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699A - 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 Google Patents

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699A
KR20200081699A KR1020180171498A KR20180171498A KR20200081699A KR 20200081699 A KR20200081699 A KR 20200081699A KR 1020180171498 A KR1020180171498 A KR 1020180171498A KR 20180171498 A KR20180171498 A KR 20180171498A KR 20200081699 A KR20200081699 A KR 2020008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ductive
connector
flexible fiber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2197B1 (en
Inventor
임교순
Original Assignee
임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교순 filed Critical 임교순
Priority to KR102018017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197B1/en
Publication of KR2020008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6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A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a contact area compared to a structure inserted into a film since a plurality of conductive flexible fibers are (compressed)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formed by processing pin grooves or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grooves on the conductive film (since the pins or connection terminals are not inserted into the film), it is easy to use and the problem that the conductive film is torn by external force does not occur. Since the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lexible fiber terminal instead of a metal connection terminal, the fiber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lower body (plastic) with an adhesive, and thus, the size of the connector can be reduced. The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electric current as it is without defectiv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film due to the flexibility of the flexible fiber even when the pressing force is weakened.

Description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본 발명은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플렉시블 섬유가 (압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전도성 필름과 접촉하여 높은 신호 감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액체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connected leak-sensing connector,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lexible fibers (compressed) in contact with a conductiv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vide high signal sensitivity while simultaneously preventing film-penetrating leakage. It is related to the sense connector.

일반적으로 필름소재로 개발된 FPCB, 인쇄전자필름, 액체감지테이프, 각종 센서필름 등의 다양한 전도성 회로는 각 산업에서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접착형 필름 형태로 되어 그 접착테이프 상에 액체누설과 관련된 전기적 신호전송을 위한 채널이 구현된 필름형 액체누설감지 접착테이프를 들 수 있다. In general, various conductive circuits such as FPCB, printed electronic film, liquid sensing tape, and various sensor films developed as film materials ar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each industry. For example, a film-type liquid leak detection adhesive tape having a channel for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related to liquid leakage is formed on the adhesive tape in the form of an adhesive film.

이러한 전도성 필름은 그 면적이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필름을 연장하여 연결하거나 일반 각종 전선케이블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필름상에 구현된 채널 회로를 납땜에 의하여 연결하거나 아니면 일정길이 단위로 그 끝부분에 일반 접속커넥터를 미리 형성하여 상호 연결하게 된다. The conductive film has a limited area or length, so if multiple films are to be extended or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wire cables, the channel circuit implemented on the film is connected by soldering or the ends are fixed in units of length. The general connection connector is formed in advance on the part to interconnect with each other.

공개특허 10-2010-0138523호는 감지 테이프를 연장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도 1과 도 2).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공개특허는 2개의 커넥터(200)가 연결구(240)에 의해 연결됨으로서 리크 센싱 테이프(100)를 연장시키고 있다. 도 2는 상기 공개특허의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핀(225)이 형성된 전도판(220)과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홈(320)이 덮개(300)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300)가 전도판에 결합 체결될 때, 핀(225)은 전도성 필름을 관통하여 핀홈에 삽입 고정된다.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8523 discloses a connector for extending a sensing tape (FIGS. 1 and 2). As in FIG. 1, the disclosed patent extends the leak sensing tape 100 by connecting two connectors 200 by a connector 240. 2 shows the connector of the disclosed patent, the conductive plate 220 on which the pin 225 is formed and the pin groove 320 into which the pin is inserted are formed in the cover 300. When the cover 300 is coupled to the conductive plate, the pin 225 penetrates the conductive film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in groove.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리크 센서를 연장하거나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2개의 커넥터(200)와 연결구(240)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시된 커넥터(200)와 연결구(240)는 각 부품들의 결합면이나 전도성 필름(리크 센서)이 커넥터에 삽입되는 계면 등을 통해 액체가 유입될 수 있어 실외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에서는 다수의 핀이 대응되는 핀홈에 정확히 삽입되어야 하므로 정밀한 가공이 요구되고, 외부에서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핀이 삽입되는 전도성 필름이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전기적 통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핀을 접속 단자로 사용하는 경우 전도성 필름의 도전체와 접촉 면적이 작아 (결과적으로 저항이 높게 됨) 전기 신호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disclosed patent has a limitation in that two connectors 200 and the connector 240 must be used when extending the leak sensor or changing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proposed connector 200 and the connector 240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outdoors because liquid may be introduced through an interface where each component is coupled or a conductive film (leak sens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 addition, in the published patent, precise processing is required because a large number of pins must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in grooves, and electrical conduction problems may occur due to tearing or stretching of the conductive film into which the pins are inser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further, when a pin is used as a connec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ical signal sensitivity is low due to a small contact area with a conductor of the conductive film (resulting in high resistance).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서도 전도성 필름과 접속 단자 사이의 접촉 불량없이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electrically energized without defective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film and the connection terminal even by external force.

