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197A - Box-type container holder - Google Patents

Box-type container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197A
KR20200083197A KR1020190135094A KR20190135094A KR20200083197A KR 20200083197 A KR20200083197 A KR 20200083197A KR 1020190135094 A KR1020190135094 A KR 1020190135094A KR 20190135094 A KR20190135094 A KR 20190135094A KR 20200083197 A KR20200083197 A KR 20200083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haped container
holder
holding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영유 장
기미타케 쇼지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1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Obtained is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which allows easy maintenance and convenient retrieval of articles.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box-shaped container having a pair of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ncludes a holder body (10) which is at least partially made of an elastic member and can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on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a permanent magnet body (30) accommodated in the holder body (10).

Description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 {BOX-TYPE CONTAINER HOLDER}Holder for box-type containers {BOX-TYPE CONTAINER HOLDER}

본 발명은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종래, 낚시용 물품으로서, 예를 들어 낚시찌를 개별 수납할 수 있는 상자형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케이스 본체에 칸막이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케이스 본체의 저부 및 덮개의 양 내면에 쿠션재가 설치되어 있다.Conventionally, as an article for fishing, for example, a box-shaped container capable of individually storing fishing floats is known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In patent document 1, a partition is provided in the case body, and cushioning materials are provided on both the bottom of the case body and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ver.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57133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0-157133

그런데, 낚시용 물품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에 넣거나 주머니에 넣거나 하여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이와 같은 물품의 관리에서는, 실제 낚시 시 등에 케이스나 주머니를 열고 속으로부터 일일이 물품을 꺼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과제가 있었다.By the way, in order to prevent a fishing article from being lost, it is often managed by putting it in a case or putting it in a pocket. On the other hand, in the management of such a produ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since it is necessary to open the case or pocket and take out the item from the inside during actual fishing.

이 경우, 필요한 물품을 미리 속으로부터 꺼내 두는 대응도 고려되지만, 그렇게 하면 낚시터에서 물품을 분실할 리스크가 높아진다.In this case, the countermeasure to take out the necessary items from the inside in advance is also considered, but doing so increases the risk of losing the items on the fishing ground.

본 발명은, 물품의 관리가 용이함과 함께, 물품의 꺼냄 특성이 우수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which is easy to manage an article and has excellent take-out characteristics.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 상자형 용기에 설치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다.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에 끼움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구 본체와,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에 수용된 영구 자석체를 구비하고 있다.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olves such a problem is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provided in a box-shaped container having a pair of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formed with an elastic member at least partially, and is provided with a holder body that can be fitted to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a permanent magnet body accommodated in the holder body.

본 발명에서는, 보유 지지구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이용하여, 보유 지지구 본체를 한 쌍의 측면 사이에 압입하여 상자형 용기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영구 자석체의 자력에 의해 설치 떼어내기 가능하게 물품을 보유 지지구 본체에 흡착시킴으로써, 상자형 용기에 물품을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관리가 용이함과 함께, 물품의 꺼냄 특성이 우수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holding member main body elastically deformed, the holding member main body can be press-fitted between a pair of side surfaces and installed in a box-shaped container. Then, the article can be held in a box-shaped container by adsorbing the article to the holder main body so that it can be remov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he product is easy and the taking-out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 is excellent.

또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에는, 상기 각 측면에 맞닿아 탄성 변형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측면에 돌기부가 압박되어, 보유 지지구 본체의 보유 지지성이 높아진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body is formed with protrusions that are elastically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By constituting in this way, the protruding portion is pressed against the side surface, and the holding property of the holding body is increased.

또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의 외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스페이스의 크기에 따라, 슬릿이 적절하게 폐쇄된다. 따라서, 수용 스페이스의 크기가 달라도 원하는 설치 고정력이 얻어진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l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body. 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slit is appropriately clo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the pair of side surfaces. Therefore, even if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different, a desired installation fixing force is obtained.

또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영구 자석체를 수용하는 수용실과,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실에 연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유 지지구 본체 내에 영구 자석체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수용실에 대한 영구 자석체의 출입도 가능해진다. 이로써, 다른 자력의 영구 자석체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 the holding body, the receiving chamber for receiving the permanent magnet body,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body, and has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chamber, and a cover for closing the opening It is preferr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ermanent magnet body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holding body.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over to be removable, entry and exit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into the accommodation chamber is also possible. Thereby,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o a permanent magnet body of a different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수용실의 저부측의 두께 및 상기 수용실의 덮개측의 두께 중, 한쪽 두께는 두께가 두껍고, 다른 쪽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용실의 저부측 또는 수용실의 덮개측에 영구 자석체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측면에 대한 보유 지지구 본체의 배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자력의 강약이 가변된다. 이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Further, of the thickness on the bottom side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thickness on the lid side of the storage chamber, it is preferable that one thickness is thick and the other thickness is thin.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ermanent magnet body can be dis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storage chamber or the lid 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magnetic force is vari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olding body for the pair of side surfaces. This improves usability.

