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788A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788A
KR20200082788A KR1020180173710A KR20180173710A KR20200082788A KR 20200082788 A KR20200082788 A KR 20200082788A KR 1020180173710 A KR1020180173710 A KR 1020180173710A KR 20180173710 A KR20180173710 A KR 20180173710A KR 20200082788 A KR20200082788 A KR 2020008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ultural
content
architectural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일
노지성
Original Assignee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7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788A/ko
Publication of KR2020008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문객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여 건축문화시설을 문화관광 컨텐츠로서 효율적인 사전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에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3D 모델링 및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화부;상기 디지털 데이터화부에 의해 기록된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에서 전환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에서 제공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를 사전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igital Data and Cultural Tourism Contents of Architectural Culture Facility using Space Syntax}
본 발명은 건축문화시설 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방문객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여 건축문화시설을 문화관광 컨텐츠로서 효율적인 사전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문화관광 컨텐츠로 활용 가능한 다양하고 우수한 건축문화시설들이 있다.
예를 들어, 부산지역에는 고려시대부터 내려온 동래읍성 유적들,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근대서양건축, 6.25 피난시절 형성된 산복도로마을들(감천 문화마을, 영도 흰여울마을 등), 그리고 최근의 APEC 누리마루, 부산국제영화제(BIFF) 전용관(두레라움)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세계 유수의 유사 사례와 비교해도 뛰어날 만큼 질적, 양적으로 우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우수한 건축문화시설을 실질적인 문화관광 컨텐츠나 켄벤션사업의 아이템으로 만들어 경제적, 문화적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비교 사례로서, 세계의 건축관련 컨벤션전문가들이 붐비는 베니스 건축비엔날레나 세계적 관광명소가 된 스페인 바르셀로나 구겐하임 미술관 등과 방문객 수나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비교해보면, 이 같은 문제의 심각성은 단적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들이 한발 나아가 건축물의 3D 디지털 기록화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Web 투어나 가상 및 증강 현실을 이용한 VR, AR투어 등으로 영역을 다양화면서 세계의 관광 및 컨벤션시장을 급속히 확장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추세에 따라, 타 IT영역에 비해 기술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건축물 3D 디지털 기록화와 이를 활용한 문화관광 컨텐츠화 기술 개발은 우리나라 관광 및 컨벤션산업에서 가장 시급한 필요성이 제기되는 분야이다.
일반적인 국내의 건축물 디지털 기록화 기술은 건축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단순히 사진, 도면 등의 디지털 자료로 보관하는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최근에는 3D 디지털 기록화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형태로 정밀하게 복원된 디지털자료로 표현이 가능하며, 또한 이를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개발로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본격적인 문화관광 컨텐츠로 활용하는 단계에 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건축문화시설의 단순한 방문이 아니라 수요자 맞춤형 관광을 지향하는 21세기 관광 및 컨벤션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건축문화시설을 디지털 데이터화 및 문화관광 컨텐츠 활용을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21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803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833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건축문화시설 관리 및 활용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문객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여 건축문화시설을 문화관광 컨텐츠로서 효율적인 사전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간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를 이용하여 문화재를 포함하는 건축문화시설을 구성하는 세부공간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문화관광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Revit, 3D CAD, 3D SCAN 등의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디지털 데이터화가 가능하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록된 3D 디지털 데이터를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시켜 다양한 유형의 사전 체험이 가능한 문화관광 컨텐츠로 전환시킬수 있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문화관광 컨텐츠를 이용하여 현실의 건축문화시설 공간을 방문목적에 따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맞춤형 관광에 활용 가능하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문객이 건축문화시설 장소를 단순히 찾아가는 방문형 관광이 아니라, 본인의 취향과 목적에 따라 예측 가능한 효율적인 맞춤형 관광이 가능하도록 한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는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에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3D 모델링 및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화부;상기 디지털 데이터화부에 의해 기록된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에서 전환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에서 제공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를 사전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는,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는, 가시성(visibilty)과 접근성(acesibilty)의 평가수치를 기준으로 공간의 객관적, 정량적 가치를 평가 분석하고,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단위공간의 정량적 가치는 연결도(Conectivity), 통제도(Control), 통합도(Integration), 명료도(Inteligibilty)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는, 하나의 단위 공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이 직접 연결되어있는 가를 나타내는 공간지표를 정수 값으로 표현하는 연결도 분석부와,국부적 측면에서 한 공간에 직접 연결된 이웃 공간들의 동선이 집중되는 정도를 분석하는 통제도 분석부와,하나의 공간이 전체 공간분포에서 얼마나 중심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접근에 유리한지를 분석하는 통합도 분석부와,국부 공간에서 전체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분석하는 명료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는, 연결도,통제도,통합도,명료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가치를 기준으로,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을 하는 가로 공간 분석부와,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을 하는 내부 공간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에서, 하나의 공간에 대해 다른 공간들의 평균깊이와 비대칭성의 상대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비대칭성(RA: Relative Asymmetry)을,
