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306A - 면도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306A
KR20200082306A KR1020180172762A KR20180172762A KR20200082306A KR 20200082306 A KR20200082306 A KR 20200082306A KR 1020180172762 A KR1020180172762 A KR 1020180172762A KR 20180172762 A KR20180172762 A KR 20180172762A KR 20200082306 A KR20200082306 A KR 20200082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ming
blade
edge
blade housing
razo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163B1 (ko
Inventor
박세민
유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8017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1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43Contou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면도기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레이드 하우징; 블레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블레이드; 트리밍 에지를 가지는 트리밍 블레이드로서, 블레이드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트리밍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 하우징에 고정되어 트리밍 블레이드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트리머 캡을 포함하되, 트리머 캡은, 트리밍 가드부 및 트리밍 에지와 트리밍 가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트리밍 에지를 향한 피부 눌림을 적어도 일부 방지하도록 구성된 눌림 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본 개시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면도시, 면도기의 스트로크(stroke)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복수의 블레이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면도기 카트리지(이하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에 복수의 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한 번의 스트로크에도, 복수의 블레이드가 체모를 절삭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적은 수의 스트로크를 통해서도, 깔끔한 면도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에 복수의 블레이드가 배치되므로, 면도기 카트리지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코 밑 부위와 같이 굴곡진 부위에 난 수염을 용이하게 면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리밍 블레이드를 가지는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이하 '트리머 면도기 카트리지')가 등장하게 되었다.
트리머 면도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블레이드의 반대측에 배치된 트리밍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구레나룻 또는 코 밑 부위와 같이 굴곡진 부위에 난 수염을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트리밍 블레이드를 이용한 면도는, 종래의 복수의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주 면도(primary shaving)와 구별하여, 트리밍 면도(trimming shaving)라 지칭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리머 면도기 카트리지는, 트리밍 면도시, 면도기 카트리지에 의해 피부가 과도하게 눌려짐으로써, 트리밍 블레이드의 트리밍 에지에 의해 피부가 베이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보 10-1682481호 (2016.11.29 공개)
이에, 본 개시는 트리머 캡에 일체로 구비된 눌림 방지벽을 이용하여, 트리밍 면도시, 피부가 과도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트리밍 블레이드의 트리밍 에지에 의해 피부가 베이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레이드 하우징; 블레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블레이드; 트리밍 에지를 가지는 트리밍 블레이드로서, 블레이드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트리밍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 하우징에 고정되어 트리밍 블레이드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트리머 캡을 포함하되, 트리머 캡은, 트리밍 가드부 및 트리밍 에지와 트리밍 가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트리밍 에지를 향한 피부 눌림을 적어도 일부 방지하도록 구성된 눌림 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눌림 방지벽을 포함하는 트리머 캡을 이용하여, 트리밍 면도의 성능을 저하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한 트리밍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에 트리머 캡이 결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10)의 후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0)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10), 주 블레이드(primary blade, 120), 트리밍 블레이드(trimming blade, 130), 트리머 캡(trimmer cap, 140), 및 클립(clip, 15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가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 블레이드(12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의 클립(150)에 의해 지지(retain)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 블레이드(12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 면도(primary shaving)시 체모를 절삭하도록 구성된 주 커팅 에지(primary cutting edge, 도 2의 122)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주 가드부(primary guard portion, 도 2의 116) 및 주 캡부(primary cap portion, 도 2의 118)를 포함할 수 있다.
주 가드부(116)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주 블레이드(1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 캡부(118)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주 블레이드(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타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트리머 캡(140)에 의해 고정 내지 지지될 수 있다.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트리밍 면도(trimming shaving)시 체모를 절삭하도록 구성된 트리밍 에지(trimming edge, 도 2의 132)를 가질 수 있다.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주 블레이드(120) 보다 적은 수의 개수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통해, 주 면도와 비교하여, 피부에 접촉하는 면도기 카트리지(10)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굴곡이 많은 피부 영역 또는 정밀한 면도가 필요한 영역, 예를 들어, 코 아래, 귀 근처, 및 귀 부근의 피부 영역 등에 대하여 정밀한 트리밍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트리머 캡(140)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트리밍 블레이드(130)에 지지력(retention force)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머 캡(140)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형성된 장착홈(mounting groove, 도 7의 111)에 후크 결합(hook coupl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리머 캡(140)은 트리밍 가드부(trimming guard portion, 142) 및 눌림 방지벽(pressure-resistant wall, 14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밍 가드부(142)는, 트리밍 에지(도2의 132)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트리밍 면도시, 트리밍 에지(132)의 전방의 피부를 지지하고 트리밍 면도 평면(trimming shaving plane, 도 6의 P1)을 정의할 수 있다.