또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영구 자석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마크가 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마크를 눈으로 봄으로써, 보유 지지구 본체에 있어서의 자력이 강한 측 또는 자력이 약한 측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ark for specifying th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in the holding body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body. 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side with a strong magnetic force or the side with a weak magnetic force in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can be confirmed by looking at a mark visually. Therefore, ease of use is improved.

또한, 상기 수용실을 형성하고 있는 내면 중 적어도 상기 덮개에 접촉하는 내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용실 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덮개를 고정하는 경우에, 홈부 내에 침입한 여분의 접착제에 의해 앵커 효과가 얻어진다. 이로써 덮개의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accommodating chamber in contact with the cover.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ver is fixed by using the adhesive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the anchor effect is obtained by the excess adhesive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groove. This improves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cover.

본 발명에서는, 물품의 관리가 용이함과 함께, 물품의 꺼냄 특성이 우수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가 얻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excellent in the taking-out characteristics of an article is obtained while the article is easily manag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하면을 상측으로 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하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하면을 상측으로 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하게 도 4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영구 자석체를 떼어낸 상태의 수용실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수용실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동일하게 도 11의 (a)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수용실에 영구 자석체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동일하게 도 11의 (a)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수용실에 영구 자석체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설치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동일하게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의 (a) 내지 (e)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기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in the same way.
Fig. 3 is a view showing the holder for the box-like container in the same way,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side view, and (d) is a bottom view.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in the same way.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ceiving chamber in a state where the permanent magnet body is removed in the same section along the line IV-IV in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imilarly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7 is a perspective view similarly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holder for a box-like container.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holder for the box-like container,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and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eiving chamber.
Fi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ermanent magnet body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line XI-XI in Fig. 11(a).
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ermanent magnet body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line XI-XI in Fig. 11(a).
14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body of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top view, and (b) is a front view.
Fig. 15 is a partially sectional perspective view similarly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Fig. 16 is a view showing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and (b)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17A to 17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other modified examples of 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를 말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each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par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When referring to "up and d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FIG.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는, 보유 지지구 본체(10)와, 보유 지지구 본체에(10)에 형성된 수용실(20)(도 2 참조)과, 수용실(20)에 수용된 영구 자석체(30)(도 2 참조)와, 덮개(40)(도 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ncludes a holding body 10 and a receiving chamber 20 formed in the holding body 10 (see Fig. 2). , A permanent magnet body 30 (see FIG. 2)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0 and a cover 40 (see FIG. 2) are provided.

보유 지지구 본체(10)는, 전방면(11), 후방면(12), 좌측면(13), 우측면(14), 상면(15) 및 하면(16)을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구 본체(10) 및 덮개(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 예를 들어 고경도의 고무 부재나 수지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the front surface 11, the rear surface 12, the left surface 13, the right surface 14, the upper surface 15, and the lower surface 16.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 and the cover 40 are formed from the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for example, a high hardness rubber member or a resin member.

전방면(11), 후방면(12), 좌측면(13), 우측면(14)의 각 면은, 도 3의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산형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즉, 각 면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는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Each surface of the front face 11, the rear face 12, the left face 13, and the right face 14, as shown in each figure in FIG. 3, is inclined gently in a mountain shape toward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at is,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each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side.

보유 지지구 본체(10)는 전방면(11) 및 후방면(12)이 내부를 향해 중앙부가 오목하고, 만곡 오목형으로 잘록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방면(1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돌기부(11a, 1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면(1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돌기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The retainer main body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front face 11 and the rear face 12 are concave toward the inside and concave in a curved concave shape. Therefore, projections 11a and 11b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urface 11. Further, projections 12a and 12b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12.

각 돌기부(11a, 11b, 12a, 12b)는 후기하는 상자형 용기(100)(도 6, 도 7 참조)의 한 쌍의 리브(121, 121)의 각 측면에 맞닿아 탄성 변형 가능하다.Each projection (11a, 11b, 12a, 12b) is elastically deformable by touching each side of the pair of ribs (121, 121)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see Figs. 6, 7) to be described later.

좌측면(13) 및 우측면(14)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7)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7)은 좌측면(13) 및 우측면(14)에 총 3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면에 있어서 슬릿(17)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릿(17)을 형성함으로써, 좌측면(13) 및 우측면(14)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단축)되기 쉽게 되어 있다.On the left side 13 and the right side 14, slits 17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A total of three slits 17 are formed on the left side 13 and the right side 14. The slits 17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each surface. By forming the slit 17, the left side 13 and the right side 14 are prone to elastic deformation (shorten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면(15)의 중앙부에는 마크(M1)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상면(15)은 마크(M1)를 제외한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A mark M1 is concave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5. The upper surface 15 is formed in a flat portion except for the mark M1.

