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210A -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210A
KR20200083210A KR1020190152642A KR20190152642A KR20200083210A KR 20200083210 A KR20200083210 A KR 20200083210A KR 1020190152642 A KR1020190152642 A KR 1020190152642A KR 20190152642 A KR20190152642 A KR 20190152642A KR 20200083210 A KR20200083210 A KR 2020008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terminal
block
job see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수
Original Assignee
김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수 filed Critical 김승수
Priority to KR102019015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3210A/ko
Publication of KR2020008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구직자들의 개인정보의 보호와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구인자들 또는 구직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구직자 단말기 및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구직 관련 정보 및 구인 관련 정보를 각각 블록으로 생성하고, 블록의 생성 및 검증을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노드로 구성되어 복수의 블록을 분산 장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생성된 블록에 기초하여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OCATIONAL APTITUDE EVALUATION AND EMPLOYEE RECUITMENT BASED ON BLOCKCHAIN}
본 개시는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력채용 서비스와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경력정보, 학력정보, 직업적성평가 결과 등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이에 기초하여 효율적인 인력채용과 직업적성평가를 실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은, 네트워크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내용을 신뢰성 있고 안전한 방법으로 기록하고 저장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디지털화된 자산이나 거래내역(transaction)의 교환이 가능한 분산 환경의 시스템으로, 공유된 장부(ledger)를 이용하여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전자적 거래 내역의 이력을 기록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탈중앙화된 또는 분산된 합의 프로토콜(decentralized consensus mechanism)을 이용한다.
특히, 네트워크 상의 모든 검증 노드(validating node)는 동일한 거래내역에 대해 동일한 (또는 합의된) 합의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그 거래내역을 승인(또는 비승인)한다. 블록체인 P2P 네트워크는, 이러한 탈중앙화된 구조와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거래내역의 위변조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어, 거래 내역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인력채용 서비스는, 구직자들이 제공하는 각 개인의 학력, 경력, 신상정보, 자기소개서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구인자들(예를 들어, 직원 채용을 원하는 기업들의 인사채용 담당자들)이 제공하는 채용조건들에 따라 적절한 구직자들을 매칭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인력채용 서비스에서는, 구직자들이 실행한 직업적성평가의 결과를 구인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구인자들이 원하는 채용조건에 맞는 인재들을 좀 더 효과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인력채용 서비스는, 구직자들이 제공하는 개인정보를 구인자들에게 특별한 제한없이 제공하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보호를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구인자들 또는 구직자들이 제공한 각종 정보들에 잘못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이를 검증하기 어렵고, 구인자들 또는 구직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어렵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6090호 '인력 채용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직자들의 개인정보의 보호와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구인자들 또는 구직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은 구직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구직자 단말기; 구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구인자 단말기;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구인자 단말기로 인력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 및 구인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구인자 단말기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각 제1 노드 및 제2 노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여 블록의 생성 및 검증을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노드로 구성되어 복수의 블록을 분산 장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일 노드에서 생성된 블록을 복제하여 상기 일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분산 장부 관리하되, 상기 제1 노드는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하고,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제2 노드는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구직자 단말기로 제공한 직업적성평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생성하고,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값을 수신하여 분석한 직업적성평가 결과값 정보에 대한 제4 블록을 생성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은 상기 제1 블록 내지 제4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정보가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및 직업적성평가에 대한 결과 등과 같은 개인정보 또는 기밀정보를 포함하는 중요정보인 경우, 상기 제1 노드 또는 제2 노드는 해당 블록을 생성시,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고유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중요정보 또는 상기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 또는 해쉬값을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요청시, 해당 블록을 생성한 노드는 분산 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복호화하여 전송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은 제1 노드 또는 상기 제2 노드는 암호화를 실행하는데 있어, PKI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 단말기 또는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대한 고유한 상기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상기 중요정보 또는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포함하는 상기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저장소에 기록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은 제1노드는, 상기 개인키를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개인키가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은 상기 중요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 노드는, 상기 중요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은 타 노드로부터 보상을 지급받으며, 상기 중요정보를 구직자 단말기 또는 구인자 단말기가 제공한 경우, 구직자 단말기 또는 구인자 단말기로 보상을 지급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방법은 구직자 단말기가 구직자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구인자 단말기가 구인자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인력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블록을 분산 장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직업적성평가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 제공한 직업적성평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값을 수신하여 분석한 직업적성평가 결과값 정보에 대한 제4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직업적성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 내지 제4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정보가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및 직업적성평가에 대한 결과 등과 같은 개인정보 또는 기밀정보를 포함하는 중요정보인 경우,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해당 블록을 생성 시,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고유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중요정보 또는 상기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 또는 해쉬값을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요청 시 해당 블록을 생성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분산 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를 실행하는데 있어, PKI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 단말기 또는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대한 고유한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상기 중요정보 또는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저장소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개인키를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개인키가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직자들의 개인정보를 비롯하여 구직자 및 구인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충분히 보호받을 수 있으며, 구인자들 또는 구직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에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이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는 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란 사용자가 접속하여 정보(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하며,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적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더욱이,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서버의 기능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DB가 포함될 수 있으며,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은 구직자 단말기(120), 구인자 단말기(140),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를 포함한다.
