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869A - Hazard-sensitive headset - Google Patents

Hazard-sensitive head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869A
KR20200080869A KR1020180170803A KR20180170803A KR20200080869A KR 20200080869 A KR20200080869 A KR 20200080869A KR 1020180170803 A KR1020180170803 A KR 1020180170803A KR 20180170803 A KR20180170803 A KR 20180170803A KR 20200080869 A KR20200080869 A KR 2020008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unit
alarm
collision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해
박상근
유원빈
장은영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원빈
장은영
박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원빈, 장은영, 박상근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0869A/en
Publication of KR2020008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zard-sensitive headset for predicting and alert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surrounding object, which comprises: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one or more surrounding objects approaching a headset wearer; a parameter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and an approach speed with respect to the one or more recognized objects; an alarm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alarm by determining a collision risk in a manner of real-time tracking the accessibility of the object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collision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to and approach speed of each object; and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under the control of the alarm control unit.

Description

위험감지 헤드셋{HAZARD-SENSITIVE HEADSET}Hazard detection headset {HAZARD-SENSITIVE HEADSET}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변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여 경보하는 위험감지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sk detection headset that predicts and alert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nearby objects.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들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아울러 휴대용 디바이스들의 사양이 고급화되면서 대다수의 디바이스 이용자들은 댁내는 물론 이동수단내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다. 심지어는 보행 중에도 이어폰 혹은 헤드셋을 이용해 오디오, AV(Audio & Visual) 영상물을 시청함으로써 자신은 물론 주변인들까지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사례가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s generalized, and specifications of portable devices are advanced, the majority of device users are watching various contents in the home as well as in the vehicle. Even while walking, audio and AV (Audio & Visual) video using earphones or headsets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to be exposed to safety accidents as well as yourself.

이와 같이 보행 중 헤드셋을 이용해 오디오를 청취하거나 AV를 시청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이용자들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0812호에 게시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경고 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s a technology for preventing accidents of portable device users who listen to audio or watch AV using a headset while walking, the warning device of the multimedia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0812 and the same There is a way.

예시한 상기 발명은 기존 소음 평균치에 비해 큰 소음이 발생할 경우 위협음으로 판단하여 기존 음원의 스피커 볼륨을 줄이고 사용자에게 위협음 발생을 알리는 기술이다. 이러한 예시 발명은 소음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소리, 소음 없이 헤드셋 착용자에게 접근하여 충돌할 수 있는 사물 혹은 헤드셋 착용자가 정지된 사물로 접근하여 발생하게 되는 충돌에 대해서는 헤드셋 착용자에게 위험을 전파할 수 없다.The illustrated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speaker volume of an existing sound source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a threatening sound by determining that it is a threatening sound when a louder noise than the existing noise average value is generated. Since this exemplary invention presupposes noise, it is not possible to propagate the risk to the headset wearer for a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the headset wearer approaches the stationary object without sound or noise. .

따라서 헤드셋 착용자 등에게 주변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여 경보하는 새로운 형태의 헤드셋 개발이 필요하며, 시각장애인의 보조도구서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고안된 헤드셋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type of headset that predicts and alerts the wearer of a headset to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nearby objects, and the development of a headset designed to be used as an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0812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0812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주변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여 경보해 줌으로써 헤드셋 착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해 줄 수 있는 위험감지 헤드셋을 제공함에 있으며,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invent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necessity, an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nger detection headset that can prevent the accident of a headset wearer in advance by predicting and alert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surrounding objects. Is in,

더 나아가 헤드셋 착용자에게 접근중인 사물로 헤드셋 착용자의 존재여부를 전파해 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위험감지 헤드셋을 제공함에 있다.Furthermore, it is to provide a headset for detecting a danger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propagating the presence of the headset wearer as an approaching object to the headset wear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셋 착용자와의 근접 순위가 실시간으로 가변되는 사물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충돌 가능성을 경보하는 위험감지 헤드셋을 제공함에 있으며,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sk detection headset that tracks the position of objects whose proximity to the headset wearer changes in real time to alert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모드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는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를 음성 안내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도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위험감지 헤드셋을 제공함에 있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nger detection headset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t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as it can voicely guide a distance and an approach speed to an object that may collide in a specific mode.

