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872A -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872A
KR20200080872A KR1020180170809A KR20180170809A KR20200080872A KR 20200080872 A KR20200080872 A KR 20200080872A KR 1020180170809 A KR1020180170809 A KR 1020180170809A KR 20180170809 A KR20180170809 A KR 20180170809A KR 20200080872 A KR20200080872 A KR 2020008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
smart device
charging
wireless charging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학연
Original Assignee
노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학연 filed Critical 노학연
Priority to KR102018017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0872A/ko
Publication of KR2020008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무선충전 방식의 충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충전을 할 때, 충전 디바이스와 스마트 기기 간의 충전과 동시에 BLE를 이용하여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서버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 출력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기기를 무선충전 방식으로 충전하는 충전 디바이스 사이에 다양한 데이터 통신을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인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실행하므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력 소모가 급격히 줄어들며, 충전 디바이스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업데이트하여 교체된 기업코드를 BLE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에서는 이를 다시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기업코드와 관련된 그림, 텍스트,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내려받아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므로 다양한 기업 마케팅에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BL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충전 디바이스 간의 무선충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무선충전 방식의 충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충전을 할 때, 충전 디바이스와 스마트 기기 간의 충전과 동시에 BLE를 이용하여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서버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 출력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충전 기술은 크게 '자기 공진 방식'과 '자기 유도 방식' 둘로 나뉜다. 기본적인 원리는 전력을 코일에 흘려서 전기를 전송하는 데서 시작한다. 둥그렇게 말아 놓은 코일에 강한 전류를 흘리면 자성이 생긴다. 이렇게 생긴 자성은 다른 코일을 가까이 대면 그 쪽으로 전달되고, 이를 거꾸로 풀면 전류가 되는 원리다. 코일을 어떻게 만들고 자성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가 두 무선 충전 기술의 차이점이다.
자기 공진 또는 자기 공명으로 불리는 기술을 직접적으로 충전 매트와 접촉하지 않아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자기 공명 방식은 기본적으로 코일을 통해서 전류가 전자기로 바뀌는 것까지는 자기 유도 방식과 비슷하지만, 이를 공진 주파수에 실어 멀리(1 ~ 2m) 보내는 점이 다르다. 기기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주변에만 있으면 충전이 되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편리한 것이다.
하지만 상용화가 쉽지는 않다. 전류가 전자기로 바뀌고 이를 다시 공진하는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큰 편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진되는 에너지가 인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말 그대로 강한 에너지를 가진 전자파가 공진돼 나오는 것인데 그 안에 있을때 사람의 몸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는 중요한 문제다. 하지만 적어도 전선을 꽂지 않고 주변에 있는 것만으로 충전하거나 배터리 소모량을 줄여서 더 오래 쓸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선 여전히 매력적인 방식이다.
자기 유도 방식은 근거리 충전 기술이다. 자기 공명 방식처럼 전류를 코일에 감아 강한 자력을 만들어낸다. 여기에 똑같은 주파수로 만든 코일을 바로 포개면 자력이 그대로 유도된다. 이를 풀어 전기로 변환하는 것이 자기 유도 방식이다.
자기유도 방식은 스마트폰과 충전 패드가 아주 가까이 붙어 있어야 한다. 코일과 코일 사이는 거의 정확히 맞붙어야 유도가 잘 된다. 전기를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이다. 보통 스마트폰과 충전 패드는 1cm 이내로 붙어야 정상적으로 충전된다. 대체로 금속 재질이 아니라면 얇은 케이스 하나 정도는 충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한편, BLE(Bluetooth Low Energy)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로서 저전력 블루투스를 사용하면 전력 소비를 급격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스포츠, 헬스케어, 센서, 기기제어 등에 사용 가능한 싱글모드 제품(블루투스 스마트)과 기존 블루투스와 BLE가 동시에 존재하는 듀얼모드 제품(블루투스 스마트 레디)이 가능하다. 블루투스는 싱글모드로 센서 역할을 하는 블루투스 스마트(Bluetooth Smart)와 듀얼모드로 호스트 역할을 하는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Bluetooth Smart Ready)로 구분된다.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는 창문은 잠겼는지, 내 인슐린 농도는 어떤지 같은 특정 정보를 수집해 이를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 디바이스로 보내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심박모니터, 혈압 팔찌, 보안센서, 자동차 키 체인, 피트니스 및 운동센서 등에 활용되고,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들과 매일 쏟아져 나오는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블루투스 디바이스나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내는 데이터를 수집해 유용한 정보로 변환시키며, 다른 디바이스로 보내는 허브 역할을 한다. 홈 모니터링, 헬스케어 기기, 온도 조절기 등 배터리로 동작하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스마트로 연결되고 PC, 스마트폰, 랩탑, 태블릿 등은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로 설정된다.
