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339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339A
KR20200082339A KR1020180172836A KR20180172836A KR20200082339A KR 20200082339 A KR20200082339 A KR 20200082339A KR 1020180172836 A KR1020180172836 A KR 1020180172836A KR 20180172836 A KR20180172836 A KR 20180172836A KR 20200082339 A KR20200082339 A KR 2020008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escending
clutching coupler
goal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8186B1 (en
Inventor
이정욱
표준호
김세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86B1/en
Publication of KR2020008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3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connecting two abutting shafts or the like
    • F16D1/033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connecting two abutting shafts or the like by clamping together two face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e.g. with bolted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05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deformation of a resilient body or a body of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A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hydration shaft having a first hollow and having a track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exte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ball movable along the track; a washing tub connected to the dehydration shaft; a drive shaft disposed in the first hollow; a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a pulsator disposed in the washing tub and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e shaft; a clutching coupler which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defines a second hollow, through which the dehydration shaft passes, and is spline-coupl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shaft, which axially connects the drive shaft with the dehydration shaft at a connection position, and which is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at a disconnection position raised from the connection position; a solenoid for forming a magnetic field when a current is applied thereto; and an armature disposed to be elevated along with the clutching coupler in an axial direction, and raised by the magnetic fiel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has a guide groove which is engaged with the ball and guides the ball so that the same is moved along the track in response to an elevating operation of the clutching coupler. The guide groove includes a descending guide surfac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ll while the clutching coupler is lowered, and an ascending guide surface which is provided below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ll while the clutching coupler is raised.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is formed as a concave valley having an open lower side and has a disconnection retaining valley in which the ball is positioned when the clutching coupling is positione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Therefore, the washing machine can maintain a connected state (or disconnection state) even when apply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only when the drive shaft and the dehydration shaft are connected (or disconnected).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구동축과 탈수축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클러치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clutch system that connects or disconnects a drive shaft and a dehydration shaft.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며, 세탁축과 탈수축을 선택적으로 접속(또는, 축이음) 또는 접속해제(또는, 축이음 해제)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특2003-0023316(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은, 탈수축과 세레이션 결합된 슬라이더가 솔레노이드의 흡인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세탁 모터의 로터에 형성된 구동구(驅動具)와 분리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A washing machine having a clutch that is operated by a solenoid and selectively connects (or axles) or disconnects (or releases axles) to a washing shaft and a dewatering shaft is well known.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233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 dehydration and serration-coupled slider is form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olenoid, and a driving mechanism formed in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It is disclosed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具).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로터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계속하여 전류를 인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current must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olenoid in order to keep the slider and the rotor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첫째, 구동축과 탈수축의 접속(또는, 접속해제)시에만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여도 접속(또는, 접속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state is maintained even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only when the drive shaft and the dehydration shaft are connected (or disconnected).

둘째,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을 서로 접속하는 클러칭 시스템을 단순화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simplifies the clutching system that connects the drive shaft for rotating the pulsator and the dehydration shaft for rotating the washing tank to each other.

셋째,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부품수를 줄이고, 종래에 상기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에 쓰이던 별도의 모터와 이와 연동하는 제반 구성들을 삭제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clutch system, and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eliminates the separate motors and various components interworking therewith, which were conventionally used to operate the clutch system.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조와 연결된 탈수축에 제 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중공 내에 삽입된 구동축이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세탁조 내에는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펄세이터가 구비된다. 상기 탈수축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트랙이 형성되고, 볼이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ollow is formed in a dehydration shaft connected to a washing tank, and a drive shaft inserted in the first hollow is rotated by a motor. A pulsator rotated by the driving shaft is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A track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shaft, and a ball is movably provided along the track.

상기 탈수축이 통과하는 제 2 중공이 형성된 클러칭 커플러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칭 커플러는 상기 제 2 중공을 규정하는 내주면이 상기 탈수축의 외주면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탈수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다.A clutching coupler having a second hollow through which the dehydration passes is provided. In the clutching coupler,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efining the second hollow is spline-coupl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shaft, and is movable along the dehydration shaft.

상기 클러칭 커플러는 소정의 접속위치에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탈수축을 축이음하고,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된 접속해제위치에서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구동축과 상기 탈수축의 축이음(접속)은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경우에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과 상기 탈수축의 분리(축이음 해제)는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접속해제위치에 이르른 경우 이루어진다.The clutching coupler joints the drive shaft and the dehydration shaft at a predetermined connection posi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at a connection release position raised from the connection position. That is, the shaft joint (conn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dehydration shaft is made when the clutching coupler is in th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paration (shaft joint release) of the drive shaft and the dehydration shaft is performed by the clutching coupler. It rises from and is made when the connection release position is reached.

상기 클러칭 커플러는 접극자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접극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클러칭 커플러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솔레노이드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승된다.The clutching coupler is moved together with the contactor. The polarizer is arranged to be elevated with the clutching coupler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is raised by a magnetic field formed by a solenoid.

