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469A -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469A
KR20200085469A KR1020190001597A KR20190001597A KR20200085469A KR 20200085469 A KR20200085469 A KR 20200085469A KR 1020190001597 A KR1020190001597 A KR 1020190001597A KR 20190001597 A KR20190001597 A KR 20190001597A KR 20200085469 A KR20200085469 A KR 2020008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t
code
tree structure
prepaid car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377B1 (ko
Inventor
전지훈
Original Assignee
전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지훈 filed Critical 전지훈
Priority to KR102019000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3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이익 분배서버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입력받아,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생성한 후 하나의 노드에 두개의 자식을 갖는 트리구조에 충전계정을 노드로 연결하여 단위 블록을 형성하고, 구매이익을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 이익 분배서버가 분배 DB에 등록된 이전 블록에 포함된 충전계정과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여 분배 DB에 등록시키는 단계; 이익 분배서버가 분배 DB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양 끝단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대수가 이루어지면 대수이익을 분배하여 상위 계층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 및 이익 분배서버가 분배 DB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차수가 매칭되면, 매칭이익을 분배하여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TO DISTRIBUTE SALES PROFITS OF PRODUCTS USING THE QR CORD}
본 발명은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을 구매할 경우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꼭지 충전계정에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키고,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구매 건당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상위계층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계층화하면서 상하위 계층으로 대수가 연결되거나, 각 계층의 내부 차수를 매칭시키게 되면 트리구조의 꼭지 충전계정에 설정된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켜 마케팅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관하여 QR코드와 연동되는 앱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유통은 물품판매자가 물품공급자로부터 소정의 가격으로 물품을 구입한 후, 구입한 물품 가격에 유통, 보관, 판매에 소요되는 비용 및 판매 이익을 더한 가격으로 구매자에게 물품을 재 판매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물품의 판매는 전통적으로 대리점, 상점, 할인점, 백화점 등의 소매점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물품 판매자는 물품판매액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쿠폰을 발급하거나, 지속적인 거래 고객 또는 대량 거래 고객에게 일정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물품을 판매하는 등의 방법으로, 물품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판매 방법은 각 물품에서 발생하는 이익에 따라 할인율을 달리 적용하여야 하고, 영업 활동에 대한 물품구매자의 기여도를 정확히 산출할 수 없으므로, 물품구매자에 대한 할인율의 적용 등 우대 정책이 정확하고 과학적이지 못하고, 따라서 물품구매자가 거래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확실한 동기를 유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품의 판매액에 따라 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물품구매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 번거롭게 쿠폰을 관리하여야 하고, 쿠폰에 의하여 물품구매자가 얻는 이익이 통상 매우 적으므로,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거래 관계를 유발하기에는 부족하다.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은 새로운 경제 가치를 추구하고 생활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매체가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기업은 수익 창출의 기반이 되는 고객의 구매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다 좋은 서비스,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 방법 중의 하나로 물품, 서비스 등의 구매 고객이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물품 구매대금 또는 서비스 이용대금에 비례하는 일정액을 포인트(캐쉬백, 마일리지 등 포함)로 적립하여 주고, 적립된 포인트가 일정 기준 이상이 되면 이를 상품 또는 현금으로 바꾸어 줄 수 있도록 하는 포인트 적립시스템이 널리 운용되고 있다.
포인트 적립시스템은 회원이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을 통하여 적립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다른 회원을 추천하여 추천한 회원이 물품을 구매하였을 경우 추천인에게도 일정 포인트를 제공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즉, 물품의 구매 및 서비스를 제공받은 당사자 한 사람에게만 지정된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금, 사은품, 캐쉬백 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는 물론 당사자를 해당 업체에 소개하여 구매 및 서비스를 받게 추천한 일련의 추천인들에게도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금, 사은품, 캐쉬백(멀티 캐쉬백)을 다단계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다단계 방식은 이미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이 다른 회원들에게 서비스의 경제성, 우수성 등 차별화된 품질과 가치를 다수에게 소개 및 전달하여 무한 연쇄 추천방식의 네트워크 파급효과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똑같은 마일리지라도 레벨에 따라 균등 또는 차등으로 금액을 분할하여 해당 레벨에 있는 회원들에게 지급해주는 것으로, 먼저 회원가입하고 서비스를 다른 고객들에게 자체적으로 광고하여 추천 활동을 많이 한 회원들에게 멀티-캐쉬백이 집중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물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주어져야할 보상이 추천인에게 집중되어 물품 구매 고객의 실익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제 고객의 물품 구매 욕구를 증진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아래의 QR코드 생성방법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8은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9는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QR코드를 스마트폰에서의 생성 방법을 공개특허 제10-2012-0105600호에 따른 도 8~9를 통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서비스 제공사(10aa)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망, 와이파이망 및 이동통신망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직접 다운 로딩하고, 다운 로딩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애플리케이션활성화단계(S10)를 행한다.
