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854A -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854A
KR20200080854A KR1020180170773A KR20180170773A KR20200080854A KR 20200080854 A KR20200080854 A KR 20200080854A KR 1020180170773 A KR1020180170773 A KR 1020180170773A KR 20180170773 A KR20180170773 A KR 20180170773A KR 20200080854 A KR20200080854 A KR 20200080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vehicle
sharing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014B1 (ko
Inventor
박우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팝스테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팝스테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팝스테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0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위한 수익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고를 부착할 광고지면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상기 차량 및 차량 소유자 단말과 연동되어 차량의 광고부착여부 및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차량의 광고지면에 대한 광고부착 요청을 전송하고, 광고부착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대한 리포트를 전송 받아 광고지면 공유료를 지불하는 광고요청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광고요청단말로부터 지불된 광고지면 공유료를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과 차량 소유주 단말로 수익 비중별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Revenue distribution system through sharing of advertising fa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고지면을 공유하는 차량 소유주를 중심으로 광고주와, 광고에 노출되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수익이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유경제(Sharing economy)란,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의 경제활동으로서, 물품을 한 소유자의 입장에서는 효율을 높이고, 구매자는 싼 값에 이용할 수 있는 소비 형태로서, 자원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공유경제는 빈방, 책, 부동산, 자동차 등에서 활성화 되고 있으며, 자동차를 통한 공유경제의 예로써는 목적지나 방향이 같은 사람들이 한 대의 승용차에 같이 타고 다니는 카풀(Car pool)이 있다.
한편, 현재 교통관련 광고와 관련한 OOH(Out Of Home)광고 시장은 총 1조 500억원으로서 교통관련 광고는 매년 8%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나, 현재의 교통관련 광고는 도 7과 같이 버스나 택시 등에 광고료를 지불하고 광고지를 부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비용은 버스 평균 160만원/월, 택시 평균 40만원/월(최소 200대 계약조건)의 비용이 지불되고 있고, 건물 옥외광고는 전반적으로 이보다 훨씬 높은 단가를 보이고 있다.
이는, 비용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등에서는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으나, 개인 또는 영세 사업자나 중소기업에 있어서는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광고 방식은 계약자와 피계약자 간의 한해서만 수익이 분배되는 방식이며, 피계약자는 상술한 버스나 택시 등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고 구조는 폐쇄적인 구조로서 특정 기업이나 특정 집단에 의해서만 활성화 되고, 이들에게만 수익이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광고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으며, 나아가 상생을 도모하는 현 시대의 흐름과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상생을 도모하는 경제 방식인 공유경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광고 단가를 낮추고, 모든 사람이 광고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형성되며, 나아가 광고에 조금이라도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수익이 분배되도록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은, 광고를 부착할 광고지면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상기 차량 및 차량 소유자 단말과 연동되어 차량의 광고부착여부 및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차량의 광고지면에 대한 광고부착 요청을 전송하고, 광고부착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대한 리포트를 전송 받아 광고지면 공유료를 지불하는 광고요청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광고요청단말로부터 지불된 광고지면 공유료를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과 차량 소유주 단말로 수익 비중별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과 차량 소유주 단말로 분배되는 광고지면 공유료는, 차량의 운행정보와 광고 관련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활동에 따라 수익 비중에 차등을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광고를 부착한 차량에 대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캠페인 주최 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로 전송하는 캠페인 주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소유주 단말은, 캠페인 참여 및 달성 여부에 따라 수익을 차등 분배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실시간 또는 기간으로 파악하며, 파악된 유동인구에 대한 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로 전송하는 유동인구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SNS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SNS 정보수집부를 포함하며, SNS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광고요청단말로부터 요청된 광고를 부착한 차량이며 통합관리서버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정보일 경우, 상기 광고요청단말로부터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를 요청하며,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광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LED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며, 부착된 광고와 관련한 브랜드 매장 또는 다른 광고 수단을 지나치거나 마주하면, LED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동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은, 상생을 도모하는 경제 방식인 공유경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광고 단가를 낮추고, 특정 집단이나 기업이 아닌 모든 사람이 광고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형성되며, 나아가 광고에 조금이라도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수익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고에 참여하면 참여할수록 광고에 관련된 모든 이들의 수익이 증가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며, 적극적으로 광고의 주체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캠페인 주최를 통해 흥미를 유발하여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광고주가 기업일 경우 캠페인을 통해 이미지 개선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익분배 시스템의 일 구성인 차량의 광고부착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익분배 시스템의 일 구성인 통합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차량 소유주와 광고주 외에 다른 사용자가 광고에 참여한 상태의 확장된 수익분배 시스템을 예시화한 개략도이다.