상기 클러칭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과 맞물리고, 상기 클러칭 커플러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볼이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a guide groove is formed that engages the ball and guides the ball to move along the track in respons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lutching coupler.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볼과 접촉되는 하강 안내면과, 상기 하강 안내면의 하측에서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볼과 접촉되는 상승 안내면을 포함한다.The guide groove includes a descending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ll 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clutching coupler, and a rising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ll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clutching coupler under the lower guide surface.

상기 하강 안내면에는, 하측이 개방된 오목한 골로 이루어져,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해제위치에 있을 시, 상기 골 내에 상기 볼이 위치되는 접속해제유지 골이 형성된다.On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the lower side consists of an open concave bone, and when the clutching coupler is in the disengagement position, a disengagement maintaining bone in which the ball is located in the goal is formed.

상기 하강 안내면은, 상기 접속해제유지 골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점점 하강되는 하강경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 안내면에는, 상기 하강경사구간의 최저점보다 더 상기 원주방향으로 진행된 측에 제 1 스톱 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강 안내면은, 상기 제 1 스톱 골의 연직 상측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점점 상승되는 제 1 상승안내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scending guide surface may include a descending slope section that gradually desc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disconnection maintaining bone. On the rising guide surface, a first stop goal may be formed on a side that has progres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descending slope section.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may include a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int on the vertical side of the first stop goal.

상기 하강 안내면에는, 상기 제 1 상승안내구간의 상단에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상기 볼이 위치되는 접속유지 골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when the clutching coupler is in the connection position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a connection maintaining goal in which the ball is located may be formed.

상기 상승 안내면은, 상기 접속해제유지 골의 연직 하측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점점 하강되어 상기 제 1 스톱 골에 이르는 제 1 하강안내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강 안내면은, 상기 제 1 스톱 골의 연직 상측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점점 상승되며 연장되는 제 1 상승안내구간과, 상기 제 1 상승안내구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접속해제유지 골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 접속유지 골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ward guide surface may include a first downward guide section gradually desc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int at a vertically lower side of the disconnection maintaining goal to reach the first stop goal.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and the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which gradually increases and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int at the upper vertical side of the first stop goal, and the disconnection maintaining goal It may include a connection maintaining goal formed at a higher position.

상기 상승 안내면은, 상기 접속유지 골의 연직 하측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점점 하강되는 제 2 하강안내구간과, 상기 제 2 하강안내구간의 하단에 형성된 제 2 스톱 골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ward guide surface may include a second downward guide section gradually desc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int at a vertically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and a second stop goal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downward guide section.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해제위치에 있을 시, 상기 클러칭 커플러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lutching coupler is in the disconnected position, an elastic member that presses the clutching coupler downward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세탁기는 구동축과 탈수축의 접속 또는, 접속해제가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ecaus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dehydration shaft is maintained even when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종래에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에 쓰이던 별도의 모터와 이와 연동하는 제반 구성들이 삭제됨으로써 제품의 제조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by removing the separate components and various components interlocked therewith, which were conventionally used to operate the clutch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터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탈수축, 볼, 커플러의 분해도(a)와, 조립도(b)이다.
도 5는 클러칭 커플러의 내주면을 전개한 것으로 가이드 홈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클러칭 커플러가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클러칭 커플러가 접속위치로 하강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hub.
4 is an exploded view (a) and an assembled view (b) of the decontraction, ball, and coupler.
5 is a view showing a guide groove as an unfold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Figure 6 shows a par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ternal view of the clutching coupler in a raised state to the disconnected position,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rt .
Figure 7 shows a par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ter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clutching coupler is lowered to the connection position,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터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탈수축, 볼, 클러칭 커플러의 분해도(a)와, 조립도(b)이다. 도 5는 클러칭 커플러의 내주면을 전개한 것으로 가이드 홈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클러칭 커플러가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클러칭 커플러가 접속위치로 하강된 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그 부분의 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hub. 4 is an exploded view (a) and an assembled view (b) of the deshrinking, ball, and clutching couplers. 5 is a view showing a guide groove as an unfold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Figure 6 shows a par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the appearance of the clutching coupler to the disengaged position, and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rt . Figure 7 shows a par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ter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clutching coupler is lowered to the connection position,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rt.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싱(1)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저수조(3)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싱(1)은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고, 대략 중앙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탑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탑커버(12)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4)은 탑커버(12)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4)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패드 등)와,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예를 들어, LCD, LED 디스플레이 등)가 구비될 수 있다. 1 to 7, the casing 1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washing machin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3 is accommodated. The casing 1 may include a cabinet 11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 top cover 12 coupled to an open top surface of the cabinet 11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laundry is introduced into the center. A do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12. The control panel 14 may be provided on the top cover 12. The control panel 14 includes an input unit (for example, a button, a dial, a touch pad, etc.) for receiving various control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from a user,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 LCD, LED display, etc.).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급수관(7)과, 급수관(7)을 단속하는 급수밸브(8)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밸브(8)는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급수밸브(8)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탁기를 구성하는 전기/전자 부품들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1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A water supply pipe 7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water tap, and a water supply valve 8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pipe 7 may be provided. The water supply valve 8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7. The control unit 17 can control not only the water supply valve 8 but als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he control unit 17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having a memory for data storage.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control of the electric/electron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ashing machine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7.