상기의 무선충전과 BLE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74152호에 BLE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BLE 디바이스의 속성 정보가 포함된 BLE 디바이스 목록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BLE 디바이스 목록 중 BLE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선택된 BLE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추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선택된 BLE 디바이스의 속성 정보 및 사용자 추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LE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72771호에 휴대 단말이 기 등록된 센서 기반 BLE 디바이스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단계와 센서 기반 BLE 디바이스로부터 식별 정보 및 센서 기반 BLE 디바이스가 감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센서 기반 BLE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알림 정보에 포함된 기 설정된 기준 센싱 정보와 수신된 센싱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알림 정보에 포함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또,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82620호에 디바이스 등록방법이 디바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바이스로부터 비콘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에 포함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며 이에 의해 IoT 디바이스 등록절차가 간단하고 편리해져 일반 사용자들도 손쉽게 IoT 디바이스 등록 작업을 수행하는 BLE를 이용한 디바이스 등록/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휴대 단말과 디바이스 사이에 BLE를 이용하여 등록하고 서비스하는 기술 방법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고, 스마트기기와 충전 디바이스 간의 무선충전과 동시에 BLE를 이용하여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전송에 관한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선행기술을 보완하고 스마트 기기와 충전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 충전을 할 때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인 BLE(Bluetooth Low Energy)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과 충전 디바이스 간에 통신을 시작하고, 충전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에 기업코드를 전송하며 애플리케이션은 기업코드를 컨텐츠서버에 전송하여 해당기업코드의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기업코드의 그림, 텍스트,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고 있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해결 수단으로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하는 스마트기기(10)와 상기 스마트기기(10)와 무선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충전디바이스(20)와 상기 스마트기기(10)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30)로 구성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에는 애플리케이션(13)과 디스플레이(15)가 포함되는데, 상기 애플리케이션(13)은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며, 충전디바이스(20)를 탐색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충전디바이스(20)에서 송신하는 기업코드를 수신받아 서버(30)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버(30)에서 송신하는 해당 기업코드에 맞는 광고 컨텐츠를 다운받아 상기 디스플레이(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상기 충전디바이스(20)에는 BLE모듈(25)이 포함되는데, 상기 BLE모듈(25)은 평상시에는 광고 컨텐츠와 관련한 advertisement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에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13)이 BLE모듈(25)에서 송신하는 advertisement 신호를 수신하면 스마트기기(10)와 충전 디바이스(20)가 인증하여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가 인증하여 연결되려면 스마트기기(10)에서 측정되는 BLE모듈(25)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이 약 -20 ~ 50dB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또한,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무선충전을 종료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은 -50dB 보다 작은 값이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전파 수신 강도를 의미하고 dBm 단위를 사용하며, 안테나에 유입된 무선전력의 값을 표시한다.