트리밍 가드부(142)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리밍 가드부(142)는 탄성부재(elastic member)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트리밍 가드부(142)는, 트리밍 면도시, 트리밍 에지(132)가 체모를 절삭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피부를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트리밍 에지(132)에 의한 체모의 절삭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트리밍 가드부(142)은 트리밍 면도 평면(도 6의 P1)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밍 면도 평면(P1)은 트리밍 가드부(142)의 일부 영역 또는 트리밍 면도시 실제로 피부가 접촉하는 트리머 캡(140) 상의 지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트리밍 면도 평면(P1)은 트리밍 가드부(142) 및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트리밍 접촉부(trimming contacting portion, 112)와 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밍 접촉부(112)의 복수의 철부(1121, protrusion portion)와 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트리밍 접촉부(112)는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일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리밍 접촉부(112)는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별개의 부재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트리밍 접촉부(112)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후방에 결합되어, 트리밍 가드부(142)와 함께, 트리밍 면도 평면(P1)을 정의할 수 있다.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에지(132)와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면도시, 사용자의 피부가 과도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트리밍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클립(150)은 주 블레이드(120)를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주 블레이드(12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150)은 주 블레이드(120)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부(blade retaining portion, 도 7의 152), 블레이드 지지부(152)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레그(first leg, 154) 및 제2레그(second leg, 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그(15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형성된 관통홀(through hole)에 삽입되고, 제2레그(156)는, 블레이드 지지부(152)가 주 블레이드(120)를 감싼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10)을 일측면을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레그(156)는 트리머 캡(14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함으로써,트리머 캡(140)에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클립(150)을 통해 주 블레이드(120)를 지지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레그(154) 및 제2레그(156)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양측의 외부면을 각각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1레그(154) 및 제2레그(156)가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형성된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트리밍 접촉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밍 접촉부(112)는 트리밍 가드부(142)와 함께 트리밍 면도 평면을 정의할 수 있다.
트리밍 접촉부(112)는 트리밍 에지(140)의 길이방향에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철부(protrusion portion, 1121) 및 복수의 요부(recess portion, 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밍 접촉부(112)의 복수의 철부(1121) 및 복수의 요부(1122)는 전체로서 콤(comb)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트리밍 접촉부(112)에 형성된 콤 형상은, 트리밍 면도시, 체모를 복수의 요부(1122)로 모아주어 면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트리밍 접촉부(112)는, 트리밍 면도 후, 사용자의 피부에 윤활 성분을 도포할 수 있는 윤활 밴드(lubricating ban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주 가드부(primary guard portion, 116) 및 주 캡부(primary cap portion, 118)를 포함할 수 있다.
주 가드부(116)는, 주 면도시, 주 커팅 에지(122)에 의한 체모의 절삭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자의 피부를 당겨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주 커팅 에지(122)에 의한 체모의 절삭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주 가드부(116)는, 피부를 효과적으로 당겨주기 위해,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주 가드부(116)는 주 면도 평면(primary shaving plane)을 정의할 수 있다.
주 면도 평면은 주 가드부(116) 및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주 캡부(118)와 접할 수 있다.