도 5는 LED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한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LED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한 차량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편을 예시화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광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광고지면 공유료,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 수익, 비용, 보상 등과 같은 돈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용어들은 말 그대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형태로 지불될 수 있는 '돈'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돈'과 같이 사용될 수 있는 상품권, 포인트, 쿠폰 등과 같이 돈으로 환산될 수 있는 물품, 가상화폐 등 광고로부터 창출되는 대가로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형태로 지불될 수 있는 것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수익분배 시스템의 일 구성인 차량의 광고부착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은, 광고를 부착하는 차량을 중심으로 광고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 이용자들이 수익성이 발생하도록 상생하는 시스템으로서, 차량(10), 차량 소유주 단말(17), 통합관리서버(20),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27), 광고요청단말(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은 움직일 수 있는 모든 탑승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느 특정한 탑승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기차, 버스, 승용차, 마차, 인력거 등 탑승 수단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본 발명에서는 자가용 즉, 개인용 승용차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10)은 광고(A)를 부착할 광고지면(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지면(15)은 광고요청단말(30)을 통해 광고주로부터 요청되는 광고(A)를 부착할 면으로서, 차량의 전(前)면, 측면, 후면, 상면 등 광고(A)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차량 소유주가 보유한 차량 소유주 단말(17)을 통해 통합관리서버(20)로 등록될 수 있으며, 통합관리서버(20)로 등록 시에는 차량의 운행정보가 측정될 수 있는 운행정보 측정센서(미도시)를 차량(1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의 운행정보는 차량의 운행거리, 차량의 운행지역, 차량운행 시간대 등의 정보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자동측정을 통해 창출되는 수익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행정보 측정센서를 장착하지 않고, 차량의 운행정보는 차량 소유주가 차량 소유주 단말(17)을 통해 통합관리서버(20)에 접속하여 직접 수기로 작성할 수도 있다.
통합관리서버(20)는 하나 이상의 차량(10)과 연동되어 차량(10)으로부터 측정되는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20)는 차량 소유주 단말(17)과도 연동되어 차량 소유주 단말(17)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광고부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의 광고부착여부에 대한 입력은 어느 특정한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광고부착여부를 육안으로 확실히 알 수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20)는 사진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입력받은 차량에 대한 광고부착여부와 차량의 운행정보를 광고부착에 대해 요청한 광고요청단말(30)로 전송하거나, 광고요청단말(30)이 통합관리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도록 하여 광고주가 요청한 광고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리서버(20)는 통합관리서버(2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소지하는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27)과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관리가 가능하며, 원격으로 관리 또는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통합관리서버(20)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통합관리서버(20)의 운영대가로 광고주가 지불하는 광고지면 공유료 즉, 광고료의 일부를 할당 받을 수 있다.
광고요청단말(30)은 통합관리서버(20)와 연동되어 차량(10)의 광고지면에 대한 광고부착 요청을 통합관리서버(20)로 전송하며, 통합관리서버(20)로 전송된 광고부착여부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대한 리포트를 전송 받거나 열람하여 광고지면 공유료를 지불할 수 있다. 이때, 지불된 광고지면 공유료는 먼저는 통합관리서버(20)로 전송되었다가, 통합관리서버(20)에서 발생된 수익의 비중을 판별해, 비중별로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27)과 차량 소유주 단말(17)로 분배될 수 있다.
