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107A -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 Google Patents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107A
KR20200086107A KR1020190002308A KR20190002308A KR20200086107A KR 20200086107 A KR20200086107 A KR 20200086107A KR 1020190002308 A KR1020190002308 A KR 1020190002308A KR 20190002308 A KR20190002308 A KR 20190002308A KR 20200086107 A KR20200086107 A KR 20200086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airborne bacteria
airborne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179B1 (ko
Inventor
변정훈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179B1/ko
Priority to EP20739163.2A priority patent/EP3910316A4/en
Priority to US17/421,415 priority patent/US20220221379A1/en
Priority to PCT/KR2020/000015 priority patent/WO2020145565A1/ko
Publication of KR2020008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imp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9/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0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for determining co-enzymes or co-factors, e.g. NAD, ATP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5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 G01N15/0612Optical scan of the depos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2001/222Other features
    • G01N2001/2223Other features aerosol sampl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5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 G01N2015/0261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using imp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6Chemiluminescence; Bioluminescence
    • G01N21/763Bioluminesce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크기 범위가 상이한 세균(박테리아 등) 및 진균(곰팡이 등)의 샘플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선택적 샘플링이 가능하고, 연산을 통해 먼지 질량 당 세균성과 진균성 입자의 상대적 비율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측정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MEASURING KIT FOR BIOAEROSOL AND PARTICULATE MATTER}
본 출원은 공중부유균 및 먼지 농도를 측정 하기 위한 측정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생물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부유균 측정법이 있으며, 부유균 측정법은 강제적으로 일정량의 공기를 흡입시켜 배지를 통과시키고 배지에 흡착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부유 미생물 균수와 상당히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배양 조건 또는 측정 위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문제점과 결과를 얻기 위한 시간이 매우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미생물 포집 기술 중 국내등록특허 제10-0549222호에서는, 노즐에 의하여 회전하는 포집판에 공기를 분사하게 함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입자들 속의 미생물을 관성 충돌에 의해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포집판에 미생물을 포집하여 이를 배양 장비로 옮겨야 하며, 포집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어 장비 부피가 커서 휴대 및 이동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 제10-00549222호(2006.01.26)
본 발명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크기 범위가 상이한 세균(박테리아 등) 및 진균(곰팡이 등)의 샘플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선택적 샘플링이 가능하고, 연산을 통해 먼지 질량 당 세균성과 진균성 입자의 상대적 비율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측정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 따르면,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왑(Swab); 내부 공간을 갖고, 스왑이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 및 제1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본체부; 본체부의 제1 유입구 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선택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 및 본체부의 제1 배출구 측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 및 스왑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 를 포함하는 샘플러;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ATP 측정기; 공기에 포함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측정기; 및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왑(Swab); 내부 공간을 갖고, 스왑이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 및 제1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본체부; 제1 유입구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로; 제1 유로 측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 분리기; 제2 유로 측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분리기; 제1 유입구 측에 마련되며, 제1 유로와 제1 유입구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제2 유로와 제1 유입구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마련된 밸브; 및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 및 스왑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 를 포함하는 샘플러;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ATP 측정기; 공기에 포함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측정기; 및 ATP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스왑(Swab); 내부 공간을 갖고, 제1 및 제2 스왑이 내부 공간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 및 제1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본체부; 제1 본체부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본체부의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 분리기; 제2 본체부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2 본체부의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분리기;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 및 스왑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 측으로 각각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 를 포함하는 샘플러; 제1 및 제2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ATP 측정기; 공기에 포함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측정기; 및 ATP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 내로 유입되는 공기 측으로 세포 용해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가습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샘플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각각 포집할 때, 분리기 및 스왑은 각각 교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기는,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는 제1 분리기 및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는 제2 분리기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분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은,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고,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은,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기는, 미세 먼지(PM 10) 및 초미세 먼지(PM 2.5)를 각각 측정하여, 단위 공기 부피 당 먼지 질량 농도 값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ATP 측정기는, 측정된 각각의 ATP 값을 단위 공기 부피당 RLU(Relative Luminescence Unit) 값으로 출력하는 ATP 모니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고, 제어부는 생성된 제3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값을 입력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 입력값은, 샘플링 공기 유량(Vol Flow Rate), 샘플링 시간(Time),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 각각의 장소별 측정 단위에 따른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각각의 장소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기준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값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창, 생성된 각각의 제3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3 데이터 출력창 및 각각의 제3 데이터를 도식화 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데이터는,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10]),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10-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10]),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10-PM2.5]),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m3[PM10]),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m3[PM2.5]),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 (CFU/m3[PM10-PM2.5]) 및 단위 공기 부피 당 2.5 μm 보다 크고 10 μm 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먼지의 질량 농도 값(μg/m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은, 사용자 입력값에 기초한 각 측정 장소에 대한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및/또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기준치를 표시하는 기준선이 각각 가로 직선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본 발명의 측정키트에 의하면 공기 중에 부유하는 크기 범위가 상이한 세균(박테리아 등) 및 진균(곰팡이 등)의 샘플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선택적 샘플링이 가능하고, 연산을 통해 먼지 질량 당 또는 단위 공기 부피 당 세균성과 진균성 입자의 상대적 비율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내에 포함된 진균 및 세균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다양한 포맷(Format)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부유균으로 인한 생물학적 위협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부유균 모니터링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장소별 미세먼지 및 부유균의 분석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출력정보의 선택, 조절 등의 기능 구현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가 장착된 측정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중 부유균 및 먼지 농도를 측정 할 수 있는 측정키트(10, 이하 '측정 키트' 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공중 부유균」, 「부유 미생물」, 「기상 부유균」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가 장착된 측정키트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나타낸 모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7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나타낸 모식도 이다.