본 발명은 통전력과 전기 신호 감도를 높인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of a new structure with increased electrical power and electrical signal sensitivity.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전도성 필름을 교체하여 삽입하거나 수리하기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that is easy to insert or repair by replacing a conductive film in the connector.

본 발명은 완벽한 방수가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perfect waterproofing.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외곽을 따라 형성된 오링홈(11)을 구비하는 하부 몸체(10) ; Lower body 10 having an O-ring groove 11 formed along the outer edge;

상기 오링홈(11)과 대향되도록 형성된 오링홈(21)을 외곽에 구비하며, 상기 하부 몸체와 체결되는 상부 몸체(20) ; The O-ring groove (21) formed to face the O-ring groove (11) is provided on the outside, and the upper body (20) is fastened to the lower body;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두 개 이상의 전도성 필름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섬유 단자(30) ; A flexible fiber terminal 30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o connect two or more conductive films;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오링홈(11, 31)에 각각 끼어지는 두 개의 오링(40)을 포함하되,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two O-ring grooves (11, 31) includes two O-rings (40) respectively fitted,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30)는 베이스층(31)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도성의 플렉시블 섬유(32)를 포함하는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로서,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is a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comprising a base layer 31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flexible fibers 32 projecting upward on the base layer,

상기 플렉시블 섬유(32) 상에 상기 전도성 필름이 위치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압착 체결되면,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눌러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도성 필름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에 관련된다. When the conductive film is located on the flexible fiber 32 an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crimped and fastened, the flexible fiber 32 is pressed to contact the conductiv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connecting to the film-type leak detection connector. Related to

본원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다수의 전도성 플렉시블 섬유가 (압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전도성 필름과 접촉되므로 필름에 삽입되는 구조에 비해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다. The film-connected leak-sens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compared to a structure inserted into a film because a plurality of conductive flexible fibers (compressed) contact the conductiv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핀이나 접속단자가 필름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전도성 필름에 핀홈이나 접속 단자 삽입 홈을 가공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외력에 의해 전도성 필름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formed by processing a pin groove or a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groove in the conductive film (since pins or connection terminals are not inserted into the film), and the conductive film is provided by external force. There is no tearing problem.

한편, 금속 접속 단자를 전도성 필름의 연결단자로 사용하는 경우 금속 단자를 하부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나 누름판 등의 고정 수단이 필요하므로 커넥터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지만, On the other hand, when a metal connection terminal is used as a connection terminal of a conductive film, the size of the connector increases because a fix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pressing plate is required to fix the metal terminal to the lower body.

본 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금속 접속 단자 대신 플렉시블 섬유 단자를 사용하므로 접착제로 손쉽게 섬유 단자를 (플라스틱인) 하부 몸체에 부착할 수 있고, 따라서, 커넥터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Since the film-connected leak-sens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lexible fiber terminal instead of a metal connection terminal, the fiber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lastic) lower body with an adhesive, thus reducing the size of the connector.

또한, 금속 접속 단자가 전도성 필름의 연결단자로 사용되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의 압착력이 약해지는 경우 전도성 필름과 금속 접속 단자 사이가 이격되어 통전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In addition, when the metal connection terminal is used as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ductive film, when the compressive force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weakened, the conductive film and the metal connection termin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it may be impossible to conduct electricity.

본 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압착력이 약해지는 경우라도 플렉시블 섬유의 가요성으로 인해 전도성 필름과 접촉 불량없이 전기적 통전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The film-connected leak-sens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electrical energization as it is without defect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film due to the flexibility of the flexible fiber even when the pressing force is weakened.

본원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결합계면을 두 개의 오링으로 압착하므로 누설 액체가 결합 계면을 통해 센서 커넥터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film-connected leak-sens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the bonding interface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two O-rings, thereby preventing leakage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sensor connector through the bonding interface.

