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039A -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039A
KR20200081039A KR1020180171126A KR20180171126A KR20200081039A KR 20200081039 A KR20200081039 A KR 20200081039A KR 1020180171126 A KR1020180171126 A KR 1020180171126A KR 20180171126 A KR20180171126 A KR 20180171126A KR 20200081039 A KR20200081039 A KR 2020008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eju
automatic control
salt
roof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9065B1 (en
Inventor
한재웅
이세은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065B1/en
Publication of KR2020008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Abstract

An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ejoo roof portion (10) which has a detection sensor portion (S1) and in which a steel plate roof (16) made of a steel plate material is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an upper horizontal rectangular lumber (12) made of a wood material; a haejoo wall portion (20) which has a detection sensor portion (S2) and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heajoo roof portion (10); and a haejoo bottom portion (30) which has a detection sensor portion (S3).

Description

자동제어 해주 장치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Automatic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품질 천일염 생산을 위한 해주의 적정 운영조건 구명을 위한 자동제어 해주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eed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to an automatic control seaweed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o find out the proper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eaweed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un salt.

해주는 함수를 저장하는 곳으로 고농도의 함수를 저장하여 불용분 및 이물질을 자연 침전시켜 맑은 함수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켜 고품질 천일염 생산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It is a place to store the water content of Haeju, and it plays a major role i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un salt by transporting the clear water content to the next process by naturally storing insoluble matter and foreign matter by storing high concentration water content.

국내의 일반적인 해주의 지붕소재는 일반적으로 햇빛에 강하고 강성이 좋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외부의 열에너지가 직접 해수 표면에 전달되어 상하 층의 대류현상으로 자연 침전이 불안정 하며, 해주 바닥의 점토의 상승으로 인하여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In general, the roof material of Haeju in Korea is generally transparent and resistant to sunlight, and because of the use of transparent polycarbonate with good stiffness, the external heat energy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seawater, and natural precipitation is unstable due to conv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Due to the rise, it is causing a decrease in quality.

대부분의 구조재로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염에 의한 부식으로 목재가 파손되어 해주의 표면 부유함으로 인하여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Wood is used as most of the structural materials, and the wood is damaged due to salt corrosion, which causes the surface to float and deteriorate the quality.

특허문헌 1은 천연 꽃소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수를 저수지로 유입시켜 불순물을 1차 침전제거한 후 1,2차 자연증발을 통해 염도를 단계적으로 높여 최대 23~28도에 이르도록 포화시키는 단계와; 포화된 해수를 해주에 장입하여 불순물의 2차 침전제거를 유도한 후 결정지로 유입시키는 단계와; 결정지로 유입된 해수를 지속적으로 증발시켜 0.8~1.2mm 입자보다 큰 입자의 소금 결정을 채염하는 단계와; 채염된 천일염을 톤백에 저장하여 2~3개월간 자연탈수시킨 후 부직포를 이용한 원심분리식 탈수기를 통해 탈수될 전체 천일염 대비 13~15%의 탈수율을 갖도록 강제탈수시키는 단계와; 탈수된 소립자의 천일염을 0.8~1.2mm의 크기로 타공된 채반을 이용하여 0.8~1.2mm의 입도를 갖는 천일염만을 선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천연 꽃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해주 구조 및 해주의 깊이에 따른 품질(탁도와 농도의 변화, NaCl, 수분, 색택, 크기, 불용분, Mg, SO4, 등)에 대한 자료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natural flower salt, the first step of removing impurities by introducing seawater into a reservoir and then gradually increasing the salinity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evaporation to saturate to a maximum of 23 to 28 degrees. ; Charging saturated seawater into Haeju to induce secondary sedimentation of impurities and then flowing into the crystallized paper; Continuously evaporating seawater flowing into the crystallizer to salt salt crystals larger than 0.8 to 1.2 mm particles; Storing the salted sea salt in a ton bag for natural dehydration for 2-3 months, followed by forced dehydration to have a dehydration rate of 13-15% compared to the total sea salt to be dehydrated through a centrifugal dehydrator using a nonwoven fabric; Provid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natural flower salt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only the sea salt having a particle size of 0.8 to 1.2 mm using a perforated plate with a size of 0.8 to 1.2 mm. However, data on quality (degree of change in turbidity and concentration, NaCl, moisture, color, size, insoluble content, Mg, SO 4 , etc.)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depth of the seaweed are not disclosed.

따라서, 고품질 천일염 생산을 위한 해주의 적정 운영조건 구명을 위하여 해주 구조에 따른 품질 상관관계 통계분석을 통하여 고품질 천일염 생산을 위한 해주의 기본 구조와 적정 운영조건의 구명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find out the proper operating conditions of Haeju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un sal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basic structure and proper operating conditions of Hae-ju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un salt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ality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Haeju.

KR 10-0860847 B1(2008.09.23)KR 10-0860847 B1 (2008.09.23)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제어 해주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품질 천일염 생산을 위한 해주의 적정 운영조건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n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conditions under the proper conditions for producing high-quality sun sal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는 해주 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부를 구비하고 목재소재의 상부가로각재 상부에 강판소재의 강판지붕이 위치하는 해주 지붕부; 감지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주 지붕부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해주 벽면부; 감지센서부를 구비한 해주 저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vice for providing a sensor, a detection sensor unit and a roof portion of a steel sheet having a steel sheet roof on an upper side of each horizontal material of a wood material; Haeju wall surface portion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portion and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Haeju roof portion; Haeju bottom part having a detection sensor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는 온도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중 하나이고, 상기 감지센서부는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OT)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sensor unit is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and the sensing sensor unit may be an Internet of Things (IOT) that transmits sensed data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y embed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sensor.

또한, 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해주 장치의 단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며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기둥각재 받침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기둥각재 받침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vertical pillar supporting member is formed of wood and is provided with a truss structure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aeju device; and at least one horizontal pillar supporting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해주 지붕부의 상기 강판지붕은 파형 칼라강판으로 구성되고 양지붕형의 경사구조이며, 상기 해주지붕부의 상부가로각재의 좌현과 우현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el sheet roof of the Haeju roof portion is composed of a corrugated color steel plate and has a double roof type inclined structure, and the lengths of the port side and starboard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lumber of the Haeju roof portion may be the same.

또한, 상기 해주지붕부의 상부가로각재의 좌현 상부가로각재와 우현 상부가로각재의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upper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upper section of the roof section of the Haeju roof and the upper sid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starboard may be different.

또한, 상기 해주지붕부의 상부가로각재가 좌현 상부가로각재로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rizontal roofing material of the Haeju roof portion may be composed of only the upper horizontal horizontal material.

또한, 상기 해주 지붕부의 높이는 1.0m 내지 2.0m 이고, 상기 해주 벽면부의 높이는 1.0m 내지 5.0m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oof of the Haeju is 1.0m to 2.0m, and the height of the wall of the Haeju can be 1.0m to 5.0m.

또한, 상기 해주 지붕부는 트랩을 구비한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eju roof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wall having a trap.

또한, 상기 해주 벽면부는 목재로 구성되고 다각형 기둥 또는 원형 기둥의 해주 벽면 지지부를, 상기 해주 저면부는 목재로 구성되고 다각형 기둥 또는 원형 기둥의 해주 저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pillar is made of wood, and the wall surface support portion of the polygonal column or circular column, and the floor surface of the column is composed of wood and may further include a columnar bottom support portion of the polygonal column or circular column.

또한, 상기 해주 지붕부, 상기 해주 벽면부, 상기 해주 저면부를 체결하는 못은 식품용 재질이거나 천일염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il for fastening the roof portion of the ship, the wall portion of the ship,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ship may be made of food or a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sun salt.

상기 해주 지붕부, 상기 해주 벽면부, 및 상기 해주 저면부는 함수 요동의 최소 임계값으로 설정되는 밀폐 구조로 설계되고, 상기 해주 지붕부, 상기 해주 벽면부, 상기 해주 저면부로 밀폐되는 내부는 하부공간부를 구비한 칸막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eju roof portion, the Haeju wall portion, and the Haeju bottom portion are designed with a closed structure that is set to a minimum threshold value of the function fluctuation, and the inner portion sealed with the Haeju roof portion, the Haeju wall portion, and the Haeju bottom portion is a lower space 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ortion having a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은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주 자동제어 서버가, (a)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결정지에 평균 염도 25%의 염수로 유지시키는 염수펴기 단계; (b)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지의 평균 염수 27-28% 로 소금꽃이 피기 시작할 때 어떠한 공정도 회피시키는 소금꽃 단계; (c)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1% 염수에 25% 저염수를 보충하여 27-29% 유지시키는 저염수 덧물보충 단계; (d)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염시 상기 결정지의 염수가 31% 조건을 유지시키는 채염 단계; (e)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염 후 상기 결정지의 31% 염수에 저염수 14~17%의 염수를 보충하여 25% 가량의 염수를 제조시키는 채염 후 덧물보충 단계; (f)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고염수와 저염수를 혼합시키는 혼합 단계; (g)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지 가장자리 혼탁한 염수와 천일염 불용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결정지와 둑을 청소하고 상기 결정지 양쪽 물꼬를 열어 염수를 원해주로 입수시키는 불용분 청소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wherein the automatic control server, (a) average salinity of 25% on the crystal paper by using the automatic control software A brine spreading step to maintain the brine; (b) a salt flower step of avoiding any process when the salt flower starts to bloom with an average brine of 27-28% of the crystallized paper using the automatic control software; (c) replenishment of low-salt water by adding 25% low-salt water to 27%-29%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d) a salting step in which the salt water of the crystallized paper maintains the condition of 31% when it is salted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e) after salting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supplementing after adding salt to produce about 25% of brine by supplementing 31% brine of the crystallization with 14-17% of brine; (f) mixing step of mixing high and low brine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g) Cleaning the insoluble matter to clean the crystal paper and the weir to remove the turbid salt water and sea salt insoluble matters by using the automatic control software of Haeju, and open the both sides of the crystal paper to obtain the saline as desired. ; It may include.