하면(16)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실(20)의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부(20a)가 개구되어 있다. 수용실(20)은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내측에, 저벽(22)과 내벽(23)으로 구획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련되어 있다. 수용실(20) 내에는 영구 자석체(30)와 덮개(40)가 수용된다.As shown in FIG. 2, the lower surface 16 has an opening 20a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0. The accommodating chamber 20 is provided by forming a spac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artitioned by the bottom wall 22 and the inner wall 23 inside the holding body 10.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and the cover 40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0.

수용실(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 방향으로 깊게 형성되어 있고, 수용실(20)의 저벽(22)의 하면에 영구 자석체(30)의 상면(31)을 맞닿게 하면, 영구 자석체(30)는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중심부(O1)에 대하여 상면(15)측에 편위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The storage chamber 20 is deeply formed in a concav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and abuts the upper surface 31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22 of the storage chamber 20. When the lower surface,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disposed at a comfortable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15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1 of the holding body 10.

수용실(20)의 내벽(23) 중, 덮개(40)가 접촉하는 내벽(23)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홈부(21)끼리는 부분적으로 교차하고 있다.Among the inner walls 23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0,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2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walls 23 in contact with the cover 40 (see Fig. 2). The grooves 21 partially intersect.

또한, 내벽(2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 덮개(40)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부측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inner wall 23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ed lid 40 widens toward the opening side.

영구 자석체(30)는 수용실(20)의 저벽(22)측(도 4 참조)에 들어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덮개(40)는 영구 자석체(30)에 이어서 수용실(20)에 수용되는, 외형상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The permanent magnet body 30 exhibit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at enters the storage chamber 20 on the bottom wall 22 side (see FIG. 4 ). In addition, the cover 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20 following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덮개(40)의 하면(41)은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하면(16)과 대략 동일 평면이다. 덮개(40)의 하면(41)의 중앙부에는 마크(M2)가 볼록 형성되어 있다. 하면(41)은 마크(M2)를 제외한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40)는 저벽(22)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수용실(20) 내에 있어서 저벽(22)과의 사이에 영구 자석체(30)를 끼움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surface 41 of the lid 40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lower surface 16 of the holding body 10. The mark M2 is convex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41 of the cover 40. The lower surface 41 is formed in a flat portion except for the mark M2. The cover 40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bottom wall 22 and serves to sandwich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between the bottom wall 22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0.

이로써, 마크(M2)가 볼록 형성되어 있는 하면(16)은, 마크(M1)가 오목 형성되어 있는 상면(15)보다도 자력이 약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크(M1, M2)를 눈으로 봄으로써, 자력의 강약을 인식할 수 있다.Thereby, the lower surface 16 where the mark M2 is convex has a weaker magnetic force than the upper surface 15 where the mark M1 is concave. Therefore, the user can recogniz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magnetic force by looking at the marks M1 and M2 with eyes.

덮개(40)의 측면(42)은, 수용실(20)의 내벽(23)에 대응하여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ide surface 42 of the lid 40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23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0.

덮개(40)의 내측에는 덮개(40)의 상면(43)에 개구되는 2개의 오목부(44, 44)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40)의 상면(43)은 영구 자석체(30)의 하면(32)에 맞닿아 있다.Inside the cover 40, two recesses 44 and 44 that are opened on the upper surface 43 of the cover 40 are formed. The upper surface 43 of the cover 4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32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덮개(40)는 수용실(20) 내에 접착제로 고정해도 되고, 수용실(2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lid 40 may be fixed with an adhesive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20, or may be configured to be remov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chamber 20.

이어서,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use of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를 설치하기 위한 상자형 용기(100)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덮개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120)의 내측에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리브(12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기립 설치되어 있다. 상자형 용기(100)는 낚시용 태클 케이스로서 사용된다.As shown in FIG. 6, the box-shaped container 100 for installing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and a cover portion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main body portion 110 ( 120). Inside the lid part 120, a plurality of ribs 121, which enable the installation of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provided stan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box-shaped container 100 is used as a tackle case for fishing.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를 설치할 때에는, 대향하는 복수의 리브(121, 121) 중, 임의의 리브(121, 121)를 선택하여, 이것들 사이에 손가락으로 압입한다. 그렇게 하면,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의 돌기부(11a, 11b, 12a, 12b)가 대향하는 리브(121)의 측면에 각각 맞닿아 보유 지지구 본체(10)가 탄성 변형되고, 리브(121, 121) 사이에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가 탈락 불능으로 보유 지지된다.When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provided, any of the ribs 121 and 121 among the opposing plural ribs 121 and 121 is selected, and a finger is pressed between them. Then, the holding body 10 is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ribs 121, where the protrusions 11a, 11b, 12a, and 12b of the holding container 1 for the box-shaped container face each other. Between (121, 121),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held non-removable.