주 캡부(118)는, 주 커팅 에지(122)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상면 상에서, 주 블레이드(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주 캡부(118)는, 주 면도 후,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윤활 성분을 도포할 수 있는 윤활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블레이드(120)는 절곡날(bended blade)일 수 있다. 이 경우, 주 블레이드(120)는 제1지지부(first support portion, 124) 및 제1절곡부(first bended portion, 126)을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부(12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 수용되는 주 블레이드(12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1절곡부(126)는 제1지지부(124)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1절곡부(126)의 단부에 주 커팅 에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24) 및 제1절곡부(126)는 일체형일 수 있으나, 제1지지부(124) 및 제1절곡부(126)가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절곡부(126)가 제1지지부(124)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강대날(welded blade) 형식일 수도 있다.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절곡날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제2지지부(second support portion, 134) 및 제2절곡부(second bended portion, 13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제2절곡부(136)의 단부에 트리밍 에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가 절곡날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절곡날이 아닌, 일자형 날(straight blade)일 수도 있다.
트리밍 에지(132)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주 커팅 에지(122)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커팅 에지(122)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상면을 향하고, 트리밍 에지(132)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하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스테인리스강,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서로 동일한 성질 및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재료와 형상이 완전히 동일하며,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배치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동일한 공정 및 동일한 장비로 제조될 수 있으며, 면도기 카트리지(10)의 조립 공정에서도 블레이드 종류의 구별 없이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를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 블레이드(120) 및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주 면도 및 트리밍 면도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성질 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리머 캡(140)의 본체(146)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조립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트리밍 블레이드(130)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리머 캡(140)은 트리밍 블레이드(13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14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14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리머 캡(140)은 본체(main body, 146) 및 결합부(connecting portion, 148)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46)는 트리밍 에지(1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트리밍 블레이드(13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46)는 트리밍 가드부(142) 및 눌림 방지벽(14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밍 가드부(142) 및 눌림 방지벽(144)은, 본체(146) 상에서 트리밍 에지(1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가드면(trimming guard plane, GP) 상에서 트리밍 에지(13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리밍 가드면(GP)은 트리밍 가드부(142)로부터 눌림 방지벽(144)을 향해 연장되는 본체(146)의 일측과 접하는 평면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트리밍 가드면(GP)은 트리밍 가드부(142)의 상면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가드면(GP)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평 단차부(horizontal step portion, 14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단차부(1442)는, 눌림 방지벽(144)이 트리밍 에지(132)를 향한 체모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트리밍 에지(13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눌림 방지벽(144) 및 트리밍 가드부(142)는, 어떠한 철부 또는 요부를 가지지 않는 평탄한 면(even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눌림 방지벽(144) 및 트리밍 가드부(142)는 전체로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눌림 방지벽(144) 및 트리밍 가드부(142)가 바 형상을 가질 경우, 트리머 캡(140) 제조에 사용되는 몰드(mold)의 형상 또한 이와 상보적인 바(bar) 형상으로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눌림 방지벽(144)의 형상이 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리밍 캡(144)은 복수의 눌림 방지벽(14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에지(144)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12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트리밍 가드부(142) 및 눌림 방지벽(144)은 본체(146)와 일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리밍 가드부(142) 및 눌림 방지벽(144)은, 본체(146)와 별도의 부재로서, 본체(146)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146)에 부착 내지 고정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결합부(148)는 본체(146)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48)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형성된 장착홈(도 7의 111)에 삽입되어, 스냅 결합(snap-fit) 내지 후크 결합(hook coupling)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48)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1481)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장착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홈(111) 내에 형성된 단차(step) 영역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트리머 캡(140)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트리머 캡(140)은 트리밍 에지(13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1가상 평면(first virtual plane, VP1)에 대해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제1가상 평면(VP1)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결합부(148A)는 우측에 위치하는 결합부(148B)와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트리밍 가드부(142), 눌림 방지벽(144), 및 본체(146) 또한 제1가상 평면(VP1)에 대하여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Ⅴ-Ⅴ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140)의 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리머 캡(140)은 트리밍 에지(1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며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대면하는 본체(146)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가상 평면(second virtual plane, VP2)에 대하여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트리밍 가드부(142A) 및 눌림 방지벽(144A)은 우측에 위치하는 트리밍 가드(142B) 및 눌림 방지벽(144B)과, 제2가상 평면(VP2)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48) 또한 제2가상 평면(VP2)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140)은 제2가상 평면(VP2)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조립 공정시, 트리머 캡(140)의 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트리머 캡(140)을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리밍 면도 평면(P1)은 트리밍 가드부(142) 및 트리밍 접촉부(112)의 복수의 철부(1121)에 접할 수 있다.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에지(132)와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에서 상기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해 음의 노출(negative exposure)을 가질 수 있다.