상기 제10단계(S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로딩한 후 사용자가 스마트폰(20aa)을 통해 고객인증정보(사용자 데이터 인가)를 제공하는 고객인증정보제공단계(S20)를 행한다.
상기 제20단계(S20)를 통해 제공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서비스 제공사(10aa)에서는 고객인증정보를 토대로 리워드 서비스용 카드번호를 생성하는 리워드 서비스용 카드번호생성단계(S30)를 행한다.
상기 제30단계(S30)를 통해 회사에서는 카드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20aa)으로 카드번호를 전송하는 카드번호전송단계(S40)를 행한다.
상기 제40단계(S40)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20aa)에서 전송하는 본인인증 데이터와 회사에서 전송하는 카드번호 데이터는 노출 및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호 합의한 방식대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카드번호를 받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카드등록용 팝업창(미도시)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팝업창에는 사용자 이름,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약관(개인정보수집동의서, 서비스 이용약관)에 동의한 후 발급 버튼을 눌러 데이터를 회사에 인가하고, 이때 사용자 카드번호 발급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팝업창에 있는 취소를 눌러 카드발급을 취소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를 인가하면, 회사에서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준으로 카드번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20aa)으로 다운 로딩한다.
상기 제40단계(S40)를 통해 다운 로딩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단계(S50)를 행한다.
상기 제50단계(S50)를 통해 QR코드의 생성은 스마트폰(20aa)에서 수신받은 암호화된 카드번호를 애플리케이션의 바코드생성프로그램에 저장되고, 저장한 카드번호를 토대로 QR코드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20aa)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QR코드를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QR코드스마트폰저장단계(S60)를 행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생성한 QR코드는 일반적으로 리워드 서비스용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0aa는 가맹점, 40aa는 2D바코드 스캐너 또는 QR코드 리드기, 5aa는 부가가치 통신망, 60aa는 통신망이다.
다음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신규로 신규 회원가입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신규회원가입 방법은 원하는 신규 발급 회사의 명칭을 선택하면, 회사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가입 양식에 본인 인증(이름, 주민번호, 휴대폰번호, 주소 등)을 위한 기재 칸과 약관 등을 명시해 서비스 제공사(10aa)의 서비스에 대한 약관 인증 칸으로 구분된 팝업창이 오픈 된다.
상기 사용자는 해당하는 칸에 정보를 입력하고, 약관에 동의란에 체크를 하여 상호가 결정하는 방식으로 입력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회사에 전송하게 되고, 전송한 내용을 토대로 전용 카드 번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0aa)에서 전송하는 본인인증 데이터와 회사에서 전송하는 카드번호 데이터는 노출 및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호 합의한 방식대로 암호화하여 전송을 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은 통상 사용자가 설정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게 되며 이는 WI-FI망 또는 3G, 4G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사업자에서 규정하는 통신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에서 수신받은 암호화된 카드 번호는 바코드생성프로그램에 들어가 카드 번호를 QR코드 이미지로 생성시키는 작업을 행한다.