탑커버(12)에는 세제가 담기는 드로워(18)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급수밸브(8)를 통해 공급된 물이 드로워(18)를 경유하면서 세제와 혼합된 후, 저수조(3) 또는 세탁조(4) 내로 배출된다.In the top cover 12, a drawer 18 containing detergent may be retractabl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8 is mixed with the deterg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drawer 18,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water storage tank 3 or the washing tank 4.

저수조(3)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1)과, 배출관(21)을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된 물이 배수 펌프(24)에 의해 압송되어 배수관(25)을 통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discharge pipe 21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3 and a drain valve 22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pipe 21 may be provid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2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drain pipe 25 by being pushed by the drain pump 24.

세탁조(4)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저수조(3) 내에서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세탁조(4) 내에는 펄세이터(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5)는 펄세이터축(31)과 연결된다. 저수조(3)와 세탁조(4)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도록, 세탁조(4)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washing tank 4 accommodates laundry, and is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in the storage tank 3. The pulsator 5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4. The pulsator 5 is connected to the pulsator shaft 31. To allow water to flow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3 and the washing tank 4,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washing tank 4.

구동축(6a)은 펄세이터(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6)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축(6a)은 모터(6)의 로터(63)와 연결된다. 구동축(6a)은 펄세이터(5)와 직결될 수 있으나(즉, 구동축과 펄세이터의 회전비가 1:1), 이에 한하지 않고, 구동축(6a)의 출력을 정해진 속도비 또는 토크비로 변환하여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유성기어열(미도시, Planetary Geartrains)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 shaft 6a is for rotating the pulsator 5 and is rotated by a motor 6. The drive shaft 6a is connected to the rotor 63 of the motor 6. The drive shaft 6a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ulsator 5 (that is, the rotation ratio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pulsator is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by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drive shaft 6a into a predetermined speed ratio or torque ratio Planetary gear trains (not shown, planetary geartrains) for rotating the pulsator may be further provided.

탈수축(9)은 세탁조(2)와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축(4)이 통과하는 제 1 중공(9h)이 형성된 관상의 형태이다. 세탁조(2)의 하측에는, 세탁조(2)의 바닥과 결합되는 허브 베이스(15)가 구비될 수 있다. 탈수축(9)은 허브 베이스(15)와 결합될 수 있다.The dehydration shaft 9 is connected to the washing tank 2 and is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first hollow 9h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4 passes is formed. A lower base of the washing tub 2 may be provided with a hub base 15 that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2). The deshrinking 9 may be combined with the hub base 15.

저수조(1)의 하측에는 베어링 하우징(16)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6)은 저수조(1)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6) 내에는 탈수축(9)을 지지하는 베어링(19)이 구비될 수 있다.A bearing housing 16 may be disposed under the reservoir 1. The bearing housing 16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1. The bearing housing 16 may be provided with a bearing 19 that supports the dehydration 9.

베어링 하우징(16)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저수조(3)의 저면에 결합되어, 저수조(3)의 저면과의 사이에 베어링(19)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베어링 하우징(16)의 바닥에는 탈수축(9)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The bearing housing 16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3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or bolt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bearing 19 is accommoda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3.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dehydration shaft 9 passes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earing housing 16.

모터(6)는 아웃터 로터(outer rotor) 타입의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 일 수 있다. 다만, 모터(6)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6)는 인너 로터(inner rotor) 타입인 것도 가능하고,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 세이드형 모터(shaded pole motor) 등의 AC 모터도 가능하며, 그 밖에도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tor 6 may be a brushless direct current (BLDC) motor of an outer rotor type. However, the type of the motor 6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motor 6 may be an inner rotor type, and AC motors such as an induction motor and a shaded pole motor may be used. It can be made of a motor.

모터(6)는 스테이터 코어(61a)에 스테이터 코일(61b)이 감긴 스테이터(61)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영구자석(62)을 고정하는 로터 프레임(63)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프레임(63)의 중심부를 구동축(6a)과 연결하는 로터 허브(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수개의 영구자석(62)과 스테이터(61)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로터 프레임(63)이 회전되고, 구동축(6a)도 함께 회전된다.The motor 6 may include a stator 61 in which the stator coil 61b is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61a, and a rotor frame 63 for fix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62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A rotor hub 65 that connec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or frame 63 with the drive shaft 6a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otor frame 63 is rot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62 and the stator 61, and the drive shaft 6a is also rotated.

한편, 로터 허브(65)는, 구동축(6a)과 결합되는 로터 부시(65a)와, 로터 부시(65a)를 로터 프레임(63)의 중심부에 결합하는 결합 플랜지(65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플랜지(65b)는 로터 부시(65a)가 삽입되는 관상의 플랜지 본체부(65b1)와 플랜지 본체부(65b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로터 프레임(63)과 결합되는 플랜지부(65b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플랜지 본체부(65b1)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클러칭 커플러(40)와 맞물리는 치합홈(65b3)들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otor hub 65 may include a rotor bush 65a coupled with the drive shaft 6a and a coupling flange 65b coupling the rotor bush 65a to the center of the rotor frame 63. The coupling flange 65b extends outwardly from the tubular flange body portion 65b1 and the flange body portion 65b1 into which the rotor bush 65a is inserted and engages the rotor frame 63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or bolts. It may include a flange portion (65b2). In particular, engaging grooves 65b3 engaged with the clutching coupler 4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body portion 65b1.