트리밍 가드부(142)는 트리밍 가드부(142) 및 트리밍 접촉부(112)의 복수의 요부(1122)에 접하는 트리밍 접선 평면(trimming tangent plane, P2)을 정의할 수 있으며,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접선 평면(P2)을 기준으로 양의 노출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의 노출은, 기준면(reference plane)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부재(protrusion member)에 있어서, 그 돌출 부재의 돌출단(protruding end)이 그 기준면의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양의 노출(positive exposure)은, 돌출 부재의 돌출단이 기준면을 넘어 위치하는 경우를 지칭하는 것이며, 중립 노출(neutral exposure)은, 돌출 부재의 돌출단이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해서는 음의 노출을 가지고 트리밍 접선 평면(P2)에 대해서는 양의 노출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트리밍 접촉부(112)가 복수의 요부(1122)를 포함할 경우, 트리밍 에지(132)는, 트리밍 면도 평면(P1)과 비교하였을 때, 트리밍 접선 평면(P2)에서 더 많은 노출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에지(132)를 향한 피부의 눌림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트리밍 접선 평면(P2)에 대해서는 양의 노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에지(132)에 의한 체모의 절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과도하게 눌려진 피부가 트리밍 에지(132)에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트리밍 면도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안전한 트리밍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가드부(142)보다 트리밍 에지(132)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눌림 방지벽(144)과 트리밍 에지(132) 사이의 거리(L1)는 눌림 방지벽(144)과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의 거리(L2) 보다 짧을 수 있다.
눌림 방지벽(144)과 트리밍 에지(132) 사이의 거리(L1)가 멀어질수록, 트리밍 접촉부(112)의 복수의 철부(1121)와 눌림 방지벽(144) 사이의 공간은 넓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눌림 방지벽(144)에 의해 눌림이 방지된 피부는, 다시, 복수의 철부(1121)와 눌림 방지벽(144) 사이의 공간으로 눌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리밍 에지(132)에 의해 피부가 베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방지벽(144)은 보다 트리밍 에지(132)에 근접하게 배치시킴으로써, 복수의 철부(1121)와 눌림 방지벽(144) 사이의 공간을 좁힐 수 있고, 이로써, 과도한 피부 눌림을 방지하는 눌림 방지벽(144)의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눌림 방지벽(144)은 트리밍 에지(132)를 향해 트리밍 가드면(GP)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눌림 방지벽(144)과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에는, 눌림 방지벽(144)과 트리밍 가드부(142)의 높이 차에 의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리머 캡(140)의 단면은 눌림 방지벽(144) 및 트리밍 가드부(142)에 의해 이루어지는 계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에 의해, 눌림 방지벽(144)과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눌림 방지벽(144)에 의해 눌림이 방지된 피부가 트리밍 가드부(142)의 방향으로 퍼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눌림 방지벽(144) 및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에 단차(149)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눌림 방지벽(144) 및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의 공간이 없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눌림 방지벽(144)에 의해 눌림이 방지된 피부는, 트리밍 가드부(142)를 향해, 많은 양의 피부가 이동할 수 없으며, 자연스럽게, 트리밍 에지(132)를 향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피부가 쏠릴 수밖에 없다.
이 경우, 트리밍 에지(132)를 향해 쏠린 피부는 트리밍 에지(132)에 베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140)은, 눌림 방지벽(144) 및 트리밍 가드부(142) 사이에 단차(149)를 형성함으로써, 눌림 방지벽(144)에 의해 눌림이 방지된 피부가 트리밍 가드부(142)를 향해 퍼질 수 있는 공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과도한 피부 눌림을 방지하는 눌림 방지벽(144)의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서는, 트리밍 접촉부(112)가 교번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철부(1121) 및 복수의 요부(1122)를 포함하며, 복수의 철부(1121) 및 복수의 요부(1122)는 트리밍 면도 평면(P1) 및 트리밍 접선 평면(P2)을 각각 정의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리밍 접촉부(112)는, 어떠한 철부 및 요부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면(even surface)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5 및 도 16과 관련되어 기술된다.