Figure pat00001
으로 정의하고, 어떤 공간의 RA값이 커다는 것은 대칭성이 그만큼 작고 전체 공간분포에서 주변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체 공간분포에서 RA의 반대 값인 중심에 근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통합도(I, Integration)는,
Figure pat00002
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명료도(Inteligibilty)는, 목표 공간을 향한 접근성의 난이도를 표현하는 척도가 되는 것으로, 공간의 전체적인 특성인 전체통합도와 공간의 지역적인 특성인 연결도나 국부통합도와의 상호관련성으로 값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화부는,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모델링을 하는 3D 모델링부와,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실제공간 디지털 데이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는,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델링 및 맵핑을 하는 모델링 및 맵핑부와,리얼리티 맵핑을 수행하여 2D 또는 3D 인도어 맵을 구축하여 맵 컨텐츠를 출력하는 맵 컨텐츠 구성부와,맵 컨텐츠 구성부에 의해 구성된 맵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기 위하여 모델링을 하는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부와,디지털 컨텐츠 모델링부에 모델링된 모델과 POI(Point Of Interest) 결합을 하는 모델 및 POI 결합부와,3D 모델 뷰어를 통하여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된 3D 모델을 제공하는 3D 모델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은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모델링 및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기록된 3D 및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 단계;전환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전 체험을 위한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는, 가시성(visibilty)과 접근성(acesibilty)의 평가수치를 기준으로 공간의 객관적, 정량적 가치를 평가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고,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단위공간의 정량적 가치는 연결도(Conectivity), 통제도(Control), 통합도(Integration), 명료도(Inteligibilty)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에서, 연결도 분석은 하나의 단위 공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이 직접 연결되어있는 가를 나타내는 공간지표를 정수 값으로 표현하고, 통제도 분석은 국부적 측면에서 한 공간에 직접 연결된 이웃 공간들의 동선이 집중되는 정도를 분석하고, 통합도 분석은 하나의 공간이 전체 공간분포에서 얼마나 중심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접근에 유리한지를 분석하고, 명료도 분석은 국부 공간에서 전체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는, 연결도,통제도,통합도,명료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가치를 기준으로,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을 하고, 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는,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모델링을 하는 3D 모델링하는 단계와,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실제공간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환 단계는,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델링 및 맵핑을 하는 모델링 및 맵핑 단계와,리얼리티 맵핑을 수행하여 2D 또는 3D 인도어 맵을 구축하여 맵 컨텐츠를 출력하는 맵 컨텐츠 구성 단계와,맵 컨텐츠 구성 단계에 의해 구성된 맵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 단계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기 위하여 모델링을 하는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 단계와,디지털 컨텐츠 모델링 단계에 모델링된 모델과 POI(Point Of Interest) 결합을 하는 모델 및 POI 결합 단계와,3D 모델 뷰어를 통하여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된 3D 모델을 제공하는 3D 모델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문객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여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하여 건축문화시설을 문화관광 컨텐츠로서 효율적인 사전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인간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를 이용하여 문화재를 포함하는 건축문화시설을 구성하는 세부공간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문화관광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Revit, 3D CAD, 3D SCAN 등의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디지털 데이터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기록된 3D 디지털 데이터를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시켜 다양한 유형의 사전 체험이 가능한 문화관광 컨텐츠로 전환시킬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디지털 문화관광 컨텐츠를 이용하여 현실의 건축문화시설 공간을 방문목적에 따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맞춤형 관광에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여섯째, 방문객이 건축문화시설 장소를 단순히 찾아가는 방문형 관광이 아니라, 본인의 취향과 목적에 따라 예측 가능한 효율적인 맞춤형 관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서 인간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의 상세 구성도
도 3b는 디지털 데이터화부의 상세 구성도
도 3c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의 상세 구성도
도 3d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디지털 데이터화부에서의 3D 모델링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디지털 데이터화부에서의 360°사진의 일 예
도 9는 3D 디지털 데이터 시각화 연동 및 활용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3D 디지털데이터 Web, VR, AR, Mobile Device 연동화 프로그램 적용 프로세스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a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한 모바일 앱 화면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한 웹 환경에서의 가시화 및 서비스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서 인간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인간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건축문화시설을 구성하는 세부공간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화 대상의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Modeling 및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록된 3D 및 360° 디지털 데이터를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시켜 다양한 유형의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Web, VR, AR, Mobile Device에 연동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현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간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구문론이란 기본적으로 '인간의 행태(behavior)'에 기초하여 인간이 사용하는 공간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인간사회에서 다수(多數)로 구성된 공간 전체에서 공간들 상호간의 위계적 관계를 개별 공간이 갖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가치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여 파악해내는 방법론이다.