이 경우,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의 상면(15)을 본체부(110)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자력이 강한 상면(15)이 덮개부(120)의 내측에 노출되므로, 공구 등이 크고 중량이 있는 플라이어 등의 물품(B2)을, 덮개부(120)의 내측에 흡착하여 배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by directing the upper surface 15 of the holder 1 for the box-shaped container toward the main body portion 110 side, the upper surface 15 with strong magnetic force is exposed inside the lid portion 120, such as a tool. This large and heavy article (B2) such as a plier can be placed by adsorbing it on the inside of the lid part (120).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의 상면(15)을 덮개부(120)의 천장판(122)을 향하게 함으로써, 자력이 약한 하면(16)이 덮개부(120)의 내측에 노출되므로, 바늘이나 스프린트 링 등의 작은 물품(B1)을, 덮개부(120)의 내측에 흡착하여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contrary to this, by lowering the upper surface 15 of the holder 1 for the box-shaped container toward the ceiling plate 122 of the lid portion 120, the lower surface 16 with weak magnetic force is the lid portion 120 Since it is exposed on the inside, a small article B1, such as a needle or a sprint ring, can be disposed by adsorbing on the inside of the lid part 120.

또한, 이와 같이,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의 상면(15)을 덮개부(120)의 천장판(122)을 향하게 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122)의 상면측에 플라이어 등의 물품(B2)을 직접 보유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eiling plate 122, as shown in FIG. 7, is made by directing the upper surface 15 of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toward the ceiling plate 122 of the lid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an article (B2) such as a plier can be directly held.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에서는, 한 쌍의 리브(121, 121) 사이에 설치할 수 있고, 영구 자석체(30)의 자력에 의해, 설치 떼어내기 가능하게 물품(B1), 물품(B2)을 보유 지지구 본체(10)에 흡착시킴으로써, 상자형 용기(100)의 덮개부(120)에 물품(B1, B2)을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품(B1, B2)의 관리가 용이함과 함께, 물품(B1, B2)의 꺼냄 특성이 우수하다.In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can be installed between a pair of ribs 121 and 121, and the article can be remov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B1) By adsorbing the article (B2) to the holding body (10), the articles (B1, B2) can be held on the lid portion 12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he articles B1 and B2 is easy, and the taking out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B1 and B2 are excellent.

또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는 떼어내어 몇 번이든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can be removed and used any number of times.

또한,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설치 시에 한 쌍의 리브(121, 121)의 측면에 돌기부(11a, 11b, 12a, 12b)가 압박되므로, 보유 지지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사용 시에 배의 진동 등을 받아도 간단하게 탈락하는 경우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ding portions 11a, 11b, 12a, and 12b are pressed against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ribs 121 and 121 when the holding body 10 is installed, the holding property is enhanced. Therefore, even when subjected to ship vibration or the like during use, there is no case in which it is simply eliminated.

또한,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설치 시에는, 한 쌍의 리브(121, 121) 사이의 크기(수용 스페이스의 크기)에 따라, 슬릿(17)이 적절하게 폐쇄된다(보유 지지구 본체(10)가 압축됨). 따라서, 수용 스페이스의 크기가 달라도 원하는 설치 고정력이 얻어진다.Moreover, when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 is installed, the slit 17 is suitably closed according to the size (size of accommodation space) between a pair of ribs 121 and 121 (holding support body ( 10) is compressed). Therefore, even if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different, a desired installation fixing force is obtained.

또한, 다양한 수용 스페이스에 설치할 수도 있다.Moreover, it can also be installed in various accommodation spaces.

또한, 수용실(2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체(3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40)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영구 자석체(30)의 출입도 가능하다. 이로써, 다른 자력의 영구 자석체(30)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chamber 20 is provided,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over 40 to be removable,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can also be brought in and out. Thereby,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o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of a different magnetic force.

또한, 수용실(20)의 저벽(22)측(보유 지지구 본체(10)의 중심부(O1)로부터 편위한 위치)에 영구 자석체(30)가 배치되므로, 한 쌍의 리브(121, 121)에 대한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배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자력의 강약이 가변된다. 이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disposed on the bottom wall 22 side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0 (a position away from the center O1 of the holding support body 10), a pair of ribs 121, 121 By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magnetic force is varied. This improves usability.

또한, 수용실(20)에 수용된 영구 자석체(30)가 녹슬기 어렵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0 is difficult to rust.

또한, 마크(M1, M2)를 눈으로 봄으로써, 보유 지지구 본체(10)에 있어서의 자력이 강한 측 또는 자력이 약한 측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Further, by visually viewing the marks M1 and M2,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side having a strong magnetic force or the side having a weak magnetic force in the holding body main body 10. Therefore, ease of use is improved.

또한, 수용실(20)의 내벽(23) 중 적어도 덮개(40)에 접촉하는 내벽(23)에는 홈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실(20) 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덮개(40)를 고정하는 경우에, 홈부(21) 내에 침입한 여분의 접착제에 의해 앵커 효과가 얻어진다. 이로써 덮개(40)의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groove portion 21 is formed at least on the inner wall 23 of the inner wall 23 of the receiving chamber 20 that contacts the lid 40, the adhesive 40 is used in the receiving chamber 20 to use the lid 40. In the case of fixing, the anchor effect is obtained by the excess adhesive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groove portion 21. Thereby,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ver 40 is improved.