또한, 도 6에서, 트리밍 에지(132)는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해 음의 노출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리밍 면도 평면(P1)의 위치 또는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한 눌림 병지벽(144)의 노출 정도에 따라, 트리밍 에지(132)는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해 중립 노출 또는 양의 노출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에 트리머 캡(140)이 결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트리밍 블레이드(130)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타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트리밍 블레이드(130)의 트리밍 지지부(134) 및 제2절곡부(136)는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맞닿도록 배치되고, 트리밍 에지(132)는 주 블레이드(120)의 주 커팅 에지(122)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리머 캡(140)은, 트리밍 블레이드(130)가 수용된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타측을 향해, 트리머 캡(140)의 본체(146)가 트리밍 블레이드(130)를 덮는 방식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트리머 캡(140) 사이에서 샌드위치(sandwich)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리밍 블레이드(130)는 트리머 캡(140)의 본체(146)으로부터 클램핑 력(clamping force)을 제공받을 수 있다.
트리머 캡(140)의 결합부(148)는 결합부(148)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149)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장착홈(111) 내에 삽입되어, 장착홈(111) 내의 단차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스냅 결합 내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트리머 캡(140)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클립(150)은, 주 블레이드(120)가 수용된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일측을 향해, 주 블레이드(120)를 지지하도록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레그(15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고, 제2레그(156)는, 블레이드 지지부(152)가 주 블레이드(120)를 감싼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일측면을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레그(156)는 트리머 캡(14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함으로써 트리머 캡(140)에 블레이드 하우징(110)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레그(156)는 트리머 캡(140)의 양측에 위치하는 결합부(148)의 상면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결합부(148)를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트리머 캡(14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1)는 면도기 카트리지(10) 및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2)을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0)는 하우징측 연결부(housing-side connecting portion, 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측 연결부(114)는 면도기 핸들(2)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측 연결부(114)는 면도기 핸들(2)의 핸들측 연결부(handle-side connecting portion, 6)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측 결합부(114)는 핸들측 결합부(6)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측 결합부(114)는 핸들측 결합부(6)와 해제 불가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하우징측 결합부(11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과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0)는, 면도기 핸들(2)과 결합된 상태에서, 면도기 핸들(2)에 대해 피봇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측 결합부(114)와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상호간 위치가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핸들측 결합부(6)는 면도기 핸들(2)의 그립부(4)와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면도기 핸들(2)은 그립부(gripping portion, 4), 핸들측 결합부(handle-side connecting portion, 6), 및 버튼부(button portion, 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4)는 사용자에게 파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이며, 핸들측 결합부(6)는 면도기 핸들(2)이 면도기 카트리지(10)와 결합되는 영역이다.
