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846A -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846A
KR20200080846A KR1020180170754A KR20180170754A KR20200080846A KR 20200080846 A KR20200080846 A KR 20200080846A KR 1020180170754 A KR1020180170754 A KR 1020180170754A KR 20180170754 A KR20180170754 A KR 20180170754A KR 20200080846 A KR20200080846 A KR 2020008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wner
ownership
transaction
blockchain network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사인 filed Critical (주)케이사인
Priority to KR102018017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0846A/ko
Publication of KR2020008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기, 제조사, 소유자 기기 소유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상기 제조사는 상기 기기를 제조하고, 상기 기기의 기기 ID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다. 상기 소유자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획득한다.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는 상기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을 인증받기 위해 상기 기기에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DEVICE OWNERSHIP CER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DEVICE OWNERSHIP CERTIFIC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는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게 되고, 이 때, 상기 기기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권한이 있는 자의 명령인지가 중요하다.
상기 기기에 디스플레이부가 있는 경우에는 QR 코드 또는 랜덤 핀 번호 등을 발생시켜, 상기 기기의 소유자에게 소유권을 증명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기기의 출력 인터페이스가 제약적인 경우에는 기기의 소유권 증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기기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제공 없이 기기 소유자의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상기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을 이용한 기기 소유권 증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기, 제조사, 소유자 기기 소유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상기 제조사는 상기 기기를 제조하고, 상기 기기의 기기 ID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다. 상기 소유자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획득한다.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는 상기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을 인증받기 위해 상기 기기에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들의 가상 머신에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제조사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 ID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 상기 소유자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 및 상기 기기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현재 소유자 정보를 리턴하는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기기 소유자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는 {기기 ID 필드, 소유자 ID 필드,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일 수 있다.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입력 인자인 기기 ID가 상기 기기 ID 필드에 저장되고,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자의 ID가 상기 소유자 ID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에 해당하는 트랜잭션 ID는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는 비어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 소유자 ID 및 트랜잭션 ID}일 수 있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에서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기기 ID에 해당하는 쿼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쿼리 결과는 {기기 ID, 소유자 ID, 현재 트랜잭션 ID, 이전 트랜잭션 ID}일 수 있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자가 상기 쿼리 결과의 상기 소유자 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자가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기기 ID에 대응하는 기기의 현재 소유자인 것이 검증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트랜잭션 ID가 상기 쿼리 결과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이 정상적인 호출임이 검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자가 상기 기기 ID에 대응하는 기기의 현재 소유자인 것이 검증되고,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이 정상적인 호출임이 검증되면,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소유자 ID 필드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인 상기 소유자 ID로 변경하며,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를 호출한 트랜잭션 ID로 변경하고,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이전 트랜잭션 ID는 상기 쿼리 결과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일 수 있다.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는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소유자 ID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입력 인자인 기기 ID에 해당하는 상기 기기의 소유자 ID를 리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월렛은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공개 키, 임의의 랜덤 값 및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개인 키로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공개 키 및 상기 임의의 랜덤 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포함된 상기 인증 메시지를 상기 기기의 월렛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월렛은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메시지의 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월렛은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상기 공개 키를 블록 체인 주소 형태로 변환하여 IDowner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월렛은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통해 리턴된 상기 소유자 ID가 상기 기기의 월렛이 변환한 IDowner값과 일치하면, 상기 기기의 소유권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기 소유자의 월렛은 기기 목록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는 {기기 ID 필드, 트랜잭션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의 상기 기기 ID 필드 및 상기 트랜잭션 ID 필드는 상기 기기 소유자의 월렛이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호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의 상기 기기 ID 필드에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기기 ID 필드의 값이 저장되고,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의 상기 트랜잭션 ID 