이하, 도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키트(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부유균 및 먼지 농도 측정 키트(10)는, 공중 부유균을 포집하기 위한 샘플러(100, 100a, 100b), 포집된 공중 부유균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ATP 측정기(500),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 측정기(600) 및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측정키트(10)에 의하면 샘플러(10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 중에 부유하는 크기 범위가 상이한 세균(박테리아 등) 및 진균(곰팡이 등)의 샘플링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선택적 샘플링이 가능하고, ATP 측정기(500)와 먼지 측정기(600)를 통해 측정된 농도 값들을 제어부를 통해 연산하여 먼지 질량 당 또는 단위 공기 부피당 세균성과 진균성 입자의 상대적 비율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샘플러(100)는,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왑(110)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공간을 갖고, 스왑(110)이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121) 및 제1 배출구(122)가 각각 마련된 본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스왑은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는 포집부(111) 및 포집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포집부(111)를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3)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120)는, 제1 배출구(122)가 마련된 상부 홀더(1201) 및 제1 유입구(121)가 마련된 하부 홀더(120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홀더(1201)와 하부 홀더(1202)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홀더(1202)의 상단부 일부 영역이 상부 홀더(1201)의 하단부 측에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홀더(1202)의 상단부 일부 영역에는 실링 부재(1207), 일 예로, 오링(O-Ring)이 마련되어 있어 상부 홀더(1201)와 하부 홀더(1202) 사이가 보다 밀봉 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121)는, 하부 홀더(1202)의 하단부(1202b)의 대략 중앙 영역에 마련될 수 있고, 스왑의 포집부(111)가 제1 유입구(12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왑의 고정부(113)는, 상부 홀더(1201)의 일부 영역에 끼움 삽입되어 포집부(111)가 제1 유입부(12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122)는 상부 홀더(1201)의 측면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스왑의 고정부(113)는 제1 배출구(122)와 상부 홀더의 상단부(1201a)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홀더의 상단부(1201a)에는 상단부를 밀봉하도록 마련된 밀봉 부재(120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부재는 일 예로, 고정 나사(Set Screw)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홀더(1202)의 상단부(1202a)와 상부 홀더(1201)의 하단부(1201b)는 각각 개구 되어 하부 홀더(1202)와 상부 홀더(1201)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유입구(12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배출구(122)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는, 본체부(120)의 제1 유입구(121) 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선택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121)로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기(200)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기(200)는,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121)로 공급하는 제1 분리기 및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121)로 공급하는 제2 분리기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분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은 세균(Airborne Bacteria)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은 세균(Airborne Bacteria) 및 진균(Airborne Fungi)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중 부유균은 크게,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세균(Airborne Bacteria)과 2.5 μm 초과의 크기 범위를 갖는 진균(Airborne Fungi)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세균(Airborne Bacteria)은, 그람 음성균(Gram Negative Bacteria) 및 그람 양성균(Gram Positive Bacteri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람 음성균에는 대략 0.91μm 크기를 갖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그람 양성균에는 대략 0.78μm 크기를 갖는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진균(Airborne Fungi)은, 예를 들어, 곰팡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분리기(200)는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각각 포집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분리기(200a, 200b)가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리기(200)는,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10),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속을 증가 시키기 위한 노즐부(220) 및 노즐부(220)를 통과한 공기 내에 포함된 부유균이 충돌하는 충돌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210)는,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211)를 갖는다.
또한, 상기 노즐부(220)는 유입부(210)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221)을 갖는다.