도 8, 도 9에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의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2, 3)를 도시한다.8 and 9 show the holders 2 and 3 for a box-shaped container a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8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의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2)는, 제1 실시 형태의 것에 비해 보유 지지구 본체(10)를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이다.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전방면(11)의 좌우 측방부 및 후방면(12)의 좌우 측방부에는 슬릿(1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13) 및 우측면(14)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슬릿(17)의 컷팅 깊이를 깊게 형성하고 있다.The holding|maintenance tool 2 for the box-shaped container of the 1st modification shown in FIG. 8 is the thing which formed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longer than that of 1st Embodiment. The slits 17a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front surface 11 of the holding body 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12. In addition, in the left side 13 and the right side 14, the depth of cut of the slit 17 located in the center is deeply formed.

도 9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의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3)는, 제1 실시 형태의 것에 비해 보유 지지구 본체(10)를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이다. 이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3)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구 본체(10)의 전방면(11)의 좌우 측방부 및 후방면(12)의 좌우 측방부에, 슬릿(1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13)의 전후 측방부 및 우측면(14)의 전후 측방부에도, 슬릿(1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좌측면(13) 및 우측면(14)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3개의 슬릿(17)의 컷팅 깊이를 깊게 형성하고 있다.The holding|maintenance tool 3 for the box-shaped container of the 2nd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9 is the thing which made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compared with the 1st embodiment. Also in the holder 3 for the box-shaped container, slits 17a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front face 1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rear face 12 of the holding body 10. It is done. In addition, slits 17b are also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ide portions of the left side 13 and the front and rear side portions of the right side 14, respectively. On the left side 13 and the right side 14, the cutting depths of the three slits 17 located in the center are formed deeply.

도 8, 도 9에 도시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2, 3)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슬릿(17a)을 이용하여 보유 지지구 본체(10)를 좌우 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고, 수용 스페이스의 크기가 달라도 원하는 설치 고정력이 얻어진다.Also in the holders 2 and 3 for the box-shaped container shown in Figs. 8 and 9,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r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ress the holding member main body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sing the slit 17a, and a desired installation fixing force is obtained even when the size of the receiving space is different.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전방면(11) 및 후방면(12)을 관통하도록 수용실(20A)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The holding|maintenance tool 1A for box-shaped containers of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10-13.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is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11 and the rear surface 12.

수용실(20A)은 전방면(11) 및 후방면(12)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수용실(20A)은 보유 지지구 본체(10A)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있고, 관통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is formed by providing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front face 11 and the rear face 12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member main body 10A,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hrough direction.

수용실(20A)의 개구부(20a)는 영구 자석체(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길고 상하 방향으로 짧은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개구부에 연속되는 수용실(20A)의 내측면(24)은 영구 자석체(30)의 대응하는 외형상보다도 한단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영구 자석체(30)의 삽입 시에는 고무 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개구부와 내측면(24)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눌러 넓히도록 한다.The opening 20a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and has a long rect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short rectang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inner surface 24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that continues to the opening is formed one step smaller than the corresponding external shape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Therefore, when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inserted,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member is used to push the opening and the inner surface 24 i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horizontal directions so as to be widened.

수용실(20A)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는, 도 11의 (c),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25)를 경계로 하여 영구 자석체(30)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형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형부(26)에 연속되는 개구부(20a)측은 상하 폭 및 좌우 폭이 좁게 되어 있으므로, 영구 자석체(30)는 오목형부(26)에 끼워 넣음으로써, 보유 지지구 본체(10A)의 외부로 탈락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삽입 후에 영구 자석체(30)를 수용실(20A)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보유 지지구 본체(10A)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개구부 및 내측면(24)을 눌러 넓힘으로써 행한다.In the center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torage chamber 20A, as shown in Figs. 11(c), 12, and 13,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fitted with the stepped portion 25 as a boundary. The mold part 26 is formed. Since the upper and lower widths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opening 20a continuous to the concave portion 26 are narrow,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6 to the outside of the holding body 10A. It is difficult to drop out. In addition, when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after insertion, it is performed by pressing and expanding the opening and the inner surface 24 using the elasticity of the holding body 10A.

또한, 수용실(20A)의 내측면(24)에 끼워 넣는 덮개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내측면(24)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홈부(21)를 형성해도 된다.In addition, a cover to be fitted to the inner surface 24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may be provided. Further, the groove portion 2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24.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obtained.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수용실(20A)의 오목형부(26)에 영구 자석체(30)가 끼워 넣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영구 자석체(30)의 조립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productivity is excellent. In addition, since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6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20A, the assembly performance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excellent.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이어서,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는 다른 수단에 의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의 보유 지지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부재(300)를 사용하고 있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This embodiment exemplifies the holding of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by means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member 300 is used.

도 1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300)는 설치 영역부(301)와, 보유 지지부(302)를 구비하고 있다. 설치 영역부(301)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를 설치하기 위한 영역이다. 설치 영역부(301)는 사각 프레임부(310)와, 사각 프레임부(310)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312)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14, the installation member 300 includes an installation area portion 301 and a holding portion 302. The installation area portion 301 is an area for installing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The installation area portion 301 includes a square frame portion 310 and a rib 312 formed inside the square frame portion 310.