필드에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의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소유권 증명 방법은 제조사가 제조한 기기의 기기 ID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소유자가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획득하면,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기기 소유자 단말기가 상기 기기로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의 소유권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들의 가상 머신에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제조사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 ID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 상기 소유자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 및 상기 기기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현재 소유자 정보를 리턴하는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기기의 제조사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기기를 등록하고, 상기 제조사 및 기기의 소유자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소유권 이전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기기의 최종 소유자는 기기 소유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기의 소유권을 검증하여 기기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제공 없이 기기 소유자의 소유권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기 소유자의 권한을 정확히 확인하여 상기 기기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에서 제조사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에서 상기 제조사 및 소유자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기기의 소유권 이전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에서 기기 소유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도 1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가상 머신에 기입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기 소유자의 월렛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2의 기기의 소유권 이전을 등록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3의 기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에서 제조사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에서 상기 제조사 및 소유자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기기의 소유권 이전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에서 기기 소유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 제조사(200), 소유자(OWN1, OWN2, OWNN) 및 기기 소유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프로그래밍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는 이더리움일 수 있다.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는 이더리움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프로그래밍 코드)의 업로드를 지원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사(200)는 기기의 제조 단계에서 상기 기기의 보안 칩 내에 비대칭키 쌍을 생성한 후, 상기 기기의 공개 키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저장시킨다.
상기 제조사(200)는 상기 기기를 제조하면,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상기 제조사(200)로하여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기기가 시장에 출시된 후 구매자(OWN1)에게 판매되면, 상기 기기의 소유권 이전 내역을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의 소유권은 상기 제조사(200)에서 제1 소유자(OWN1)로 이전될 수 있다.
상기 기기가 중고로 판매되거나, 증여되는 등의 사정으로 인해 상기 기기의 소유권은 제1 소유자(OWN1)로부터 제2 소유자(OWN2)로 이전될 수 있고, 이러한 소유권의 이전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기가 중고로 판매되거나, 증여되는 등의 사정으로 인해 상기 기기의 소유권은 제2 소유자(OWN2)로부터 제N 소유자(OWNN)로 이전될 수 있고, 이러한 소유권의 이전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서비스의 시작을 의미하는 운영 모드 단계에는 보안 설정 단계가 필요하다. 상기 보안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기기의 현재 소유자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저장된 최종 소유자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검증하여야 한다. 상기 기기의 소유권 검증을 위해서,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3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300)는 상기 기기의 소유자의 모바일 장치일 수 있고, 상기 기기의 소유권 검증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도 1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가상 머신에 기입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기 소유자의 월렛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중 하나의 노드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의 모든 노드들은 상기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의 쉐어링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각 노드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기재되는 가상 머신(E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 및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는 신규 기기의 정보를 저장소에 저장하는 함수이다.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는 상기 제조사(200)의 월렛(210)을 통해 호출된다.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이다. 여기서, 기기 ID는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자이고, 예를 들어, 상기 기기의 공개 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 ID는 상기 기기의 공개 키의 해쉬값일 수 있다.
상기 기기의 공개 키는 상기 제조사(200)가 상기 기기의 보안 칩 내에 입력한 것이므로, 상기 제조사(200)가 알고 있는 값이다.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기기 ID, 소유자 ID 및 트랜잭션 ID가 기기 소유자 저장소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 ID는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자의 주소일 수 있다.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를 호출할 때, 상기 소유자 ID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전송한 자이므로, 상기 제조사 ID가 된다. 여기서, 상기 트랜잭션 ID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에 해당하는 트랜잭션 ID이다.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필드는 기기 ID 필드, 소유자 ID 필드,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 및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이다.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에 해당하는 트랜잭션 ID는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는 상기 기기의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소에 저장하는 함수이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는 기기의 현재 소유자(예컨대, OWN1)의 월렛(OWLT)을 통해 호출된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는 상기 기기 ID, 소유자 ID 및 트랜잭션 ID이다. 여기서, 상기 기기 ID는 상기 기기의 공개 키의 해쉬값일 수 있다. 여기서, 소유자 ID는 상기 다음 소유자(예컨대, OWN2)의 블록 체인 주소일 수 있다. 여기서, 트랜잭션 ID는 상기 현재 소유자(예컨대, OWN1)가 소유권을 이전 받았을 시점의 트랜잭션 ID일 수 있다.