기존에 선택한 회사 이미지(카드 발급사의 기준에 의함)와 함께 바코드 이미지가 위치하며, 생성된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에 내 메뉴에 자동 저장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QR코드의 생성방법이 있었지만, 스마트 폰에서 활용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서의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은 개발이 되지 않았고, 통상의 앱이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나타났던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39457호(2013.12.23. 공개,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5600호(2012.09.26. 공개, 스마트 어프리케이션을 활용한 큐알코드 생성시스템 및 그 활용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구매할 경우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꼭지 충전계정에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키고,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구매 건당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상위계층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계층화하면서 상하위 계층으로 대수가 연결되거나, 각 계층의 내부 차수를 매칭시키게 되면 트리구조의 꼭지 충전계정에 설정된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켜 마케팅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본 계정을 누구나 손쉽게 로그-인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무선통신단말기와 관계없이 별도의 신용카드를 제작, 신용카드 사용금액 결제통지서의 송부 등에 비용이 상당히 발생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타인이 무선통신단말기를 도용하여 쉽게 결제하는 금융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선순환 마케팅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선순환 마케팅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지나, 이익 분배서버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생성한 후, 상기 설정된 개수로 하나의 노드에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갖는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을 형성하고, 각 노드에 충전계정을 연결하여 구매이익을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분배 DB에 등록된 이전 블록에 포함된 충전계정과 상기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여 상기 분배 DB에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양 끝단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상기 단위 블록을 각각 연결시켜 대수가 형성되면 대수이익을 분배하여 상위 계층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상기 단위 블록을 연결시켜 두 개의 상기 단위 블록이 연결되어 차수가 매칭되면, 매칭이익을 분배하여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단위 블록을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상기 이전 블록과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설정된 계층의 멀티 트리구조가 형성될 경우, 직급이익을 분배하여 트리구조의 최상위 계층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선불카드에 대해 구매자가 설정한 대표 선불카드와 연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매자가 설정한 상기 대표 선불카드는 지문형 선불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판매자가 물품을 판매한 후 물품 판매 이익을 분배하기 위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선불카드(10)를 입력받아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이익 분배서버(50)에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20); 이익 분배서버(50)에 등록된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조회할 수 있고, 구매자가 보유한 다수의 선불카드(10)를 설정된 대표 선불카드(10)와 연동될 수 있도록 설정한 구매자 단말기(30);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결제가 이루어져 물품을 구매할 경우,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입력받아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생성한 후 하나의 노드에 두개의 자식을 갖는 트리구조에 충전계정을 노드로 연결하여 단위 블록을 형성하고, 구매이익을 꼭지 선불카드(10)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이익 분배서버(50); 물품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이전에 등록된 블록(이전 블록)에 포함된 선불카드(10)와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도록 등록시키는 분배 DB(40); 무선통신망(140)과 SMS망을 통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30)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고유 QR(바)코드를 전송하고, QR(바)코드조회기(120)로부터 입력된 QR(바)코드를 바탕으로 통신 서비스 또는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고,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 시스템의 서버(131)와 이에 연결된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 또는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로 형성된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 시스템(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익 분배서버(50)는 물품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분배 DB(40)에 등록된 이전 블록에 포함된 선불카드(10)와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여 분배 DB(40)에 등록시키고,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양 끝단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대수가 이루어지면 상위 계층의 꼭지 선불카드(10)에 대수이익을 분배하여 가상화폐로 충전시키고, 상기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차수가 매칭되면,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선불카드(10)에 매칭이익을 분배하여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며,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부터 QR(바)코드를 입력받아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조회하여 조회결과, 그 일치여부를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 전송하며,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는 그 일치 여부에 따라 통신서비스 및 결제서비스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에 따른 결제서비스는 금융거래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은 물품을 구매할 경우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꼭지 충전계정에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키고,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구매 건당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상위계층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계층화하면서 상하위 계층으로 대수가 연결되거나, 각 계층의 내부 차수를 매칭시키게 되면 트리구조의 꼭지 충전계정에 설정된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킴으로써, 판매 이익의 원활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매자의 정보 없이 선불카드를 기반으로 이익을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이용하여 로그-인되게함으로써,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고, 무선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결제함으로써, 통신사업자와 신용카드사업자의 업무를 일원화시켜 신용카드의 제작, 신용카드 사용금액 결제통지서의 송부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만 QR(바)코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무선통신단말기를 도용하여 결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의한 