또한 접근하는 사물의 위치에 따라 외부 오디오 출력장치의 출력음을 무선 제어할 수 있는 위험감지 헤드셋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danger detection headset capable of wirelessly controlling the output sound of an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n approaching obje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은,Risk detect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헤드셋 착용자로 접근중인 하나 이상의 주변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부와;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one or more surrounding objects approaching a headset wearer;

하나 이상 인식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 산출부와;A parameter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and an access speed of each of the one or more recognized objects;

산출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로부터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게 예측되는 사물의 접근성을 일정 시간 동안 실시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충돌위험 판단하여 경보 제어하는 경보 제어부와;An alarm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collision risk and controlling an alarm by real-time tracking the accessibility of the object having the highest probability of collision from the calculated distance and approach speed of each objec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 경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 출력하는 경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되,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under the control of the alarm control unit;

상기 경보부는 헤드셋 착용자의 존재를 전파하기 위한 발광부이거나, 사물의 접근을 경보하기 위한 진동자임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The alarm unit is another feature that is a light emitting unit for propagating the presence of the headset wearer, or a vibrator for warning the approach of an object,

오디오 출력장치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 제어부는 주변 사물과의 충돌위험 판단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오디오 출력 소거 요청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data with the audio output device at a short distance, wherein the alarm control unit requests another audio output cancell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determining a collision risk with surrounding objec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위험감지 헤드셋에 있어서,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isk detection headset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상기 경보 제어부는 시각장애모드에서 충돌 가능성이 예측되는 사물의 접근성을 상기 산출된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로 음성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alarm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uides the accessibility of an object predicting a collision possibility in a visually impaired mode at a distance and an access speed from the calculated object.

또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위험감지 헤드셋들은 각각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여 헤드셋 착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deformable embodiment, the risk-sensing headset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for wirelessly charging a battery that supplies operating power,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headset wearer.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을 이용하게 되면, 헤드셋 착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몰입하여 머리를 숙이고 도보중이더라도, 혹은 도보중 볼륨을 크게 하여 음악을 청취하더라도 헤드셋 착용자에게 접근하는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여 이를 착용자에게 전파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solving means, when using the risk detection head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eadset wearer is immers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bows his head or walks, or increases the volume while walking, listens to music Sinc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ject approaching the headset wearer can be predicted and propagated to the wearer, there is an advantage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또한 본 발명은 헤드셋 착용자에게 접근중인 사물로 헤드셋 착용자의 존재여부를 전파해 줌으로써,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사용자가 헤드셋 착용자를 미리 인지하여 회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inducing the user who controls the moving means to recognize and avoid the headset wearer in advance by propag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eadset wearer to an object approaching the headset wearer.

또한 본 발명은 헤드셋 착용자와의 근접 순위가 실시간으로 가변되는 사물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충돌 가능성을 경보할 수 있으며, 시간장애인 모드와 같이 특정 모드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는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를 음성 안내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도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y tracking the positions of objects whose proximity ranking with the headset wearer is changed in real time, and the distance and approach speed with objects that may collide in a specific mode, such as a time-impaired mode, is voic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uide people who are blind and can use it as an ai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sk detect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block configuration of a risk detect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control flo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isk detect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rst, FIG.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risk detection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은 일반 헤드셋과 같이 사용자의 귀 영역에 밀착되는 헤드부(102)와, 헤드부(102)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 브릿지(104)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isk detecting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d portion 10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ar area, and a connection bridge 104 that connects the head portion 102 like a normal headset. It includes.