구직자 단말기(12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구직자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구직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구직 관련 정보에는 구직자 본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학력, 경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구인자 단말기(14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구인자(예를 들어, 인력채용을 원하는 기업체의 인재채용 담당자)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구인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구인 관련 정보에는 직무에 필요한 기술, 언어능력, 경력사항, 자격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직자 단말기(120)와 구인자 단말기(140)는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단말을 의미하며,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포함된다.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는 각각 구직자 및 구인자로부터 입력받은 구직 관련 정보 및 구인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게 전송한다.
이때, 네트워크(15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무선 망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tooth), Wi-Fi(Wireless Fidelity), 비콘(Beacon)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인력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 및 구인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란 구직자 단말기(120) 또는/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제공되는 화면, 메뉴 등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직자 단말기(120)로 채용공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공되는 채용공고 화면은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수집된 구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인자 단말기(120)로 구직자현황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공되는 구직자현황 화면은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집된 구직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직자 단말기(120)로 이력서 작성 메뉴를 제공하고,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성명, 주민등록번호, 성별, 생년월일, 결혼여부, 신입/경력 여부,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학력사항, 경력사항, 보유 자격증, 어학능력, 컴퓨터 능력 등을 전송받아 이력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직자 단말기(120)로 자기소개서 작성 메뉴를 제공하고,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자유로운 자기소개를 전송받아 자기소개서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수집된 구인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자기소개서 항목을 생성하여 구직자 단말기(120)로 제공한 다음, 해당 자기소개서 항목에 대한 자기소개를 전송받아 자기소개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전송받을 시, 해당 구인자가 속한 기업체의 정보(예를 들어, 인재상, 복리후생, 연봉 정보 등)을 수집하여 채용공고 화면과 연계될 수 있도록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인자 단말기(140)로 채용공고 관리, 채용공고 설정, 전형관리, 지원자 통계, 합격자 통계 등과 같은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와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었으나,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의 일부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와 하나의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가 도시되었으나, 둘 이상의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 또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가 네트워크(15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구직자 단말기(120)로 임의의 직업적성평가지를 제공하여 그에 따른 답변을 전송받을 수 있음은 물론,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제공받은 직업적성평가지 또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가 보유하고 있는 여러 직업적성평가지 중 구인자 단말기(140)에 의해 선택된 직업적성평가지를 구직자 단말기(120)로 제공하여 그에 따른 답변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지원한 모든 구직자 단말기(120)에 대하여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소정의 전형(예를 들어, 서류전형)을 통과한 구직자 단말기(120)에 대하여만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직자 단말기(120)로 제공되는 직업적성평가지는 개인의 성격 및 행동, 대인관계 능력, 직무의 적합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여러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하여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답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제공받은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직업적성평가 결과를 도출해낸 다음, 구인자 단말기(140)로 직업적성평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인자 단말기(140)로 제공되는 직업적성평가 결과는 여러 진단항목에 대하여 점수, 해당 점수에 대한 해석, 그리고 여러 진단항목에 대한 결과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프 등일 수 있다.