설치 영역부(301)는 사각 프레임부(310)의 측면(311)과, 이것에 대향하는 리브(312)의 측면(313)으로 구획된 복수의 수납 스페이스(32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수납 스페이스(320) 내에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를 설치 가능하다.The installation area portion 301 includes a side surface 311 of the square frame portion 310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320 partitioned by a side surface 313 of the rib 312 opposite to this. A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can be installed in each storage space 320.

설치부(302)는 상자형 용기(100)의 덮개부(120)의 내측에 설치 부재(3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설치부(302)는 고무 부재로 형성되고, 신장 방향으로 가압된 주름 상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설치부(302)의 양 단부면(303)은, 상자형 용기(100)의 덮개부(120)의 내면(123)(도 15 참조)에 맞닿고, 설치 부재(300)를 덮개부(120)에 위치 결정한다.The installation portion 302 functions as an installation means for installing the installation member 300 inside the lid portion 12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The installation portion 302 is formed of a rubber member and has a corrugated box shape press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Both end surfaces 303 of the installation portion 302 abut the inner surface 123 (see FIG. 15) of the cover portion 12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and the installation member 300 is covered with the cover portion 120 ).

이상과 같은 설치 부재(30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 용기(100)의 덮개부(120)의 내측에 설치된다. 설치 부재(300)의 설치 시에는, 양 설치 보유 지지부(302, 302)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덮개부(120)의 대향하는 내면(123, 123)에 양 설치 보유 지지부(302, 302)의 단부면(303)을 누른다. 이로써, 덮개부(120)의 대향하는 내면(123, 123)에 지지되어 덮개부(120)에 설치 부재(300)가 설치된다.15, the mounting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side the lid portion 12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As shown in FIG.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300, the stages of both installation holding parts 302 and 302 are applied to opposite inner surfaces 123 and 123 of the lid part 120 using the pressing force of both installation holding parts 302 and 302. Press the side 303. Thus, the mounting member 300 is installed on the opposing inner surfaces 123 and 123 of the lid part 120 to the lid part 120.

설치 후, 설치 부재(300)의 수납 스페이스(320)에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를 설치한다. 이로써, 덮개부(120)의 내측에 리브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자형 용기(100)에 대하여,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가 배치된다.After installation, the holder 1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320 of the installation member 300. Thereby, the box-shaped container holding|maintenance tool 1 is arrange|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ox-shaped container 100 in which the rib etc. are not formed in the inside of the lid part 120.

또한, 설치 부재(300)는 상자형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대향하는 내측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ember 300 may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제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자형 용기(100)의 덮개부(120)의 대향하는 내면(123, 123)에 걸쳐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400)가 보유 지지되는 것이다.Next, the holding|maintenance tool 400 for a box-shaped container of 4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400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held across the inner surfaces 123 and 123 facing the lid portion 12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400)는, 도 1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구 본체(401)와, 영구 자석체(30)와, 설치부(402)를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구 본체(401)는 상자형 용기(100)의 덮개부(120)의 천장면(124)을 따라 배치 가능한 두께(상하 방향의 두께)를 구비하고 있다. 영구 자석체(30)는 보유 지지구 본체(401)의 긴 쪽 방향의 중앙부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체(30)는 보유 지지구 본체(401)의 긴 쪽 방향으로 복수개 마련해도 된다. 또한, 영구 자석체(30)는 자력이 다른 것이나 크기가 다른 것을 복수 종류 매설해도 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16, the holder 400 for a box-shaped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older body 401, a permanent magnet body 30, and an installation portion 402. It is equipped with. The holding body 401 has a thickness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can be disposed along the ceiling surface 124 of the lid part 12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embed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ing body 40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bodies 30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main body 401. 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may embed a plurality of types having different magnetic forces or different sizes.

설치부(402)는 덮개부(120)의 측면으로서의 내면(123)으로부터 천장면(124)에 걸쳐서 절곡 가능하고, 내면(123)에 대하여 설치 가능하다. 설치부(402)가 내면(123)에 설치됨으로써, 보유 지지구 본체(401)는 덮개부(120)의 천장면(124)에 대략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The installation part 402 can be bent over the ceiling surface 124 from the inner surface 123 as a side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and can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123. By installing the installation portion 402 on the inner surface 123, the holding body 401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124 of the cover portion 120.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부(120)의 대향하는 내면(123, 123)에 걸쳐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400)를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20)의 내측에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덮개부(120)에 대해서도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400)를 배치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400 for a box-shaped container can be directly installed over the opposing inner surfaces 123 and 123 of the lid part 120. Accordingly, the holder 400 for the box-shaped container can be disposed on the lid portion 120 in which no rib is formed inside the lid portion 120.