상기 소유자 ID는 상기 현재 소유자(예컨대, OWN1)가 상기 다음 유자(예컨대, OWN2)로부터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에서 상기 기기 ID에 해당하는 쿼리 결과가 수신된다. 상기 쿼리 결과는 {기기 ID, 소유자 ID, 현재 트랜잭션 ID, 이전 트랜잭션 ID}이다.
상기 함수 호출자(예컨대, OWN1)가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 상으로, 상기 현재 소유자인지를 검증한다. 상기 함수 호출자(트랜잭션 생성자)의 주소와 상기 쿼리 결과의 소유자 ID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함수 호출자가 상기 기기의 소유자인 것이 검증된다.
또한,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트랜잭션 ID를 검증한다.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트랜잭션 ID가 상기 쿼리 결과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와 일치하면,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트랜잭션 ID가 검증되며,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이 정상적인 호출임이 검증된다.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소유자 ID와 상기 트랜잭션 ID가 검증되면, 상기 기기 소유자 목록의 정보를 변경한다. 상기 저장소의 기기 ID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인 기기 ID로 변경하고, 상기 저장소의 소유자 ID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인 상기 소유자 ID(예컨대, OWN2의 블록 체인 주소)로 변경하며, 상기 저장소의 트랜잭션 ID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를 호출한 트랜잭션 ID로 변경하고, 상기 이전 트랜잭션 ID는 상기 쿼리 결과의 트랜잭션 ID로 변경한다. 상기 쿼리 결과의 트랜잭션 ID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의 상기 트랜잭션 ID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소의 기기 ID는 이전과 동일하므로,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ID를 이용하면, 기기 소유권의 변경 히스토리의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서 해당 트랜잭션 ID를 검색하면 트랜잭션 송신자, 트랜잭션 수신자 및 트랜잭션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송신자는 상기 트랜잭션 생성 시의 소유자에 해당하고, 상기 트랜잭션 수신자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에 해당하며,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함수 이름 및 입력 인자(기기 ID, 소유자 ID, 트랜잭션 ID)에 해당한다.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의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트랜잭션 ID를 확인하면, 이전 트랜잭션을 알아낼 수 있고, 상기 이전 트랜잭션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트랜잭션 ID를 확인하면 이전 트랜잭션의 이전 트랜잭션을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트랜잭션 ID를 이용하여 기기 소유권의 변경 히스토리를 역추적할 수 있다.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는 기기의 소유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기기의 소유권을 검증하는 함수이다.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는 상기 기기의 월렛(MWLT)을 통해 호출된다. 또한,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는 상기 기기 소유자(예컨대, OWN1)의 월렛(OWLT)을 통해 호출될 수도 있다.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와 상기 기기 간의 소유권 설정 작업을 위해서, 상기 기기는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공개 키를 획득한다. 상기 기기는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호출하여 상기 기기 ID에 대응하는 소유자 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이다. 여기서, 기기 ID는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자이고, 예를 들어, 상기 기기의 공개 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 ID는 상기 기기의 공개 키의 해쉬값일 수 있다.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기기 ID에 해당하는 기기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소유자 정보가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 ID에 해당하는 기기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소유자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는 상기 기기의 소유자 정보를 리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 ID에 해당하는 기기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소유자 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는 상기 기기의 소유자 정보를 리턴하지 않는다.
도 5를 보면, 상기 기기 소유자의 월렛(OWLT)에는 블록 체인 키 쌍 외에, 현재 소유하고 있는 기기 목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목록 정보는 상기 기기 소유자의 월렛(OWLT)이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호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목록 정보에는 기기 ID 및 트랜잭션 ID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ID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기기 ID를 의미한다. 여기서, 트랜잭션 ID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현재 트랜잭션 ID를 의미한다.