또한, (h)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g) 단계의 공정을 반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h)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peating the process of step (g) in step (a).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made clear by referr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Each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of the claims.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해주의 적정 운영조건인 염수의 온도와 유속을 자동제어하는 해주 장치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고품질 천일염 생산을 위한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salt water, which is an appropriate operating condition of Haeju, can be provided, and a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control seam apparatus for producing high-quality sea salt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화면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화면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화면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결과그래프의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감지센서부의 유속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감지센서부의 유속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감지센서부의 유속센서 결과그래프의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주 모양에 따른 온도 분포 예측 그래프의 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주 칸막이부 설치시 유속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4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주 칸막이부 설치시 유속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 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type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type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 type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screen of the A-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a temperature sensor screen of a B-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screen of the C-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A-typ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B-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able of a temperature sensor result graph of the C-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flow sensor of the A-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flow sensor of the B-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table of a flow rate sensor result graph of the C-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table of graphs for predict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a shape of a h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velocity when installing the partition part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graph of a flow chart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flow velocity when the partition part of the main par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unconditionally limit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in order fo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various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re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a term defined in considera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similarly indicated in a different meaning in the context, and similarly, even if expressed in plural,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singular. do.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n describing a component as "comprising" another compon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further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It could mean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existing in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installed directly connected to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and may be It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at a distance, and when installed spaced apart at a certain distance,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hird component or means does not exis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milarly,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have the same effec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this one component for one component It i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s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left,” “right,” etc., when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relative positions in corresponding drawings with respect to corresponding components, Unless an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for their position, these posi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an absolute posi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Moreov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part", "group", "module", "device", etc., when used, refer to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n designating reference numerals for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for the same component, the component has the same reference number even though it is displayed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the same refer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ally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the proportion or scale may not be stri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conventional technology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사시도이다.1 is a type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B-type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사시도이다.3 is a C type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화면의 사진이다.4 is a photo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screen of the A-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화면의 사진이다.5 is a photograph of a temperature sensor screen of a B-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화면의 사진이다.6 is a photo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screen of the C-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7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A-typ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8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B-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감지센서부의 온도센서 결과그래프의 표이다.9 is a table of a temperature sensor result graph of the C-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A 타입 감지센서부의 유속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10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flow sensor of the A-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B 타입 감지센서부의 유속센서의 결과그래프의 표이다.11 is a table of the result graph of the flow sensor of the B-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C 타입 감지센서부의 유속센서 결과그래프의 표이다.Figure 12 is a table of the flow rate sensor result graph of the C-type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주 모양에 따른 온도 분포 예측 그래프의 표이다.13 is a table of graphs for predict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a shape of a h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주 칸막이부 설치시 유속을 도시한 모식도이다.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low velocity when installing the partition part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주 칸막이부 설치시 유속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 표이다.FIG. 15 is a graph of a flow chart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in the installation of the parti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6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는 해주 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부(S1)를 구비하고 목재소재의 상부가로각재(12) 상부에 강판소재의 강판지붕(16)이 위치하는 해주 지붕부(10); 감지센서부(S2)를 구비하고 상기 해주 지붕부(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해주 벽면부(20); 감지센서부(S3)를 구비한 해주 저면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tomatic control Haeju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eju roof unit 10 in a Haeju device equipped with a sensing sensor unit S1 and a steel sheet roof 16 of a steel sheet material located on an upper horizontal corner material 12 of a wood material. ; Haeju wall surface portion 20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portion (S2) and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Haeju bottom portion 30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portion (S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선된 해주 장치는 해주 지붕부(10), 해주 벽면부(20), 해주 저면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해주 장치의 기준 해주의 외형의 평균 및 유속의 변화 폭이 가장 적은 외형의 크기를 2,500×8,000×16,000 mm(H×W×L)로 결정하여 설계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improved ha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aeju roof portion 10, a haeju wall surface portion 20, a haeju bottom portion 30. Based on the improved sea urchi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outer contour with the smallest variation in the average and flow velocity of the sea urchin is determined to be 2,500×8,000×16,000 mm (H×W×L).

해주 지붕부(10)는 감지센서부(S1)를 구비하고 목재소재의 상부가로각재(12) 상부에 강판소재의 강판지붕(16)이 위치한다. 목재소재의 상부가로각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Haeju roof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portion (S1) and the steel plate roof 16 of the steel plate material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wood material (12). The upper horizontal timber of the wood material may be further provided.

해주 지붕부(10)의 강판지붕(16)은 밝은색의 파형 칼라강판으로 구성되고 경사구조로 구성된다. The steel sheet roof 16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is composed of a light-colored corrugated color steel plate and is composed of an inclined structure.

해주 지붕부(10)의 경사구조는 양지붕형이 바람직하지만, 이외에도 양지붕형, 편지붕형, 스리쿼터형, 반원형 터널, 아치형의 구조일 수 있다.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is preferably a two-roof type, but in addition, it may be a double-roof type, a letter-roof type, a three-quarter type, a semi-circular tunnel, or an arcuate structure.

해주 지붕부(10)의 경사구조는 해주지붕부(10)의 상부가로각재(12,12')의 좌현(12)과 우현(12')의 길이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s of the port side 12 and the starboard side 12' of the upper cross-sections 12 and 12'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are the same.

해주 지붕부(10)의 경사구조는 해주지붕부(10)의 상부가로각재(12,12')의 좌현(12)과 우현(12')의 길이가 상이한 구조일 수 있다.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s of the port side 12 and the starboard side 12' of the upper cross-sections 12 and 12'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are different.

해주지붕부(10)의 상부가로각재(12,12')가 좌현(12)만 있고 우현(12')이 없는 구조일 수 있다.The upper cross-section of the roof portion 10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may be a structure having only the port side 12 and no starboard side 12'.

해주 지붕부(10)의 높이(H1)는 1.0m 내지 2.0m 임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H1)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is preferably 1.0 m to 2.0 m.

해주 지붕부(10)의 지붕 및 벽면은 해충,설치류 등이 침입할 수 없도록 망과 트랩(13)이 구성된 측벽(25)이 설치된다. The roof and the wall surface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are provided with a side wall 25 composed of a net and a trap 13 so that pests, rodents, etc. cannot enter.

해주 지붕부(10)의 감지센서부(S1)는 온도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등이고, 감지센서부(S1)는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OT)임이 바람직하다.The sensing sensor unit S1 of the Haeju roof unit 10 is a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a pressure sensor, etc., and the sensing sensor unit S1 incorporates a sensor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to transmit the sensed data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OT) is prefer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주 지붕부(10)의 설계 풍압(Pr)은 120 내지 130 kgf/m2, 적설하중(Sf )은 40 내지 50 kgf/m2 로 설계되었다.The design wind pressure (P r ) of the Haeju roof p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be 120 to 130 kgf/m 2 , and the snow load (S f ) was designed to be 40 to 50 kgf/m 2 .

해주 벽면부(20)는 감지센서부(S2)를 구비하고 상기 해주 지붕부(10)의 하부 양측에 위치한다.Haeju wall surfac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S2) and is loca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Haeju roof portion (10).

해주 벽면부(20)의 감지센서부(S2)는 온도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등이고, 감지센서부(S2)는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OT)임이 바람직하다.The sensing sensor unit S2 of the Haeju wall portion 20 is a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and the sensing sensor unit S2 incorporates a sensor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to transmit the sensed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OT) is preferred.

해주 벽면부(20)는 목재로 구성되고 다각형 기둥 또는 원형 기둥의 해주 벽면 지지부(21)가 구비된다. Haeju wall surface portion 20 is made of wood and has a columnar wall support portion 21 of a polygonal column or a circular column.

해주 벽면부(20) 내부 벽면 기울기는 45˚, 침강 방지판 규격은 150x18T, 지붕 높이는 1,000mm, 벽면 판자 설치 간격은 700mm, 깊이는 1,500mm 로 설계한다.The interior wall surface of the Haeju wall section 20 is designed to be 45˚, the settling plate size is 150x18T, the roof height is 1,000mm, the wall board installation interval is 700mm, and the depth is 1,500mm.

해주 벽면부(20)의 높이(H2)는 1.0m 내지 5.0m 임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H2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 of the Haeju is preferably 1.0 m to 5.0 m.

해주 저면부(30)는 해주 장치의 저면에 위치하고, 감지센서부(S3)가 구비된다.Haeju bottom portion 30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Haeju device, and is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unit S3.

해주 저면부(30)의 감지센서부(S3)는 온도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등이고, 감지센서부(S3)는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OT)임이 바람직하다.The sensing sensor unit S3 of the bottom part 30 of Haeju is a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a pressure sensor, etc., and the sensing sensor unit S3 incorporates a sensor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to transmit the sensed data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OT) is preferred.