공간구문론에서 공간의 객관적, 정량적 가치는 주로 인간의 공간이용 행태에서 가장 중요한 '가시성(visibilty)'과 '접근성(acesibilty)'의 평가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이 중 가시성은 일정한 공간 속에서 사람이 얼마나 잘 볼 수 있는 가의 정도를 말하는데, 특히 도 1a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위공간 안에서 시각적 차단이 발생하는 오목 공간(concave space, 예를 들어 A-B 시각적 차단)이 없어야하며, 반드시 공간 내 어느 지점에서도 시각적 소통이 가능한 볼록 공간(convex space)이 되어야 가시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접근성은 이러한 볼록 공간으로만 형성된 공간을 얼마나 쉽게 갈 수 있는가의 정도를 말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간의 접근성 난이도를 물리적인 거리(distance)에 따라 판단하지만, 여기서는 출발점에서 목표점까지 도달하는 데에 거쳐야하는 볼록 공간의 수, 즉 공간적 위상(位相)의 차이에 따라 난이도가 결정된다.
즉, 거리와 관계없이 거쳐야하는 볼록 공간의 수가 많을수록 깊이(depth)가 큰 공간이 되며 접근이 힘든 것으로 평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단위공간의 정량적 가치는 연결도(Conectivity), 통제도(Control), 통합도(Integration), 명료도(Inteligibilty)로 표현될 수 있다.
연결도는 부분적 혹은 국부적 측면에서 하나의 단위 공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이 직접 연결되어있는 가를 나타내는 공간지표이며 정수 값으로 표현된다.
즉, 한 공간에 연결된 공간이 많을수록 접근성이 커지며 공간 활용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b에서 공간 ⓐ~ⓓ가 그림과 같이 상호관계를 구성하고 있다면, 이때의 연결도는 ⓐ가 2, ⓑ는 3, ⓒ는 1, ⓓ는 2가 되므로 공간ⓑ의 접근성이 가장 크다고 보는 것이다.
통제도는 국부적 측면에서 한 공간에 직접 연결된 이웃 공간들의 동선이 집중되는 정도를 말하는 공간지표이다. 이는 앞서 본 연결도, 즉 단순히 연결된 공간수의 합을 말하는 것과는 다르다.
통합도는 하나의 공간이 전체 공간분포에서 얼마나 중심에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접근에 유리한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그리고 명료도(Inteligibilty)는 국부 공간에서 전체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는 데, 목표 공간을 향한 접근성의 난이도를 표현하는 척도가 된다.
즉, 명료도가 큰 공간일수록 전체 공간분포에서 인지도가 높고, 공간구조 및 공간이용패턴이 체계적이며 예측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10)와,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10)에서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Modeling 및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화부(20)와, 디지털 데이터화부(20)에 의해 기록된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시켜 다양한 유형의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30)와,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30)에서 전환되어 Web, VR, AR, Mobile Device에 연동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40)와,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40)에서 제공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를 사전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현 제공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a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10)는 부분적 혹은 국부적 측면에서 하나의 단위 공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이 직접 연결되어있는 가를 나타내는 공간지표를 정수 값으로 표현하는 연결도 분석부(11)와, 국부적 측면에서 한 공간에 직접 연결된 이웃 공간들의 동선이 집중되는 정도를 분석하는 통제도 분석부(12)와, 하나의 공간이 전체 공간분포에서 얼마나 중심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접근에 유리한지를 분석하는 통합도 분석부(13)와, 국부 공간에서 전체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분석하는 명료도 분석부(14)와, 연결도,통제도,통합도,명료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가치를 기준으로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을 하는 가로 공간 분석부(15)와, 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을 하는 내부 공간 분석부(16)를 포함한다.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10)에서 하나의 공간에 대해 다른 공간들의 평균깊이와 (비)대칭성의 상대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비대칭성(RA: Relative Asymmetry)'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pat00003
따라서, 어떤 공간의 RA값이 커다는 것은 대칭성이 그만큼 작고 전체 공간분포에서 주변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도(I, Integration)는 바로 이 RA값의 역수로 표현되며, 전체 공간분포에서 RA의 반대 값인 중심에(대칭성이 큰 곳에) 근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특정 공간의 전체공간에 대한 통합도를 '전체통합도(Global Integration)'라 하며, 특정 공간에서 몇 개의 공간 깊이의 관계 까지만 고려하는 것을 '국부통합도(Local Integration)'라 한다.