클러칭 커플러(40)는 탈수축(9)과 스플라인 결합된다. 클러칭 커플러(40)는 탈수축(9)이 통과하는 제 2 중공(40h)을 이루는 관상의 형태이고, 제 2 중공(40h)을 규정하는 내주면이 탈수축(9)의 외주면과 스플라인 결합된다. 여기서, 스플라인 결합이란, 탈수축(9)과 클러칭 커플러(40) 중 어느 하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치(tooth) 또는 키(key)와 같은 스플라인 돌기(9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스플라인 돌기(9a)와 치합되는 스플라인 홈(9a, 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스플라인 돌기(9a)와 스플라인 홈(41a)이 서로 맞물리는 것을 의미한다. 스플라인 돌기(9a)의 단면이 삼각형인 경우, 이를 세레이션(serration)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스플라인 홈(41a)과 스플라인 돌기(9a) 간의 맞물림에 의해 클러칭 커플러(40)가 회전될 시 탈수축(9)도 함께 회전된다.The clutching coupler 40 is spline-coupled with the dehydration 9. The clutching coupler 40 is in the form of a tube forming the second hollow 40h through which the dehydration shaft 9 passes,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efining the second hollow 40h is spline-coupl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shaft 9. . Here, the spline coupling means that a spline protrusion 9a such as a tooth or a key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on one of the dehydration shaft 9 and the clutching coupler 40, and the oth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pline grooves 9a (see Fig. 4) meshing with the spline protrusions 9a are formed, which means that the spline protrusions 9a and the spline grooves 41a mesh with each other.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spline projection 9a is triangular, this is also referred to as serration. When the clutching coupler 40 is rotated by engagement between the spline groove 41a and the spline protrusion 9a, the dehydration shaft 9 is also rotated.

실시예에서, 스플라인 돌기(9a)는 탈수축(9)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스플라인 홈(41a)는 클러칭 커플러(40)의 내주면에 형성되었으나, 반대로 스플라인 돌기가 클러칭 커플러(4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스플라인 홈이 탈수축(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spline projection 9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shaft 9, and the spline groove 41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40, but on the contrary, the spline projection is formed of the clutching coupler 40. It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splin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9).

스플라인 홈(41a)과 스플라인 돌기(9a) 간의 맞물림(또는, 치합)은 클러칭 커플러(40)의 승강(또는,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기도 하다. 클러칭 커플러(40)는 접속위치(도 7 참조.)에서 구동축(6a)과 탈수축(9)을 축이음(접속)하고,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된 접속해제위치(도 6 참조.)에서는 구동축(6a)으로부터 분리된다.The engagement (or engagement) between the spline groove 41a and the spline projection 9a is also to allow the lifting (or axial movement) of the clutching coupler 40. The clutching coupler 40 connects (connects) the drive shaft 6a and the dewatering shaft 9 at the connection position (see Fig. 7), and at the disconnection position (see Fig. 6) elevated from the connection position. It is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6a.

상기와 같은 클러칭 커플러(40)의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해제 위치로의 상승은, 솔레노이드(50)와 클러치(70, 플런저(plunger), 또는 코어(core))에 의해 이루어진다. 접극자(7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탈수축(9)에 끼워질 수 있다. 접극자(70)는 축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승된다. 클러칭 커플러(40)는 접극자(70)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접극자(70)의 승강 동작에 따라 클러칭 커플러(40)도 함께 이동(승강)된다.The rising of the clutching coupler 40 from the connecting position to the disconnecting position is made by a solenoid 50 and a clutch 70, a plunger, or a core. The contact pole 7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an be fitted to the dehydration shaft 9. The contact pole 70 is arranged to be lif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is raised by the magnetic field. The clutching coupler 40 is supported by the polarizer 70, and accordingly, the clutching coupler 40 is also moved (elevated) according to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polarizer 70.

전류가 인가될 시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50)가 구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0)는 후술하는 하부 케이스(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0)는 외주면에 코일(미도시)이 권취된 보빈(5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51)에는 탈수축(9)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이 보빈(51)의 외둘레에 권취된다.A solenoid 50 that forms a magnetic field when a current is applied may be provided. The solenoid 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case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solenoid 50 may include a bobbin 51 in which a coil (not shown)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obbin 51 is formed with a hollow through which the dehydration 9 passes, and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51.

상기 코일은 난연(難燃) 재질의 수지(55)로 감싸질 수 있다. 보빈(51)은 상기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 본체부(511)와 보빈 본체부(51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상판부(512)와, 보빈 본체부(51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하판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il may be wrapped with a resin 55 of flame retardant material. The bobbin 51 has a cylindrical bobbin body portion 511 and a top plate portion 51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obbin body portion 511, and a lower plat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bobbin body portion 511. It may include a portion 513.