해주 저면부(30)는 침강 방지를 위한 해주 저면 지지부(35)를 구비될 수 있다.Haeju bottom surface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support portion 35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수직 기둥각재 받침부(50)와 수평 기둥각재 받침부(70)는 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해주 장치의 단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며 해주지붕부(10)를 지지한다.The vertical pillar support portion 50 and the horizontal pillar support portion 70 are made of wood and form a truss structure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bove-mentioned pillar device, and support the pillar roof portion 10.

본 발명의 해주 지붕부(10), 해주 벽면부(20), 해주 저면부(30)는 함수 요동을 최소화하는 밀폐 구조로 설계된다.Haeju roof portion 10, Haeju wall surface portion 20, and Haeju bottom portion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with a closed structure that minimizes water fluctuations.

본 발명의 해주 지붕부(10), 상기 해주 벽면부(20), 상기 해주 저면부(30)로 밀폐되는 내부는 하부공간부(85)를 구비한 칸막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ealed by the roof por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20 of the floor, and the floor portion 30 of the floor,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ortion 80 having a lower space portion 85. .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장치의 해주 지붕부(10), 해주 벽면부(20), 해주 저면부(30)에 사용되는 못은 식품용 재질이거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한다.The nails used in the Haeju roof portion 10, Haeju wall portion 20, and Haeju bottom portion 30 of the automatic control Haeju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food materials or materials that do not affect qua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부(S1, S2, S3)는 온도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중 하나이고, 감지센서부(S1, S2, S3)는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OT)이여서,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해주 자동제어 서버가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함수의 온도, 유속,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함수 요동의 최소 임계값을 계산하고, 염수의 농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Solidworks flow simulation(ver. 2013)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The sensing sensor units S1, S2, and S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and the sensing sensor units S1, S2, and S3 incorporate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o detect them. Since it is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at transmits one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utomatic control server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temperatur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function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function using the automatic control software. The threshold value can be calculat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rin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program is analyzed using Solidworks flow simulation (ver. 20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주는 함수를 저장하는 곳으로 고농도의 함수를 저장하여 불용분 및 이물질을 자연 침전시켜 맑은 함수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켜 고품질 천일염 생산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지붕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햇빛에 강하고 강성이 좋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외부의 열에너지가 직접 해수 표면에 전달되어 상하 층의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자연 침전이 불안정 하며, 해주 바닥의 점토의 상승으로 인하여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부분의 구조재로 사각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염에 의한 부식으로 목재가 파손되어 해주의 표면 부유함으로 인하여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의 대부분의 해주는 구조 및 소재에 대한 표준의 부재로 인하여 고품질 천일염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해주의 구조 및 운영방법의 분석이 필요하다.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It is a place to store the water content of Haeju, and it plays a major role i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un salt by transporting the clear water content to the next process by naturally storing insoluble matter and foreign matter by storing high concentration water content. The material of the roof is generally sunlight-resistant and transparent polycarbonate, which has good stiffness, so that external heat energy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seawater, and natural precipitation is unstable due to conv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It is causing the quality deterioration. Square timber is used as most of the structural materials, and the wood is damaged by corrosion due to salt, which causes quality degradation due to floating surface of Haeju. Due to the lack of standards for structures and materials in most of Haeju in Korea,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roducing high-quality sea salt,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Haeju.

해주의 구조 조사 및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 분석 대상 염전은 결정지 채염공정 공유하는 2개 지역 3개염전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무안 운남, 만풍지역의 염전 3개소를 선정하여 생산방식이 동일한 염전을 선정(병풍, 임자 지역의 결정지 채염방식 운용)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Haeju are as follows. The target of the structure analysis was the salt field, which was conducted on 3 salt fields in 2 areas sharing the crystallization process, and selected 3 salt fields in the Muan Yunnam and Manpung areas to select the same salt field with the same production method (Byeongpung, Limja area. Surveying and analysi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은 해주의 구조 및 특징을 나타낸 것이며, A, B-염전은 해주의 깊이가 3.0m이상으로 나타났고, C-염전은 비교적 오래된 염전으로 1.0m로 해주의 깊이가 낮고 지붕의 높이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 C-염전의 지붕 구조는 편지붕형 및 스리쿼터형(three quarter type)으로 북향의 한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일사 방향을 최소화 하였으며, 남쪽 벽의 반사로 인하여 태양광의 영향을 최소화 하였지만, 태양광의 불균일하고 통기성이 불량하여 벽체의 수분 응결 가능성이 있다.Table 1 show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eju, and the A and B-salt fields have a depth of over 3.0 m, and the C-salt field is a relatively old salt field with a depth of 1.0 m and a low roof height. Appeared. The roof structures of A and C-salt are letter-roofed and three-quarter type inclined in one direction toward the north, minimizing the direction of solar radiation, and minimized the influence of sunlight due to the reflection of the south wall, but the unevenness of sunlight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moisture condensation on the wall due to poor ventilation.

B-염전의 경우 지붕구조는 좌우대칭형 양지붕형이며, 동서동으로 설치되어 태양광의 양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양지붕형의 경우 폭이 넓어 적설의 피해가 가능성 있다. In the case of B-salt, the roof structure is a symmetrical bi-roof type, and is installed in the east-west dong to minimize the amount of sunlight.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A-염전의 구조 및 온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지붕 외에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가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바닥면적이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면의 개방으로 인하여 지붕온도와 내부공간의 온도는 7.8℃의 온도차가 있었으며, 지붕의 색이 검은색으로 인하여 지붕의 온도 및 전체적인 구조물 내부의 온도가 다른 해주보다 높게 나타났다.1 and 4, it shows the structur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A-salt, and the side is open besides the roof, so that the outside air can be circulated and the floor area is the largest. Due to the opening of the side, there was a temperature difference of 7.8℃ between the roof temperature and the interior space, and the color of the roof was black,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f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entire structur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Haju.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B-염전의 구조 및 온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양쪽 출입구외에는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되는 곳이 없어 지붕의 온도 및 내부공간온도가 차이가 없었고, 표층 해수온도와 바닥 해수온도의 차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and 5, it shows the structur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B-salt,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roof and the internal space because there is no air inflow from the outside of both entrances, and the surface seawater temperature and the floor. The difference in seawater temperature was the lowest.

외부의 공기 차단으로 인하여 구조물내의 온도 차이는 없었으며, 지붕의 색이 흰색으로 인하여 32.0℃인 외기와 3.6℃로 약간 높게 나타났고, 해수의 온도차 또한 0.8℃로 가장 온도차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was no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due to external air blocking, and the color of the roof was slightly higher at 32.0°C and 3.6°C due to the white color,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seawater was also 0.8°C, which was the lowest.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C-염전의 구조 및 온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한쪽 출입구외에는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되는 곳이 없고 지붕외의 내부공간이 매우 적어 지붕의 온도가 외기(33.5℃)보다 높은 42.2℃로 나타났고 내부공간온도는 지붕온도와 큰 차이가 없었다. 3 and 6, it shows the structur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salt, and there is no place where air flows in from outside the outside of one entrance, and the inside space outside the roof is very small, so the temperature of the roof is higher than the outside air (33.5℃). It was found to be 42.2℃ high, and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oof temperature.

외부의 공기 차단으로 인하여 구조물내의 온도 차이는 없었으며, 지붕의 색이 청색으로 인하여 검은색 지붕보다는 낮게 나타났고 스리쿼터형(three quarter type)으로 태양 광선을 직접 받는 남쪽 지붕에 높은 온도(43.3℃)가 측정되었다. There was no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due to external air blocking, and the color of the roof appeared lower than that of the black roof due to the blue color, and the high temperature (43.3℃) on the southern roof receiving direct sunlight from the three quarter type. ) Was measured.

해주의 지붕색은 밝은색(흰색)으로 도색하는 것이 내부의 온도상승을 낮출 수 있으며, 지붕의 형식은 북쪽향 방향의 편지붕형이 태양광선의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lor of the roof of Haeju can be lower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side by painting in bright colors (white), and the roof type has a lower roof shape with a lower solar effect.

또한, 해주의 측면은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사량이 많은 시간에 내부공간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the side of Haeju was made to be open so that it was necessary to ventilat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at a time when there was much solar radiation.

해주의 온도차에 의한 대류 유동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2는 해주의 온도에 의한 해수의 대류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입력값을 나타낸 것이며, 해주의 깊이는 염전의 측정된 깊이 외에 1.0, 3.0, 5.0m를 추가로 입력하여 경향을 분석하였다.The results of convective flow analysis by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in Haeju are as follows. Table 2 shows the input values for analyzing the convection phenomenon of seawater due to the temperature of Haeju, and the depth of Haeju was analyzed by inputting 1.0, 3.0, and 5.0m in addition to the measured depth of the salt farm.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해주의 가로×세로(L×W)는 기존 해주의 바닥은 침전물로 인하여 정육면체로 가정하여 입력값으로 사용하였으며, 해수의 염도는 측정 결과(5.0%)를 적용하였다. 해주의 운영은 채염 후 저녁에 덧물 및 해수를 해주에 유입하여 야간에 침전시킨 후 맑은 물을 결정지로 보내 결정함으로 야간에 해수와 토양간의 비열(specific heat)차이로 인하여 낮 동안의 상층의 열원이 야간에는 역전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해주의 해수의 야간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해주의 유동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은 Solidworks flow simulation(ver. 201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he horizontal × vertical (L×W) of Haeju was used as an input value by assuming that the bottom of the existing Haeju was a cube due to sediment, and the salinity of seawater was measured (5.0%). The operation of Haeju is determined by sending the clear water to the crystallized land at night, after adding salt and seawater to Haeju in the evening after salting, so that the heat source in the upper layer during the day is due to the specific heat difference between the seawater and the soil at night. At night, reversal occurs. Therefore, the nigh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eawater in Haeju was used to analyze the flow of Haeju, and the program was analyzed using Solidworks flow simulation (ver. 2013).