상기 노즐부(220)는 유입부(210)로부터 관통홀(221)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게 마련됨으로써, 유입된 공기가 관통홀(221)을 통과할 때, 유속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21)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3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충돌부(230)는, 노즐부(220)와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노즐부(220)를 통해 유입된 공기 내에 포함된 부유균 일부가 충돌하도록 마련된 충돌 플레이트(2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돌 플레이트(231)는, 노즐부의 관통홀(221)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돌부(230)는, 본체부(120)의 제1 유입구(121) 측에 장착되는 장착부(233)를 갖고, 장착부(223) 측에는 노즐부(2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본체부(120)의 제1 유입구(121)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제2 배출구(2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충돌부(230)는, 충돌 플레이트(231) 측에서 장착부(233) 측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입구(1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어, 스왑에 부착되는 부유균의 양도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23)는, 본체부(120)의 하부 홀더(1202)의 하단부(1202b) 측의 일부 영역을 둘러 싸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23)가 결합되는 하부 홀더(1202)의 하단부 일부 영역에는 실링 부재(1207), 일 예로, 오링(O-Ring)이 마련되어 있어 분리기(200)와 본체부(120) 사이가 보다 밀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충돌 플레이트(231)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들이 작은 관성에 의해 제2 배출구(232)로 유동하도록 마련된 개구부(231a)를 갖는다.
상기 부유균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는, 노즐부의 관통홀(221)을 통해 가속되고 충돌 플레이트(231)에 의해 제트 유선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은 제트 유선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들만 상기 개구부(231a)를 통해 제2 배출구(232)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리기(200)는, 노즐부의 관통홀(221)의 직경(d1) 및 관통홀(221)과 충돌 플레이트(231)의 사이 간격(d2)을 조절 하여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각각 포집할 수 있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부의 관통홀(221)의 직경(d1) 및 관통홀(221)과 충돌 플레이트(231)의 사이 간격(d2)이 작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입자들이 개구부(231a) 및 제1 유입구(121)를 차례로 통과하여, 스왑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분리기의 노즐부의 관통홀(221)의 직경(d1) 및 관통홀(221)과 충돌 플레이트(231)의 사이 간격(d2)은, 각각 제2 분리기의 노즐부의 관통홀(221)의 직경(d1) 및 관통홀(221)과 충돌 플레이트(231)의 사이 간격(d2)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분리기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동일하지만, 노즐부(230)의 관통홀(221)의 직경(d1) 및 관통홀(221)과 충돌 플레이트(231)의 사이 간격(d2)을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포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분리기(200)는 관통홀(221)의 직경(d1)과 관통홀(221)과 충돌 플레이트(231)의 사이 간격(d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각각의 분리기(제1 및 제2 분리기)를 교체 장착하여,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포집할 때, 복수 개 마련된 스왑(110)을 교체 장착하여 각각의 크기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포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리기를 본체부(120)에 장착하여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예를 들어, 세균(Airborne Bacteria))을 스왑(이하, '제1 스왑'이라 지칭 함)에 포집한 후, 제1 스왑을 분리하여 후술하는 ATP 측정기(500)를 통해 RLU 값을 측정하고, 제2 분리기를 본체부(120)에 장착하여 공기 중 10 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예를 들어, 세균(Airborne Bacteria) 및 진균(Airborne Fungi))을 스왑(이하, '제2 스왑'이라 지칭 함)에 포집한 후, 제2 스왑을 분리하여 후술하는 ATP 측정기(500)를 통해 RLU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즉, ATP 측정기(500)는, 공기 중 세균, 세균 및 진균을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을 각각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샘플러(100)는,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본체부(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공중 부유균이 스왑 상에 부착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동 장치(300)는 본체부(120)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압력차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펌프나 팬 등을 이용하여, 본체부(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장치(300)는, 공기 유동 장치(300)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량 제어 장치(31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장치(300)와 유량 제어 장치(3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장치(300)는, 본체부의 제1 배출구(122) 측에 장착되어,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121) 및 스왑(110)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122)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 또는 강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유입구(121)를 통과하여 유입된 공중 부유균은, 스왑의 포집부(1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샘플러(100)는, 본체부(120) 내로 유입되는 공기 측으로 세포 용해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가습 유닛(4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유닛(400)은, 본체부(120) 내로 유입되는 공기 측으로 세포 용해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분사하는 가습 노즐부(410), 가습 노즐부(410)로 수용액을 공급하는 수용액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 유닛(400)은, 분리기(200)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3 유입구(421)를 갖는 가습 유로(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습 노즐부(410)로 수용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수용액 공급부는, 상기와 같이 따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가습 노즐부(410) 상에 수용액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용액 공급부와 가습 노즐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유닛(400)은, 가습 노즐부(4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통해 가습 노즐부(4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노즐부(410)는, 가습 유로(42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습 유로(420)의 측면에 장착되어, 가습 유로(420)로와 연결된 분리기(200) 측으로 세포 용해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 노즐부(410)는 가습 유로(420)에 장착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체부 내로 공급되는 공기 측으로(분리기 내로 공급되는 공기 측으로) 세포 용해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가습 노즐부(410)는, 습한 공기와 더불어 세포 용해제 수용액을 무화(霧化) 시켜 분리기(200) 측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포 용해제 수용액에 사용되는 세포 용해제는, 일 예로, NP-40 Lysis Buffer, SDS(Sodium Dodecyl Sulfate) Lysis Buffer, Bacterial Cell Lysis Buffer(Gold Biotechnology 社), 트리톤(Triton)계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톤(Triton)계 계면활성제는 일 예로, Polyethylene P-T-Octyl Phenyl Ether류의 화합물인 Triton X-100(다우 케미컬 社)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Polyethylene Glycol P-(1,1,3,3-Tetramethylbutyl)-Phenyl Ether, Octyl Phenol Ethoxylate, Polyoxyethylene Octyl Phenyl Ether, 4-Octylphenol Polyethoxylate, T-Octylphenoxypolyethoxyethanol, 및 Octoxynol-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습 노즐부(410)는, 가습 유로(420)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제3 유입구(421)로 유입된 공기가 분리기(200)로 유동될 때, 분리기(200) 내로 공급되는 공기 측으로 수용액을 분사하여, 공기 중 부유균과 세포 용해제 수용액이 함께 분리기(2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제3 유입구(421)로 유입되는 공기 중 부유균은 세포 용해제와 함께 분리기 내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세포 용해제는 공중 부유균의 세포막을 용해하기 위한 것으로, 공중 부유균은 세포 용해제에 의해 세포막이 파괴되어 ATP(Adenosine Triphosphate, 아데노신삼인산)가 외부로 용출될 수 있다.