접극자(70)는 클러칭 커플러(40)를 지지하고 축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솔레노이드(5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승된다. 접극자(70)는 접극자(接極子, armature, plunger)로써 작용하며, 강자성체(强磁性體)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ctor 70 is supported by the clutching coupler 40 and is arranged to be lif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is raised by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olenoid 50. The contactor 70 serves as a contactor (armature, plunger), and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body.

접극자(70)는 관상(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탈수축(9)에 끼워진다. 클러칭 커플러(40)는 탈수축(9)과 접극자(7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클러칭 커플러(40)는 접극자(7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함께 움직이다. 클러칭 커플러(40)와 접극자(7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접극자(70)에 형성된 제 1 체결공(70h)을 나사가 통과하여 클러칭 커플러(40)와 결속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클러칭 커플러(40)와 접극자(70)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결합되거나, 본딩, 용접, 접속, 접합 등의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ntact pole 70 is formed of a tubular (or cylindrical) shape and is fitted to the dehydration shaft 9. The clutching coupler 4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ehydration 9 and the pole 70. The clutching coupler 40 moves together in a state supported by the pole pole 70. The clutching coupler 40 and the contactor 7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embodiment, a screw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70h formed in the contactor 70 to be engaged with the clutching coupler 4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lutching coupler 40 and the contactor 70 may be coupled to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bolt, o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such as bonding, welding, connection, and bonding.

클러칭 커플러(40)는 내주면에 스플라인 홈(41a)이 형성된 관상의 커플러 본체(41)와, 커플러 본체(4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환형의 리브(42)와, 리브(4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커플러 본체(41)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칭 커플러(40)가 상기 접속위치있을 시, 치(41a)들이 결합 플랜지(65b)의 치합홈(65b3)들과 맞물릴 수 있다.The clutching coupler 40 includes a tubular coupler body 41 having a spline groove 41a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annular rib 42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 body 41, and a bottom surface of the rib 42.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eth 43 protruding downward and disposed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coupler body 41. When the clutching coupler 40 is in the connection position, the teeth 41a can engage the engaging grooves 65b3 of the coupling flange 65b.

하부 케이스(30)는 베어링 하우징(16)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0)는 하부 케이스(30) 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0)는 솔레노이드(50)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32)와, 케이스 본체(32)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형의 케이스 플랜지(33)와, 케이스 본체(3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고 대략 중앙에 탈수축(9)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형의 케이스 베이스(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ase 3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16. The solenoid 50 may be fixedly disposed in the lower case 30. The lower case 30 has a cylindrical case body 32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olenoid 50, a ring-shaped case flange 33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top of the case body 32, and the case body It may include a ring-shaped case base 34 having an opening extending in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32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dehydration shaft 9 passes approximately at the center.

탈수축(9)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트랙(9b)이 연장된다. 볼(13)이 트랙(9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트랙(9b)은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볼(13)은 상기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track 9b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watering shaft 9. The ball 13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track 9b. The track 9b may be formed of a groov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all 13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클러칭 커플러(4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홈(100)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00)은 볼(13)과 맞물리고, 클러칭 커플러(4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볼(13)이 트랙(9b)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한다.A guide groove 10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40. The guide groove 100 engages with the ball 13 and guides the ball 13 to move along the track 9b in respons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lutching coupler 40.

가이드 홈(100)은, 클러칭 커플러(4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볼(13)과 접촉되는 하강 안내면(110)과, 하강 안내면(110)의 하측에서 클러칭 커플러(4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볼(13)과 접촉되는 상승 안내면(120)을 포함한다.The guide groove 100 is a process in which the clutching coupler 40 is raised from the lower guide surface 110 and the lower guide surface 110 in contact with the ball 13 in the course of the lowering of the clutching coupler 40 It includes a rising guide surface 120 in contact with the ball (13).

하강 안내면(110)과 상승 안내면(120)은 가이드 홈(100)의 바닥(130)과 함께 가이드 홈(100)을 규정하는 것이다. 트랙(9b) 내에서의 볼(13)의 위치는, 클러칭 커플러(40)가 하강되는 중에는 하강 안내면(110)에 의해 변하고, 클러칭 커플러(40)가 상승되는 중에는 상승 안내면(120)에 의해 변한다.The downward guide surface 110 and the upward guide surface 120 define the guide groove 100 together with the bottom 130 of the guide groove 100. The position of the ball 13 in the track 9b is changed by the lower guide surface 110 while the clutching coupler 40 is lowering, and to the upward guide surface 120 while the clutching coupler 40 is being raised. Changes by

클러칭 커플러(40)의 내주면 상에서 스플라인 홈(41a)과 가이드 홈(100)은 중첩될 수 있다. 즉, 클러칭 커플러(40)의 내주면 상에 스플라인 홈(41a)을 형성한 상태에서, 그 위에 다시 스플라인 홈(41a) 보다 더 깊게 가이드 홈(100)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스플라인 홈(41a)은 길이 방향(또는, 축방향)으로는 가이드 홈(100)이 형성된 구간에서 불연속적이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40, the spline groove 41a and the guide groove 100 may overlap.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spline groove 41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40, the guide groove 100 can be formed deeper than the spline groove 41a thereon, in this case, the spline groove 41a is discontinuous in the section in which the guide groove 10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xial direction).