예컨대, 통합관리서버(20)가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 통합관리서버 운영자와 차량 소유주간의 수익 10 대비 비중을 3:7로 판별하면,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27)과 차량 소유주 단말(17)로 각각 3:7의 비율로 분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과 차량 소유주 단말로 분배되는 광고지면 공유료의 분배 비율은 차량의 운행정보 및 광고 관련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활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운행정보는 차량의 운행거리, 차량의 운행지역, 차량운행 시간대 등의 정보 등으로서, 이러한 운행정보에 따라 수익인 광고지면 공유료 분배 비중에 차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운행거리가 많으면 많을수록 광고노출이 많이 된 것이므로, 차량 소유주 단말(17)에 대한 분배 비중을 높일 수 있고, 차량의 운행지역이 도심인지 외곽인지 등이나, 운행지역이 광고 대상과 연관성이 높은 지역인지 낮은 지역인지 따라 분배 비중을 책정할 수 있으며, 차량운행 시간대가 낮인지 밤인지 또는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인지 적은 시간인지 등에 따라 분배 비중을 책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크기에 따라서도 광고지면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책정이 가능할 수 있다.
광고 관련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활동은 광고가 부착된 차량을 운행하는 것을 제외한 홍보 수단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서, 온라인 활동은 차량에 부착된 광고를 SNS(Social Network Services)이나 블로그(Blog) 등의 네트워크 상으로 이루어지는 게시수단에 게시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며, 오프라인 활동은 차량에 부착된 광고를 인쇄하여 전단지 등으로 직접 홍보하는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과 방식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은, 통합관리서버(20)를 관리 및 운영하는 운영자에게 있어서는 광고주와 차량 소유주간의 매칭에 따라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차량(10)을 소유하는 차량 소유주는 차량의 운행이나, 광고를 위한 활동에 따라 수익이 발생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고의 부착을 요청하는 광고주에게는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수익은 없으나, 차량의 운행이나, 차량 소유주의 활동에 따라 광고가 노출됨으로써 광고로 인한 반사적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수익이 분배되어 상생하는 경제실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의 통합관리서버(20)는 수익 창출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수익분배 시스템의 일 구성인 통합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4는 차량 소유주와 광고주 외에 다른 사용자가 광고에 참여한 상태의 확장된 수익분배 시스템을 예시화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통합관리서버(20)는 수익 창출 극대화를 위해 캠페인 주최부(21), 유동인구 파악부(22), SNS 정보수집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캠페인'이라 함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다양한 미션(mission)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캠페인 주최부(21)는 이러한 캠페인을 주최하는 캠페인 주최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17)로 임의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관리서버(2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등록될 수 있는데, 복수의 차량(10)이 등록되어 있을 시에는 통합관리서버(20)가 일정 장소에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르는 캠페인 주최정보를 생성하여 문자 또는 푸쉬 알림 등의 방식으로 차량 소유주 단말(17)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가 부착된 차량(10)을 소유한 차량 소유주들은 차량 소유주 단말(17)에 전송된 캠페인 주최정보를 확인 후, 캠페인 주최정보에 따른 장소에 정해진 시간 동안 머무르게 되면 광고주로부터 수익을 추가로 받거나, 통합관리서버(20)로부터 분배되는 광고료를 보다 높은 비중으로 책정 받을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시간을 다 못 채우더라도 참가에 대한 비중을 부여 받아 일부를 보상받을 수 있다. 즉, 차량 소유주 단말(17)은 캠페인 참여 및 달성 여부에 따라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에 대해 차등 분배 받을 수 있다.