이러한 ATP는 후술할 발광물질과 반응하여 빛을 발생하기 때문에 부유균의 농도 측정에 용이하게 이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습 유닛(400)은 대기 중의 부유균을 포집하는 단계에서부터 세포 용해제와 부유균을 반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유균으로부터 ATP가 추출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공중 부유균 측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측정 키트(10)는, 공중 부유균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ATP 측정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TP 측정기(500)는 스왑(110)의 포집부(111)가 삽입되어 스왑에 부착된 부유균의 상대적 발광정도 (Relative Luminescence Unit, 이하 RLU라고 한다)를 측정할 수 있는 RLU 리더 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ATP 측정기(500)는, 측정된 각각의 ATP 값을 단위 공기 부피당 RLU(RLU/m3) 값으로 출력하는 ATP 모니터(5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균을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부유균으로부터 용출된 ATP와 발광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발광물질은 루시페린(Luciferin) 및 루시페라아제(Luciferase)를 포함한다.
상기 루시페린은 용해된 세포 내에 존재하는 ATP에 의해 활성화되어 활성 루시페린으로 변화되고, 활성 루시페린이 발광효소인 루시페라아제의 작용에 의하여 산화되어 산화 루시페린으로 되면서 화학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전환시켜 빛을 발하게 된다.
상기 스왑(110)에 포집된 부유균의 세포로부터 추출된 ATP가 발광물질과 반응하여 발하는 빛을 RLU 리더로 측정하여 부유균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측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ATP 측정기(500)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TP 측정기(500)를 포함하는 측정 키트는(10)는 스왑(110)에 포집된 부유균을 바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TP 측정기(500)는, 측정된 각각의 ATP 값을 RLU 값으로 출력하도록 마련된 ATP 모니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측정 키트(10)는, 공기(외부 공기)에 포함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측정기(600)를 포함한다.
상기 먼지 측정기(600)는, 미세먼지(PM 10, 10 μm 이하의 먼지 농도) 및 초 미세 먼지(PM 2.5, 2.5 μm 이하의 먼지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단위 공기 부피 당 먼지 질량 농도(μg/m3)값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정 키트(10)는, ATP 측정기(500)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600)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ATP 측정기(500) 및 먼지 측정기(60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있어), 각각의 측정기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데이터를 불러들여 제어부를 통해 환산된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측정기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통신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로 수신된 제1 및 제2 데이터를 기초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e Interface)의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생성된 제3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인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비콘(Beacon) 통신 모듈 등을 비롯하여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모듈, LoRaWAN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값을 입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값은 예를 들어, 샘플러를 이용하여 공기가 샘플링 되는 샘플링 공기 유량(Vol Flow Rate), 샘플링 시간(Time),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 각각의 장소별 측정 단위에 따른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각각의 장소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기준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샘플링 공기 유량은 분당 유입된 샘플링 공기의 부피(L/min), 샘플링 시간은 부유균을 포집하기 위해 소요된 초 단위의 샘플링 시간(sec),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은 RLU 값을 CFU 값으로 환산하기 위한 상관관계 식, 기준치는 사용자에 의해 판단된 장소별, 미세먼지 또는/및 초미세먼지 농도별 공중 부유균에 대한 각각의 기준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사용자 입력값은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는, ATP 측정기 및 먼지 측정기로부터 각각 측정된 제1 및 제2 데이터와 전술한 사용자 입력 값 중 선택된 사용자 입력값을 기초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제3 데이터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데스크탑 PC, 랩탑(Laptop) PC,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값에 기초하여 공중 부유균 및 먼지(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결과 데이터들을 추정하고, 추정된 측정 결과 데이터들을 다양한 포맷으로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술한 통신부와 데이터의 보관, 관리 등을 위한 저장부(미도시)와 함께 서버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는, 단위 공기 부피당 2.5 μ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공중 부유균(예를 들어, 세균) 및/또는 10μm 이하의 크기 극 갖는 공중 부유균(예를 들어, 세균 및 진균)의 각각의 RLU(RLU/m3) 값이고, 제2 데이터는, 단위 공기 부피 당 미세먼지(PM 10, 10 μm 이하의 먼지 농도) 및/또는 초 미세 먼지(PM 2.5, 2.5 μm 이하의 먼지 농도)의 질량 농도(μg/m3)값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먼지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미세먼지 농도(PM10)와 초미세먼지 농도(PM2.5)를 기초로 하여,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먼지 농도의 사이 농도 값 즉, 2.5 μm 보다 크고 10 μm 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먼지의 질량 농도 값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먼지 농도의 사이 값은, 미세먼지 농도 값에서 초미세먼지 농도 값을 뺀 (PM10 - PM2.5)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 데이터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기초하여 연산되거나,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값을 기초하여 연산된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10]),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10-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10]),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10-PM2.5]),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m3[PM10]),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m3[PM2.5]),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 (CFU/m3[PM10-PM2.5]) 및 단위 공기 부피 당 2.5 μm 보다 크고 10 μm 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먼지의 질량 농도 값(μg/m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 (PM10)은, 세균과 진균을 모두 포함하며,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PM2.5)은 세균(세균의 크기는 대부분 2마이크로미터 이하)을 포함하며,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PM10-PM2.5)은 주로 진균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진균의 크기는 대부분 3 μm 이상 이므로,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은, 세균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나, 주로 진균을 포함한다.
