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944A -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944A
KR20200081944A KR1020180171996A KR20180171996A KR20200081944A KR 20200081944 A KR20200081944 A KR 20200081944A KR 1020180171996 A KR1020180171996 A KR 1020180171996A KR 20180171996 A KR20180171996 A KR 20180171996A KR 20200081944 A KR20200081944 A KR 20200081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ensitive
release
control func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욱
최순호
김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7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944A/ko
Publication of KR2020008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생리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장기간의 유통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고, 피부적용 시 생리활성 물질의 방출 ‘On'을 유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담지된 생리활성 물질의 피부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function of on/off discharge control based on pH}
본 발명은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리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장기간의 유통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고, 피부적용 시 생리활성 물질의 방출 ‘On'을 유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리활성 물질의 피부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의 본능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들어 자신을 더욱 예뻐 보이게 하기 위한 체형 관리나 미용 또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피부관리를 위해 화장품에 관심을 두게 됨에 따라 화장품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베이스와 색조 화장품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며, 이들을 보관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습,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여드름 완화, 아토피 완화, 항염증이나 각질용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도 널리 소비되고 있다.
한편, 피부 세포는 생명현상을 유지하거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포가 필요로 하는 물질을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화장품이나 의약품과 관련된 산업분야에서 세포가 원하는 효능 물질을 세포 내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려는 방법으로서 약물 전달 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을 활용한 제형화 기술이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를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변질되지 않고 본래의 활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정화 기술이 필수 불가결하게 요구된다.
최근에는 화장품의 활성성분을 최대로 보호하면서 가장 안정하게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는 피부 경피 흡수 시스템으로서 캡슐레이션(Capsulation) 제형을 들수 있다.
이러한 캡슐레이션의 운반체는 성상과 기원에 따라 Microsphere(MIS), Microcapsules(MIC), Liposome(LIP)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도 리포좀은 여러 약물의 운반체로서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되는 천연 생리활성 성분들을 피부세포 내에 안정하게 흡수시키는 데 유효하게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리포좀 제형은 유용한 미용성분을 담을 수 있는 캡슐레이션의 한 개념으로서 미백 주름방지 항노화의 효능을 위한 천연성분들을 비교적 안정하게 피부에 전달시키는 매개체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현재 나노화장품 제형과 접목된 형태로도 계속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레이션 운반체와 관련된 기술 중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54102호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0654102 B1
그런데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그 크기가 너무 클 경우에는 안정성이 저하되고 반면에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영양소의 수용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로서 균질한 분포를 갖도록 제조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리포좀은 리포좀을 이루고 있는 지질 이중층 막의 물리적 불안정성, 낮은 유화안정성, 활성 성분의 낮은 포집 효율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활성물질의 피부 침투가 기대만큼 이루어지지 않아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체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어왔다.
그에 따라 생리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장기간의 유통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고, 피부적용 시 생리활성 물질의 방출 ‘On'을 유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리활성 물질의 피부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리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장기간의 유통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시키고자 한다.
또한, 피부적용 시 생리활성 물질의 방출 ‘On'을 유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담지된 생리활성 물질의 피부투과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담지하여 피부로 전달하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를 위한 pH 감응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pH 2 이상 pH 7 미만에서 상기 유효성분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PEO-PPO-PEO triblock(폴록사머), Poly(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MAEMA) 및 키토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입자와 중합된 후 상기 유효성분을 캡슐레이션(capsulation)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속에 캡슐레이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오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여드름 완화제, 아토피 완화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과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타이드, 항염증제, 여성호르몬제, 각질박리용해제, 살균제, 플라센타, 알란토인, 효모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DHA, EPA, 세라마이드,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리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장기간의 유통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적용 시 생리활성 물질의 방출 ‘On'을 유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지된 생리활성 물질의 피부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 값을 변화하면서 진행하는 실험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 값의 변화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다양한 pH 값 조건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 값을 변화하면서 진행하는 실험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 값의 변화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다양한 pH 값 조건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담지하여 피부로 전달하며,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를 위한 pH 감응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의 표면은 땀, 털구멍으로 분비되는 피지, 세포 분 패물 등이 한데 어우러진 약산성의 천연크림이 피부를 덮고 있어 평균적으로 pH 5.5 정도의 약산성 반응을 보인다.
사람의 피부가 만들어내는 천연크림은 병원성 세균의 번식을 막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기능이 있어 피부 보호막, 산성 보호막 또는 산성 지방막 등으로 불린다.