도 7을 참조하면, A-염전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상부 및 하부의 온도 분포 예측 및 온도 분포내의 온도차를 나타내었다. 상부의 온도 분포는 해주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온도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해주 깊이 5.0m가 온도차 8.82℃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온도차가 클수록 대류현상이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해주 하부의 경우 깊이 3m의 온도차가 6.36℃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해주의 가로 방향으로 온도층의 경계가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7,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A-salt is shown,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predic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re show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upper part showed that the deeper the depth of Haeju, the grea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deeper the 5.0m depth was the largest with a temperature difference of 8.82℃, and the larg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greater the convection phenomenon. In the lower part of Haeju,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3m in depth was analyzed to be the lowest at 6.36℃, and the boundary of the temperature layer appear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Haeju.

도 8을 참조하면, B-염전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상부의 온도 분포는 해주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온도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해주 깊이가 깊어질수록 온도차는 2.58, 4.48, 8.82℃로 크게 나타났고 해주 깊이 1.0m가 온도편차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Referring to FIG. 8,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salt is shown,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upper portion shows a greater temperature difference as the depth of Haeju increases,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of 2.58, 4.48 as the depth of Haeju increases. , 8.82℃, and Haeju depth 1.0m showed the smallest temperature deviation.

해주 하부의 온도 분포의 경우 깊이가 깊어질수록 온도차는 낮게 나타났으며, 깊이 1.0m의 경우 온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해주 깊이 3.0m의 경우 상부 및 하부의 온도 편차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lower part of Haeju, the deeper the depth, the low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in the case of depth of 1.0m, the temperature deviation was large, and in the case of the depth of 3.0m,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was relatively small.

도 9를 참조하면, C-염전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다른 염전과 같이 해주가 깊어질수록 온도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해주 깊이 5.0m가 1.67℃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Referring to FIG. 9,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C-torsion is shown, and as the depth of the haeju becomes deeper like other torsi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greater, and the depth of the haeju 5.0m is 1.67℃.

해주 하부의 온도 분포도 깊이가 깊어질수록 온도차는 낮게 나타났으며, 깊이 1.0, 5.0m의 상부 및 하부의 온도 편차가 큰 경향을 보였다.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lower part of Haeju, the deeper the depth, the low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and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deviations of 1.0 and 5.0 m tended to be large.

도 10을 참조하면, A-염전의 깊이에 따른 유속분포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유속은 해주의 깊이 1.0m는 0.132 m/s, 3.0m는 0.275 m/s, 5.0m는 0.389 m/s로 해주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최대 유속은 높게 나타났고 해주 상하의 온도편차가 가장 큰 A-염전의 해주의 유속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Referring to FIG. 10,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is predict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A-torsion, and the flow velocity is 0.132 m/s in the depth of Haeju, 0.275 m/s in 3.0 m, and 0.389 m/s in 5.0 m. The deeper the depth, the higher the maximum flow rate, and the highes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upper and lower Haeju.

해주의 깊이 1.0m의 경우 깊이가 낮아 유속의 편차가 작으나 작은 규모의 상하 와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규모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Haeju's depth of 1.0m, the depth was low and the variation in the flow rate was small,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up and down vortices. As the depth became deeper, the scale increased.

해주의 깊이 5.0m는 유속의 0.250m/s이상의 유속 구간이 전부 벽면에 집중되어 깊이 3.0m의 최대유속으로 벽면을 경유하는 시간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깊이 3.0m의 경우 최대 유속은 벽면으로 집중되어 있으나 유속이 낮은 상태로 벽면을 지나가다가 해수 표면에서 최고 유속이 나타났다.A depth of 5.0m in Haeju was found to be longer than the time passing through the wall with a maximum flow rate of 3.0m, with a flow rate of 0.250m/s or more of the flow rate concentrated on the wall. Concentrated, but passing the wall surface with a low flow rate, the highest flow rate appeared on the surface of the seawater.

도 11을 참조하면, B-염전의 깊이에 따른 유속분포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유속은 해주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최대 유속은 높게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11,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torsion is shown, and the maximum flow velocity was higher as the depth of Haeju became deeper.

해주의 깊이 1.0m의 경우 깊이가 낮아 유속의 작게 나타났으며, 편차가 작으나 작은 규모의 상하 와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case of Haeju's depth of 1.0m, the depth was low, so the flow rate was small, and although the deviation was small, there were many small-scale vortices.

A-염전과 동일하게 해주의 깊이 5.0m는 유속의 0.114m/s이상의 유속 구간이 전부 벽면에 집중되어 깊이 3.0m의 최대유속으로 벽면을 경유하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The depth of 5.0m of Haeju, which is the same as A-torsion, showed that the flow rate of 0.114m/s or more of the flow rate was concentrated on the wall surface, and the time to pass through the wall surface was at a maximum flow rate of 3.0m.

도 12를 참조하면, C-염전의 깊이에 따른 유속분포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A, B-염전과 동일하게 해주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최대 유속은 높게 나타났다. Referring to FIG. 12,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C-torsion is shown, and as the depth of the same depth as the A and B-torsion becomes deeper, the maximum flow velocity is higher.

해주의 깊이 1.0m의 다른 해주보다 최대 유속은 낮게 나타났으나 편차가 작은 규모의 상하 와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ximum flow velocity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oceans at a depth of 1.0 m, but the largest vortices with small variations were found.

다른 염전과 동일하게 해주의 깊이 5.0m는 유속의 0.132m/s이상의 유속 구간이 전부 벽면에 집중되어 깊이 3.0m의 최대유속으로 벽면을 경유하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As with other salt farms, the depth of 5.0m in Haeju was found to be a long time passing through the wall with a maximum flow rate of 3.0m in depth because all flow sections over 0.132m/s of the flow rate were concentrated on the wall.

모든 해주의 깊이에 따른 유속 분포 결과는 해주의 깊이 1.0m의 경우 유속은 느리지만 작은 규모의 상하 와류현상이 많이 나타났으며, 5.0m의 경우 벽면으로의 유속 분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주의 깊이에 따른 유속 예측을 분석한 결과 해주 3.0m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As for the results of the distribution of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depth of all the ships, the flow velocity was slow at the depth of 1.0 m, but a lot of small-scale vortices appeared vertically, and at 5.0 m,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to the wall surface was large. Theref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w velocity predi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Haeju, it was determined that Haeju 3.0m would be appropriate.

도 13을 참조하면, 해주의 모양에 따른 온도분포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같은 해주깊이 및 상부하부의 온도차를 동일하게 하여 정방향 및 장방향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온도차는 장방향이 약 1.0℃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방향의 경우 온도분포 상하 역전지역이 약 3지점 나타나 온도의 역전으로 인한 대류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해주의 모양은 정방향 보다는 장방향 모양이 대류 현상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었다.Referring to FIG. 13,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aeju is shown,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ong direction is shown by equalizing the difference in the depth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aeju.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was found to be about 1.0°C in the long direction, but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inversion region above and below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about 3 points, and convection due to temperature reversal was expected to be large. Therefore, the shape of Haeju was expected to have less convection than the forward direction.

도 14를 참조하면, 해주의 상부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해수의 대류를 방지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며, 해수는 바닥을 통해 이동이 가능한 바닥 높이를 0.5m로 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해주 깊이 3.0m의 유속을 예측하였다. Referring to FIG. 14, the upper partition of Haeju is installed to prevent convection of seawater, and the seawater has a floor height of 0.5m, which can be moved through the floor, and a flow rate of 3.0m depth is obtained by using this. Predicted.

도 15를 참조하면, 염전 별 해주 칸막이 설치 할 경우의 대류에 의한 유속 예측을 나타낸 것이며, 칸막이가 없을 때보다 유속이 대부분 약간 상승하였고 칸막이에 의한 유속 흐름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15, the flow velocity prediction by convection when the main compartm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torsion is shown, and the flow velocity is mostly slightly higher than when there is no partition, and there is no change in the flow rate due to the partition.

해주구조와 품질 특성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aeju stru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method is as follows.

한국산업표준규격 천일염 품질기준 분석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08-6호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Standards for Sea Salt Quality Standard Analysis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tification No. 2008-6.

① 시료조제① Sample preparation

입자 크기 0.84 mm의 체눈은 통과하고 0.177 mm의 체눈 통과하지 않을 정도로 분쇄 후 혼합함Grinding is performed to the extent that the sieve of particle size 0.84 mm passes and not the sieve of 0.177 mm.