상기, 집락형성단위(CFU) 값은 집락형성단위 환산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에서 RLU와 CFU는 선형관계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값에 기초하여 측정 결과로 생성된 복수의 제3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로 각각 제공되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따로 비교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각의 단위에 대한 측정 장소의 미세 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진균 또는/및 세균의 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저 인터페이스는 샘플링 공기 유량, 샘플링 시간,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 미세먼지 질량 또는 부피당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초미세먼지 질량 또는 부피당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창(1000), 제1 및 제2 데이터의 제어부로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입력창(미도시), 측정 결과 데이터의 장소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 별 공중 부유균의 수치 값을 제공하기 위한 제3 데이터 출력 창(2000), 각각의 제3 데이터를 도식화 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3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창(1000)은, 샘플링 공기 유량 입력창(1001), 샘플링 시간 입력창(1002),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 입력창(1003), 미세먼지 질량 또는 부피당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및 초미세먼지 질량 또는 부피당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입력창(1004)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된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각각의 수치가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분석 목적에 따라 입력창의 수치는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 입력창(1004)에 입력되는 기준치는, 일 예로, 특정 장소에서 단위 공기 부피당 공중 부유균(10μm 이하, 2.5μm 이하, 2.5 μm 내지 10 μm) 각각의 질량농도 및/또는 CFU 값, 단위 질량 당 RLU 값 및/또는 CFU 값에 대한 각각의 기준치일 수 있다.
특히, 만약 사용자에 따라 측정 결과 데이터의 추정을 위해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 입력창이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창의 관리 옵션(미도시)을 이용하여 필요한 사용자 입력창 만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FU 값이 아닌 RLU 값의 확인만이 필요한 경우,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 입력창에 별도의 수치를 입력하지 않거나 사용자 입력창의 관리 옵션을 통해 집락형성단위 환신식 입력창이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3 데이터 출력 창(2000)은, 각각의 측정장소 출력창(2001)과 각각의 장소에 대한 10μm 이하의 공중 부유균 및 2.5μm 이하의 공중 부유균의 RLU 수치값 출력창(20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장소에 대한 RLU 수치값 출력창(2002)은, 세균 및 진균, 세균의 RLU 수치값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창(1000)을 통해 각각의 수치가 분석 목적에 따라 각각 입력되고, 각각의 측정기(500,600)를 통해 측정된 제1 및 제2 데이터가 제어부로 수신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장소 출력창(2001)에는, 부유균(진균 및 세균 또는 세균)을 측정한 장소 (예를 들어, 기계관 1층, 병원로비, 이과식당, 영대역, 치과대기실)가 나타나고, RLU 수치값 출력창(2002)에는, 각각의 장소에 대한 각각의 RLU 수치값 및/또는 CFU 수치값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3000)은, 복수의 제3 데이터들에 대해 사용자의 직관적 분석을 제공하도록 막대그래프, 꺽은선 그래프, 방사형 그래프, 원 그래프 등의 형태로 도식화 되어 출력될 수 있고, 기준치 입력창(1004)을 통해 입력된 각각의 기준치에 관한 수치가 도식화된 데이터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3000)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제1 데이터에 대한 측정 장소별 단위 공기 부피 당 각각의 공중 부유균의 RLU 수치 값이 전술한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되는 ATP 출력창(3001)과 제2 데이터에 대한 측정 장소별 단위 공기 부피 당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2.5) 질량 농도값이 전술한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되는 PM 출력창(30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ATP 출력창(3001)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제1 데이터에 대한 측정 장소별 단위 공기 부피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및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포함)의 RLU 수치 값이 각각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상기 PM 출력창(3002)은, 제2 데이터에 대한 측정 장소별 단위 공기 부피 당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2.5) 질량 농도값이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출력창에는, 각 측정 장소에 대한 크기 범위에 따른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및/또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기준치를 각각 표시하는 기준선(v)이 가로 직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v)은, 미세먼지 기준치를 표시하는 PM10 기준선(v1), 초미세먼지 기준치를 표시하는 PM2.5기준선(v2)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단위에 따른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의 기준치를 표시하는 제1 기준선(v3),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 포함)의 기준치를 표시하는 제2 기준선(v4)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기준치를 표시하는 제3 기준선(미도시)이 각각 가로 직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3000)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제3 데이터 중 장소별, 단위 먼지(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질량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 포함)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RLU 수치 값이 전술한 도식화된 형태로 각각 출력되는 제1 출력창(3003)을 포함한다.
