리, r은 제1 영역의 반지름)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gion control unit,
In the state where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is set a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orthogonal axis of the virtual xy coordinate plane, the second region is displayed outside the perimeter of the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adrant of the xy coordinate plane,
A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using an image on a book cover, characterized in that an angle formed by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Equation 2.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Is the angle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orms with the x-axis,
Figure pat00032
Is a reference angle (40 to 50°) formed by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igure pat00033
Is 10 <
Figure pat00034
<20, d is the y-axis distanc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first area and the lowest point of the first area adjacent to the xy coordinate plane,
Figure pat00035
Is the reference y-axis distance, r is the radius of the first region)
KR1020190002315A 2019-01-08 2019-01-08 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KR102170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15A KR102170573B1 (en) 2019-01-08 2019-01-08 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15A KR102170573B1 (en) 2019-01-08 2019-01-08 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12A true KR20200086112A (en) 2020-07-16
KR102170573B1 KR102170573B1 (en) 2020-10-27

Family

ID=7183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15A KR102170573B1 (en) 2019-01-08 2019-01-08 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5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02A (en) * 2021-08-23 2023-03-03 옥성수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Using Keyword Image Interpre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206A (en) * 2012-05-02 2013-11-12 옥성수 System for editing image index for memorizing index of books
KR20150096549A (en) * 2014-02-14 2015-08-25 (주)문피아 Book Cover Making System
KR20160050805A (en) * 2014-10-31 2016-05-11 양도현 Diy story teaching tool set
KR20180061876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클콩 An E-book Production System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llustration And Tex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206A (en) * 2012-05-02 2013-11-12 옥성수 System for editing image index for memorizing index of books
KR101423254B1 (en) * 2012-05-02 2014-07-24 옥성수 System for editing image index for memorizing index of books
KR20150096549A (en) * 2014-02-14 2015-08-25 (주)문피아 Book Cover Making System
KR20160050805A (en) * 2014-10-31 2016-05-11 양도현 Diy story teaching tool set
KR20180061876A (en)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클콩 An E-book Production System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llustration And Tex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02A (en) * 2021-08-23 2023-03-03 옥성수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Using Keyword Image Interpre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573B1 (en)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ckartz et al. Analyzing qualitative data with MAXQDA
Edhlund et al. NVivo 12 essentials
Crawford et al. Doing corpus linguistics
US82096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e examination of documents
US7650641B2 (en) Lightweight privacy cover for displayed sensitive information
US927555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memorization of a document
CN108710695A (en) Mind map generation method based on e-book and electronic equipment
Melnyk et al. Widget classification with applications to web accessibility
KR101423254B1 (en) System for editing image index for memorizing index of books
Bagga et al. HATHI 1M: Introducing a million page historical prose dataset in English from the Hathi Trust
KR102170573B1 (en) System for memorizing and studying of index applying the image in book cover
Anjewierden et al. Automatic indexing of PDF documents with ontologies
Edhlund et al. NVivo for Mac essentials
Pokorny Automatic subject indexing and classification using text recognition and computer-based analysis of tables of contents
US20140115447A1 (en) Centering Mathematical Objects in Documents
JP7443667B2 (en) Search device, dictionary search program, dictionary search method
KR102542268B1 (en) Table of Contents Memorization Learning System Using Keyword Image Interpreting
Spencer SAS programming: the one-day course
Shimabukuro et al. H-Matrix: Hierarchical Matrix for visual analysis of cross-linguistic features in large learner corpora
US11907643B2 (en) Dynamic persona-based document navigation
US20040190774A1 (en) Method for classifying and accessing writing composition examples
Edhlund et al. NVivo 12 for Mac Essentials
Isea A stylometric analysis of two sentimental letters by Albert Einstein and Simón Bolívar
Kim The Future Past of Humanities Research: Musing Methodology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US202401119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on-Based Docume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