버튼부(8)는 핸들측 결합부(6)와 하우징측 결합부(114) 사이의 결합을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부(8)를 조작하여 노후된 면도기 카트리지를 면도기 핸들(2)로부터 이탈(eject)시킨 후, 새로운 면도기 카트리지를 면도기 핸들(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면도기 카트리지(10)를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후술될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트리머 캡이 복수의 눌림 방지벽을 포함하고, 복수의 눌림 방지벽이 트리밍 접촉부의 복수의 요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240)은 복수의 눌림 방지벽(24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눌림 방지벽(244)은 트리밍 접촉부(212)의 복수의 요부(212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트리머 캡(240) 상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좌측의 눌림 방지벽(244A) 및 우측의 눌림 방지벽(244B)은 좌측의 요부(2122A) 및 우측의 요부(2122B)와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두 요부(2122A, 2122B) 사이에 위치하는 철부(2122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눌림 방지벽(244)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240)의 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ⅩⅢ-ⅩⅢ 방향의 단면은 요부(2122)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철부(2121)에 의해 정의되는 트리밍 면도 평면(P1)과 복수의 요부(2122)에 의해 정의되는 트리밍 접선 평면(P2)를 비교하였을 때, 트리밍 에지(232)는 트리밍 접선 평면(P2)에서 더 큰 노출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밍 에지(232)는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해서는 음의 노출을 가질 수 있고, 트리밍 접선 평면(P2)에 대해서는 양의 노출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밍 에지(232)에 의한 베임은, 트리밍 면도 평면(P1)과 비교했을 때, 트리밍 접선 평면(P2)에서 더 잦은 빈도로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트리밍 에지(232)가 상대적으로 높은 노출을 가지는 트리밍 접선 평면(P2)을 정의하는 복수의 요부(2122)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복수의 눌림 방지벽(244)을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적은 재료의 사용으로도, 트리밍 에지(232)에 의한 베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 는 도 12의 ⅩⅣ-ⅩⅣ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240)의 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ⅩⅣ-ⅩⅣ 방향의 단면은 철부(2121)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트리밍 에지(232)가 상대적으로 낮은 노출을 가지는 트리밍 면도 평면(P1)을 정의하는 복수의 철부(2121)에 대해서는, 눌림 방지벽(244)을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실질적으로 면도가 이루어지는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해서는 적정한 정도의 피부 눌림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나은 면도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트리밍 접촉부가 복수의 철부 및 복수의 요부를 포함하지 않는 평탄한 면(even surface)인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캡(340)의 횡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트리밍 접촉부(312)는, 어떠한 철부 및 요부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면(even surface)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리밍 접촉부(312)의 평탄한 면은, 복수의 철부 및 복수의 요부를 가지는 트리밍 접촉부 상에서 복수의 요부가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밍 접촉부(312)의 단면의 프로파일은, 도 6에서 도시된 복수의 철부(1121)의 프로파일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리밍 접촉부(312)의 단면의 프로파일은, 도 6에서 도시된 복수의 철부(1121)의 프로파일 및 복수의 요부의 프로파일(1122)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트리밍 면도 평면(P1)은 트리밍 가드부(342) 및 트리밍 접촉부(312)의 평탄한 면에 접하는 평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눌림 방지벽(344)은 트리밍 가드부(342) 및 트리밍 접촉부(312)에 접하는 트리밍 면도 평면(P1)에 대해 음의 노출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는, 트리밍 접촉부(312)가 평탄한 면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트리밍 접촉부(312)의 모든 영역에서, 트리밍 에지(312)의 노출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트리밍 접촉부(312)의 모든 영역에서, 트리밍 에지(312)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가 베이게 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블레이드 하우징 112: 트리밍 접촉부 120: 주 블레이드
130: 트리밍 블레이드 140: 트리머 캡 142: 트리밍 가드부
144: 눌림 방지벽 148: 결합부 150: 클립
1121: 복수의 철부 1122: 복수의 요부

Claims (14)

  1.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블레이드(primary blade);
    트리밍 에지(trimming edge)를 가지는 트리밍 블레이드(trimming blade)로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트리밍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트리밍 블레이드에 지지력(retention force)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트리머 캡(trimmer cap)을 포함하되,
    상기 트리머 캡은,
    트리밍 가드부(trimming guard portion) 및 상기 트리밍 에지와 상기 트리밍 가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트리밍 에지를 향한 피부 눌림을 적어도 일부 방지하도록 구성된 눌림 방지벽(pressure-resistant wa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 상에서 상기 주 블레이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트리밍 접촉부(trimming contacting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밍 접촉부 및 상기 트리밍 가드부는 상기 트리밍 접촉부와 상기 트리밍 가드부에 접하는 트리밍 면도 평면(trimming shaving plane)을 정의하고,
    상기 눌림 방지벽은 상기 트리밍 면도 평면에 대해 음의 노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접촉부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방지벽은 상기 트리머 캡 상에서 상기 트리밍 에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머 캡은 상기 눌림 방지벽 및 상기 트리밍 가드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머 캡은,