스마트기기(10)와 충전 디바이스(20)가 인증하고 연결되면 BLE를 이용하는 advertisement 신호를 스마트기기(10)에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13)에서 수신하고 advertisement 신호에 포함된 기업코드를 생성한다. 생성한 기업코드는 다시 애플리케이션(13)이 서버(30)로 송신하며, 서버(30)에서는 해당 기업코드와 대응하는 그림, 텍스트,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애플리케이션(13)에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서버(30)로부터 수신받은 광고 컨텐츠를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13)은 서버(30)와 통신할 때,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았을 경우에 스마트기기(10)와 서버(30) 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애플리케이션(13)의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13)은 서버(30)와 주기적으로 연결하여 애플리케이션(13)을 유지보수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3)은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최초의 인증을 끝내고 나면,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간의 태깅이 이루어질때마다 애플리케이션(13)이 스마트기기(10)의 최상위 관리자 권한을 부여받아서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0)를 터치하지 않아도 잠금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13)이 동작하면서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동영상, 그림, 사진,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15)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의 광고 컨텐츠와 관련한 동영상, 그림, 사진, 텍스트 등을 출력하는 시간과 순서 및 자료 등은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13) 또는 서버(30)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15)에 광고 컨텐츠의 출력이 끝나면 스마트기기(10)의 잠금화면 모드로 돌아가게 되면서 최상위 관리자 권한을 스마트기기(10)에 돌려준다.
본 발명인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기기를 무선충전 방식으로 충전하는 충전 디바이스 사이에 다양한 데이터 통신을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인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실행하므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력 소모가 급격히 줄어들며, 충전 디바이스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업데이트하여 교체된 기업코드를 BLE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에서는 이를 다시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기업코드와 관련된 그림, 텍스트,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다운받아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므로 다양한 기업 마케팅에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흐름도로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인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하는 스마트기기(10)는 충전디바이스(20)와 BLE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하고, 상기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에 포함하는 기업코드를 서버(30)에 송신하며, 상기 서버(30)에서 수신받은 광고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애플리케이션(13)과 상기 애플리케이션(13)에서 다운로드한 광고 컨텐츠를 외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5)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에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를 송신하여 검색 및 인증을 하며 스마트기기(10)에 무선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충전디바이스(20)는 평상시에 외부로 BLE를 이용하여 기업코드가 포함된 advertisement 신호를 송신하는 BLE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스마트기기(10)와 유, 무선통신을 하고 스마트기기(1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검색 및 인증을 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은 -20 ~ 50dB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무선충전을 종료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은 -50dB 보다 작은 값이어야 한다.
본 발명인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실행(S01)과 BLE모듈검색(S02)과 충전시작(S03)과 기업코드전송(S04)과 광고출력(S05)과 충전완료(S06)의 순서대로 구성한다.
첫번째인 애플리케이션 실행(S01)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1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13)을 실행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3)을 실행한 스마트기기(10)는 잠금화면 상태여도 무방하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3)을 동작하면 스마트기기(10)의 최상위 관리자 권한을 위임받아 스마트기기(10)가 잠금화면인 경우에도 동작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마트기기(1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13)을 실행하고 BLE모듈(25)을 형성한 충전디바이스(20)에 태깅하거나 충전디바이스(20)의 상면에 스마트기기(10)를 위치시킨다.
두번째인 BLE모듈검색(S02)은 상기 충전디바이스(20)가 평상시에 BLE모듈(25)에서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일반적인 경우인 평상시에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충전디바이스(20)의 상면에 스마트기기(10)를 위치시키거나 태깅하게 되면, 스마트기기(1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13)에서 상기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의 애플리케이션(13)에서 BLE모듈(25)이 외부로 송신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를 인식하는 방법은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13)에서 측정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이 약 -20 ~ 50dB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상기의 RSSI값이 -20 ~ 50dB의 범위 내로 측정되면 애플리케이션(13)은 즉시 BLE모듈(25)을 인지하여 인증하게 되고, 스마트기기(10)와 충전 디바이스(20)는 서로 연결된다
세번째인 충전시작(S03)은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10)와 충전 디바이스(20)가 서로 연결되면, 애플리케이션(13)에서 충전디바이스(20)를 구성하는 BLE모듈(25)에 무선충전 개시를 지시하고, 충전디바이스(20)에서는 전류를 공급하여 전자기로 변환하고 스마트기기(10)에서는 전자기를 다시 전류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네번째인 기업코드전송(S04)은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무선충전을 실시하면서 BLE모듈(25)에서 스마트기기(10)의 애플리케이션(13)에 기업코드가 포함된 advertisement 신호를 송신하고, 애플리케이션(13)에서는 상기 advertisement 신호를 수신받아서 기업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서버(30)에 전송한다.