산 자체가 세균을 살균하는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피부의 약산성막은 마치 보호막을 착용하듯 외부의 자극이나 위협(세균, 박테리아)으로부터 방어해 주고 피부 층에서 외부 미생물의 증식을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생리활성 물질 즉,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담지하고 있다가 사람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그 pH 값에 감응하여 유효성분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pH 2 이상 pH 7 미만에서 상기 유효성분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pH 7 또는 그 이상에서는 유효성분을 담지한 상태를 유지하며, 사람 피부에 닿아 pH 값이 내려가면 그에 감응하여 유효성분을 방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 피부의 평균 pH 값은 5.5이지만 각 개인별로 그 값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은 5.2, 여성은 5.8, 어린이 6.5 등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는데 그 범위는 대략 5 이상 7 미만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pH 5 이상 7 미만에서 상기 유효성분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PEO-PPO-PEO triblock(폴록사머), Poly(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MAEMA) 및 키토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입자와 중합된 후 상기 유효성분을 캡슐레이션(capsulation)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TEOS의 산 촉매 가수분해에 의해 탄산칼슘 입자의 표면에 SiO2 가 코팅되도록 5 mL 와 0.1 M HCl 1 mL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인산칼슘 마이크로 입자 0.1 g 을 넣어준다.
이 혼합물을 cyclohexane 100 mL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고 마그네틱 스터러를 통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후 필터링하여 methanol로 수세하여 준 뒤 실온에서 진공 건조한다.
그 후 건조된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입자 0.05 g과 pH 감응 폴리머인 폴록사머 F127 1.00g을 중합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실리카-탄산칼슘-F127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캡슐레이션한다.
유효성분을 캡슐레이션하는 과정을 예를 들면, 미용성분인 알부틴을 실리카-탄산칼슘-F127에 캡슐레이션하기 위해 실리카-탄산칼슘-F127 10g과 알부틴 5g을 물과 에탄올에 넣고 50도로 가열하며 24시간 교반 후에 건조시켜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속에 캡슐레이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A상) 하이드로레시친 2.00
에탄올 10.00
마카다미아넛오일 10.00
포러스한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2.00
pH 감응성폴리머 F127 2.00
B상) 글리세린 5.00
알부틴 5.00
물 Make to 100
위와 같이 구성된 A)상과 B)상을 70-80도로 가열하고, B)상에 A)상을 넣어 유화시킨다. 그리고 유화시킨 에멀젼을 고압미세유화로 1000bar 하에서 3회 통과시켜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도 1과 같이 pH 값을 달리한 배지에 적용하여 유효성분의 방출 여부를 실험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pH 반응 용액은 35~37% 염산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pH를 조절하였으며, pH 조절이 끝난 후 tween-80을 0.5%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반응용액의 pH는 각각 pH 2, 2.5, 3, 3.5, 4, 4.5, 5, 5.5, 6, 6.5, 7으로 제조하였다.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 값의 변화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량을 실험한 결과는 pH 7에서 방출거동이 발생하지 않는 off 상태이다.
pH 값이 7 미만인 부분부터 유효성분의 방출 거동이 on 되어 방출량이 증가하게 되며, pH 5 부터 pH 2 까지 방출량이 100%에 이르게 된다. 즉, pH 7 내지 그 이상인 상태에서는 방출거동이 off 되어 안정적으로 유효성분을 화장료 조성물 내에 담지한 상태로 유지되며, 화장품을 사람 피부에 바른 경우에 방출거동이 on 되어 유효성분이 피부로 전달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다양한 pH 값 조건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역시 pH 7인 상태에서는 시간이 흘러도 유효성분이 방출되지 않은 담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pH 값이 6.5에서 5로 내려갈수록 빠른 시간 안에 방출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오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여드름 완화제, 아토피 완화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과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타이드, 항염증제, 여성호르몬제, 각질박리용해제, 살균제, 플라센타, 알란토인, 효모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DHA, EPA, 세라마이드,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오일은, 유지, 왁스, 탄화수소계 오일, 지방산 에스테르계 오일, 알코올계 오일, 버터,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지는,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호호바오일, 아몬드오일, 살구씨오일, 녹차오일, 메도폼오일, 썬플라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아보카도오일, 콩기름, 포도씨오일, 피마자오일, 미강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왁스는,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리 왁스, 호호바유, 밀납, 라놀린, 콩왁스, 쌀왁스, 실리콘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 파라핀, 바세린, 세레신, 마이크로 크리스탈 왁스, 스쿠알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계 오일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계 오일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세틸,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터로는, 쉐어버터, 소이버터, 망고버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계 오일로는, 디메치콘류, 사이클로메치콘류, 실리콘고분자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세칠에칠헥사노에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2-에칠헥사노에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칠글리콜 디에칠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덴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메칠로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보습제는, 젖산나트륨, 하이드로프롤린, 2-피톨리포-5-카르본산나트륨,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콜레스테롤, 씨토스테롤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유도체, 메톡시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미백제는, 알부틴과 알부틴 유도체, 코직산, 비타민C와 비타민 