하나 혹은 양쪽의 헤드부(102)의 전방 혹은 후방 혹은 측방 면에는 접근중인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물 인식부(110)가 장착된다. 상기 사물 인식부(110)는 헤드셋(100) 착용자의 전방 혹은 측방 혹은 후방에서 접근중인 사물을 인식 혹은 검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카메라,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is mounted as a means for recognizing an approaching object on one or both of the front or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head unit 102.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is a means for recognizing or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front, side, or rear of the headset 100 wearer, and may be implemented by a camera,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표현 중 '헤드셋 착용자로 접근중인 사물'이란 사물이 이동하여 헤드셋 착용자로 접근하는 경우와 위치 고정된 사물로 헤드셋 착용자가 이동하여 접근하는 경우 모두를 일컫는 것으로 해석한다.In the expression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rpreted that the term'object approaching as a headset wearer' refers to both the case where the object moves and approaches the headset wearer and the case where the headset wearer moves and approaches the fixed object.

도 1에 도시한 위험감지 헤드셋(100)은 유선 혹은 무선 연결된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를 헤드부(102)를 통해 출력하여 주며, 주변 사물과의 접근성을 판단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를 헤드셋(100) 착용자에게 알려 주며, 구비된 발광부(106)를 통해 헤드셋 착용자의 존재를 주변에 전파해 주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risk detection headset 100 shown in FIG. 1 outputs audio reproduced from a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device through the head unit 102, determines the accessibility to nearby objects, an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headset 100 ) It informs the wearer and also serves to propagate the presence of the headset wearer to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provided light emitting unit 106.

이러한 위험감지 헤드셋(1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risk detection headset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Figure 2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risk detection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은,As shown in Figure 2, the risk detection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헤드셋 착용자로 접근중인 하나 이상의 주변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부(110)와,Object recognition unit 110 for recognizing one or more nearby objects approaching as a headset wearer,

하나 이상 인식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 산출부(122)와,A parameter calculating unit 122 for calculating a distance and an access speed of each of the one or more recognized objects;

산출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로부터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게 예측되는 사물의 접근성을 일정 시간 동안 실시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충돌위험 판단하여 경보 제어하는 경보 제어부(124)와,An alarm control unit 124 that determines and controls the collision risk by real-time tracking the accessibility of the object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collision from the calculated distance and approach speed of each object for a certain time, and

상기 경보 제어부(124)의 제어에 따라 경보 출력하는 경보부(130)를 포함한다.It includes an alarm unit 130 for outputting an alarm under the control of the alarm control unit 124.

상기 경보부(130)는 헤드셋 착용자에게 충돌 가능성이 있는 사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경보음 혹은 경보 메시지로 출력해 주는 경보부일 수 있으며, 주변에 헤드셋 착용자의 존재를 전파해 주는 발광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보부(130)는 사물의 접근을 헤드셋 착용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진동자와 같은 진동수단일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30 may be an alarm unit that outputs an alarm sound or an alarm message to the headset wearer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r may be a light emitting unit that propagates the presence of the headset wearer around. In addition, the alarm unit 130 may be a vibrating means such as a vibrator for alerting the headset wearer of the approach of an object.

상기 사물 인식부(110)는 여러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방위 촬영이 가능한 회전식 카메라일 수도 있다. 또한 사물 인식부(110)는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가 한 쌍을 이루어 전방의 사물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물 인식부(11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ameras for recognizing objects located in various directions, or may be a rotating camera capable of omnidirectional photography. Also,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front object by pairing a camera and an ultrasonic senso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3.

상술한 기본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경보 제어부(124)는 주변 사물과의 충돌위험 판단시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주변 오디오 출력장치로 오디오 출력의 소거를 요청하여 헤드셋 착용자가 주변 소음 혹은 주변 사물의 접근 소리에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asic configuration, the danger detection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with an audio output device, in which case the alarm control unit 124 is a peripheral object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with the user,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request the cancellation of the audio output to the peripheral audio output device so that the headset wearer responds to the ambient noise or the approaching sound of the surrounding objec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을 시각 장애인이 이용할 경우를 대비해 경보 제어부(124)는 시각장애모드로 동작할 경우 충돌 가능성이 예측되는 사물의 접근성을 음성 안내해 주되, 산출된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로 음성 안내해 줌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사물을 회피하거나 충돌하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ase that the visually impaired headset 100 uses the danger detecting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control unit 124 provides voice guidance on the accessibility of an object that is predicted to collide when operating in a visually impaired mode. By providing voice guidance at a distance from and approaching the object, the visually impaired can avoid the object or prevent the collision accident.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은 상술한 구성 외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 충전부(1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the danger detection heads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150 for wirelessly charging a battery that supplies operating pow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이하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위험감지 헤드셋(10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isk detection headset 10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는 하나의 헤드부(102)에 후방을 주시하기 위한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3 illustrates a control flow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isk detection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a camera and an ultrasonic sensor are mounted on one head portion 102 to keep a rear eye.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위험감지 헤드셋(100)을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시스템 전원을 온(on) 시킨후 헤드셋(100)을 착용한다. 시스템 전원의 투입에 따라 사물 인식부(110)로 작용하는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는 활성화된다.Referring to FIG. 3, first, a user who wants to wear the risk detection headset 100 turns on the system power before wearing the headset 100. The camera and the ultrasonic sensor acting as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are activated when the system is powered on.