3개의 선불카드가 단위 블록인 트리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의한 31개의 선불카드가 단위 블록인 트리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결제서비스가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결제수단제공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장치는 판매자 단말기(20) 및 이익 분배서버(50)를 포함하여 구매자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는 판매자가 물품을 판매한 후 물품 판매 이익을 분배하기 위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선불카드(10)를 입력받아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이익 분배서버(5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30)는 이익 분배서버(50)에 등록된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조회할 수 있고, 구매자가 보유한 다수의 선불카드(10)를 설정된 대표 선불카드(10)와 연동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정된 대표 선불카드(10)는 보안성이 강화된 지문형 선불카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30)를 통해 온오프라인의 쇼핑몰(60)에서 물품 및 재화를 구매한 후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사용하여 결제하기 위해 이익 분배서버(50)에 결제를 요청할 수도 있고,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의 환전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익 분배서버(50)는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결제가 이루어져 물품을 구매할 경우,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입력받아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생성한 후 하나의 노드에 두개의 자식을 갖는 트리구조에 충전계정을 노드로 연결하여 단위 블록을 형성하고, 구매이익을 꼭지 선불카드(10)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화폐를 선불카드에 충전하는 것은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를 충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익 분배서버(50)는 물품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분배 DB(40)에 등록된 이전 블록에 포함된 선불카드(10)와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여 분배 DB(40)에 등록시키고,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양 끝단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대수가 이루어지면 상위 계층의 꼭지 선불카드(10)에 대수이익을 분배하여 가상화폐로 충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차수가 매칭되면,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선불카드(10)에 매칭이익을 분배하여 가상화폐로 충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이전 블록과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설정된 계층의 멀티 트리구조가 형성될 경우, 트리구조의 최상위 계층의 꼭지 선불카드(10)에 직급이익을 분배하여 가상화폐로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직급이익을 분배하기 위해 직급에 따라 계층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선불카드(10)에 대해 구매자가 설정한 대표 선불카드와 연동시켜 제품 구매에 따라 제공되는 다수의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구매자가 설정한 대표 선불카드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구매자 단말기(30)로부터 온오프라인의 쇼핑몰(60)에서 물품이나 재화를 구매한 후 결제를 요청하거나, 가상화폐를 현금으로 환전하기 위해 환전을 요청하면, 구매자가 설정한 대표 선불카드(10)를 통해 충전된 가상화폐를 전환비율에 따라 전환하여 지불하고 차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장치에 의한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이하, '선순환 마케팅'이라고도 한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의한 3개의 선불카드가 단위 블록인 트리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의한 31개의 선불카드가 단위 블록인 트리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서는, 이익 분배서버(50)가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결제 건에 따라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입력받아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B1, B2, B3의 충전계정을 설정하고, 충전계정을 노드로 연결하여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 B를 형성한다(S10).
여기서, 트리구조는 각 노드별로 두개의 자식을 갖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구매에 따라 3개의 충전계정이 노드로 연결된 트리구조를 갖는 단위 블록을 기반으로 트리구조를 이루면서 하위 계층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도 4와 같이 물품 구매에 따라 31개의 충전계정이 노드로 연결된 트리구조를 갖는 단위 블록을 기반으로 트리구조를 이루면서 하위 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이익 분배 방식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물품판매 이익분배 마케팅을 프로그래밍화하여 구동할 수 있는 앱(이하, '선순환 마케팅 앱'이라고 한다)을 설명한다.
S10 단계에서 물품 구매에 따라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을 형성한 후 이익 분배서버(50)는 구매이익을 분배하여 단위 블록의 꼭지 선불카드(10)인 B1 선불카드(10)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킨다(S20).
본 실시예에서 가상화폐를 선불카드에 충전하는 것은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를 충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S20 단계에서 단위 블록에 구매이익을 분배한 후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이전 블록에 포함된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여 분배 DB(40)에 등록시킨다(S3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대의 이전 블록 A에 포함된 A2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단위 블록 B를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물품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제1대의 이전 블록 A에 포함된 A3 선불카드와 트리구조로 단위 블록 E를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거나, A2 선불카드와 트리구조로 단위 블록 C를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물품 구매에 따라 이전 블록과 트리구조로 하위 계층을 형성한 후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양 끝단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대수가 형성되는지 판단한다(S40).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대의 A2 선불카드(10)에 단위 블록 B가 연결되고, A3 선불카드에 단위 블록 E가 연결되어 제2대가 형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경우에는 16번 선불카드(10)와 31번 선불카드(10)에 단위 블록이 트리구조로 각각 연결되어 다음 대인 대수가 형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대수가 형성되는지 판단하여 대수가 형성된 경우, 이익 분배서버(50)는 대수이익을 분배하여 상위 계층의 꼭지 선불카드(10)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킨다(S50).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에는 대수이익을 상위 계층의 단위 블록 A의 A1 선불카드(10)에 분배하여 충전시킬 수 있고, 도 4의 경우에는 대수이익을 상위 계층인 1번 선불카드(10)에 분배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S40 단계에서 대수가 형성되는지 판단하여 대수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순환 마케팅 앱'에서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차수가 매칭되는지 판단한다(S6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블록 C는 이전 블록 A의 A2 선불카드와 트리구조를 이루면서 A2 선불카드(10)는 단위 블록 B와 단위 블록 C로 차수가 매칭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31개로 확장된 경우에는 최외측 내부의 선불카드(10)인 17번 선불카드(10)로부터 30번 선불카드(10)에 단위 블록이 연결될 경우 차수가 매칭된다.