도 1과 도 2는 공개특허 10-2010-0138523호의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에 전도성 필름이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렉시블 섬유 단자의 구조와 전도성 필름과 압착 결합된 후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and 2 show the connector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8523.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uctive film mounted on a connecto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connector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fiber terminal and the structure after being pressed and bonded to the conductive film.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r drawings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one or more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에 전도성 필름이 장착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커넥터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6은 플렉시블 섬유 단자의 구조와 전도성 필름과 압착 결합된 후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uctive film mounted on a connecto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connecto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fiber terminal and a structure after being crimped with a conductive film.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하부 몸체(10), 상부몸체(20), 플렉시블 섬유 단자(30), 오링(40)을 포함한다. 3 to 6, the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10, an upper body 20, a flexible fiber terminal 30, and an O-ring 40.

상기 하부 몸체(10)에는 외곽을 따라 오링홈(11)이 형성된다. The lower body 10 is formed with an O-ring groove 11 along the outer periphery.

상기 하부 몸체(10)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30)가 위치된다.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lower body 10.

예를 들면,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30)가 위치하는 중앙영역은 바닥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30)는 함몰면(12) 상에 접착제나 (양면)접착테이프(50)로 부착될 수 있다. For example, a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may be attached to the recessed surface 12 with an adhesive or (both sides) adhesive tape 50.

상기 하부 몸체(10) 상에 부착된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30)는 높이가 하부 몸체 외곽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attached on the lower body 10 may have a height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body.

상기 상부몸체(20)는 상기 오링홈(11)과 대향되도록 형성된 오링홈(21)을 외곽에 구비하며, 상기 하부 몸체와 체결된다. The upper body 20 has an o-ring groove 21 formed so as to face the o-ring groove 11 on the outer side, and is fastened with the lower body.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고정수단을 통해 압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공지된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모서리에 나사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끼움 홈을 구비하는 결합부재(60)를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may be compressed and coupled through a fixing means. As the fixing means, known fixing means can be used. For example, a screw bolt may be fastened to corners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60 having a fitting groove as shown in Figure 1 can be fixed to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플렉시블 섬유 단자(30)는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전도성 필름(1)을 전기적으로 통전할 수 있다.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o electrically conduct a plurality of conductive films 1.

상기 전도성 필름(1)은 공지된 전도성 필름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도성 필름은 베이스 필름, 전도성층 및 보호층을 포함하고, 베이스 필름이나 보호층은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로 코팅되거나 부착된다. 전도성층은 도전성 분말이나 전도성 고분자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코팅되거나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로 구리, 은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설감지 센서 내측에 삽입되는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층이 노출되도록 상부의 보호층이 제거된다. The conductive film 1 can use a known conductive film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conductive film includes a base film, a conductive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and the base film or protective layer is coated or attached with PET, PE, PTFE, PVC or other Teflon series. 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or printing a conductive powder or a conductive polymer on the base film. The conductive powder may be copper or silver powder. In the conductive film inserted inside the leak detec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rotective layer is removed so that the conductive layer is exposed.

도 4, 5, 6을 참고하면,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30)는 베이스층(31)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도성의 플렉시블 섬유(32)를 포함한다. 4, 5, and 6,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includes a base layer 31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flexible fibers 32 fixed on the base layer and projecting upward.

상기 베이스층(31)은 공지된 직포나 부직포 섬유 원단일 수 있다. The base layer 31 may be a known woven or non-woven fiber fabric.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상기 베이스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가요성이 있어 압착되면 휘어지거나 눌러져 베이스층과 평행한 측면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눕게 되고, 이후 압착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로 가요성 섬유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lexible fiber 32 has one end fixed to the base,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upward. Since the flexible fiber 32 is flexible, it is bent or pressed when compressed, and then inclined or lying in a lateral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layer, and then,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That is, flexible fibers can be used as the flexible fibers 32 without limitation.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압착력이 약해지는 경우라도(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결합력이 느슨해지는 경우) 플렉시블 섬유의 가요성으로 인해 전도성 필름과 접촉 불량없이 전기적 통전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The flexible fiber 32 may maintain electrical power through the conductive film without defect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film due to flexibility of the flexible fiber even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weak (w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loosened).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방사하거나 사출한 후, 제조된 섬유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부 섬유에 고정시켜 형성한다.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로 탄소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lexible fiber 32 is formed by spinning or injecting a polymer synthetic resin, and fixing one end of the manufactured fiber to the base fiber. Carbon fiber may be used as the flexible fiber 32.