활성화된 카메라에 의해 헤드셋(100) 착용자의 후방 영상이 촬영되기 때문에 헤드셋 착용자의 주변 사물, 보다 정확히는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주변 사물이 인식되기 시작(S10단계)한다. 인식된 주변 사물 영상은 파라미터 산출부(122)로 전달된다. 이에 파라미터 산출부(122)는 전달되는 주변 사물 영상을 소정 주기로 캡쳐하고, 각 캡쳐 영상에서 에지검출기법을 통해 인식되는 객체를 사물로 간주하여 캡쳐간 추출된 동일 사물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를 산출(S20단계)한다. 캡쳐 주기와 카메라의 배율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캡쳐 주기, 카메라 배율, 캡쳐간 추출된 동일 사물의 크기 정보, 이동궤적을 활용하면 헤드셋 착용자와 사물과의 거리는 물론 사물의 접근 속도, 충돌 가능성을 산출, 예측할 수 있다.Since the rear image of the wearer of the headset 100 is photographed by the activated camera, the peripheral object of the headset wearer, and more specifically, the peripheral object positioned at the rear side, are recognized (step S10). The recognized surrounding objec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parameter calculator 122. Accordingly, the parameter calculating unit 122 captures the images of the surrounding object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compares the sizes of the same objects extracted between the captures by considering the objects recognized through the edge detection technique as objects in each captured image. The distance to the object and the approach speed are calculated (step S20). Since the capture cycle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camera are already known, using the capture cycle, the camera magnificati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same object extracted between the captures, and the movement trajectory,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set wearer and the object, as well as the speed of approach and collision possibility of the object are calculated. Predictable.

파라미터 산출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신호 처리방식에 따라 산출한 인식 사물과의 거리와 접근속도를 경보 제어부(124)로 전달한다. 이에 경보 제어부(124)는 상기 파라미터 산출부(122)에서 산출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 이동궤적를 일정 시간 동안 모니터링하여 헤드셋 착용자와 충돌 가능성이 높은 사물의 접근성을 추적(S30단계)한다.The parameter calculator 122 transmits the distance and the access speed of the recognized objec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o the alarm controller 124. Accordingly, the alarm control unit 124 monitors the distance, the access speed, and the movement trajectory of each object calculated by the parameter calculation unit 122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track the accessibility of the object with a high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headset wearer (step S30). .

충돌 가능성이 없는 인식 사물은 곧 카메라 영상에서 배제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카메라 영상에서 사물로 인식되고, 캡쳐 영상에서 인식된 사물의 크기, 이동궤적을 추적하면 헤드셋 착용자와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Since the recognition object without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is excluded from the camera image, it is continuously recognized as an object in the camera image, and tracking the size and movement trajectory of the object recognized in the captured image can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headset wearer.

이에 경보 제어부(124)는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게 예측되는 사물의 접근성을 일정 시간 동안 실시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충돌위험 판단(S40단계)하고, 충돌 가능성이 있으면 경보부(130)를 통해 경보 출력(S50단계)한다.Accordingly, the alarm control unit 124 determines the collision risk in a manner of real-time tracking the accessibility of the object that has the highest probability of collision for a certain time (step S40), an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utputs an alarm through the alarm unit 130 (step S50) )do.