S60 단계에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차수가 매칭되면, 이익 분배서버(50)는 매칭이익을 분배하여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선불카드(10)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킨다(S70).
예를 들어, 도 3에서 점선으로 연결된 바와 같이 단위 블록 B와 단위 블록 C는 단위 블록 A의 차수로 매칭되어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선불카드(10)인 A2 선불카드(10)에 매칭이익이 분배되어 충전된다.
또한, 도 4에서는 16번 선불카드(10)에 단위 블록이 연결되고 19번 선불카드(10)에 단위 블록이 연결된 경우 4번 선불카드(10)에 차수 매칭에 따른 매칭이익이 분배될 수 있다.
S60 단계에서 차수가 매칭되는지 판단하여 차수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이익 분배서버(50)는 S10 단계로 리턴하여 새로운 구매에 따른 단위 블록을 형성한다.
또한, S50 단계에서 대수이익을 충전하고, S70 단계에서 매칭이익을 충전한 후 이익 분배서버(50)는 S10 단계로 리턴하여 새로운 구매에 따른 단위 블록을 형성한다.
한편,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이전 블록과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설정된 계층의 멀티 트리구조가 형성되는지 판단하여 트리구조가 형성될 경우, 트리구조의 최상위 계층의 꼭지 선불카드(10)에 직급이익을 가상화폐로 충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선불카드(10)에 대해 구매자가 설정한 대표 선불카드와 연동시켜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서로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매자가 설정하는 대표 선불카드는 보안성이 강화된 지문형 선불카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설정한 대표 선불카드로 연동시킬 경우, 상기 '선순환 마케팅 앱'에서 이익 분배서버(50)는 대표 선불카드를 통해 연동되는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조회할 뿐만 아니라 결제 및 환전을 할 수 있으나, 연동되는 선불카드(10)를 통해서는 충전된 가상화폐를 조회만할 수 있고 결제 및 환전을 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익 분배서버(50)는 구매자 단말기(30)로부터 결제요청이나 환전요청이 입력되면 요청한 구매자가 설정한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전환비율에 따라 전환하여 지불하고 차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따르면, 물품을 구매할 경우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꼭지 충전계정에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키고,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구매 건당 단위 블록을 형성하여 상위계층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계층화하면서 상하위 계층으로 대수가 연결되거나, 각 계층의 내부 차수를 매칭시키게 되면 트리구조의 꼭지 충전계정에 설정된 이익을 분배하여 충전시킴으로써, 판매 이익의 원활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매자의 정보 없이 선불카드를 기반으로 이익을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 적용되는 QR코드의 적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의 결제서비스가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의 결제수단제공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서비스 및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통신사업자와 구매 및 판매 사업자의 업무를 일원화시켜 보안을 유지하면서 앱을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인의 불법 사용을 금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구매자단말기(30)와, QR(바)코드조회기(120)및,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매자단말기(30)과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무선통신망(140)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QR(바)코드조회기(120)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결제방법은 QR(바)코드에 의한 금융거래결제방법을 말한다(이하, 같다)
본 발명의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무선통신망(140), 바람직하게는 SMS망(Shot Message Service network)을 통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30)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고유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부터 입력된 QR(바)코드를 바탕으로 통신 서비스 또는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통신 서비스 및 결제관리 시스템의 서버(131)와 이에 연결된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 또는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의 서버(131)에는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에는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에는 결제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구매자 단말기(30)은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된 QR(바)코드를 수신하여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결제모드 선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QR(바)코드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는 상기와 같이 구매자단말기(30)의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30)에 조회 및 결제요청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결제서비스가입단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서비스가입신청단계로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가 결제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S311) 이때, 상기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는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신용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개인정보를 작성하여 결제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
이어서, 구매자단말기등록여부판단단계로서, 미리 등록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결제서비스 가입 신청자의 구매자단말기(30)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결제서비스 가입 절차를 종료한다.(S312, S313)
그리고, 결제서비스가입자파일생성단계로서, 상기 구매자단말기(30)이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서비스가입 신청자가 입력한 작성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결제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결제서비스 가입자 파일을 생성한다.(S314)