② 수분 ② moisture

제 10. 일반시험법 1. 일반성분시험법 1) 수분에 따라 시험함Article 10. General test method 1. General component test method 1) Test according to moisture

③ 염도 ③ Salinity

염도계(Salt meter, PAL-ES2, ATAGO, Japan)을 이용하여 시료 1 mL을 넣어 측정하였음Measured by adding 1 mL of sample using a salinity meter (Salt meter, PAL-ES2, ATAGO, Japan)

④ 색도④ Chromaticity

색도는 뚜껑이 있는 원통형 용기(Dia×H, 41×12.5mm)에 시료를 넣은 후, 원통형 용기를 들여 놓을 수 있는 홈이 파여진 흑색 패드에 시료가 담긴 용기를 넣어 색차계(Spectrophotometer CM-700d, Konica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L”, “a”, “b” 값을 측정하였음 For chromaticity, put the sample in a cylindrical container (Dia×H, 41×12.5mm) with a lid, and then pu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sample in a grooved black pad to put the cylindrical container into the colorimeter (Spectrophotometer CM-700d , Konica Minolta, Japan) to measure “L”, “a”, and “b” values.

⑤ 탁도⑤ Turbidity

탁도계(2100AN Laboratory Turbidity, HA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음. It was measured using a turbidimeter (2100AN Laboratory Turbidity, HACH).

econdary Turbidity Standard Kit로 스탠다드를 맞춘 후, 시료를 sample cell 눈금까지 맞춰 넣어 시료의 탁도를 측정하였음After adjusting the standard with the econdary Turbidity Standard Kit, the sample was adjusted to the sample cell scale to measure the turbidity of the sample.

⑥ Image⑥ Image

화상분석기(Image Pre-plus ver 4.5.1.22, Hi-Rox Hi-scop compact micro vision system, KH-2200, MD3)를 이용하여 시료의 크기, 면적 등을 측정하였음Sample size and area were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zer (Image Pre-plus ver 4.5.1.22, Hi-Rox Hi-scop compact micro vision system, KH-2200, MD3).

⑦ 침전물⑦ Sediment

시료 5 g을 증류수 100 mL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가라앉은 침전물을 관찰함 After 5 g of the sample was completely dissolved in 100 mL of distilled water, the sediment settled was observed.

⑧ Calcium, Magnesium, Sulphate, Chloride 의 함량 분석⑧ Content analysis of Calcium, Magnesium, Sulphate, Chloride

Arena 20 XT 자동흡광분석기 (Automated photometric analyzer)을 이용하여 Calcium, Magnesium, Sulphate, Chloride의 함량을 측정하였음. 표준용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표준곡선을 구하여 시료의 함량을 구하였음The content of Calcium, Magnesium, Sulphate and Chloride was measured using Arena 20 XT Automated photometric analyzer. The standard solution was prepared as follows to obtain the standard curve to obtain the sample content.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⑨ 천일염의 규격⑨ Specifications of sun salt

㉮천일염 : 염전에서 해수를 자연 증발시켜 얻은 염화나트륨이 주성분인 결정체를 말함㉮Sun salt: Refers to crystals whose main component is sodium chloride obtained by natural evaporation of sea water in salt farms.

㉯재제소금 : 원료 소금(100%)을 정제수, 해수 또는 해수농축액 등으로 용해, 여과, 침전, 재결정, 탈수, 염도조정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 소금을 말함㉯Salt salt: refers to salt prepared by dissolving raw material salt (100%) in purified water, seawater or seawater concentrate, filtering, sedimentation, recrystallization, dehydration, salinity adjustment, etc.

㉰태움용융소금 : 원료 소금(100%)을 태움용융 등의 방법으로 그 원형을 변형한 소금을 말함. 다만, 원료 소금을 세척, 분쇄, 압축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은 제외함㉰ Burnt molten salt: It refers to salt that transforms its original salt (100%) by burning or melting. However, raw salt is processed by washing, crushing, and compressing.

㉱정제소금 : 해수를 이온교환막에 전기투석시켜 정제한 농축함수 또는 암염이나 천일염을 용해한 것을 진공증발관에 넣어 제조한 소금을 말함㉱Refined salt: Refers to salts prepared by electrolysis of seawater on an ion-exchange membrane, or concentrated purified water or salt or sea salt dissolved in a vacuum evaporation tube.

㉲가공소금 : 천일염, 재제소금, 정제소금, 태움용융소금(50% 이상)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소금을 말함. 천일염은 바닷물을 천연 바람과 태양에너지로 해수의 수분을 증발시켜 결정화한 소금을 말함㉲Processed salt: Refers to salt processed by adding food or food additives to sea salt, ash salt, refined salt, and burnt molten salt (over 50%). Sea salt refers to salt crystallized by evaporating the water from sea water with natural wind and solar energy.

표 4는 소금의 규격을 나타낸 표이고, 표 5는 한국산업표준(KS) 천일염 품질기준을 나타낸 표이고, 표 6은 정제염의 품질기준을 나타낸 표이고, 표 7은 가공염의 품질기준을 나타낸 표이다.Table 4 is a table showing the standard of salt, Table 5 is a table showing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salt quality standards, Table 6 is a table showing the quality standards of refined salts, Table 7 is a table showing the quality standards of processed salts to be.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2) 실험 해주 2) Experiment

표 8은 본 발명의 실험 해주 현황을 나타낸 표이다.Table 8 is a table showing the present state of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3) 함수 및 소금 시료 채취3) Sampling of water and salt

○ 실험 기간 : 2016년 4월 24일 ~ 6월 20일○ Experiment period: April 24-June 20, 2016

○ 채취 시료 : 결정지 함수 및 소금○ Sampling sample: Crystalline water and salt

○ 샘플링 횟수(15∼20회), 샘플링 양(함수 1통 - 소금 1통 (각 500 mL) ○ Sampling frequency (15-20 times), sampling amount (1 function-1 salt (500 mL each)

○ 결정지 편 함수와 채염한 소금 동일, 채염 장소는 동일 결정지에서 채염○ Same salt as the function of crystallized paper, and the place of salting is the same.

○ 5, 6월 소금이 비교적 품질이 균일하고 안정적 생산시기 ○ May and June have relatively uniform quality and stable production time

○ 6월말 -7월 중순기간 장마 등의 영향으로 생산 불균일○ Production irregularity due to rainy season, etc. from the end of June to the middle of July

○ 실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 생산시기에 시료 채취○ Sampling at the same production time to reduce experimental errors

○ 실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결정지 채염공정 공유하는 2개 지역 3개염전에서 실험○ In order to reduce experimental error, experiment in 3 salt fields in 2 areas sharing the crystallization process

4) 결정지 채염 방법4) Method of dyeing crystallized paper

결정지 운영방법은 지역과 생산자에 의하여 차이를 보이며, 표 9과 같이 국내 천일염 주산단지의 결정지 운영방법 조사하였다. 천일염 주산단지 신의, 도초, 비금지역과 증도, 병풍, 임자지역의 결정지 채염방식의 차이점은 채염 전 저염수 덧물공정의 유무에 있다. 덧물 사용 여부에 따라 결정지에서 당일 또는 익일 채염을 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채염 후 저염수 덧물을 사용하여 불용분 제거공정과 결정지 청소공정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안 운남, 만풍지역의 염전 3개소를 선정하여 생산방식이 동일한 염전을 선정(병풍, 임자 지역의 결정지 채염방식 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crystallized paper differs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producer, and as shown in Table 9,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rystallized paper in the domestic sea salt main industrial complex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lting method of salt paper in the Sinui, Tocho, Bigeum and Jeungdo, Byeongpung, and Limja areas of the Sunsan salt main industrial complex lie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w salt water additive process prior to salting.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dditives were used, the dyeing was done on the same day or the next day. At the same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n insoluble content removal process and a crystal paper cleaning process using a low-salt water additive after salting. Three salt farms in Unan and Manpung areas in Muan were selected, and salt farms with the same production method were selected (operation of salt-blotting method in Byeongpung and Imja).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 염도 : 보우메 측정* Salinity: Baume measurement

5) 시료 채취 현황5) Sample collection status

표 10은 함수 A1, A2의 소금을 나타낸 표이고, 표 11은 함수 B 및 C의 소금을 나타낸 표이다.Table 10 is a table showing salts of functions A1 and A2, and Table 11 is a table showing salts of functions B and C.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7) 해주에 따른 함수, 소금의 품질7) Function according to Haeju, salt quality

㉮ 함수의 품질㉮ Function quality

본 실험을 수행한 염전은 무안 운남, 만풍 지역의 3개소 염전에서 2016년 4월 24일~6월 20일 기간동안 각 염전 결정지에 투입되는 함수와 채염한 소금 시료를 채취하였다. 식염분석은 한국 산업 표준규격 천일염 품질기준 분석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08-6호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다. 시료의 Calcium, Magnesium, Sulphate, Chloride 의 함량 분석은 Arena 20 XT 자동흡광분석기 (Automated photometric analyzer)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For the salt farms that were subjected to this experiment, salt and salt samples collected at the salt farms were collected from April 24 to June 20, 2016 at three salt farms in Muan, Yunnan and Manpung. The sal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Standard, salt quality analysis method and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tification No. 2008-6.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Calcium, Magnesium, Sulphate, and Chloride in the sample was performed using Arena 20 XT Automated photometric analyzer.

그림 14를 참조하면, 각 염전에서 채취한 함수와 채염한 소금의 품질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소금 생산양을 측정하여 함수, 소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Referring to Figure 14,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salt collected and the salt collected from each salt field was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and salt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salt production.