또한, 장소별, 단위 먼지(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공기 부피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 포함)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CFU 수치 값이 전술한 도식화된 형태로 각각 출력되는 제2 출력창(3004)을 포함한다.
또한, 장소별, 단위 먼지(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질량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포함)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CFU 수치 값이 전술한 도식화된 형태로 각각 출력되는 제3 출력창(3005)을 포함한다.
특히, 측정 장소별 단위 공기 부피 당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사이의 입자 크기 범위를 갖는 먼지 질량 농도 값이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되는 제4 출력창(미도시)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출력창은, 장소별, 단위 공기 부피 당 2.5 μm 보다 크고 10 μm 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먼지의 질량 농도 값(μg/m3)이 전술한 도식화된 형태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출력창(3003)은, 장소별, 단위 먼지(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질량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 포함)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RLU 수치 값이 각각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은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측정 값에서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측정 값을 뺀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창(3004)은 장소별, 단위 먼지(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공기 부피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 포함)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CFU 수치 값이 각각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제3 출력창(3005)은 장소별, 단위 먼지(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질량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 포함)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CFU 수치 값이 각각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출력창에는, 각각의 단위에 따른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진균 및 세균 포함),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세균 포함) 및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주로 진균 포함)의 기준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 기준선(V1), 제2 기준선(V2) 및 제3 기준선(미도시)이 가로 직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장소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와 세균 및 진균의 농도, 세균 농도, 진균 농도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기준치와 바로 비교할 수 있어 세균성과 진균성 입자의 상대적 비율을 보다 쉽고 빠르게 파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a)는, 적어도 하나의 스왑(110), 본체부(120), 제1 분리기(200a), 제2 분리기(200b), 제1 및 제2 유로(251,252), 밸브(253) 및 공기 유동 장치(300)를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에서는, 스왑(110)과 분리기(200)를 모두 교체 장착하여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분리 및 포집 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a)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하나의 본체부(120)에 제1 및 제2 분리기(200a, 200b)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스왑(110) 만을 교체하여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분리 및 포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a)는, 본체부(120)의 제1 유입구(121)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로(251,2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분리기(200a)는, 제1 유로(251) 측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121)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리기(200b)는, 제2 유로(252) 측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121)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은,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고,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은,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밸브(253)는, 제1 유입구(121) 측에 마련되어 제1 유로(251)와 제1 유입구(121)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제2 유로(252)와 제1 유입구(121)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253)를 조절하여 제1 유로(251)와 제1 유입구(121)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스왑(110)에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어 포집되면,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이 부착된 스왑을 본체부에서 분리한 후, 다른 스왑을 장착하고, 다시 밸브(253)를 조절하여 제2 유로(252)와 제1 유입구(121)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다른 스왑에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부착시켜 포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253)는 일 예로, 삼방 밸브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 장치는 외부 공기의 유동을 본체부 내부로 강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b)는, 제1 및 제2 스왑(110a, 110b), 제1 및 제2 본체부(120a, 120b), 제1 및 제2 분리기(200a, 200b) 및 공기 유동 장치(300)를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 100b)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에서는, 스왑(110)과 분리기(200)를 모두 교체 장착하여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분리 및 포집 하였지만,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b)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각각의 제1 및 제2 본체부(120a, 120b)에 제1 및 제2 스왑(110a, 110b)이 각각 장착되고, 제1 및 제2 분리기(200a, 200b)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스왑(110)과 분리기를 교체 하지 않고 서로 다른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분리 및 포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가 한 쌍으로 연결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00b)는,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스왑(110a, 110b)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공간을 갖고, 제1 및 제2 스왑(110a, 110b)이 내부 공간에 각각 장착되며,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121a, 121b) 및 제1 배출구(미도시)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본체부(120a, 120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본체부(120a)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본체부의 제1 유입구(121a)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 분리기(200a)와 제2 본체부(120b)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2 본체부의 제1 유입구(121b)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분리기(200b)를 포함한다.