그 다음, QR(바)코드생성 및 송신단계로서, QR(바)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SMS망(140)을 통해 구매자단말기(30)로 전송한다.(S315, S316)
다음은 결제수단제공단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바)코드정보 수신 및 저장단계로서, 상기 구매자단말기(30)가 상기 SMS망(140)을 통해 QR(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321, S322)
이어서, 비밀번호입력단계로서,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를 조작하여 QR사용(결제)모드를 선택하면 구매자단말기(30)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323)
그리고, 비밀번호입력단계로서,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324~S325)
이때, 상기 비밀번호는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에 미리 등록시켜 놓은 것으로, 만약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구매자단말기(30)는 QR(바)코드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경고표시를 한다.(S327)
그리고, QR(바)코드정보디스플레이단계로서,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상기 구매자단말기(30)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QR(바)코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326)
여기서, 금융거래시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금융결제를 할 경우에 상기 QR(바)코드에 의하여 간편결제를 할 수 있다.(S327)
그 다음, QR(바)코드조회단계로서, 상기 QR(바)코드정보디스플레이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QR(바)코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면, 구매자단말기(30) 내에 있는 QR(바)코드조회기(120)가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에 QR(바)코드를 조회시킨다.(S327)
다음은,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실행단계로서,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상기 QR(바)코드를 입력받아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조회하여 조회결과, 그 일치여부를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 전송하면,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는 그 일치 여부에 따라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한다.(S328)
여기서, 통신서비스는 본 발명의 선순환 마케팅의 앱에 대한 로그-인이 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어서, 상기 QR(바)코드조회기(20)가 상기 조회결과를 수신하여 불일치시에는 경고표시를 한다.(S327)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선불카드 20 : 판매자 단말기
30 : 구매자 단말기 40 : 분배 DB
50 : 이익 분배서버 60 : 쇼핑몰

Claims (5)

  1.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선순환 마케팅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선순환 마케팅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지나, 이익 분배서버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생성한 후, 상기 설정된 개수로 하나의 노드에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갖는 트리구조의 단위 블록을 형성하고, 각 노드에 충전계정을 연결하여 구매이익을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분배 DB에 등록된 이전 블록에 포함된 충전계정과 상기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여 상기 분배 DB에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양 끝단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상기 단위 블록을 각각 연결시켜 대수가 형성되면 대수이익을 분배하여 상위 계층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충전계정과 트리구조로 상기 단위 블록을 연결시켜 두 개의 상기 단위 블록이 연결되어 차수가 매칭되면, 매칭이익을 분배하여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단위 블록을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상기 이전 블록과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설정된 계층의 멀티 트리구조가 형성될 경우, 직급이익을 분배하여 트리구조의 최상위 계층의 꼭지 충전계정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익 분배서버가 상기 분배 DB에 등록된 선불카드에 대해 구매자가 설정한 대표 선불카드와 연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매자가 설정한 상기 대표 선불카드는 지문형 선불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
  4. 판매자가 물품을 판매한 후 물품 판매 이익을 분배하기 위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선불카드(10)를 입력받아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이익 분배서버(50)에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20);
    이익 분배서버(50)에 등록된 선불카드(10)에 충전된 가상화폐를 조회할 수 있고, 구매자가 보유한 다수의 선불카드(10)를 설정된 대표 선불카드(10)와 연동될 수 있도록 설정한 구매자 단말기(30);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결제가 이루어져 물품을 구매할 경우,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입력받아 선불카드(10)의 카드번호를 기반으로 물품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충전계정을 생성한 후 하나의 노드에 두개의 자식을 갖는 트리구조에 충전계정을 노드로 연결하여 단위 블록을 형성하고, 구매이익을 꼭지 선불카드(10)에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는 이익 분배서버(50);
    물품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이전에 등록된 블록(이전 블록)에 포함된 선불카드(10)와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도록 등록시키는 분배 DB(40);
    무선통신망(140)과 SMS망을 통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30)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고유 QR(바)코드를 전송하고, QR(바)코드조회기(120)로부터 입력된 QR(바)코드를 바탕으로 통신 서비스 또는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고,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 시스템의 서버(131)와 이에 연결된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 또는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로 형성된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 시스템(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익 분배서버(50)는 물품 구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분배 DB(40)에 등록된 이전 블록에 포함된 선불카드(10)와 단위 블록을 트리구조로 연결시켜 하위 계층을 형성하여 분배 DB(40)에 등록시키고,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양 끝단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대수가 이루어지면 상위 계층의 꼭지 선불카드(10)에 대수이익을 분배하여 가상화폐로 충전시키고,