또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직업적성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직업적성평가를 실시한 전체 구직자 단말기(120) 중 순위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접 전형 진행시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200)의 개략도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의 생성 및 검증을 실행할 수 있으며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노드(220)로 구성되어 복수의 블록을 분산 장부 관리하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복수의 노드(220) 중 하나의 노드, 즉 제1 노드로 구성되고,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복수의 노드(220) 중 다른 하나의 노드, 즉 제2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노드(220)는 블록의 생성 및 검증을 실행할 수 있는 계산 처리 능력을 갖는 컴퓨팅 장치이다.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블록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 블록의 생성 및 검증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는 제1 노드에 구직 관련 정보 및 구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노드의 계산 처리 능력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인력채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는 제2 노드의 계산 처리 능력에 의해 제공되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200)의 기능 또는 구성요소들을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200)의 기능 또는 구성요소들 중에서, 앞서 상술한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부재번호 또는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변경 또는 추가적인 부분만 설명할 수 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시스템(200)은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기록, 유지 또는 업데이트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10)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10)는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기록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이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블록체인 네트워크(210)의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노드(220)에 동일하게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210)는 일 노드(220)에서 생성된 블록을 복제하여 일 노드(220)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220)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분산 장부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노드는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구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는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구직자 단말기(120)로 제공한 직업적성평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값을 수신하여 분석한 직업적성평가 결과값 정보에 대한 제4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통해 생성된 제1 블록 내지 제4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블록은 다른 노드(220)에 블록으로 기록된다.
한편, 블록으로 생성된 정보는 그 자체가 블록으로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정보가 암호화된 형태로 블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블록 내지 제4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정보가 중요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직업적성평가에 대한 결과 등과 같은 개인정보 또는 기밀정보)인 경우, 제1 노드 또는 제2 노드는 해당 블록을 생성시, 중요정보 또는 상기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 또는 해쉬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쉬값을 참조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 및 유지되는 모든 블록은 노드(220)들에 복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형 데이터 저장 방식을 통해 모든 노드(220)가 정보를 공유하고 검증하게 되는 바, 데이터의 위조나 변조를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일 노드(220)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요청시, 해당 블록을 생성한 노드는 분산 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복호화하여 전송한다. 일 예로, 제2 노드가 구직자의 주민등록번호 정보를 제1 노드로 요청하는 경우, 주민등록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한 제1 노드는 분산 장부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주민등록번호 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주민등록번호를 복호화하여 제2 노드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중요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 노드는, 중요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은 타 노드로부터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중요정보를 구직자 단말기(120) 또는 구인자 단말기(140)가 제공한 경우, 구직자 단말기(120) 또는 구직자 단말기(140)로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보상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유지되는 암호화 화폐의 형태일 수 있으며, 해당 노드(220)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 서버가 발행하는 가상 화폐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2 노드가 구직자의 주민등록번호 정보를 제1 노드로 요청하여 전송받은 경우, 주민등록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 제1 노드는 제2 노드로부터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제1 노드는 주민등록번호 정보를 제공한 구직자 단말기(120)로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에 도시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 포함될 수 있는 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인구직 DB(162), 통신부(166), 프로세서(16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8)는 구직자 단말기(120) 또는/및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수집되는 구인 관련 정보 또는/및 구직 관련 정보를 통해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구인구직 DB(162)에 저장하거나,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등의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68)는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 중에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를 보호하기 위한 암호화를 실행하고, 암호화된 중요정보를 구인구직 DB(162)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를 실행하는데 있어, PKI(public-key-infrastructure)를 포함하는 적절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으며, PKI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프로세서(168)는 구직자 단말기(120)/구인자 단말기(140) 또는 구직자/구인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아이디(ID))에 고유한 개인키/공개키를 생성하고, 중요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중요정보 또는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저장소(164)에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68)에 의해 생성된 개인키는 구인자 단말기(120)/구직자 단말기(140)로 전송되어 구인자 단말기(120)/구직자 단말기(140)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인자 단말기(120)/구직자 단말기(140) 또는 구직자/구인자의 식별정보에 고유한 개인키/공개키가 프로세서(168)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기능은 구인자 단말기(120)/구직자 단말기(14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6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과 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인자 및 구인자에게 적합한 매칭 정보에 대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매칭 정보에 대한 블록은, 수집한 구직 관련 정보 및 구인 관련 정보만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 제2 노드로부터 직업적성평가 결과값을 전송받아 이를 기초로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8)는 매칭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120) 또는/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제공하여 채용이 성사되는 경우, 해당 구직자의 개인 경력 정보에 구인자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구인자 단말기(140)로는 해당 구직자로부터 수집된 구직 관련 정보 중 일부(예를 들어, 주소, 전화번호, 자격증 사본 등)을 전달하여 해당 기업체의 인사 DB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력채용 및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구직자 단말기(120)가 구직자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S410)와, 구인자 단말기(140)가 구인자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S410) 