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832A -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832A
KR20200082832A KR1020180173805A KR20180173805A KR20200082832A KR 20200082832 A KR20200082832 A KR 20200082832A KR 1020180173805 A KR1020180173805 A KR 1020180173805A KR 20180173805 A KR20180173805 A KR 20180173805A KR 20200082832 A KR20200082832 A KR 2020008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augmented reality
self
kiosk
emot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진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832A/ko
Publication of KR2020008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통한 고객의 금융거래 시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고객의 외모 특징에 따라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성화하여, 금융 서비스 안내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해당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메뉴의 상세한 설명 또는 안내를 함께 제공함에 따라 고객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이렇게 각 고객에게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사용 편의성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A self-banking kiosk providing AR emoticons}
본 발명은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통한 고객의 금융거래 시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고객의 외모 특징에 따라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성화하여, 금융 서비스 안내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해당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메뉴의 상세한 설명 또는 안내를 함께 제공함에 따라 고객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이렇게 각 고객에게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사용 편의성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키오스크(Kiosk)란 정부기관이나 지자치단체, 금융기관,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서,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이다.
최근에는 키오스크의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금융기관에도 설치 및 운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를 셀프 뱅킹 키오스크(Self-banking kiosk)라고 칭하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11610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ATM 서비스는 물론, 계원과의 직접적인 대면 없이도 대출이나 카드 발급, 계좌 개설 등의 창구업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통장/카드 관련 업무, 신고/변경 업무, 전자금융 서비스, 금융(대출)상품, 각종 증명서 발급, 외환 업무, ATM 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 등의 기존에 은행 창구에서 제공되었던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 메뉴를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며,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화면을 터치하여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이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객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상위 메뉴에서부터 하위 메뉴에 이르기까지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메뉴를 찾아 선택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고객이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메뉴를 찾아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많은 시행착오가 따르게 되며, 이에 따라 시간 낭비 등으로 인해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11610호(공개일 : 2018. 2. 2.)"셀프 뱅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통한 고객의 금융거래 시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고객의 외모 특징에 따라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성화하여, 금융 서비스 안내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해당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메뉴의 상세한 설명 또는 안내를 함께 제공함에 따라 고객의 친밀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해당 고객에게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사용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이용 고객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를 구비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성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통한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성화하고,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메뉴를,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하여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메뉴의 설명과 함께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통한 고객의 금융거래 시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고객의 외모 특징에 따라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성화하여, 금융 서비스 안내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해당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메뉴의 상세한 설명 또는 안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과 닮은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통해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각 고객에게 특화된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사용 편의성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이모티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화면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와 키오스크 관리서버의 연결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이모티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10)의 전면 일측에는 카메라(20)가 구비되고, 중앙처리장치에 증강현실 이모티콘 자동생성 솔루션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를 통해, 고객이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는 화면의 안내 메시지를 통해 증강현실 이모티콘 생성 진행 여부를 물어보고, 고객이 증강현실 이모티콘 생성 진행을 선택하면 셀프 뱅킹 키오스크(1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된 카메라(20)를 통해 고객을 촬영하여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는 전면 일측에 카메라(20)가 구비되어, 카메라(20)를 통해 고객의 얼굴이 포함된 상반신 부분을 촬영하여,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증강현실 이모티콘 자동생성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으로 생성하고, 이후 고객이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이용할 시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 안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뱅킹 키오스크(10)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의 증강현실 이모티콘 자동생성 솔루션을 통해 카메라(20)로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기반으로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이 생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셀프 뱅킹 키오스크(10)에 적용되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자동생성 솔루션은 카메라(20)를 통해 인물을 촬영하여 눈, 코, 입, 뺨 이마 등 다수 개의 얼굴 특징점을 인식하고 분석함에 따라 고객의 다양한 표정과 행동을 닮은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이모티콘 자동생성 솔루션 기술들이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미 동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화면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통해 비대면 인증을 완료하면, 사전에 생성하여 등록된 고객의 증강현실 이모티콘이 해당 셀프 뱅킹 키오스크(10)의 화면 일측에 표시되어 제공된다.
이때, 증강현실 이모티콘 주변에 말풍선 등을 배치하여,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객과 대화하는 형식으로 금융 서비스 안내를 지원하며, 고객의 이름 등의 기본적인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멘트와 함께 고객 맞춤형 메뉴들을 나열하여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맞춤형 메뉴들은 고객이 이전까지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통해 자주 이용했던 메뉴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렇게 각 고객에게 맞춤형 메뉴들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보다 빠르게 선택하여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이용하는 고객이 수행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 업무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하여 해당 금융 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며, 이와 함께 고객이 선택한 금융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메뉴들을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은 자신과 닮은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이를 활용한 금융 서비스의 상세한 설명과 안내를 제공받음으로써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와 은행의 키오스크 관리서버의 연결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은행의 키오스크 관리서버(50)와 연결되어 관리된다.
즉,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통해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은 은행의 키오스크 관리서버(50)에 저장된 고객의 정보와 매칭되어 함께 저장된다.
이에 따라, 고객이 어느 지점의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이용하더라도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은행의 키오스크 관리서버(50)에 저장된 고객의 이모티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어디에서나 셀프 뱅킹 키오스크(10)를 통해 사전에 등록된 고객의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셀프 뱅킹 키오스크(10)에서만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고객의 선택에 따라 고객이 인터넷을 통한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해당 은행의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진을 직접 등록함에 따라 은행의 키오스크 관리서버(50)를 통해 고객의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 역시 키오스크 관리서버(50)에 저장되고, 이후 고객이 어느 셀프 뱅킹 키오스크(50)를 이용하더라도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키오스크 관리서버(50)와 해당 고객의 증강현실 이모티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셀프 뱅킹 키오스크(50)의 금융 서비스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먼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초기 메뉴를 제공한다.(S610)
여기서 고객은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금융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비대면 인증을 하게 되는데, 카트 삽입이나 비밀번호 입력 등의 확인 절차를 거쳐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S620), 고객의 증강현실 이모티콘이 활성화되어 셀프 뱅킹 키오스크 화면 일측에 표시된다(S630).
이때, 증강현실 이모티콘은 고객의 기본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멘트와 함께 고객이 자주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 메뉴들을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S640).
이에 따라, 고객이 수행하고자 하는 금융 업무에 따른 금융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통해 해당 금융 서비스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며, 이와 함께 고객이 선택한 금융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메뉴들을 제안할 수 있다(S650).
이렇게 고객은 자신과 닮은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이를 활용한 금융 서비스의 상세한 설명과 안내를 제공받아 거래를 완료함으로써(S660)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 대한 사용성과 만족도가 함께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통한 고객의 금융거래 시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고객의 외모 특징에 따라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성화하여, 금융 서비스 안내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메뉴를 제공함에 있어, 고객의 외모 특징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용한 해당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메뉴의 상세한 설명 또는 안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과 닮은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통해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각 고객에게 특화된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셀프 뱅킹 키오스크의 사용 편의성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 : 셀프 뱅킹 키오스크 20 : 카메라
50 : 키오스크 관리서버