하강 안내면(110)에는 하측이 개방된 오목한 골로 이루어져, 클러칭 커플러(40)가 접속해제위치(도 6 참조.)에 있을 시, 상기 골 내에 볼(13)이 위치되는 접속해제유지 골(111)이 형성된다.The descending guide surface 110 is made of a concave valley with an open lower side, and when the clutching coupler 40 is in the disengagement position (see Fig. 6), the disengagement maintaining goal 111 in which the ball 13 is located in the goal ) Is formed.

볼(13)이 접속해제유지 골(111)에 위치하고, 솔레노이드(50)에 전원이 미인가된 상태이면, 볼(13)은 접속해제유지 골(111)로부터 벗어나지 못하여 그 위치가 유지된다. 클러칭 커플러(40)가 상기 접속해제위치에 있을 시, 클러칭 커플러(4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9)의 복원력이 클러칭 커플러(40)를 하측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하강 안내면(110)과 볼(13)이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다. 특히, 볼(13)이 접속해제유지 골(111)의 내측면과 밀착되기 때문에, 볼(13)이 접속해제유지 골(111)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If the ball 13 is located in the dis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1 and the solenoid 50 is in an unpowered state, the ball 13 does not deviate from the dis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1 and maintains its position. When the clutching coupler 40 is in the disconnected position, an elastic member 29 for pressing the clutching coupler 40 downward may be further provided. Since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9 pushes the clutching coupler 40 downward,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110 and the ball 13 can be sur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In particular, since the ball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onnecting and maintaining bone 111, the ball 13 can maintain its position without deviating from the disconnecting and maintaining bone 111.

하강 안내면(110)은 접속해제유지 골(111)로부터 원주방향(D)으로 점점 하강되는 경사를 이루는 하강경사구간(112)을 포함할 수 있다. 탈수축(9)은 세탁조(4)와 연결된 것으로써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이기 때문에, 클러칭 커플러(40)가 하강될 시, 탈수축(9)과 스플라인 결합된 클러칭 커플러(40)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이고, 이때, 하강 안내면(110)에 의해 볼(13)이 트랙(9b)을 따라 원주방향(D)으로 이동된다. 즉, 볼(13)은 트랙(9b)을 따라 원주방향(D)으로 이동되는 것이자, 가이드 홈(100) 상에서의 위치도 가변되는 것이다.The descending guide surface 110 may include a descending slope section 112 which forms an inclination gradually descending from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Since the dehydration shaft 9 is connected to the washing tank 4, a large load is applied, and when the clutching coupler 40 is lowered, the clutching coupler 40 spline-coupled with the dehydration shaft 9 is substantially In a fixed state, the ball 13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along the track 9b by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110. That is, the ball 13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along the track 9b, and the position on the guide groove 100 is also changed.

상승 안내면(120)에는 하강경사구간(112)의 최저점(112b)보다 더 원주방향(D)으로 진행된 측에 제 1 스톱 골(122)이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칭 커플러(4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승 안내면(120)을 따라 원주방향(D)으로 이동(또는, 상대이동)하던 볼(13)이 제 1 스톱 골(122)에 이르면 더 이상 원주방향(D)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제 1 스톱 골(122) 내에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이후로는, 클러칭 커플러(40) 역시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A first stop goal 122 may be formed on the rising guide surface 120 on the side that has progres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more than the lowest point 112b of the descending slope section 112. In the process of the clutching coupler 40 being raised, the ball 13 mov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along the guiding surface 120 (or moving relative thereto) reaches the first stop goal 122 and is no longer circumferential. It does not proceed in the direction D and maintains the position within the first stop goal 122, and thereafter, the clutching coupler 40 also no longer rises and maintains its position.

상승 안내면(120)은 접속해제유지 골(111)의 연직 하측의 지점(123a)으로부터 원주방향(D)을 따라 점점 하강되어 제 1 스톱 골(122)에 이르는 제 1 하강안내구간(1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scending guide surface 120 gradually desc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from the point 123a at the vertically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1 to the first descending guiding section 123 reaching the first stop goal 122. It can contain.

하강 안내면(110)은 제 1 스톱 골(122)의 연직 상측의 지점(113a)으로부터 원주방향(D)을 따라 점점 상승되는 제 1 상승안내구간(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안내면(110)에는 제 1 상승안내구간(113)의 상단(113b)에 클러칭 커플러(40)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볼(13)이 위치되는 접속유지 골(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속유지 골(114)은 접속해제유지 골(111)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The descending guide surface 110 may include a first upward guide section 113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from the point 113a vertically above the first stop goal 122. When the clutching coupler 40 is in the connection position at the upper end 113b of the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113,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4 where the ball 13 is located is formed on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110. Ca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maintenance goal 114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onnection maintenance goal 111.