실험한 염전 해주 깊이는 만풍지역의 경우 1.0m와 3.0m, 운남지역은 3.0m, 3.5m 해주 깊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각 염전에서 채취한 함수의 평균 탁도 값을 살펴보면 운남지역 A1-염전은 18.97 NTU, A2-염전은 18.86 NTU 값을 보였으며 B-염전, C-염전 탁도 값은 7.67NTU, 5.93NTU 값을 보였다. 함수의 색상 "b" 값은 해주 깊이가 낮은 B-염전에 비하여 C-염전이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A-염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a"값은 반대로 해주 깊이에 따라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함수의 Mg 함량은 전반적으로 15,000∼40,000 mg/L 범위의 값을 나타냈으며, Sulphate 함량은 약 30,000∼65,000 mg/L 범위의 값을 나타났다. 염전 해주의 깊이가 깊을수록 Mg, Sulphate 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Chloride 함량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실험 결과 해주 깊이에 따른 함수의 품질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해주의 바닥 깊이가 깊을수록 함수의 불용분 침전, 분리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든 염전에서 해주 깊이에 따른 탁도 값의 차이를 보였으며 Mg, Sulphate 함량이 낮아지고 함수의“b" 값 역시 낮아지는 결과를 보인 것은 유의적 의미가 있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특히, 만풍지역의 경우에는 해주에 따른 함수 품질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으나 운남 지역은 함수 탁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The depth of Yeomjeon Haeju tested was 1.0m and 3.0m in Manpung area, and 3.0m and 3.5m Haeju depth difference in Yunnam area. Looking at the average turbidity values of the water collected from each torsion, the A1-torsion in Yunnam area showed 18.97 NTU, and the A2-torsion was 18.86 NTU, and the B-torsion and C-torsion turbidity values were 7.67NTU and 5.93NTU. The color "b" value of the function showed a lower C-torsion than the B-torsion with a lower depth of Haju, and a similar result with the A-torsion, while the "a" value reversed and increased with the depth of Haju. Overall, the Mg content of the water showed a value in the range of 15,000 to 40,000 mg/L, and the Sulphate content showed a value in the range of about 30,000 to 65,000 mg/L. The deeper the salt depth, the lower the Mg and Sulphate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Chloride did not show a clear trend, a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depth of Haeju occurred. The deeper the depth of the Haeju, the more effective it was for sedimentation and separation of insolubles in the water. In all salt farms, there was a difference in turbidity value according to the depth of Haeju, and it was judged th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g and Sulphate contents were lowered and the “b” value of the function was also lower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npung, the difference in water quality according to Haeju was very large, but in the Yunnam area, the water turbidity was high overall.

㉯ 소금의 품질㉯ Salt quality

각 염전에서 채취한 소금의 품질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소금 생산량을 측정하여 해주 깊이에 따른 소금의 품질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채염한 소금의 색택을 측정한 결과 B, C의 경우 소금 색택 “L”, “a” 및 “b” 값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소금의 평균“b”값은 C-염전은 1.74, B-염전은 2.57, A1-염전은 2.74 및 A2-염전은 2.86 값을 보였다. C-염전 소금의 색택은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함수 탁도가 소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 A1, A2-염전의 경우 C-염전에 비하여 탁도가 일정 수준 이상 높아서 채염한 소금의 색택이 비교적 우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A1, A2-염전의 경우 해주의 깊이가 B-염전에 비하여 깊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함수 탁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이유는 염전 갯벌의 토질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함수에 콜로이드 형태의 부유물에 의한 영향으로 침전 분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판단되었다. The quality correlation of salt collected from each salt field was analyzed, and the salt production was measured to analyze the quality correlation of salt with depth.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loration of the sa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lt coloration “L”, “a”, and “b” values for B and C was obvious. The average “b” of salt was 1.74 for C-torsion, 2.57 for B-torsion, 2.74 for A1-torsion, and 2.86 for A2-torsion. The coloration of the C-salt salt showed excellent results, and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water turbidity affected the salt quality. In the case of the B, A1, and A2-torsion, the turbidity wa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by the C-torsion, and the color of the salt was relatively poor. In the case of A1 and A2-torsion, the depth of Haeju has a deeper structure than that of B-torsion, but the reason why it does not show a difference in water turbidity was judged by the influence of soil in the salty tidal flat. It was judged that the sedimentation was not efficiently performed due to the effect of the colloidal suspension on the water.

표 12는 소금 분석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Table 12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salt analysis.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소금의 결정체를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평균 외형, 장단축 값 모두 C-염전의 결정체 모양이 B와 A1, A2-염전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A1과 A2-염전의 경우 A2-염전의 소금 결정체가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함수의 품질과 소금의 결정체 형태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소금의 Mg 함량은 5,000∼25,000 mg/L 범위의 값을 나타냈었음. Sulphate 함량은 15,000∼65,000 mg/L 범위의 값을 나타냈다. A1, A2, B, C-염전의 소금 Mg 함량은 평균 16,484, 15,870, 13,448 및 13,542 mg/L 값을 나타냈었다. A1, A2, B, C-염전의 소금 Sulphate 함량은 평균 28,252, 28,091, 31,714, 26,785 mg/L 값을 나타냈었다. A1, A2, B, C-염전의 소금 Calcium 함량은 평균 1,782, 2,169, 1,872 및 1,826 mg/L 값을 나타냈었다. 소금의 Mg, Sulphate 함량은 함수의 탁도가 가장 낮은 C-염전이 다른 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 함수의 탁도가 소금 결정체의 크기와 모양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함께 색택 “b" 값과 Mg 함량에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염전의 해주 깊이에 따라 함수의 탁도와 소금의 품질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품질의 소금을 생산하기 위하여서는 함수의 탁도 관리가 매우 중요한 공정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역할을 하는 해주에서의 불용분의 효율적인 제거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rystals of the salt through image analysis, the average appearance and long-term and short-term values showed excellent results in the C-torsion crystal shape compared to the B, A1, and A2-torsion. In the case of A1 and A2-salt, salt crystals of A2-salt showed better results.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water and the crystal form of salt. The Mg content of the salt was in the range of 5,000-25,000 mg/L. Sulphate content was in the range of 15,000-65,000 mg/L. The salt Mg content of A1, A2, B, and C-salts showed average values of 16,484, 15,870, 13,448 and 13,542 mg/L. The salt sulphate contents of A1, A2, B, and C-salts averaged 28,252, 28,091, 31,714, and 26,785 mg/L. The salt Calcium contents of A1, A2, B, and C-salts showed average values of 1,782, 2,169, 1,872 and 1,826 mg/L. The Mg and Sulphate contents of the salt showed a lower overall value than the other C-salt transition spheres with the lowest water turbidity.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urbidity of the function affected the size and shape of the salt crysta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b” value and the Mg conten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water turbidity and salt quality occurred according to the depth of salt salt. It was judged that the control of turbidity of water is a very important process, and efficient removal of insolubles in Haeju, which plays a role, was found to be very important.

표 13은 소금 분석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Table 13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salt analysis.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8) 소금 생산량 분석 결과8) Results of salt production analysis

표 14는 해당 염전의 소금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며, A1, A2, B 및 C-염전의 단위면적 당 생산량은 13.65, 14.42, 17.36 및 17.63 kg/㎡ 생산을 하였으며, A1-염전을 기준하여 비교하여 보면 A2, B 및 C-염전의 1.05, 1.27 및 1.29배의 생산량 차이를 보였다. C-염전에서 비교적 많은 소금을 생산하였고 소금 품질도 C-염전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함수의 탁도가 품질, 소금 생산량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결과를 보여준 것으로 함수의 탁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14 shows the salt production of the corresponding salt farm, and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of A1, A2, B, and C-salt farms was 13.65, 14.42, 17.36 and 17.63 kg/m 2, and when compared based on the A1 salt farm A2, B and C- torsion showed 1.05, 1.27 and 1.29 times the production difference. C-salt produced relatively large amounts of salt and salt quality showed the best resul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turbidity of the water had a correlation with both quality and salt production, and it was judged that the turbidity of the water plays an important role.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9) 해주의 기본 구조 및 결과9) Haeju's basic structure and results

해주의 지붕, 벽면은 해충 및 설치류 등이 침입 할 수 없는 구조로 망과 트랩 등 설치가 필요하며, 골조·지붕·벽면에 사용되는 못은 식품용 재질이거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골조, 내외벽, 천장 등은 목재 등과 같은 농축해수로 오염물질 이행 가능성이 없는 내구성 재질 사용, 스레이트나 부식성 금속재질 등을 사용 금지하여야 하며, 해주는 염전 함수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의 크기와 개수로 구성되어야 한다. 해주의 바닥 깊이는 일반 해주의 1.5m 보다 깊은 3.0m를 기본 구조가 필요하며, 개소수는 함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기존의 기본 3개소에서 5개소가 필요하다. 염전에 따라 해주 크기 달라지며, 보통 제1증발지 1개, 제2증발지 2개, 결정지 2개여야 한다.The roof and walls of Haeju have a structure that pests and rodents cannot invade, so it is necessary to install nets and traps, and nails used for frames, roofs, and walls should be made of food materials or materials that do not affect quality. do. Frames, interior and exterior walls, ceilings, etc. should be banned from the use of durable materials with no possibility of contaminant migration to concentrated seawater such as wood, slate or corrosive metal materials, etc., and the size and number of sufficient capacity to store all the salting functions Should consist of The depth of the bottom of the Haeju requires a basic structure of 3.0m deeper than 1.5m of the general Haeju, and the number of locations requires 5 to 3 existing locations to facilitate function management. Depending on the torsion, the size of the haeju varies, and it should usually be 1 first evaporator, 2 second evaporator, and 2 determinants.