Claims (4)

  1. 고객의 비대면 금융업무를 지원하는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 있어서,
    이용 고객을 촬영하기 위해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성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금융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고객의 비대면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고객에 맞추어 생성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제공되는 금융 서비스 메뉴를, 상기 활성화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통한 메뉴 설명 및 안내와 함께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뱅킹 키오스크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고객의 영상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모 특성이 반영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자동생성 솔루션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뱅킹 키오스크는,
    상기 셀프 뱅킹 키오스크를 관리하는 은행의 키오스크 관리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증강현실 이모티콘은,
    상기 키오스크 관리서버에 저장된 고객 정보와 매칭되어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증강현실 이모티콘을 통한 메뉴 설명 및 안내는,
    상기 증강현실 이모티콘과 연결되는 말풍선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KR1020180173805A 2018-12-31 2018-12-31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KR20200082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805A KR20200082832A (ko) 2018-12-31 2018-12-31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805A KR20200082832A (ko) 2018-12-31 2018-12-31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32A true KR20200082832A (ko) 2020-07-08

Family

ID=7160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805A KR20200082832A (ko) 2018-12-31 2018-12-31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8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610A (ko) 2016-07-25 2018-02-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셀프 뱅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610A (ko) 2016-07-25 2018-02-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셀프 뱅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466B2 (en) Check cash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US11397937B1 (en) Augmented reality numberless transaction card
US10719817B2 (en) Wearable transaction devices
US9916736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remote user assistance
US95602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 support on a user interface
US9286726B2 (en) Mobile information gateway for service provider cooperation
US11157905B2 (en) Secure on device cardhold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US20140081858A1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read from data bearing records
US8955743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remote user assistance
US8640946B1 (en) ATM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desired transaction by touch dragging a displayed icon that represents the desired transaction
US9665901B2 (en) Mobile information gateway for private customer interaction
US108610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real-time ap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US8651373B1 (en) ATM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desired transaction by touch dragging a displayed icon that represents the desired transaction
US9098961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that employs a virtual person for assisting customers
CN108701310A (zh) 基于捕获的生物特征数据解释用户表达并基于此提供服务
US117152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mage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US10089684B2 (en) Mobile information gateway for customer identification and assignment
US20210027290A1 (en) Payment transaction initiation from a sender to a recipient using recipient's biometric parameters as the sole identifier
KR20200082832A (ko) 증강현실 이모티콘 제공 셀프 뱅킹 키오스크
US11514484B1 (en) Augmented reality charitable giving experience
CA2929205C (en) Wearable transaction devices
KR20170064730A (ko) Vr 기기를 활용한 가상 고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7603A (ko) 위치기반의 nft 발급 시스템
KR20140032803A (ko) 카메라가 장착된 핀패드를 활용한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