상승 안내면(120)은 접속유지 골(114)의 연직 하측의 지점(125a)으로부터 원주방향(D)을 따라 점점 하강되는 제 2 하강안내구간(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강안내구간(125)의 하단에는 제 2 스톱 골(124)이 형성될 수 있다.The rising guide surface 120 may include a second descending guide section 125 gradually desc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from the point 125a on the vertical side of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4. A second stop goal 124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descending guide section 125.

하강 안내면(110)은 제 2 스톱 골(124)의 연직 상측의 지점(115a)으로부터 원주방향(D)을 따라 점점 상승되는 제 2 상승안내구간(1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scending guide surface 110 may include a second upward guide section 115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from the point 115a on the vertical side of the second stop goal 124.

이상에서 설명한, 접속해제유지 골(111)로부터 제 2 상승안내구간(115)에 이르는 홈 구조는 원주방향(D)을 따라 복수개가 반복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상승안내구간(115)의 상단에는 인접한 홈 구조의 접속해제유지(도 5에서 위치 P1'에 형성된 골)이 위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roove structure from the connection-retaining goal 111 to the second ascending guide section 115 may achie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peats are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In this case,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scending guide section 115, the connection disconnection maintenance of the adjacent groove structure (the bone formed at position P1' in FIG. 5) may be located.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클러칭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lutching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볼(13)이 접속해제유지 골(111) 내에 위치한 상태(도 1의 위치 P1 참조.)에서는 클러칭 커플러(40)는 접속해제위치로 상승된 상태이다. 클러칭 커플러(40)는 로터 허브(65)와 분리되어 있고, 탄성부재(29)는 압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모터(6)가 작동되면 펄세이터(5) 만이 회전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ball 13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1 (refer to the position P1 in FIG. 1), the clutching coupler 40 is elevated to the connection release position. The clutching coupler 40 is separated from the rotor hub 65, and the elastic member 29 is compressed. In this state, when the motor 6 is operated, only the pulsator 5 is rotated.

이후,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솔레노이드(50)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클러칭 커플러(40)가 상승되어, 볼(13)이 가이드 홈(100) 상에서 위치 P2로 하강된다. 이후, 볼(13)은 제 2 하강안내구간(125)을 따라 하강되어 제 1 스톱 골(122) 내의 위치 P3에 이르러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Thereafter,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solenoid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 the clutching coupler 40 is raised, and the ball 13 is lowered to the position P2 on the guide groove 100. Thereafter, the ball 13 descends along the second descending guide section 125 to reach the position P3 in the first stop goal 122 and stops further.

이 상태에서,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솔레노이드(50)의 코일로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면, 클러칭 커플러(40)가 하강되고, 그에 따라 볼(13)이 위치 P4에 이르게된다(이하, 볼(13)의 변위는 가이드 홈(100)에 대한 상대 변위임.). 이후, 볼(13)은 제 1 상승안내구간(113)을 따라 변위되어 접속유지 골(114) 내의 위치 P5에 이르게 된다. 볼(13)이 P5에 위치한 상태에서, 클러칭 커플러(40)는 로터 허브(65)와 접속되어 있고, 모터(6)가 작동되면 펄세이터(5)와 세탁조(4)가 함께 회전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of the solenoid 50 is block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 the clutching coupler 40 is lowered, and thus the ball 13 reaches the position P4 (hereinafter, The displacement of the ball 13 is relative to the guide groove 100.). Thereafter, the ball 13 is displaced along the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113 to reach the position P5 in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114. With the ball 13 positioned at P5, the clutching coupler 40 is connected to the rotor hub 65, and when the motor 6 is operated, the pulsator 5 and the washing tank 4 are rotated together.

이후, 제어부(17)의 제어하에 다시 솔레노이드(50)에 전류가 인가되면, 클러칭 커플러(40)가 상승되고, 볼(13)은 위치 P6로 하강하게 된다. 볼(13)이 제 2 하강안내구간(125)을 따라 하강 안내되어 위치 P7에 이르게 된다.Thereafter,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50 agai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 the clutching coupler 40 is raised, and the ball 13 is lowered to the position P6. The ball 13 is guided down along the second descending guide section 125 to reach the position P7.