경보 출력은 경보부(130) 구현 방식에 따라 경보음, 경보 안내 메시지, 진동자 구동에 의한 진동, 출력중인 오디오 출력음 소거 요청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larm output may be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an alarm sound, an alarm guide message, vibration by driving a vibrator, and a request to cancel the audio output sound being outpu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alarm unit 130.

또한 경보 제어부(124)는 헤드셋 착용자의 존재를 접근중인 사물에 전파하기 위해 경보부(130)를 구성하는 발광부를 점등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control unit 124 may lightly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constituting the alarm unit 130 to propagate the presence of the headset wearer to an approaching object.

이와 같이 경보 제어부(124)는 카메라와 같은 사물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되는 후방 사물과의 거리와 속도를 추적하여 충돌 가능성이 높을 경우 이를 헤드셋 착용자에게 전파함으로써, 착용자는 경보 등을 통해 후방에서 사물이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고 충돌 가능성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larm control unit 124 tracks the distance and speed of the rear object recognized through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such as a camera, and wh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llision, propagates it to the headset wearer, so that the wearer rears through an alarm or the like. Can recognize objects approaching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possible collis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을 인식하는 사물 인식부(110)를 가정하였으나, 만약 복수의 카메라를 헤드셋(100)에 설치하거나 착용자의 헤드 움직임에 맞춰 회전 가능한 카메라 혹은 전방위 감시가 가능한 회전 카메라 등을 이용한다면 사방에서 접근중인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for recognizing the rear side is assumed, but if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headset 100 or a rotatable camera or a rotatable camera capable of omnidirectional monitoring is installed, If use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objects approaching from all sides will be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초음파 센서를 사물 인식부(110)로 사용할 경우에도 전방에 위치한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헤드셋 착용자에게 사전 통보함으로써, 설령 헤드셋 착용자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몰입하여 걷고 있다 하더라도 전방에 위치한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사전에 경보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ultrasonic sensor is used as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even if the headset wearer is immersed in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by notifying the headset wearer in advance of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ject located in front, the object located in the front It will be possible to warn you in advance of possible collisions with the vehicle.

또한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를 같이 사물 인식부(110)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에서 사물을 인식해 소정 반경 내로 접근한 사물로 인식되면, 초음파 센서를 구동하여 소정 반경 내로 접근한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전파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lso, the camera and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as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For example, if an object is recognized from an image acquired through a camera and recognized as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driven to propagat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감지 헤드셋(100)을 이용하게 되면, 헤드셋 착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몰입하여 머리를 숙이고 도보중이더라도, 혹은 도보중 볼륨을 크게 하여 음악을 청취하더라도 헤드셋 착용자에게 접근하는 사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여 이를 착용자에게 전파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isk-sensing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headset is worn even when the headset wearer is immersed in a portable device and bows his head or listens to music by turning the volume up while walking. Sinc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ject approaching the wearer is predicted and propagated to the wear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부(150)를 더 구비함으로써, 헤드셋(100) 미사용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어 헤드셋(100)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해 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unit 150,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harge the internal battery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when the headset 100 is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f the headset 100.