또한,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400)는 상자형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대향하는 내측면에 걸쳐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older 400 for a box-shaped container may be installed over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of the box-shaped container 100.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예를 들어, 도 17의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B)는 보유 지지구 본체(10B)가 상면에서 보아 단면 대략 T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보유 지지구 본체(10B)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코너부)(10f, 10f)를 구비하고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each drawing of FIG. 17, various forms can be employed. The holding|maintenance tool 1B for the box-shaped container shown in FIG. 17(a) has a substantially T-shaped cross section when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B is seen from the upper surface.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B is provided with the pair of protrusion part (corner part) 10f, 10f which protrudes laterally.

또한, 도 17의 (b)에 도시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C)는 보유 지지구 본체(10C)가 상면에서 보아 단면 대략 소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보유 지지구 본체(10B)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10f)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10f)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리브) 및 좌우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리브)의 각각에 맞닿음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10f)는 어느 하나의 방향의 대향하는 측면에 맞닿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holding|maintenance tool 1C for box-type containers shown in FIG. 17B shows the holding plate main body 10C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platelet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B is provided with the some protrusion part 10f which protrudes in a radial direction. The protrusion 10f protru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left-right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can contact each of the side surfaces (ribs) faci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s (ribs) facing the left-right direction. Moreover, the protrusion part 10f may contact the opposite side surface in either direction.

또한, 도 17의 (c)에 도시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D)는, 보유 지지구 본체(10D)의 각 코너부에 마련되는 돌기부(10f)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2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리브) 및 좌우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리브)의 각각에 맞닿음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10f)는 어느 하나의 방향의 대향하는 측면에 맞닿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holder 1D for a box-shaped container shown in Fig. 17C, the projections 10f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holder main body 10D have a front-rear direction and a left-right direction (two directions). ), and it is possible to abut each of the side surfaces (ribs) faci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s (ribs) facing the left-right direction. Moreover, the protrusion part 10f may contact the opposite side surface in either direction.

또한, 도 17의 (d)에 도시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E)는 보유 지지구 본체(10E)가 통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영구 자석체(30)는 보유 지지구 본체(10E)의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면(10g)에 배치해도 되고, 통형의 벽부 내에 배치해도 된다. 보유 지지구 본체(10E)의 외면은,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리브) 및 좌우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리브)의 각각에 맞닿음 가능하다. 또한, 보유 지지구 본체(10E)의 외면은, 어느 하나의 방향의 대향하는 측면에 맞닿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E of the holding|maintenance tool 1E for box-shaped containers shown in FIG. 17D shows the cylindrical shape. In this case,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0g forming the hollow of the holding member main body 10E, or may be disposed within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E can contact each of the side surface (rib) faci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 (rib) facing the left-right direction. More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E may contact the opposite side surface in either direction.

또한, 도 17의 (e)에 도시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1F)는, 보유 지지구 본체(10F)가 랙상을 나타내고 있다. 보유 지지구 본체(10F)에는 일방향의 면에 컷팅부(17)가 복수 형성되어 복수의 돌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컷팅부(17) 및 돌기부(18)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F of the holding|maintenance tool main body 10F of the box-shaped container shown in FIG. 17E shows a rack shape. A plurality of cutting portions 17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lding body 10F,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18 are formed. The number of cutting parts 17 and projections 18 can be set arbitrarily.

이상과 같은 도 17의 각 도면에 도시하는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Also in the modification shown in each drawing of FIG. 17 as described above,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obtained.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상자형 용기로서 낚시용 태클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종 용기, 예를 들어 공구 상자 등에 대해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tackle case for fishing was demonstrated as an example as a box type container in each said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Various containers, for example, a tool box etc. can be used conveniently.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실(20)의 저벽(22)측(하면(16)측)에 영구 자석체(30)를 배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수용실(20)의 덮개(40)측에 영구 자석체(30)를 배치해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although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is arranged on the bottom wall 22 side (lower surface 16 side) of the storage chamber 20,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this. The permanent magnet body 30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40 side of (20).

1: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
1A 내지 1F: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
10: 보유 지지구 본체
10A 내지 10F: 보유 지지구 본체
10f: 돌기부
11a: 돌기부
11b: 돌기부
12a: 돌기부
12b: 돌기부
17: 슬릿
17a: 슬릿
17b: 슬릿
18: 돌기부
20: 수용실
20A: 수용실
21: 홈부
22: 저부
30: 영구 자석체
40: 덮개
O1: 중심부
M1, M2: 마크
O1: 중심부
1: Holder for box type container
1A to 1F: Holder for box type container
10: holding support body
10A to 10F: Main body of the holder
10f: protrusion
11a: protrusion
11b: protrusion
12a: projection
12b: protrusion
17: Slit
17a: slit
17b: slit
18: protrusion
20: Reception room
20A: reception room
21: Home part
22: bottom
30: permanent magnet body
40: cover
O1: Central
M1, M2: Mark
O1: Central