그리고 목표 공간을 향한 접근성의 난이도를 표현하는 척도가 되는 명료도(Inteligibilty)는 공간의 전체적인 특성인 전체통합도와 공간의 지역적인 특성인 연결도나 국부통합도와의 상호관련성으로 값을 표현한다.
도 3b는 디지털 데이터화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디지털 데이터화부(20)는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모델링을 하는 3D 모델링부(21)와,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실제공간 디지털 데이터화부(22)를 포함한다.
도 3c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30)는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델링 및 맵핑을 하는 모델링 및 맵핑부(31)와, 리얼리티 맵핑을 수행하여 2D 또는 3D 인도어 맵을 구축하여 맵 컨텐츠를 출력하는 맵 컨텐츠 구성부(32)와, 맵 컨텐츠 구성부(32)에 의해 구성된 맵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33)를 포함한다.
도 3d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40)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기 위하여 모델링을 하는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부(41)와,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부(41)에 모델링된 모델과 POI(Point Of Interest) 결합을 하는 모델 및 POI 결합부(42)와, 3D 모델 뷰어를 통하여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된 3D 모델을 제공하는 3D 모델 제공부(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문화재 포함)을 구성하는 세부공간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DepthmapX 0.50 공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Revit, 3D CAD, 3D SCAN 등의 프로그램과 측정 장비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디지털 데이터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록된 3D 디지털 데이터를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시켜 다양한 문화관광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매체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은 크게,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S401)와,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모델링 및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S402)와, 기록된 3D 및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 단계(S403)와, 전환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전 체험을 위한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 단계(S404)로 이루어진다.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S401)는 디지털 컨텐츠화 대상의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도 5는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S401)는 가시성(visibilty)과 접근성(acesibilty)의 평가수치를 기준으로 공간의 객관적, 정량적 가치를 평가 분석하고,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단위공간의 정량적 가치는 연결도(Conectivity), 통제도(Control), 통합도(Integration), 명료도(Inteligibilty)로 표현된다.
여기서, 연결도 분석은 하나의 단위 공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이 직접 연결되어있는 가를 나타내는 공간지표를 정수 값으로 표현하는 것이고, 통제도 분석은 국부적 측면에서 한 공간에 직접 연결된 이웃 공간들의 동선이 집중되는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고, 통합도 분석은 하나의 공간이 전체 공간분포에서 얼마나 중심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접근에 유리한지를 분석하는 것이고, 명료도 분석은 국부 공간에서 전체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S401)는 연결도,통제도,통합도,명료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가치를 기준으로,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을 하고, 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을 하는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S402)는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Modeling 및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도 7은 디지털 데이터화부에서의 3D 모델링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디지털 데이터화부에서의 360°사진의 일 예이다.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S402)는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모델링을 하는 3D 모델링하는 단계와,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실제공간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를 포함한다.