표 15는 해주 기본 사양을 나타낸 표이고, 표 16은 해주 기본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Table 15 is a table showing the basic specifications of Haeju, and Table 16 is a table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Haeju.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해주 깊이에 따른 함수 탁도 값 차이를 보인다. Mg, Sulphate,“b" 값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소금에서도 Mg, Sulphate 함량은 해주 깊이가 깊은 염전에서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함수의 탁도가 소금 결정체의 크기, 모양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소금 생산량 비교 결과 C-염전이 가장 많은 소금을 생산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해주 바닥 깊이가 깊으면 함수의 불용분 침전, 분리에 효율적이며, 해주 깊이에 따라 함수와 소금 품질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품질의 소금 생산을 위하여서는 함수 탁도 관리가 매우 중요한 공정이며, 해주에서의 불용분의 효율적인 제거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고품질의 소금 생산을 위하여서는 함수 탁도 관리가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이에 따라 해주의 시설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It shows the difference in function turbidity according to the depth of Haeju.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s of Mg, Sulphate, and “b” were lowered, and even in salt, the contents of Mg and Sulphate were low in salt farms with a deep depth of haeju. It was confirmed that the turbidity of the water affected the size and shape of the salt crystals. As a result of comparing salt production, it was determined that C-salt produced the most salt.If the depth of the bottom of Haeju is deep, it is effective for sedimentation and separation of insolubles in the water, and the difference in function and salt quality occurs depending on the depth of Haeju.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salt, water turbidity management is a very important process, and efficient removal of insolubles from Haeju is very important. It is an important process, so it was judged that the facility improvement in Haeju should be done urgently.

본 발명의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은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주 자동제어 서버가,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결정지에 평균 염도 25%의 염수로 유지시키는 염수펴기 단계(S1010); (b)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지의 평균 염수 27-28% 로 소금꽃이 피기 시작할 때 어떠한 공정도 회피시키는 소금꽃 단계(S1020); (c)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1% 염수에 25% 저염수를 보충하여 27-29% 유지시키는 저염수 덧물보충 단계(S1030); (d)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염시 상기 결정지의 염수가 31% 조건을 유지시키는 채염 단계(S1040); (e)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염 후 상기 결정지의 31% 염수에 저염수 14~17%의 염수를 보충하여 25% 가량의 염수를 제조시키는 채염 후 덧물보충 단계(S1050); (f)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고염수와 저염수를 혼합시키는 혼합 단계(S1060); (g)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지 가장자리 혼탁한 염수와 천일염 불용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결정지와 둑을 청소하고 상기 결정지 양쪽 물꼬를 열어 염수를 원해주로 입수시키는 불용분 청소 단계(S1070); 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control Haeju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Haeju device, wherein the Haeju automatic control server uses a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to spread the brine to maintain the average salinity of 25% salt water in the crystallized paper ( S1010); (b) a salt flower step (S1020) of avoiding any process when the salt flower starts to bloom with an average brine of 27-28% of the crystallized paper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c) supplementing low salt water with 27% to 29% by adding 25% low brine to 31% brine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S1030); (d) a salting step (S1040) in which the salt water of the crystallized paper maintains a 31% condition when it is salted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e) After salting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supplementing with additives after salting to produce about 25% of brine by supplementing 31% of brine with 14-17% of brine to the brine (S1050); (f) mixing step of mixing high salt water and low salt water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S1060); (g) Cleaning the insoluble matter to clean the crystal paper and the weir to remove the turbid salt water and sea salt insoluble matters by using the automatic control software of Haeju, and open the both sides of the crystal paper to obtain the saline as desired. (S1070); It includes.

그리고, (h) 상기 (a) 단계(S1010)에서 상기 (g) 단계(S1070)의 공정을 반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h)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peating the process of (g) step (S1070) in (a) step (S10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정지의 채염 방법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coloring a crystallin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as follows.

염수펴기 단계(S1010)는 동트기 전 결정지에 염수를 폄(평균 염도 25%), 결정지가 햇빛에 노출되면 염기와 깔깔이 발생하고, 염수 25% 이하는 소금 꽃피는 시간이 늦어지고, 염수 25% 이상은 소금의 굵기가 가는 깔깔이 발생 우려한다.In the salt spreading step (S1010), salt water is applied to the crystallized paper before the dawn (average salinity of 25%), and when the crystallized paper is exposed to sunlight, bases and lumps are generated, and the time for flowering of salts below 25% is delayed, and salting time is less than 25%. It is concerned that the size of the silver salt is thin.

소금꽃 단계(S1020)는 오후 2시쯤 소금꽃 필 때 결정지의 평균 염수(27-28%) 즉, 천일염의 꽃은 27% 이상일 때 생성하고, 소금꽃이 피기 시작할 때 어떠한 공정도 피해야 한다. 외부 충격 등 미세한 요동만 있어도 품질 저하된다.The salt flower stage (S1020) is generated when the average salt water (27-28%) of the crystallized land, when the salt flower is about 2 pm, that is, when the flower of the sun salt is 27% or more, and any process should be avoided when the salt flower starts to bloom. Even if there is a slight fluctuation such as external impact, the quality deteriorates.

저염수 덧물보충 단계(S1030)는 하루소금을 채염하려면 덧물을 주지 않고 채염한다. 균일성있는 천일염생산의 어려움이 있다. 채염 전 결정지 염수는 평균 31% 이상이다. 31% 이상에서는 고질염 등 이상현상 발생한다. 31% 염수에 25% 저염수를 보충하여 27-29% 유지한다. 천일염 품질과 생산량 고려한 조건 유지한다. 31%+25% = 27~29%, 평균이다. 이 작업은 1의 공정 후 이틀째 채염 전 10시간 전 공정한다.In the low-salt water replenishment step (S1030), to salt the day salt, the saline is added without giving it. There is difficulty in producing uniform salts. Pre-salt crystallized brine is above 31% on average. At 31% or more, abnormalities such as high-density salt occur. Maintain 27-29% by adding 25% low brine to 31% brine. Maintain the condition considering the salt quality and production volume. 31%+25% = 27-29%, average. This work is carried out 10 hours before dyeing on the second day after the process of 1.

채염 단계(S1040)는 오후 6시쯤 결정지의 염수가 31% 조건에서 채염한다. 31% 이상되면 천일염의 고질염 현상 발생한다. 결정지의 가장자리부터 밀대로 미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가장자리 염수를 밀어내어 채염하는 동안 염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질염 방지한다. In the dyeing step (S1040), the salt water of the crystallized paper is collected at 31% at about 6 pm. If it is more than 31%, the salt infection of the sun salt occurs. It is necessary to push with the push from the edge of the crystal paper. Edge saltwater is pushed out to prevent salinity from rising during salting, preventing high salting.

채염 후 덧물보충 단계(S1050)는 채염 후 결정지의 평균 염수 31% 이상이다. 31% 염수에 저염수 14~17%의 염수를 보충하여 25% 가량의 염수를 만들어 낸다. 이는 다음날 1의 공정을 반복하기 위한 준비단계이다.After the dyeing, the replenishment step (S1050) is at least 31% of the average brine of the crystallized paper after the coloring. 31% brine is supplemented with 14~17% of brine, making 25% of brine. This is a preparation step for repeating the process of the next day.

혼합 단계(S1060)는 고염수와 저염수를 밀대를 이용하여 잘 혼합한다. 불균일하면 1, 2 공정에서 농도차이로 균일 천일염 생산이 되지 않는다. In the mixing step (S1060), high salt water and low salt water are mixed well using a straw. If it is non-uniform, uniform solar salt cannot be produced due to concentration differences in steps 1 and 2.

불용분 청소 단계(S1070)는 S1060의 공정과정 후 약 2시간 가량 정체한다. 결정지 가장자리 잔량 천일염 용해시까지이다. 결정지 가장자리 혼탁한 염수와 천일염(불용분) 제거하기 위하여 밀대 사용 결정지와 둑을 청소한다. 청소 후 2시간 가량 기다린 후 결정지 양쪽 물꼬를 열어 염수를 원해주로 입수한다.The insoluble matter cleaning step (S1070) stagnates for about 2 hours after the process of S1060. The remainder of the edge of the crystalline paper is until the salt is dissolved. Clean the edge of the crystal paper using a straw to remove the turbid salt water and sun salt (insoluble matter). After cleaning, wait for about 2 hours, and open both sides of the crystallized paper to obtain brine.

그리고, S1010 단계에서 S1070 단계의 공정을 반복한다.Then, the process of step S1070 is repeated in step S1010.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ome examples, but the description of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mere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y belong will understand well that from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or equivalent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provided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each claim of the claims.