또한,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121a, 121b) 및 스왑(110a, 110b)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미도시) 측으로 각각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유동 장치는 외부 공기의 유동을 본체부 내부로 강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 장치는, 제1 배출구 각각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나의 유동 장치를 각각의 제1 배출구와 연결하여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에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포함하는 측정 키트(10)를 이용하여 공중 부유균 및 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측정 키트(10)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포함하는 측정 키트(10)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은,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단계; 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포함하는 측정 키트(10)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은,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를 포함하는 측정 키트(10)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은, 각각의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단계; 를 포함한다.
10: 공중 부유균 및 먼지 농도 측정 키트
100, 100a, 100b: 샘플러
200(200a, 200b): 분리기
300: 공기 유동 장치
400: 가습 유닛
500: ATP 측정기
600: 먼지 측정기

Claims (18)

  1.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왑(Swab); 내부 공간을 갖고, 스왑이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 및 제1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본체부; 본체부의 제1 유입구 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선택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 및 본체부의 제1 배출구 측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 및 스왑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 를 포함하는 샘플러;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ATP 측정기;
    공기에 포함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측정기; 및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2.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왑(Swab); 내부 공간을 갖고, 스왑이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 및 제1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본체부; 제1 유입구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로; 제1 유로 측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 분리기; 제2 유로 측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분리기; 제1 유입구 측에 마련되며, 제1 유로와 제1 유입구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제2 유로와 제1 유입구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마련된 밸브; 및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 및 스왑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 를 포함하는 샘플러;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ATP 측정기;
    공기에 포함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측정기; 및
    ATP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3. 공중 부유균이 부착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 스왑(Swab); 내부 공간을 갖고, 제1 및 제2 스왑이 내부 공간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입구 및 제1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본체부; 제1 본체부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1 본체부의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 분리기; 제2 본체부에 장착되며, 유입되는 공기 중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제2 본체부의 제1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분리기;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 및 스왑이 장착된 내부 공간을 거쳐 제1 배출구 측으로 각각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유동 장치; 를 포함하는 샘플러;
    제1 및 제2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ATP 측정기;
    공기에 포함된 소정 크기 범위 내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측정기; 및
    ATP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추출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4. 제 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 내로 유입되는 공기 측으로 세포 용해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가습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샘플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을 각각 포집할 때, 분리기 및 스왑은 각각 교체 장착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6. 제 1항에 있어서,
    분리기는,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는 제1 분리기 및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을 제1 유입구로 공급하는 제2 분리기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분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1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은,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고,
    제2 크기 범위 내의 공중 부유균은,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지 측정기는, 미세 먼지(PM 10) 및 초미세 먼지(PM 2.5)를 각각 측정하여, 단위 공기 부피 당 먼지 질량 농도 값을 출력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TP 측정기는, 측정된 각각의 ATP 값을 단위 공기 부피당 RLU(Relative Luminescence Unit) 값으로 출력하는 ATP 모니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10. 제 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및 제2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고,
    제어부는 생성된 제3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값을 입력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 입력값은, 샘플링 공기 유량(Vol Flow Rate), 샘플링 시간(Time), 집락형성단위(CFU) 환산식, 각각의 장소별 측정 단위에 따른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각각의 장소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기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13. 제 10항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값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창, 생성된 각각의 제3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3 데이터 출력창 및 각각의 제3 데이터를 도식화 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14. 제 12항에 있어서,
    제3 데이터는,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10]),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RLU 값(RLU/μg[PM10-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10]),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2.5]), 단위 먼지 질량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μg[PM10-PM2.5]),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10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m3[PM10]),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2.5μ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CFU/m3[PM2.5]), 단위 공기 부피 당 공기 중 2.5μm 내지 10μ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공중 부유균의 집락형성단위(CFU) 값 (CFU/m3[PM10-PM2.5]) 및 단위 공기 부피 당 2.5 μm 보다 크고 10 μm 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먼지의 질량 농도 값(μg/m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15. 제 13항에 있어서,
    제3 데이터 도식화 출력창은, 사용자 입력값에 기초한 각 측정 장소에 대한 공중 부유균의 기준치 및/또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기준치를 표시하는 기준선이 각각 가로 직선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
  16. 제 1항에 따른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
  17. 제 2항에 따른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
  18. 제 3항에 따른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키트를 이용한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스왑에 부착된 공중 부유균의 ATP를 측정하는 부유균 농도 측정 단계;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 단계; 및
    제어부에서 ATP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1 데이터와 먼지 측정기로부터 출력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 방법.