디지털 컨텐츠 전환 단계(S403)는 기록된 3D 및 360° 디지털 데이터를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시켜 다양한 유형의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도 9는 3D 디지털 데이터 시각화 연동 및 활용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0은 3D 디지털데이터 Web, VR, AR, Mobile Device 연동화 프로그램 적용 프로세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디지털 컨텐츠 전환 단계(S403)는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델링 및 맵핑을 하는 모델링 및 맵핑 단계와, 리얼리티 맵핑을 수행하여 2D 또는 3D 인도어 맵을 구축하여 맵 컨텐츠를 출력하는 맵 컨텐츠 구성 단계와, 맵 컨텐츠 구성 단계에 의해 구성된 맵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단계를 포함한다.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 단계(S404)는 Web, VR, AR, Mobile Device에 연동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 단계(S404)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기 위하여 모델링을 하는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 단계와,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 단계에 모델링된 모델과 POI(Point Of Interest) 결합을 하는 모델 및 POI 결합 단계와, 3D 모델 뷰어를 통하여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된 3D 모델을 제공하는 3D 모델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도 12a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한 모바일 앱 화면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한 웹 환경에서의 가시화 및 서비스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인간의 사회심리적인 공간이용 행태를 분석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를 이용하여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유형별로 특성을 분석한 다음 디지털 데이터화하고, 이를 다시 문화관광 컨텐츠로 활용함으로써, 실제의 장소에서 방문목적에 따라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건축문화시설 공간을 체험하게 하는 관광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특정 건축문화시설의 단순한 방문이 아니라 수요자 맞춤형 관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 20. 디지털 데이터화부
30.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 40.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
50. 디지털 컨텐츠 구현 제공부

Claims (18)

  1.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에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3D 모델링 및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화부;
    상기 디지털 데이터화부에 의해 기록된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에서 전환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
    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에서 제공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를 사전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는,
    Web,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에 연동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는,
    가시성(visibilty)과 접근성(acesibilty)의 평가수치를 기준으로 공간의 객관적, 정량적 가치를 평가 분석하고,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단위공간의 정량적 가치는 연결도(Conectivity), 통제도(Control), 통합도(Integration), 명료도(Inteligibilty)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는,
    하나의 단위 공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이 직접 연결되어있는 가를 나타내는 공간지표를 정수 값으로 표현하는 연결도 분석부와,
    국부적 측면에서 한 공간에 직접 연결된 이웃 공간들의 동선이 집중되는 정도를 분석하는 통제도 분석부와,
    하나의 공간이 전체 공간분포에서 얼마나 중심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접근에 유리한지를 분석하는 통합도 분석부와,
    국부 공간에서 전체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분석하는 명료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는,
    연결도,통제도,통합도,명료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가치를 기준으로,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을 하는 가로 공간 분석부와,
    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을 하는 내부 공간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부에서,
    하나의 공간에 대해 다른 공간들의 평균깊이와 비대칭성의 상대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비대칭성(RA: Relative Asymmetry)을,
    Figure pat00005
    으로 정의하고,
    어떤 공간의 RA값이 커다는 것은 대칭성이 그만큼 작고 전체 공간분포에서 주변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전체 공간분포에서 RA의 반대 값인 중심에 근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통합도(I, Integration)는,
    Figure pat00006
    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명료도(Inteligibilty)는,
    목표 공간을 향한 접근성의 난이도를 표현하는 척도가 되는 것으로, 공간의 전체적인 특성인 전체통합도와 공간의 지역적인 특성인 연결도나 국부통합도와의 상호관련성으로 값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화부는,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모델링을 하는 3D 모델링부와,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실제공간 디지털 데이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환부는,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델링 및 맵핑을 하는 모델링 및 맵핑부와,
    리얼리티 맵핑을 수행하여 2D 또는 3D 인도어 맵을 구축하여 맵 컨텐츠를 출력하는 맵 컨텐츠 구성부와,
    맵 컨텐츠 구성부에 의해 구성된 맵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부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기 위하여 모델링을 하는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부와,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부에 모델링된 모델과 POI(Point Of Interest) 결합을 하는 모델 및 POI 결합부와,
    3D 모델 뷰어를 통하여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된 3D 모델을 제공하는 3D 모델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12. 건축문화시설을 공간구문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가로공간과의 관계와 건축물 내부공간 구성을 분석하는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모델링 및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
    기록된 3D 및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환 단계;
    전환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전 체험을 위한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는,
    가시성(visibilty)과 접근성(acesibilty)의 평가수치를 기준으로 공간의 객관적, 정량적 가치를 평가 분석하여 전체공간을 위계(hierarchy)적으로 분류하고,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단위공간의 정량적 가치는 연결도(Conectivity), 통제도(Control), 통합도(Integration), 명료도(Inteligibilty)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에서,