    상기 이익 분배서버(50)는 분배 DB(40)에 등록된 상위 계층의 최외측 내부의 선불카드(10)와 트리구조로 차수가 매칭되면, 차수가 매칭된 트리구조의 꼭지 선불카드(10)에 매칭이익을 분배하여 가상화폐로 충전시키며,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부터 QR(바)코드를 입력받아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조회하여 조회결과, 그 일치여부를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 전송하며,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는 그 일치 여부에 따라 통신서비스 및 결제서비스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에 따른 결제서비스는 금융거래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KR1020190001597A 2019-01-07 2019-01-07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97A KR102233377B1 (ko) 2019-01-07 2019-01-07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97A KR102233377B1 (ko) 2019-01-07 2019-01-07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469A true KR20200085469A (ko) 2020-07-15
KR102233377B1 KR102233377B1 (ko) 2021-03-29

Family

ID=7160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597A KR102233377B1 (ko) 2019-01-07 2019-01-07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3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05A (ko) * 2001-03-02 2002-09-10 주식회사 품아시 이익 재분배를 통한 상품 구매 방법
KR20040107289A (ko) * 2003-06-13 2004-12-20 에스케이 주식회사 구매 순서에 의한 인터넷 쇼핑몰 판매 촉진 방법 및 시스템
KR101106285B1 (ko) * 2011-03-24 2012-01-18 주식회사 다날 통합 바코드를 이용하여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80038351A (ko) * 2017-01-02 2018-04-1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인식과 연동되는 융합카드의 인증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05A (ko) * 2001-03-02 2002-09-10 주식회사 품아시 이익 재분배를 통한 상품 구매 방법
KR20040107289A (ko) * 2003-06-13 2004-12-20 에스케이 주식회사 구매 순서에 의한 인터넷 쇼핑몰 판매 촉진 방법 및 시스템
KR101106285B1 (ko) * 2011-03-24 2012-01-18 주식회사 다날 통합 바코드를 이용하여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80038351A (ko) * 2017-01-02 2018-04-16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인식과 연동되는 융합카드의 인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377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0882B2 (en) System and method of registering stored-value cards into electronic wallets
US7318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enefit recognition, acquisition, value exchange, and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using multivariable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US20150348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place software platform
US20090204500A1 (en) Online Marketplace for Sale of Discounted Stated Value Vouchers Redeemable by Vendors
JP2018041495A (ja) 拡張コマー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9102826A2 (en) Online marketplace for sale of discounted stated value vouchers redeemable by vendors
US20210350453A1 (en) Incorporating a product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US201402075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rchant-customer retail events using a financial transaction facilitation system
WO2021243159A1 (en) Incorporating reviews of a product or service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WO2022011301A1 (en) Suggestive selling on a product tree based multi-level marketing system
KR20150116141A (ko) 온라인 웹 사이트를 이용한 직거래 판매대행 및 광고 시스템
WO2022011302A1 (en) Single line tree creation by a distributor for a product based multi level marketing system
TW202209222A (zh) 用於多層次行銷之佣金之系統
KR20190090236A (ko) 가상 증표 기반의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TWI533247B (zh) Gift giving method and its system
US2022021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nding a purchase
US20140081728A1 (en) Online point redemption and distribution system
KR102233377B1 (ko) Qr코드와 연동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RU2299469C2 (ru) Система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на основе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етевых технологий с обеспечением компенсации затрат покупателей
KR101941276B1 (ko)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
KR20180031452A (ko)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실시간 흥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069B1 (ko) 공동구매 할인상품 구매시 결제 서비스 서버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영업 방법 및 시스템
JP6485504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及び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20084844A (ko) 멀티레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896A (ko) 사용자 그룹별 서비스가 가능한 신용 카드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