다섯번째인 광고출력(S05)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3)에서 추출한 기업코드를 서버(30)에서 수신받으면 서버(30)에서는 기업코드와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애플리케이션(13)에 송신한다. 상기 광고 컨텐츠는 동영상, 그림, 사진, 텍스트 등으로 구성하며, 이를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스마트기기(10)가 잠금화면인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13)이 최상위 관리자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출력이 된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5)를 통해서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은 모두 세가지의 조건이 갖춰져야 하는데, 이는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무선충전이 동작하고 있는 것과 애플리케이션(13)과 BLE모듈(25) 사이에 BLE를 이용한 무선통신이 동작하고 있는 것과 마지막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13)에서 측정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이 -20 ~ 50dB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의 세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스마트기기(10)의 디스플레이(15)를 통해서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이다.
여섯째인 충전완료(S06)는 스마트기기(10) 내의 배터리 용량을 가득 채운 후에도 계속하여 전류가 공급되면, 이를 애플리케이션(13)에서 인지하고 BLE를 이용한 무선통신으로 충전디바이스(20)의 BLE모듈(25)에 종료 명령을 송신한다.
종료 명령을 수신한 충전디바이스(20)는 전류의 공급을 종료하게 되고, 스마트기기(10)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13)은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충전완료의 알림을 출력한다.
그리고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의 충전완료(S06)의 또 다른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스마트기기(10)를 충전디바이스(20)와 멀리 이격하는 것이다. 이때 스마트기기(10)에서 측정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은 -50dB 보다 작은 값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스마트 기기
13. 애플리케이션
15. 디스플레이
20. 충전 디바이스
25. BLE 모듈
30. 서버

Claims (5)

  1. 휴대용 단말기 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하는 스마트기기(10)와;
    상기 스마트기기(10)에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를 송신하여 검색 및 인증을 하며 스마트기기(10)에 무선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충전디바이스(20)와;
    상기 스마트기기(10)와 유, 무선통신을 하고 스마트기기(1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는 충전디바이스(20)와 BLE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하고, 상기 advertisement 신호에 포함되는 기업코드를 서버(30)에 송신하며, 상기 기업코드와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서버(30)에서 내려받는 애플리케이션(13)과;
    상기 애플리케이션(13)에서 내려받은 광고 콘텐츠를 외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디바이스(20)는 평상시에 외부로 BLE를 이용하여 기업코드가 포함된 advertisement 신호를 송신하는 BLE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검색 및 인증을 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은 -20 ~ 50dB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스마트기기(10)와 충전디바이스(20) 사이에 무선충전을 종료하는 BLE를 이용한 advertisement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은 -50dB 보다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KR1020180170809A 2018-12-27 2018-12-27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KR20200080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09A KR20200080872A (ko) 2018-12-27 2018-12-27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09A KR20200080872A (ko) 2018-12-27 2018-12-27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72A true KR20200080872A (ko) 2020-07-07

Family

ID=7160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809A KR20200080872A (ko) 2018-12-27 2018-12-27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08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188A1 (ko) * 2021-07-13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기반 통신을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022330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188A1 (ko) * 2021-07-13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기반 통신을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022330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6654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KR101977088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CN108696849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99757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ap 연결 방법
US20100178866A1 (en) Power management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apparatus
EP1869842B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1407942B1 (ko)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는 장치의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70243420A1 (en) Electric lock adapted to be activated by a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US20160336804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9241357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601889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harvest from a proximity coupling device
US201300826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KR10151804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센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N106100154A (zh) 用于安全无线充电站的系统和方法
RU201310345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тери предмета и быстрого поиска предмета
KR20130038553A (ko) 위치 인식 시스템에서 사물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CN104253634A (zh) 双频多协议多功能近场通信集成系统和应用方法
US20140335784A1 (en) NFC Architecture
US10274350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eter configuring and data collection
KR101409844B1 (ko) 실험용 동물의 생체 신호 획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1234280B2 (en) Method for RF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electronic device and user touch input
KR20130005570A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200080872A (ko) Ble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EP3588739A1 (en) Power feeding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15023450A (ja) 近距離無線通信をする方法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