또한, 캠페인 주최정보의 다른 예로써, 광고가 부착된 차량(10)을 일정 코스로 일정 시간 동안 주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캠페인 주최정보의 또 다른 예로써, 순차적으로 순번을 정하여 특정 지역을 순회하도록 함으로써, 그 지역에 대한 광고가 끊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캠페인을 주최하는 본 발명은 광고 노출시간을 증대시키고, 특히 동일한 광고가 반복되거나 뭉치면 그 효과가 배로 되는 광고의 특성을 통해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동인구 파악부(22)는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실시간 또는 기간으로 파악하며, 파악된 유동인구 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17)로 전송하여, 차량 소유주들이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이나 장소에서 운행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인구 파악부(22)는 유동인구에 대해 조사하는 기관 또는 조직의 유동인구 정보가 담긴 서버 또는 단말과 연동되어 각 지역의 유동인구를 파악하거나, 일정 지역에 대해 유동인구를 직접 추정하여 유동인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SNS 등의 네트워크 상을 통해 수집되는 빅데이터(Big data)를 이용하여 유동인구를 추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동인구에 대한 직접 추정은 일정 지역에 대해 사람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모션트래킹이 가능한 카메라를 곳곳에 다수 설치 후, 모션이 감지되는 수를 클러스터링하여 평균화 또는 보편화 함으로써 유동인구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유동인구를 추정할 수 있는 하나의 예로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으로도 유동인구를 추정할 수 있다.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유동인구 추정은,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접목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해 태그 등으로 특정 지역에 대해 언급되는 수를 파악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는 제거하면서 데이터를 통계하여 유동인구를 산출해낼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의 활용은 유동인구 추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축제나 공연과 같은 추정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도 유동인구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유동인구 파악부(22)를 통해, 차량 소유주들은 차량 소유주 단말(17)로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과 장소를 통합관리서버(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차량 소유주들은 차량(10)을 몰고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주행하거나 순회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추가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수 있다.
SNS 정보수집부(23)는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 게시되는 SNS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SNS 정보수집부(23)는 SNS에 노출되는 정보 중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하여 연계된 광고가 노출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데, 여기서, SNS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광고요청단말(30)로부터 요청된 광고를 부착한 차량(10)에 대한 정보이며, 통합관리서버(2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업로드 된 정보일 경우, 사용자 단말(40)로 수익분배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40)로 수익분배를 할 비용은 통합관리서버(20)가 광고요청단말(30)로 추가로 요청한 광고지면 공유료를 요청하여 전송받은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이며, 이를 사용자 단말(40)로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로의 전송되는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는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에 대해 100%를 모두 전송하거나, 운영자 또는 차량 소유주와 일정 비율로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한편, SNS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광고요청단말(30)로부터 요청된 광고를 부착한 차량에 대한 정보는 맞으나, 통합관리서버(2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업로드 되지 않은 정보일 경우에는, 그 업로드 된 아이디로 메시지 또는 알림을 발송하여 통합관리서버(20)로의 연동 즉, 본 발명의 수익분배 시스템으로의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SNS 정보수집부(23)를 통하여, 차량(10)을 소유하지 않아도 수익창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의 참여심리를 고취하며, 광고의 노출을 다양한 경로로 확대하여 수익 창출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아울러, SNS 정보수집부(23)를 통하여 수익을 창출하였으나, 업로드 된 아이디의 당사자가 본 발명의 수익분배 시스템을 가입하지 아니하여 처리가 유보된 수익은 사회적 이익 또는 부가가치 등을 위해 기부하거나, 광고주, 운영자, 차량 소유주간의 일정 비율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은, 차량(10)에 광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이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LED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한 차량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LED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한 차량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편을 예시화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은, 차량(10)에 광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LED 모듈(5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55)을 장착하여 주행할 수 있다.