C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육모제는 혈행촉진제 또는 국소자극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중 상기 혈행촉진제로는, 월견초 엑기스, 세파라틴,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감마 오리자놀, 프로테오글리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육모제 성분 중에 상기 국소자극제로는, 고추 틴크, 생강 틴크, 칸타리스 틴크,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비타민과 그 유도체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 B2, B6,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D, H, K,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판테놀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아미노산은,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세린,로이신, 트립토판, 아미노산 엑기스, EGF(상피세포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IGF(인슐린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FGF(섬유아세포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카파-펩타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항염증제는, 베타-글리틸리틴산, 글리틸리탄산유도체, 아프렌, 아미노카프론산, 하이드로코티손, 베타글루칸, 리코러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여드름치료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로, 에티닐에스트라리올, 트리크로산, 아젤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살균제는,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젤토니올, 하로칼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여성호르몬제는 에스트로겐일 수 있는데,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각질박리용해제는, 유황, 살리실산, 아하, 바하, 레소로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성분 중 상기 천연 추출물로는, 동식물, 해양동식물 또는 해조류의 추출엑기스 또는 그들로부터 얻어진 성분(보습, 수분, 모공, 트러블, 화이트닝, 탄력 보습, 주름방지 등의 효능을 가진 기능성 성분)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추출물로는 풍년화, 광대수염, 백화, 대왕, 감초, 알로에, 카모마일, 로즈힙, 히노키티올, 마로니에, 베타카로틴, 인삼추출물, 수세미, 오이, 김추출물, 미역추출물, 영여자, 자작나무 수액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추출물은, 아이슬랜드 노티드랙( Ascophyllum Nodosum Extract), 아이슬랜드 욀푸스 빙하수, 심해 미생물, 남극 미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북극 효모, 북극지역 바다에 있는 갈조류, sea parsley(Dulse), piceaabies(nidiformi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생리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장기간의 유통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고, 피부적용 시 생리활성 물질의 방출 ‘On'을 유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담지된 생리활성 물질의 피부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active principle)을 담지하여 피부로 전달하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를 위한 pH 감응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pH 2 이상 pH 7 미만에서 상기 유효성분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PEO-PPO-PEO triblock(폴록사머), Poly(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MAEMA) 및 키토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입자와 중합된 후 상기 유효성분을 캡슐레이션(capsula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 폴리머는 이산화규소 코팅 탄산칼슘 속에 캡슐레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오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여드름 완화제, 아토피 완화제, 자외선 차단제, 육모제, 비타민과 그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타이드, 항염증제, 여성호르몬제, 각질박리용해제, 살균제, 플라센타, 알란토인, 효모추출물, 콜라겐, 엘라스틴, DHA, EPA, 세라마이드, 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어를 통한 미세먼지 제거용 조성물.
KR1020180171996A 2018-12-28 2018-12-28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1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96A KR20200081944A (ko) 2018-12-28 2018-12-28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96A KR20200081944A (ko) 2018-12-28 2018-12-28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44A true KR20200081944A (ko) 2020-07-08

Family

ID=7160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996A KR20200081944A (ko) 2018-12-28 2018-12-28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9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bey et al. Emerging trends of nanotechnology in advanced cosmetics
Nafisi et al. Nanotechnology in cosmetics
KR101912478B1 (ko) 피부, 점막, 모발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US20050266064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07122422A2 (en)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CN103442678A (zh) 化妆护肤组合物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1234A (ko) 고형 에멀젼 비드를 포함하는 제제 및 이의 화장학적 또는 피부학적 용도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WO2007122421A2 (en)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CA2750146C (en) Matte skin finish compositions
JP3987793B2 (ja) 皮膚外用剤
KR102220754B1 (ko) 리포좀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0896697B1 (ko) 고압유화기술에 의한 대황추출물의 경피흡수 촉진방법 및이를 응용한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2193734A (ja) 外用組成物
KR102498980B1 (ko)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7478A (ko) 저온 냉각 에멀젼 펄 기술의 의약품 연고제 제형의 용도
KR20200081944A (ko) pH 감응 방출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as Nanocosmeceuticals: Innovation, Application, and Safety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3762913B2 (ja) スキンケアシート
EP1596820B1 (en) Ambiphilic porous matrix
KR101626473B1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