KR1020190002308A 2019-01-08 2019-01-08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KR102267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08A KR102267179B1 (ko) 2019-01-08 2019-01-08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EP20739163.2A EP3910316A4 (en) 2019-01-08 2020-01-02 BIOAEROSOL AND PARTICULATE MATTER MEASUREMENT KIT
US17/421,415 US20220221379A1 (en) 2019-01-08 2020-01-02 Kit for measuring bioaerosol and particulate matter
PCT/KR2020/000015 WO2020145565A1 (ko) 2019-01-08 2020-01-02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08A KR102267179B1 (ko) 2019-01-08 2019-01-08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07A true KR20200086107A (ko) 2020-07-16
KR102267179B1 KR102267179B1 (ko) 2021-06-21

Family

ID=7152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08A KR102267179B1 (ko) 2019-01-08 2019-01-08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21379A1 (ko)
EP (1) EP3910316A4 (ko)
KR (1) KR102267179B1 (ko)
WO (1) WO202014556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18B1 (ko) * 2020-08-06 2021-10-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20220080688A (ko) * 2020-12-07 2022-06-14 이정아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KR102630291B1 (ko) * 2023-07-05 2024-01-29 (주)경동이앤에스 공중부유균 자동 측정 장치 및 그의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5077B (zh) * 2020-10-12 2022-08-23 军事科学院系统工程研究院卫勤保障技术研究所 一种生物气溶胶浓度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14459981A (zh) * 2021-12-22 2022-05-10 河北省药品医疗器械检验研究院(河北省化妆品检验研究中心) 一种用于检测口罩细菌过滤效率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384A (ko) * 2011-01-26 2012-08-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용해 시스템과 atp발광을 이용한 기상 중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857887B1 (ko) * 2016-12-22 2018-05-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미생물의 고속 농도측정을 위한 측정키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222B1 (ko) 2003-06-14 2006-02-08 (주)이앤에치테크 공기 중 미생물의 포집장치
KR102199814B1 (ko) * 2014-02-27 2021-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20170035768A (ko) * 2015-09-22 2017-03-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798601B1 (ko) * 2016-09-12 2017-1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바이오 에어로졸 포집 장치 및 분석방법
KR20180078832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쓰리에이치굿스 먼지 및 미생물 검출용 공기 정화 처리 시스템
KR20180080762A (ko) * 2017-01-05 2018-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집진식 미생물 포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384A (ko) * 2011-01-26 2012-08-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용해 시스템과 atp발광을 이용한 기상 중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857887B1 (ko) * 2016-12-22 2018-05-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미생물의 고속 농도측정을 위한 측정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18B1 (ko) * 2020-08-06 2021-10-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 부유균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20220080688A (ko) * 2020-12-07 2022-06-14 이정아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KR102630291B1 (ko) * 2023-07-05 2024-01-29 (주)경동이앤에스 공중부유균 자동 측정 장치 및 그의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565A1 (ko) 2020-07-16
US20220221379A1 (en) 2022-07-14
EP3910316A4 (en) 2022-10-19
EP3910316A1 (en) 2021-11-17
KR102267179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179B1 (ko)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US10371616B2 (en) Airborne microbial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170065922A1 (en) Air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80245126A1 (en) Fiber sampler for recovery of bioaerosols and particles
US1200735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 solution characteristic of a sample comprising microorganisms
Park et al. Fast monitoring of indoor bioaerosol concentrations with ATP bioluminescence assay using an electrostatic rod-type sampler
US20140017723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floating microorganisms in a gas phase in real time using a system for dissolving microorganisms and atp illumin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same
WO2011014674A3 (en) Microfluidic device for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study of drugs and uses thereof
KR102028821B1 (ko) 공중 부유 미생물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EP2803971B1 (en) Particle detecting device and particle detecting method
WO2023237112A1 (zh) 一种离心撞击法生物气溶胶富集装置及其细胞暴露与应用
US20170058315A1 (en) Airborne microbial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CN109212247A (zh) 供液装置、样本分析仪及供液装置的供液方法
US9753026B1 (en) Cell processing cartridge for miniature cytometer
CN107754736B (zh) 微生物气溶胶动态发生装置
US20170184475A1 (en) Microbial sampling system
CN104293666A (zh) 两种不同单细胞之间相互作用的微流控芯片装置
CN207591829U (zh) 微生物气溶胶动态发生装置
CN204789453U (zh) 一种室内空气的检测设备
CN210136157U (zh) 一种pm2.5和pm10检测装置
CN204807424U (zh) 粉尘标定系统
CN219398577U (zh) 一种多通道切换型吸氧雾化流量表
CN206546318U (zh) 一种用于流式细胞检测的液流系统
CN206905109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165311B1 (ko) 공공시설, 주택, 기타 실내 공간의 공기질 스마트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질 스마트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