여기서, LED 모듈(5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55)은 부착된 광고(A)와 관련한 브랜드 매장 또는 다른 광고 수단을 지나치거나 마주할 때에 작동되도록 형성되어 차량(10)에 부착된 광고만 효과를 높이는 것이 아닌 그 광고 부착을 요청한 브랜드 전반에 걸쳐 광고 효과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스포츠 매장의 오너(owner)가 자신의 브랜드를 광고 차 광고요청단말(30)을 통해 요청하여 복수의 차량(10)에 그 브랜드에 대한 광고가 부착되었을 시, 그 브랜드 광고 차량이 광고 요청한 오너(owner)의 스포츠 매장을 지나거나, 그 브랜드를 부착한 광고 차량을 지나쳤을 때 LED 모듈(5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55)이 작동되어 주변사람들로 하여금 광고를 인식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LED 모듈(5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55)은 차량(10)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매장에 걸쳐 동일 브랜드 관련 광고 부착 차량(10)이 지나갈 때에 마찬가지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10) 또는 브랜드 매장 등에 설치되는 LED 모듈(5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55)은 광고 또는 브랜드 매장의 글씨를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접속 코드가 담긴 모션트래킹 장치 또는 적외선 센서 등도 함께 부착하여 서로 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션트래킹 장치의 경우 글씨 또는 숫자에 대해 외곽 점을 추출하여 브랜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의 경우 차량이 브랜드 매장을 지날 때 서로 신호가 전달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많은 이들로 하여금 시선을 끌어 광고를 주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수익창출도 보다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은, 상생을 도모하는 경제 방식인 공유경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광고 단가를 낮추고, 특정 집단이나 기업이 아닌 모든 사람이 광고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형성되며, 나아가 광고에 조금이라도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수익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고에 참여하면 참여할수록 광고에 관련된 모든 이들의 수익이 증가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며, 적극적으로 광고의 주체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캠페인 주최를 통해 흥미를 유발하여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광고주가 기업일 경우 캠페인을 통해 이미지 개선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차량
15 : 광고지면
17 : 차량 소유주 단말
20 : 통합관리서버
21 : 캠페인 주최부
22 : 유동인구 파악부
23 : SNS 정보수집부
27 :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
30 : 광고요청단말
40 : 사용자 단말
50 : LED 모듈
55 : 디스플레이 모듈
A : 광고

Claims (6)

  1. 광고를 부착할 광고지면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상기 차량 및 차량 소유자 단말과 연동되어 차량의 광고부착여부 및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통합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차량의 광고지면에 대한 광고부착 요청을 전송하고, 광고부착 및 차량의 운행정보에 대한 리포트를 전송 받아 광고지면 공유료를 지불하는 광고요청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광고요청단말로부터 지불된 광고지면 공유료를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과 차량 소유주 단말로 수익 비중별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 운영주체단말과 차량 소유주 단말로 분배되는 광고지면 공유료는, 차량의 운행정보와 광고 관련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활동에 따라 수익 비중에 차등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광고를 부착한 차량에 대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캠페인 주최 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로 전송하는 캠페인 주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소유주 단말은,
    캠페인 참여 및 달성 여부에 따라 수익을 차등 분배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실시간 또는 기간으로 파악하며, 파악된 유동인구에 대한 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로 전송하는 유동인구 파악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SNS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SNS 정보수집부를 포함하며,
    SNS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광고요청단말로부터 요청된 광고를 부착한 차량이며 통합관리서버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정보일 경우,
    상기 광고요청단말로부터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를 요청하며, 추가 광고지면 공유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광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LED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며,
    부착된 광고와 관련한 브랜드 매장 또는 다른 광고 수단을 지나치거나 마주하면, LED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동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KR1020180170773A 2018-12-27 2018-12-27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KR102216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73A KR102216014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73A KR102216014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54A true KR20200080854A (ko) 2020-07-07
KR102216014B1 KR102216014B1 (ko) 2021-02-16

Family

ID=7160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73A KR102216014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158B1 (ko) * 2021-08-13 2022-11-09 주식회사 액티브에이디 광고가 부착된 차량을 이용한 카셰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649946B1 (ko) * 2023-03-03 2024-03-22 장희찬 광고홍보물품이 착용된 광고수행원을 이용한 광고 홍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518A (ko) * 2010-10-19 2012-04-27 신양중 차량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333A (ko) * 2013-06-10 2014-12-19 주식회사 레드사이렌커뮤니케이션즈 유동인구의 행동분석을 통한 효과적 홍보전략 구축 전산시스템.