    상기 트리밍 에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트리밍 블레이드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본체(main body) 및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부(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제1트리밍 가드부 및 상기 트리밍 에지와 상기 제1트리밍 가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트리밍 에지를 향한 피부 눌림을 적어도 일부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1눌림 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머 캡은,
    상기 트리머 캡을 상기 트리밍 에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가상 평면(virtual plane)에 대하여 대칭된 형상을 가지되,
    상기 본체는,
    상기 가상 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1트리밍 가드부와 대칭되는 제2트리밍 가드부 및 상기 가상 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1눌림 방지벽과 대칭되는 제2눌림 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후크 결합(hook coup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레이드를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지지하도록 구성된 클립(clip)을 더 포함하되,
    상기 트리머 캡은 상기 트리머 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접촉부는,
    상기 트리밍 에지의 길이방향에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철부(protrusion portion) 및 복수의 요부(recess portion)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밍 면도 평면은 상기 트리밍 가드부 및 상기 복수의 철부에 접하고,
    상기 트리밍 가드부는 상기 트리밍 가드부 및 상기 복수의 요부에 접하는 트리밍 접선 평면(trimming tangent plane)을 정의하되,
    상기 눌림 방지벽은 상기 트리밍 접선 평면을 기준으로 양의 노출(positive exposur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머 캡은 복수의 눌림 방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눌림 방지벽은,
    상기 복수의 요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트리머 캡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방지벽은 상기 트리밍 가드부보다 상기 트리밍 에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수용되는 지지부(support portion)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밍 에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레이드 및 상기 트리밍 블레이드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KR1020180172762A 2018-12-28 2018-12-28 면도기 카트리지 KR102148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62A KR102148163B1 (ko) 2018-12-28 2018-12-28 면도기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62A KR102148163B1 (ko) 2018-12-28 2018-12-28 면도기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06A true KR20200082306A (ko) 2020-07-08
KR102148163B1 KR102148163B1 (ko) 2020-08-26

Family

ID=7160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762A KR102148163B1 (ko) 2018-12-28 2018-12-28 면도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1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141A (ko) * 2003-07-21 2008-07-22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의 면도날 유닛
JP2008534238A (ja) * 2005-04-05 2008-08-28 エバレデイ バツテリ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レーザカートリッジ
US20100071215A1 (en) * 2008-09-25 2010-03-25 Wonderley Jeffrey W Trimmer for shaving razor
KR101682481B1 (ko) 2015-11-20 2016-12-05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CN107214738A (zh) * 2014-01-31 2017-09-29 德莱弗浩特企业有限责任公司 s形刮背刀手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141A (ko) * 2003-07-21 2008-07-22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의 면도날 유닛
JP2008534238A (ja) * 2005-04-05 2008-08-28 エバレデイ バツテリ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レーザカートリッジ
US20100071215A1 (en) * 2008-09-25 2010-03-25 Wonderley Jeffrey W Trimmer for shaving razor
CN107214738A (zh) * 2014-01-31 2017-09-29 德莱弗浩特企业有限责任公司 s形刮背刀手柄
KR101682481B1 (ko) 2015-11-20 2016-12-05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163B1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1894B2 (en) Shaving blade cartridge
JP6908734B2 (ja) ひげ剃り用カミソリカートリッジ
AU2005222582B8 (en) Shaving razor with additional trimming blade
US7617607B2 (en) Shaving razors and other hair cutting assemblies
JP5719755B2 (ja) 安全剃刀
JP6395848B2 (ja) 髭剃り刃カートリッジ、このような髭剃り刃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シェーバ、および、このような髭剃り刃カートリッジを製造する方法
US20110232101A1 (en) Unitary cartridge
US20140373362A1 (en) Shaving blade assembly with a blade unit and a skin contact member
CA2969229A1 (en) A shaving blade assembly comprising a blade unit and a skin contact member and a razor comprising a razor handle and such a shaving blade assembly
EP3389958B1 (en) Shaving head
US20230158694A1 (en) Razor cartridge
EP3209469B1 (en) A shaving blade cartridge and a shaver comprising such shaving blade cartridge
JP2022527820A (ja) 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KR102148163B1 (ko) 면도기 카트리지
KR101136349B1 (ko) 면도기 카트리지
KR102316117B1 (ko) 면도기 카트리지
US20230373116A1 (en) Razor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