예를 들면,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로 사용되는 고분자 합성수지로는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우레탄이나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polyester,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polyurethan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s the polymer synthetic resin used as the flexible fiber 32.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압착이 없는 경우 섬유 상단만이 전도성 필름과 접촉지만, 전도성 필름으로 플렉시블 섬유가 압착되면 기울어진 플렉시블 섬유는 섬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전도성 필름과 접하게 되므로 섬유 상단만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수배 내지 수십배 이상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flexible fiber 32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film only when the fiber top is not pressed, but when the flexible fiber is pressed with the conductive film, the inclined flexible fiber is a conductive film over the entire fiber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by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top of the fiber is contacted.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압착되는 경우 전도성 필름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구조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렉시블 섬유의 형상은 갈고리(32) 나 루프(∩)형상일 수 있다. The flexible fiber 32 may have a structure or shape that can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a conductive film when compresse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flexible fiber may be a hook 32 or a loop shape.

루프나 갈고리 형상의 플렉시블 섬유와 베이스층은 공지된 벨크로의 제조방법을 참고하거나 시판되는 벨크로를 활용할 수 있다. The loop or hook-shaped flexible fiber and the base layer may refer to a known method of manufacturing Velcro or utilize commercially available Velcro.

벨크로(velcro,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 hook-and-loop fastner)는 한쪽에 갈고리(후크), 다른 한쪽에 걸림고리(루프)가 있어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하는 접속장치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루프형 벨크로(섬유베이스에 루프가 파일 형태로 형성)와 후크형 벨크로(섬유베이스에 후크가 파일 형태로 형성)를 각각 사용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섬유 단자로 사용할 수 있다. A velcro (hook and loop fastener, hook-and-loop fastner) has a hook (hook) on one side and a hook (loop) on the other, so that they ar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use as a flexible fib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loop on the fiber base in the form of a pile) and a hook-type velcro (a hook on the fiber base in a pile).

상기 베이스층(31)과 플렉시블 섬유(32)는 전도성 금속으로 표면 코팅되거나 전도성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The base layer 31 and the flexible fiber 32 may be surface-coated with a conductive metal or made of a conductive fiber.

예를 들면, 금속 분말 또는 도전성 고분자 분말이 분산된 고분자 합성수지를 방사하여 전도성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섬유 원단 상에 금속 또는 도전성 고분자가 코팅, 도금, 증착되거나 패턴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onductive synthetic fiber may be produced by spinning a polymer synthetic resin in which metal powder or conductive polymer powder is dispersed. Alternatively, a metal or conductive polymer may be coated, plated, deposited or patterned on the fiber fabric.

예를 들면, 상기 금속분말은 은, 구리,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tal powder may be silver, copper, carbon nanotubes, graphene, or the like.

본 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오링홈(11, 21)에 끼워지는 두 개의 오링(40)을 포함한다. The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ings 40 fitted in the O-ring grooves 11 and 21.

두 개의 오링(40)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합지되므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결합계면을 통해 액체가 센서 커넥터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Since the two O-rings 40 ar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the liquid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nsor connector through the coupling interface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두 개의 전도성 필름(1)을 연결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에 3개, 4개 이상 ,즉 다수의 전도성 필름을 특별한 추가 구성 부품없이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는 금속 접속 단자 대신 플렉시블 섬유 단자를 사용하므로 접착제로 손쉽게 섬유 단자를 (플라스틱인) 하부 몸체에 부착할 수 있고, 금속 단자에 비해 구조도 간단하므로 경제적이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wo conductive films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ree, four or more, ie multiple conductive films can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fiber terminal without special additional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the film-connected leak-sens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lexible fiber terminal instead of a metal connection terminal, so that the fiber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lastic) lower body with an adhesive, and the structure is simpler than that of the metal terminal, so it is economical.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but this description is merely to describe and disclose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10 : 하부 몸체 20 : 상부몸체
30 : 플렉시블 섬유 단자 40 : 오링
50 : 접착테이프 60 : 결합부재
10: lower body 20: upper body
30: flexible fiber terminal 40: O-ring
50: adhesive tape 60: bonding member

Claims (2)