이후 솔레노이드(50)에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면, 클러칭 커플러(40)가 하강되면서 볼(13)은 제 2 스톱 골(124)의 연직 상측의 지점(115a)과 대응하는 위치 P8에 이른 후, 제 2 상승안내구간(115)을 따라 안내되며 원주방향(D)으로 점점 상승되어 위치 P1'이르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50 is cut off, the clutch 13 is lowered while the ball 13 reaches the position P8 corresponding to the point 115a on the vertical upper side of the second stop goal 124 , It is guided along the second ascending guide section 115 and gradually increa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to reach the position P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제 1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트랙이 형성된 탈수축;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
상기 탈수축과 연결된 세탁조;
상기 제 1 중공 내에 배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펄세이터;
상기 탈수축이 통과하는 제 2 중공을 규정하는 내주면이 상기 탈수축의 외주면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접속위치에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탈수축을 축이음하고, 상기 접속위치로부터 상승된 접속해제위치에서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분리되는 클러칭 커플러;
전류가 인가될 시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클러칭 커플러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승되는 접극자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칭 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과 맞물리고, 상기 클러칭 커플러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볼이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볼과 접촉되는 하강 안내면과, 상기 하강 안내면의 하측에서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볼과 접촉되는 상승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 안내면에는,
하측이 개방된 오목한 골로 이루어져,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해제위치에 있을 시, 상기 골 내에 상기 볼이 위치되는 접속해제유지 골이 형성되는 세탁기.
A first hollow is formed, and a dehydration track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ball movable along the track;
A washing tank connected to the dehydration;
A drive shaft disposed in the first hollow;
A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A pulsator disposed in the washing tank and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shaf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efining the second hollow through which the dehydration shaft passes is spline-coupl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shaft,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nd the dehydration shaft at a connection loca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drive shaft at a connection release location elevated from the connection location. Clutching coupler;
A solenoid that forms a magnetic field when a current is applied; And
It is arranged to be lifted together with the clutching coupler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includes a pole that is raised by the magnetic fiel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utching coupler,
A guide groove is formed in engagement with the ball and guiding the ball to move along the track in respons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lutching coupler.
The guide groove,
A descending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ll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the clutching coupler, and a rising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ll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clutching coupler under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On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The washing machine is formed with a concave valley with an open lower side, and when the clutching coupler is in the disengagement position, a disengagement maintenance goal in which the ball is located in the goal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안내면은,
상기 접속해제유지 골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점점 하강되는 하강경사구간(112)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안내면에는,
상기 하강경사구간의 최저점(112b)보다 더 상기 원주방향으로 진행된 측에 제 1 스톱 골이 형성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And a descending slope section 112 gradually desc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disconnection maintaining goal,
On the upward guide surface,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first stop goal is formed on the side which has progres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than the lowest point 112b of the descending slope s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안내면은,
상기 제 1 스톱 골의 연직 상측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점점 상승되는 제 1 상승안내구간을 포함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2,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gradually increas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int above the vertical stop of the first stop go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안내면에는,
상기 제 1 상승안내구간의 상단에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위치에 있을 시, 상기 볼이 위치되는 접속유지 골이 형성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When the clutching coupler is in the connection position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connection maintenance goal is located in which the ball is located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안내면은,
상기 접속해제유지 골의 연직 하측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점점 하강되어 상기 제 1 스톱 골에 이르는 제 1 하강안내구간을 포함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2,
The upward guide surface,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first descending guide section gradually desc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int at a vertically lower side of the disconnection maintaining goal to reach the first stop go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안내면은,
상기 제 1 스톱 골의 연직 상측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점점 상승되며 연장되는 제 1 상승안내구간; 및
상기 제 1 상승안내구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접속해제유지 골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 접속유지 골을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descending guide surface,
A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gradually increasing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int above the vertical stop of the first stop goal; And
A washing machine which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scending guide section, and includes a connection maintaining valley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onnection maintaining go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안내면은,
상기 접속유지 골의 연직 하측의 지점(125a)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D)을 따라 점점 하강되는 제 2 하강안내구간(125); 및
상기 제 2 하강안내구간(125)의 하단에 형성된 제 2 스톱 골(124)을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upward guide surface,
A second descending guide section 125 gradually desc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from the point 125a on the vertical side of the retaining goal; And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second stop goal (12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descending guide section (1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칭 커플러가 상기 접속해제위치에 있을 시, 상기 클러칭 커플러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A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clutching coupler downward when the clutching coupler is in the disconnected position.
KR1020180172836A 2018-12-28 2018-12-28 Washing machine KR1021981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36A KR102198186B1 (en) 2018-12-28 2018-12-28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36A KR102198186B1 (en) 2018-12-28 2018-12-28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39A true KR20200082339A (en) 2020-07-08
KR102198186B1 KR102198186B1 (en) 2021-01-04

Family

ID=7160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836A KR102198186B1 (en) 2018-12-28 2018-12-28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8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920Y1 (en) * 1998-03-26 2000-09-01 구자홍 Apparatus for draining water in washing machine
KR101892012B1 (en) * 2017-01-10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wash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920Y1 (en) * 1998-03-26 2000-09-01 구자홍 Apparatus for draining water in washing machine
KR101892012B1 (en) * 2017-01-10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186B1 (en)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539B1 (en) Washing machine
EP3626875B1 (en) Washing machine
JP2006517125A (en) Washing machine
CN109837701B (en) Washing machine
KR102123431B1 (en) Washing machine
KR102198186B1 (en) Washing machine
US11603620B2 (en) Washing machine
GB2322636A (en) Improvements in washing machine clutches
EP3683346B1 (en) Washing machine
KR102289758B1 (en) Driv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2339982B1 (en) Washing machine
KR102454765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2256B1 (en) Washing Machine
AU2020264416A1 (en) Washing machine
KR102099131B1 (en) Washing machine
KR101992185B1 (en) Washing machine
KR20210054814A (en) Washing machine
KR20210054813A (en) Washing machine
KR20210082810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