Claims (7)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 상자형 용기에 설치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이며,
적어도 일부가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에 끼움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구 본체와,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에 수용된 영구 자석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
It is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installed in a box-shaped container having a pair of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he support body that can be fitted to the pair of side surfaces,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comprising a permanent magnet body accommodated in the hold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에는, 상기 각 측면에 맞닿아 탄성 변형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The holding device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ing device main body is formed with protrusions that are elastically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의 외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The holding device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lit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device bod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영구 자석체를 수용하는 수용실과,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실에 연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
The storage cha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ich is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holding member and accommodates the permanent magnet body,
An opening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chamber,
A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ver for blocking the ope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의 저부측의 두께 및 상기 수용실의 덮개측의 두께 중, 한쪽 두께는 두께가 두껍고, 다른 쪽 두께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one of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ide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thickness of the lid side of the storage chamber is thicker on one side and thinner on the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보유 지지구 본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영구 자석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마크가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The holder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mark for specifying th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body in the holder body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을 형성하고 있는 내면 중 적어도 상기 덮개에 접촉하는 내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용기용 보유 지지구.The holding tool for a box-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a groove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accommodation chamber to contact the cover.
KR1020190135094A 2018-12-28 2019-10-29 Box-type container holder KR2020008319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8247A JP2020103252A (en) 2018-12-28 2018-12-28 Box-shaped container retainer
JPJP-P-2018-248247 2018-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197A true KR20200083197A (en) 2020-07-08

Family

ID=7121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094A KR20200083197A (en) 2018-12-28 2019-10-29 Box-type container hold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103252A (en)
KR (1) KR20200083197A (en)
CN (1) CN111374109A (en)
TW (1) TWI73916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7070B1 (en) * 2022-06-24 2024-05-10 Pa Cotte Sa Container with reinforced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33A (en) 1998-11-27 2000-06-13 Shimano Inc Floa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059A (en) * 1987-07-22 1989-05-02 Bosch A Allen Magnetic tool holder
US5660276A (en) * 1993-12-03 1997-08-26 Winnard; Stanley D. Magnetic tool organizers, and tool box with magnetic organizers
US5526927A (en) * 1994-10-18 1996-06-18 Mclemore; Billy M. Tackle box with magnetically attractive panes
TW483388U (en) * 2000-05-15 2002-04-11 Tz-Ming Li Structure of tool box with magnetic component box and illumination device
JP2003220580A (en) * 2002-01-28 2003-08-05 Mirai Ind Co Ltd Housing box for small item
CN2686001Y (en) * 2004-02-11 2005-03-16 尹秀莉 Plastic and rubber magnetic suction one-side paster studying tool
US20050247585A1 (en) * 2004-05-04 2005-11-10 Breckwoldt Claude K Lid for storing a tool
TWM360770U (en) * 2009-03-30 2009-07-11 Ersson Internat Blow Mold Manufacturer Co Ltd Adsorbable tool positioning pad
CN203665503U (en) * 2013-11-05 2014-06-25 陈海兵 Handheld tool kit with magnet
CN204837625U (en) * 2015-06-11 2015-12-09 卢国平 Fishing accessory box that can be held by fishing box
TWM527372U (en) * 2016-03-15 2016-08-21 Zong-Min Wang Magnetic attraction device in inside of toolbox
KR20170004023U (en) * 2016-05-18 2017-11-29 이수진 Containers, fishing hooks
US20180050840A1 (en) * 2016-08-17 2018-02-22 Donald Bentley Magnetic tool system and method
CN206154260U (en) * 2016-09-28 2017-05-10 孙卫祺 Screw containing bo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33A (en) 1998-11-27 2000-06-13 Shimano Inc Floa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5910A (en) 2020-07-16
CN111374109A (en) 2020-07-07
TWI739165B (en) 2021-09-11
JP2020103252A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9056A1 (en) Inserts for an Assortment Box
US6450468B1 (en) Sliding drawer device for vehicle
US6991115B2 (en) Add-on storage device for CD and/or DVD cases
US7600640B2 (en) Multi-configured tool bit box
KR20200083197A (en) Box-type container holder
JP2018167847A (en) Packaging container for preserved flower
JPH11301647A (en) Partition structure of storage container
JPH1016981A (en) Partition material and partition structure
JP5234937B2 (en) container
JP4964065B2 (en) Plate-shaped container
EP3418659A1 (en) Storage units and refrigerators
US3202268A (en) Coin holder
JP3229653U (en) Partition member for bag
JP7105000B2 (en) interior unit
KR101955415B1 (en) Partition plate for arrangement of space
JP7330871B2 (en) Middle plate holder and compact container
KR20220151489A (en) Acceptance box
JP4439303B2 (en) Plate-like body transport box
KR200209377Y1 (en) Container for office small articles
KR200209378Y1 (en) Container for office small articles
KR200368536Y1 (en) Antishocking and fixing member for packaging box
JP3114309U (en) Card storage case
JP4212317B2 (en) Pallet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644527B1 (en) smart phone keeping box
KR200348003Y1 (en) A Case for Nail Clipper Combined with Key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