외곽을 따라 형성된 오링홈(11)을 구비하는 하부 몸체(10) ;
상기 오링홈(11)과 대향되도록 형성된 오링홈(21)을 외곽에 구비하며, 상기 하부 몸체와 체결되는 상부 몸체(20) ;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두 개 이상의 전도성 필름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섬유 단자(30) ;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오링홈(11, 31)에 각각 끼어지는 두 개의 오링(40)을 포함하되,
상기 플렉시블 섬유 단자(30)는 베이스층(31)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도성의 플렉시블 섬유(32)를 포함하는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로서,
상기 플렉시블 섬유(32) 상에 상기 전도성 필름이 위치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압착 체결되면, 상기 플렉시블 섬유(32)는 눌러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도성 필름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
Lower body 10 having an O-ring groove 11 formed along the outer edge;
The O-ring groove (21) formed to face the O-ring groove (11) is provided on the outside, and the upper body (20) is fastened to the lower body;
A flexible fiber terminal 30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o connect two or more conductive films;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O-ring grooves (11, 31) includes two O-rings (40), respectively,
The flexible fiber terminal 30 is a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comprising a base layer 31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flexible fibers 32 projecting upward on the base layer,
When the conductive film is located on the flexible fiber 32 an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pressed and fastened, the flexible fiber 32 is pressed to contact the conductiv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connecting to the film-type leak detection connector.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섬유는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루프나 갈고리 형상의 섬유(32)이고, 상기 플렉시블 섬유는 전도성 금속으로 표면 코팅되거나 전도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결형 누설 감지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fiber is a loop or hook-shaped fiber 32 formed on the base layer, the flexible fiber is a film-connected leak detectio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coating or conductive fiber with a conductive metal.
KR1020180171498A 2018-12-28 2018-12-28 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KR102142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98A KR102142197B1 (en) 2018-12-28 2018-12-28 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498A KR102142197B1 (en) 2018-12-28 2018-12-28 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699A true KR20200081699A (en) 2020-07-08
KR102142197B1 KR102142197B1 (en) 2020-09-14

Family

ID=7160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498A KR102142197B1 (en) 2018-12-28 2018-12-28 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19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569A (en) * 2002-05-07 2003-11-14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Conductive polishing article for electro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KR20100033592A (en) * 2008-09-22 2010-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elcro connector
JP3194972U (en) * 2014-09-16 2014-12-18 金鼎聯合科技纖維股▲分▼有限公司 Multilayer conductive physiological detection structure
KR101500518B1 (en) * 2013-10-29 2015-03-12 (주)유민에쓰티 Electric conduction film connector
KR101847359B1 (en) * 2017-12-27 2018-04-10 (주)이산 하이텍 Connector for film type leaking sensor
KR101895750B1 (en) * 2018-03-06 2018-09-05 (주)이산 하이텍 Leaking sensor for target are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972B2 (en) 1991-01-23 2001-08-0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569A (en) * 2002-05-07 2003-11-14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Conductive polishing article for electro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KR20100033592A (en) * 2008-09-22 2010-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elcro connector
KR101500518B1 (en) * 2013-10-29 2015-03-12 (주)유민에쓰티 Electric conduction film connector
JP3194972U (en) * 2014-09-16 2014-12-18 金鼎聯合科技纖維股▲分▼有限公司 Multilayer conductive physiological detection structure
KR101847359B1 (en) * 2017-12-27 2018-04-10 (주)이산 하이텍 Connector for film type leaking sensor
KR101895750B1 (en) * 2018-03-06 2018-09-05 (주)이산 하이텍 Leaking sensor for target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197B1 (en)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3788A (en)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KR101847359B1 (en) Connector for film type leaking sensor
US5661405A (en) Elongate sensor having polymeric electrodes filled with conductive particles and having braided sleeves
US3805213A (en) Flexible circuit connectors
US9936581B1 (en) Mechanical and electrical interconnects between conductive threads in fabrics to PCB, FPC, and rigid-flex circuits
US10461466B2 (en) Connector assembly
US20180026394A1 (en) Zipper 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chain for zipper type electrical connector
CN1983739A (en) Elastomeric connector assembly
KR101724637B1 (en) Connector for linking leaking sensor
JP2013093118A (en) Connector
KR102142197B1 (en) Multi-direction film connector for detecting leaksge
US20040077189A1 (en) Adhesive interconnector
US6769922B1 (en) Auxillary connectors for connectors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4289765U (en) Connector
CN101488620B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CN109643870B (en) Connector assembly
JP3582549B2 (en) Flat cable
JP2014022493A (en) Three-dimensional circuit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circuit component and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KR20170013564A (en) Linking terminals of the conductive film
JPS5830008A (en) Adhesive connector
CN217088238U (en) Interfac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of flexible circuit board
US20040043673A1 (en) Connector and substrate for eletronic circuit fabrication
KR20170013559A (en) Linking connector of the conductive film
CN210519041U (en) Rigid-flex board that PI and high frequency are thoughtlessly pressed
US20200212625A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