단계 이후 (S420)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420) 단계 이후 (S410)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S410) 단계와 (S420)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구직자로부터 수신받는 구직 관련 정보는 구직자 본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학력, 경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구인자로부터 수신받는 구인 관련 정보는 직무에 필요한 기술, 언어능력, 경력사항, 자격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S430) 단계에서,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인력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구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하고,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구직 관련 정보 또는/및 구인 관련 정보를 제공한 구직자 단말기(120) 또는/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이후, (S440) 단계에서, 복수의 블록을 분산 장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와 연결되어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직업적성평가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직업적성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구직자 단말기(120)로 제공한 직업적성평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구직자 단말기(120)로부터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값을 수신하여 분석한 직업적성평가 결과값 정보에 대한 제4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 제1 블록 및 제2 블록에 포함된 중요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았을 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이후, (S450) 단계에서,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로부터 직업적성평가 결과를 전송받아, 이에 기초하여 적합한 구직자와 구인자를 매칭하여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로 매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직업적성평가 결과를 전송받음에 있어,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180)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으며, 매칭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구직자 단말기(120) 및 구인자 단말기(140)로부터 보상을 지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은 구직자들의 개인정보를 비롯하여 구직자 및 구인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충분히 보호받을 수 있으며, 구인자들 또는 구직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에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이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는 바, 채용비리 등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채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20 : 구직자 단말기
140 : 구인자 단말기
160 :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162 : 구인구직 DB
164 : 블록체인 저장소
166 : 통신부
168 : 프로세서
180 :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
210 : 블록체인
220 : 노드

Claims (3)

  1. 구직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구직자 단말기;
    구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구인자 단말기;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인력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 및 구인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인력채용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직업적성평가를 도출해낸 다음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직업적성평가 결과를 전송하며,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직업적성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직업적성평가를 실시한 상기 구직자 단말기 중 순위를 부여하고 면접 진행 시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하고,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각 제1 노드 및 제2 노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를 포함하여 블록의 생성 및 검증을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노드로 구성되어 복수의 블록을 분산 장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 제공한 직업적성평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값을 수신하여 분석한 직업적성평가 결과값 정보에 대한 제4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블록 내지 상기 제4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정보가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및 직업적성평가에 대한 결과 등과 같은 개인정보 또는 기밀정보를 포함하는 중요정보인 경우,
    상기 제1 노드 또는 상기 제2 노드는 해당 블록을 생성시,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고유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중요정보 또는 상기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 또는 해쉬값을 상기 블록에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요청 시, 해당 블록을 생성한 노드는 분산 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복호화하여 전송하며,
    상기 제1 노드 또는 상기 제2 노드는 암호화를 실행하는데 있어, PKI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 단말기 또는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대한 고유한 상기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상기 중요정보 또는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포함하는 상기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저장소에 기록하며,
    상기 제1노드는, 상기 개인키를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개인키가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 노드는,
    상기 중요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은 타 노드로부터 보상을 지급받으며,
    상기 중요정보를 상기 구직자 단말기 또는 상기 구인자 단말기가 제공한 경우, 상기 구직자 단말기 또는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보상을 지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3. 구직자 단말기가 구직자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구인자 단말기가 구인자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인력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구직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구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블록을 분산 장부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로 직업적성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직업적성평가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 제공한 직업적성평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직업적성평가지에 대한 답변값을 수신하여 분석한 직업적성평가 결과값 정보에 대한 제4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직업적성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직자 단말기 및 상기 구인자 단말기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 내지 제4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정보가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및 직업적성평가에 대한 결과 등과 같은 개인정보 또는 기밀정보를 포함하는 중요정보인 경우, 상기 인력채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해당 블록을 생성 시,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고유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여 중요정보 또는 상기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 또는 해쉬값을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요청 시 해당 블록을 생성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분산 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중요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복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를 실행하는데 있어, PKI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 단말기 또는 상기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식별정보에 대한 고유한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중요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상기 중요정보 또는 중요정보의 해쉬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저장소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직업적성평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개인키를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개인키가 상기 구인자 단말기 및 상기 구직자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방법.