    연결도 분석은 하나의 단위 공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이 직접 연결되어있는 가를 나타내는 공간지표를 정수 값으로 표현하고,
    통제도 분석은 국부적 측면에서 한 공간에 직접 연결된 이웃 공간들의 동선이 집중되는 정도를 분석하고,
    통합도 분석은 하나의 공간이 전체 공간분포에서 얼마나 중심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접근에 유리한지를 분석하고,
    명료도 분석은 국부 공간에서 전체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문론 기반 분석 단계는,
    연결도,통제도,통합도,명료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가치를 기준으로,
    건축문화시설이 위치한 가로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Axial Map)을 하고, 건축문화시설 내부공간의 공간구문론 분석(Convex Map)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는,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건축문화시설의 공간을 3D drawing 프로그램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응용하여 정밀한 3D 모델링을 하는 3D 모델링하는 단계와,
    360°카메라를 이용한 실제 공간 촬영 이미지의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실제공간 디지털 데이터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전환 단계는,
    3D 및 360°디지털 데이터를 사전 공간체험이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델링 및 맵핑을 하는 모델링 및 맵핑 단계와,
    리얼리티 맵핑을 수행하여 2D 또는 3D 인도어 맵을 구축하여 맵 컨텐츠를 출력하는 맵 컨텐츠 구성 단계와,
    맵 컨텐츠 구성 단계에 의해 구성된 맵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 단계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제 건축문화시설 방문 전에 사용 목적에 따라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하는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하기 위하여 모델링을 하는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 단계와,
    디지털 컨텐츠 모델링 단계에 모델링된 모델과 POI(Point Of Interest) 결합을 하는 모델 및 POI 결합 단계와,
    3D 모델 뷰어를 통하여 사전 체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관광 컨텐츠화된 3D 모델을 제공하는 3D 모델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방법.
KR1020180173710A 2018-12-31 2018-12-31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82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10A KR20200082788A (ko) 2018-12-31 2018-12-31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10A KR20200082788A (ko) 2018-12-31 2018-12-31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88A true KR20200082788A (ko) 2020-07-08

Family

ID=7160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10A KR20200082788A (ko) 2018-12-31 2018-12-31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78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338A (ko) 2014-02-20 2015-08-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 문화재의 건물 정보통합 모델링 방법
KR20160092190A (ko) 2015-01-27 2016-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건축 문화재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101858035B1 (ko) 2017-10-26 2018-05-16 (주)아세아항측 고정밀 3d 문화재 모델과 웹 서비스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338A (ko) 2014-02-20 2015-08-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 문화재의 건물 정보통합 모델링 방법
KR20160092190A (ko) 2015-01-27 2016-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건축 문화재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101858035B1 (ko) 2017-10-26 2018-05-16 (주)아세아항측 고정밀 3d 문화재 모델과 웹 서비스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Uncovering inconspicuous places using social media check-ins and street view images
KR102272650B1 (ko)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Wang et al. Machine learning-based regional scale intelligent modeling of building information for natural hazard risk management
Goetz Towards generating highly detailed 3D CityGML models from OpenStreetMap
Kádár et al. Where do tourists go? Visualizing and analy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eotagged photography
Veas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lbourae et al. Architectural heritage visualization using interactive technologies
Guney et al. Tailoring a geomodel for analyzing an urban skyline
Kim et al. Planning and visualising 3D routes for indoor and outdoor spaces using CityEngine
Koutsoudis et al. 3dsse–a 3d scene search engine: Exploring 3d scenes using keywords
Mushonga et al. Development of a web based GIS for health facilities mapping, monitoring and reporting: A case study of the Zambian Ministry of health
Koch et al. Real estate image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Liang et al. Revealing spatio-temporal evolution of urban visual environments with street view imagery
Ward et al. Estimating energy consump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t scale with drive-by image capture
Batty et al. Visualizing spatial and social media
Velasquez-Camacho et al. Implementing Deep Learning algorithms for urban tree detection and geolocation with high-resolution aerial, satellite, and ground-level images
KR20200082788A (ko)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건축문화시설의 디지털 데이터 및 문화관광 컨텐츠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alabrese et al. Outdoor augmented reality for urban design and simulation
Adeleke et al. Building roof extraction as data for suitability analysis
Feriozzi et al. Virtual Tours for Smart Cities: A Comparative Photogrammetric Approach for Locating Hot-Spots in Spherical Panoramas
Barik et al. Investigations into the Efficacy of Open Source GIS Software
Malamboa et al. Lidar assisted citygml creation
Jazairy Toward a plastic conception of scale
Tiwari et al. 3D city model enabled e-governance for sustainable urbanization
Von Reumont et al. Visualization of geologic geospatial datasets through X3D in the frame of WebG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