S1, S2, S3: 감지센서부
10: 해주 지붕부
12,12': 상부가로각재
13: 망과 트랩
16: 강판지붕
20: 해주 벽면부
21: 해주 벽면 지지부
25: 측벽
30: 해주 저면부
35: 해주 저면 지지부
50: 수직 기둥각재 받침부
70: 수평 기둥각재 받침부
80: 칸막이부
85: 하부공간부
S1, S2, S3: detection sensor unit
10: Haeju roof
12,12': Upper horizontal material
13: nets and traps
16: Steel roof
20: Haeju wall
21: Haeju wall support
25: sidewall
30: Haeju Bottom
35: Haeju bottom support
50: vertical pillar support
70: horizontal pillar support
80: partition
85: lower space

Claims (13)

해주 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부(S1)를 구비하고 목재소재의 상부가로각재 상부에 강판소재의 강판지붕이 위치하는 해주 지붕부;
감지센서부(S2)를 구비하고 상기 해주 지붕부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해주 벽면부;
감지센서부(S3)를 구비한 해주 저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제어 해주 장치.
In the Haeju device,
Haeju roof part having a sensing sensor unit (S1) and a steel sheet roof of a steel sheet material on an upper side of each horizontal material of a wood material;
Haeju wall surface portion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portion (S2) and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Haeju roof portion;
Haeju bottom portion having a detection sensor unit (S3); Consisting of, including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S1, S2, S3)는 온도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중 하나이고,
상기 감지센서부(S1, S2, S3)는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unit (S1, S2, S3) is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a pressure sensor,
The detection sensor unit (S1, S2, S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IOT) that transmits the sensed data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uilt-in sensor and communication function,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해주 장치의 단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기둥각재 받침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기둥각재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vertical pillar supporting member and at least one horizontal pillar supporting member which is made of wood and is provided by forming a truss structure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aeju device.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 지붕부의 상기 강판지붕은 파형 칼라강판으로 구성되고 양지붕형의 경사구조이며,
상기 해주지붕부의 상부가로각재의 좌현 상부가로각재와 우현 상부가로각재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sheet roof of the Haeju roof part is composed of a corrugated color steel sheet and has a double roof type inclin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upper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Haeju roof section and the upper sid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starboard roof section are the same,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지붕부의 상부가로각재의 좌현 상부가로각재와 우현 상부가로각재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upper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Haeju roof section and the upper sid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right side, are different,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지붕부의 상부가로각재가 좌현 상부가로각재로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horizontal roofing material of the Haeju roof portion is composed only of the upper horizontal horizontal material,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 지붕부의 높이(H1)는 1.0m 내지 2.0m 이고,
상기 해주 벽면부의 높이(H2)는 1.0m 내지 5.0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H1) of the Haeju roof portion is 1.0 m to 2.0 m,
The height of the wall surface portion (H2) is characterized in that 1.0m to 5.0m,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 지붕부는 망과 트랩을 구비한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aeju roof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ide wall having a net and a trap,
Automatic contro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 벽면부는 목재로 구성되고 다각형 기둥 또는 원형 기둥의 해주 벽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주 저면부는 목재로 구성되고 다각형 기둥 또는 원형 기둥의 해주 저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aeju wall portion is made of wood and further includes a Haeju wall support portion of a polygonal column or a circular column,
The haeju bottom portion is made of wo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eju bottom support of a polygonal column or a circular column,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 지붕부, 상기 해주 벽면부, 상기 해주 저면부를 체결하는 못은 식품용 재질이거나 천일염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ail for fastening the roof of the Haeju, the wall of the Haeju, and the bottom of the Haeju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food material or a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sun salt,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주 지붕부, 상기 해주 벽면부, 상기 해주 저면부는 함수 요동의 최소 임계값으로 설정되는 밀폐 구조로 설계되고,
상기 해주 지붕부, 상기 해주 벽면부, 상기 해주 저면부로 밀폐되는 내부는 하부공간부를 구비한 칸막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of portion of the Haeju, the wall portion of the Haeju,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Haeju are designed with a closed structure that is set to a minimum threshold value of the function fluctuation.
The interior, which is sealed with the main roof portion, the main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artition portion having a lower space portion,
Automatic control device.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주 자동제어 서버가,
(a)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결정지에 평균 염도 25%의 염수로 유지시키는 염수펴기 단계;
(b)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지의 평균 염수 27-28% 로 소금꽃이 피기 시작할 때 어떠한 공정도 회피시키는 소금꽃 단계;
(c)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1% 염수에 25% 저염수를 보충하여 27-29%로 유지시키는 저염수 덧물보충 단계;
(d)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염시 상기 결정지의 염수가 31% 조건을 유지시키는 채염 단계;
(e)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염 후 상기 결정지의 31% 염수에 저염수 14~17%의 염수를 보충하여 25% 가량의 염수를 제조시키는 채염 후 덧물보충 단계;
(f)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고염수와 저염수를 혼합시키는 혼합 단계;
(g) 해주 자동제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지 가장자리 혼탁한 염수와 천일염 불용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결정지와 둑을 청소하고 상기 결정지 양쪽 물꼬를 열어 염수를 원해주로 입수시키는 불용분 청소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Haeju automatic control server,
(A) spreading the salt water to maintain the average salinity of 25% salt water on the crystallized paper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b) a salt flower step of avoiding any process when the salt flower starts to bloom with an average brine of 27-28% of the crystallized paper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c) replenishment of low-salt water by adding 25% low-salt water to 27-29%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d) a salting step in which the salt water of the crystallized paper maintains the condition of 31% when it is salted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e) after salting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supplementing after adding salt to produce about 25% of brine by supplementing 31% brine of the crystallization with 14-17% of brine;
(f) mixing step of mixing high and low brine using Haeju automatic control software;
(g) Cleaning the insoluble matter to clean the crystal paper and the weir to remove the turbid salt water and sea salt insoluble matters by using the automatic control software of Haeju, and open the both sides of the crystal paper to obtain the saline as desired. ; Containing,
Control method of automatic control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h)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g) 단계의 공정을 반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해주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peating the process of step (g) in step (a),
Control method of automatic control device.
KR1020180171126A 2018-12-27 2018-12-27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crystallizing pond KR102179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26A KR102179065B1 (en) 2018-12-27 2018-12-27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crystallizing po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26A KR102179065B1 (en) 2018-12-27 2018-12-27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crystallizing po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039A true KR20200081039A (en) 2020-07-07
KR102179065B1 KR102179065B1 (en) 2020-11-16

Family

ID=7160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126A KR102179065B1 (en) 2018-12-27 2018-12-27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crystallizing po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06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008A (en) * 1997-02-27 1998-09-08 Natl House Ind Co Ltd Roof truss
KR100860847B1 (en) 2007-04-16 2008-09-30 주식회사 태평소금 Method for manufacturing natural salt
KR20110052849A (en) * 2009-11-13 2011-05-19 최신일 Haejoo of saltpan
KR20130004944U (en) * 2012-02-09 2013-08-20 김석도 The green Haejoo of saltpan structure by carvel built ty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008A (en) * 1997-02-27 1998-09-08 Natl House Ind Co Ltd Roof truss
KR100860847B1 (en) 2007-04-16 2008-09-30 주식회사 태평소금 Method for manufacturing natural salt
KR20110052849A (en) * 2009-11-13 2011-05-19 최신일 Haejoo of saltpan
KR20130004944U (en) * 2012-02-09 2013-08-20 김석도 The green Haejoo of saltpan structure by carvel built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065B1 (en)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hn Macrophyte succession in Swedish lakes caused by deposition of airborne acid substances
Leclercq et al. CO2 partial pressure controls the calcification rate of a coral community
Perissinotto et al. Relationships between zoo-and phytoplankton in a warm-temperate, semi-permanently closed estuary, South Africa
Mäkelä et al. Spatial patterns in aquatic vegetation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covariates along chains of lakes in the Kokemäenjoki watershed (S. Finland)
Nessim et al. Chemistry of the Egyptian Mediterranean coastal waters
Takahashi et al. Temporal variations in carbon isotope ratio of phytoplankton in a eutrophic lake
Stauber et al. Copper bioavailability in a coastal environment of Northern Chile: comparison of bioassay and analytical speciation approaches
Jewson et al. The influence of turbidity on net phytoplankton photosynthesis in some Irish lakes
Mikhailik et al. The effect of Razdol’naya River on the environmental state of Amur Bay (the Sea of Japan)
Bednarz et al. Dinitrogen fixation and primary productivity by carbonate and silicate reef sand communities of the Northern Red Sea
Wassmann et al. Distribution and sedimentation of faecal on the Nordvestbanken shelf, northern Norway, in 1994
Parker et al. Cascading trophic interactions in an oligotrophic species-poor alpine lake
Sulistyaningsih et al. Quality monitoring of salt produced in Indonesia through seawater evaporation on HDPE geomembrane lined ponds
Duprat et al. Nutrient distribution in east Antarctic summer sea ice: A potential iron contribution from glacial basal melt
Cui et al. Diel migration of Microcystis during an algal bloom event in the Three Gorges Reservoir, China
KR20200081039A (en) Automatic control haejo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nchang et al. Ocean acidification in the Northern Indian ocean: A review
Savenkoff et al. Export of biogenic carbon and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elagic food web in the Gulf of St. Lawrence Part 1. Seasonal variations
King et al. Meromictic lakes of south-west Tasmania
Walker et al. Tropical Australia, a dynamic limnological environment: With 4 figures and 3 tables in the text
Yu et al. Can zebra mussels change stratification patterns in a small reservoir?
Bryceson Seasonality of oceanographic conditions and phytoplankton in Dar es Salaam waters
Liess et al. Terrestrial runoff may reduce microbenthic net community productivity by increasing turbidity: a Mediterranean coastal lagoon mesocosm experiment
Kauppinen Trophic state of the Great Masurian Lakes system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causes, mechanisms and effects of changes
Oduor et al. On the limnology of Lake Baringo (Kenya): I. temporal physico-chemical dyna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