KR1020190152642A 2019-11-25 2019-11-25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3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42A KR20200083210A (ko) 2019-11-25 2019-11-25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42A KR20200083210A (ko) 2019-11-25 2019-11-25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551 Division 2018-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210A true KR20200083210A (ko) 2020-07-08

Family

ID=7160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42A KR20200083210A (ko) 2019-11-25 2019-11-25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32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6956A (zh) * 2021-03-18 2021-06-15 四川跨客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联盟链合约技术的职业能力评估系统和方法
KR102518917B1 (ko) * 2022-10-26 2023-04-10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8925B1 (ko) * 2022-11-30 2023-05-03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사용자의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090A (ko) 2005-12-14 2007-10-02 인천상공회의소 인력 채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090A (ko) 2005-12-14 2007-10-02 인천상공회의소 인력 채용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6956A (zh) * 2021-03-18 2021-06-15 四川跨客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联盟链合约技术的职业能力评估系统和方法
KR102518917B1 (ko) * 2022-10-26 2023-04-10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90984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8925B1 (ko) * 2022-11-30 2023-05-03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사용자의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WO2024117666A1 (ko) * 2022-11-30 2024-06-06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사용자의 nft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6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collaboration and annotation-based action creation and management
KR2020008321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직업적성평가 및 인력채용 시스템 및 방법
Lopez et al. " Hopefully We Are Mostly Secure": Views on Secure Code in Professional Practice
Brotherston et al. Defensive security handbook
Diamantopoulou et al. An assessment of privacy preservation in crowdsourcing approaches: Towards GDPR compliance
Korać et al. A model of digital identity for better information security in e-learning systems
Chigada et al. Exploring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implications posed by BYOD for a financial services firm
Huck et al. Wake up digital forensics’ community and help combat ransomware
Shelton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Cyber Security Practitioners' Turnover Intentions
Ron et al. Cybersecurity baseline, an exploration, which permits to delineate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in ecuador
Bekkevik et al. Information security practices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on challenges and related measures
Erickson et al. Designing cybersecurity curriculum: Exploring the need for industry certifications and experiential learning.
WO2020096109A1 (ko) 블록체인 기반 사업계획서의 유통 관리방법, 서버 및 시스템
Kaijankoski Cybersecurity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ublic–private sector agencies
KR20200086398A (ko) 블록체인 기반의 인력채용 및 경력 검증 시스템 및 방법
Hommel et al. Information security risk managemen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rom processes to operationalization
Ward et al. Using human factor approaches to an organisation’s bring your own device scheme
Hoolachan et al. Organizational handling of digital evidence
Lewis A delphi study to address cybersecurity requirements for defense contractors in the acquisition process
Madison Challenges with funding of information security projects per threat perceptions: A qualitative case study
Jennex et al. Integrating IS Security With Knowledge Management: What Can Knowledge Management Learn From IS Security Vice Versa?
Nampanda Identifying Best Practices for Security in Patient Health Information Systems (E-health Solutions) in Resource Limited Setting: Malawi Case on Establishment of National Health Data Repository Centre
Høiland " Not My Responsibility!"-A Comparative Case Study of Organizational Cybersecurity Subcultures
Trindade et al. Privacy and Cyber-Security Using Information Systems: A Proposal fo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Peltsverger et al. Defining a framework for teaching privacy in information assurance curricul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