더 나아가 헤드셋 이용자에게 접근중인 사물로 헤드셋 이용자의 존재여부를 전파해 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위험감지 헤드셋을 제공함에 있다.Furthermore, it is to provide a headset for detecting danger by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by sprea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eadset user to objects approaching the headset us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셋 이용자와의 근접 순위가 실시간으로 가변되는 사물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충돌 가능성을 경보하는 위험감지 헤드셋을 제공함에 있으며,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sk-sensing headset that tracks the positions of objects whose proximity to the headset user is changed in real time to alert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시간장애모드와 같은 특정 모드에서 충돌 가능성이 있는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를 음성 안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n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because it can also guide the distance and approach speed of objects that may collide in certain modes, such as the time-impaired mode.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헤드셋 착용자로 접근중인 하나 이상의 주변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인식부와;
하나 이상 인식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 산출부와;
산출된 각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로부터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게 예측되는 사물의 접근성을 일정 시간 동안 실시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충돌위험 판단하여 경보 제어하는 경보 제어부와;
상기 경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 출력하는 경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감지 헤드셋.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one or more surrounding objects approaching as a headset wearer;
A parameter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and an access speed of each of the one or more recognized objects;
An alarm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collision risk and controlling an alarm by real-time tracking the accessibility of the object having the highest probability of collision from the calculated distance and approach speed of each objec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larm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헤드셋 착용자의 존재를 전파하기 위한 발광부이거나, 사물의 접근을 경보하기 위한 진동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감지 헤드셋.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arm unit is a light emitting unit for propagating the presence of the headset wearer, risk detection head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or for warning the approach of the obj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장치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 제어부는 주변 사물과의 충돌위험 판단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오디오 출력 소거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감지 헤드셋.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output device, the alarm control unit, the risk detection head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dio output cancellation reques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with surrounding objec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 제어부는,
시각장애모드에서 충돌 가능성이 예측되는 사물의 접근성을 상기 산출된 사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로 음성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감지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arm control unit,
A risk-sensing headse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voice guidance of an approachability of an object in which a collision possibility is predicted in a visually impaired mode at a distance and an access speed from the calculated objec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감지 헤드셋.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ireless sensing unit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that supplies the operating power; risk detection headset further comprises a.
KR1020180170803A 2018-12-27 2018-12-27 Hazard-sensitive headset KR202000808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03A KR20200080869A (en) 2018-12-27 2018-12-27 Hazard-sensitive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03A KR20200080869A (en) 2018-12-27 2018-12-27 Hazard-sensitive hea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69A true KR20200080869A (en) 2020-07-07

Family

ID=7160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803A KR20200080869A (en) 2018-12-27 2018-12-27 Hazard-sensitive head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086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9363A (en) * 2020-12-04 2021-03-12 广东美她实业投资有限公司 Rear-coming vehicle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lligent wireless earphone and storage medium
KR102256721B1 (en) * 2020-12-30 2021-05-27 주식회사 강한손 Wearable device for independent living of visual disabled people
CN113630680A (en) * 2021-07-22 2021-11-09 深圳市易万特科技有限公司 Earphone audio and video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and intelligent heads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812A (en)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레인콤 Warning device for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812A (en)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레인콤 Warning device for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9363A (en) * 2020-12-04 2021-03-12 广东美她实业投资有限公司 Rear-coming vehicle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lligent wireless earphone and storage medium
KR102256721B1 (en) * 2020-12-30 2021-05-27 주식회사 강한손 Wearable device for independent living of visual disabled people
CN113630680A (en) * 2021-07-22 2021-11-09 深圳市易万特科技有限公司 Earphone audio and video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and intelligent head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73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nd notifying pedestrian
KR102466521B1 (en) Pedestrian information system
KR102023601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KR20200080869A (en) Hazard-sensitive headset
CN1159963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obile camera for low power use
AU2014101406A4 (en) A portable aler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JP7241778B2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OF AUTOMATIC GUIDED VEHICLE
US20150158426A1 (e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10289290A1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sound reproduction system
KR1014789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using Inaudible Acoustic Proximity Alert Signal
US10699546B2 (en) Headphone and headphone safety device for alerting user from impending hazard, and method thereof
WO2018028200A1 (en) Electronic robotic equipment
JP2005136695A (en)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0979318A (en) Lan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utomatic driving vehicle and storage medium
KR202001070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afe driving of vehicle
KR20140088004A (en) System of bidirectional safety control service based on automatic alarm and method of control service using the same
TWI618418B (en) Audition assistant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KR102081059B1 (en) Smartphone for supporting walking
KR20160011342A (en) System for observing the rear and side of two-wheeled vehicle, and method for observing the rear and side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260628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noise control using electronic device
JP2008193533A (en) Portab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KR201400032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vehicle and walker,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collision-prevent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80076464A (en) Drowsiness drive warning system
KR101906902B1 (en) Portable anti-collision device for pedestrian
WO2023240402A1 (en) Help call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