KR101744198B1 (ko) * 2016-12-27 2017-06-07 이상훈 현장 맞춤형 이동식 차량 광고시스템
JP2018036777A (ja) * 2016-08-30 2018-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広告システム
KR101890168B1 (ko) * 2017-05-29 2018-09-28 임미덥 일반차량을 활용한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180116642A (ko) * 2017-04-17 2018-10-25 전병일 광고주와 차량 소유자간의 온-오프라인 광고 중개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33090A (ko) * 2017-06-05 2018-12-13 박중원 민간 차량과 페이스북을 연동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518A (ko) * 2010-10-19 2012-04-27 신양중 차량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333A (ko) * 2013-06-10 2014-12-19 주식회사 레드사이렌커뮤니케이션즈 유동인구의 행동분석을 통한 효과적 홍보전략 구축 전산시스템.
JP2018036777A (ja) * 2016-08-30 2018-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広告システム
KR101744198B1 (ko) * 2016-12-27 2017-06-07 이상훈 현장 맞춤형 이동식 차량 광고시스템
KR20180116642A (ko) * 2017-04-17 2018-10-25 전병일 광고주와 차량 소유자간의 온-오프라인 광고 중개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90168B1 (ko) * 2017-05-29 2018-09-28 임미덥 일반차량을 활용한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180133090A (ko) * 2017-06-05 2018-12-13 박중원 민간 차량과 페이스북을 연동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158B1 (ko) * 2021-08-13 2022-11-09 주식회사 액티브에이디 광고가 부착된 차량을 이용한 카셰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649946B1 (ko) * 2023-03-03 2024-03-22 장희찬 광고홍보물품이 착용된 광고수행원을 이용한 광고 홍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014B1 (ko) 202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8755B2 (ja) 広告システム
Wong et al. Emerging transport technologies and the modal efficiency framework: A case for mobility as a service (MaaS)
Weckström et al. User perspectives on emerging mobility services: Ex post analysis of Kutsuplus pilot
Disne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critical elements of service quality
Kelley Casual carpooling—enhanced
Budd et al. Airport surface access in the UK: A management perspective
Baindur et al. Mumbai lunch box delivery system: A transferable benchmark in urban logistics?
US20050177416A1 (en) Mobile advertising methods and improvements
KR102216014B1 (ko) 차량의 광고지면 공유를 통한 수익분배 시스템
Narupiti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MaaS service in Thailand, implications from the existing conditions and experts' opinions on “Who should be the MaaS provider in Bangkok?”
Ballare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 crowdsourced package delivery system: A case study
JP2022021318A5 (ko)
Song et al. The potential of using digital lockers as a delivery and return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of clothes
Maciejewska et al. Assessing public transport loyalty in a car-dominated society: The case of Luxembourg
Holguín-Veras et al. Potential market of freight demand management
Root et al. The costs of rural travel
CN106302447A (zh) 一种基于网上互动社区的地铁购票系统客户端
Bojkovic Shared Mobility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ussell et al. Moorsbus: towards a Holistic Approach to rural bus services in the North York Moors National Park
Bonsall et al. Ridesharing in great Britain: Performance and impact of the Yorkshare schemes
Mashiri et al. Increasing public transport market share in South Africa: The options
Aworemi et al. Impact of advertising, sales promotion, publicity and public relations on the performance of Niger State Transport Authority
Burke Are cycle centers effective transport interventions? Evaluating king george square cycle center in Brisbane, Australia
Kwarcinski Transport on demand in the opinion of users: a case study for Poland
Hamre et al. McKinleyville Transit Study Final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