도 6은 도 1의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상기 제조사가 A1 기기 및 A2 기기를 제조하여,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에 저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사의 월렛(210)은 기기를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기기의 공개 키의 해쉬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A1 기기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업로드하기 위해, 상기 제조사의 월렛(210)은 상기 입력 인자를 A1 기기의 기기 ID로 하여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를 호출한다.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의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기기 ID 필드에는 A1 기기의 기기 ID가 저장되고, 소유자 ID 필드에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자인 제조사 A의 주소가 저장되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에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에 해당하는 트랜잭션 ID가 저장되고,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는 <empty>(비어있음)가 될 수 있다.
A2 기기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업로드하기 위해, 상기 제조사의 월렛(210)은 상기 입력 인자를 A2 기기의 기기 ID로 하여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를 호출한다.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의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기기 ID 필드에는 A2 기기의 기기 ID가 저장되고, 소유자 ID 필드에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자인 제조사 A의 주소가 저장되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에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에 해당하는 트랜잭션 ID가 저장되고,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는 <empty>가 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기기의 소유권 이전을 등록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A1 기기의 소유자가 U0001에서 U0002로 이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현재 소유자(U0001)는 다음 소유자(U0002)의 블록 체인 주소 값(e.g. U0002)을 QR 코드 또는 텍스트 매체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현재 소유자(U0001)의 월렛(OWLT)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를 호출한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는 상기 기기 ID, 상기 소유자 ID 및 상기 트랜잭션 ID이다. 상기 입력 인자인 기기 ID는 A1 기기의 기기 ID이고, 상기 입력 인자인 소유자 ID는 상기 다음 소유자의 블록 체인 주소인 U0002이며, 상기 입력 인자인 트랜잭션 ID는 상기 현재 소유자(U0001)가 소유권을 이전 받았을 시점의 트랜잭션 ID(T00000011)이다.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를 통해 상기 A1 기기의 기기 ID의 소유자가 U0001인 것이 확인되고, 상기 현재 소유자(U0001)가 소유권을 이전 받았을 시점의 트랜잭션 ID(T00000011)가 상기 쿼리 결과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는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A1 기기에 대한 데이터를 변경한다.
이 때,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의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기기 ID 필드에는 A1 기기의 기기 ID가 저장되고, 소유자 ID 필드에는 다음 소유자의 블록 체인 주소인 U0002가 저장되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에는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에 해당하는 트랜잭션 ID가 저장되고,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는 상기 현재 소유자(U0001)가 소유권을 이전 받았을 시점의 트랜잭션 ID(T00000011)가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기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신규 기기를 획득한 사용자는 상기 기기를 동작하기 위해 상기 기기에 오너쉽 설정 작업(ownership establish negotiation) 프로토콜을 시작한다.
상기 소유자 단말기의 월렛(310)은 기기의 소유권을 증명하기 위해 소유자 단말기(300)의 공개 키, 임의의 랜덤 값 및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개인 키로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공개 키 및 상기 임의의 랜덤 값을 서명한 값이 포함된 Proof of Ownership 메시지를 기기의 월렛(MWLT)에 전송한다.
상기 기기의 월렛(MWLT)은 수신한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Proof of Ownership 메시지의 서명을 검증한다. 상기 기기의 월렛(MWLT)은 수신한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Proof of Ownership 메시지의 서명을 검증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공개 키의 진본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월렛(MWLT)은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상기 공개 키 값을 상기 블록 체인 주소 형태로 변환한다 (IDowner). 상기 기기의 월렛(MWLT)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호출하여 자신의 기기에 해당하는 소유자 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통해 검색된 소유자 ID가 상기 기기의 월렛(MWLT)이 변환한 IDowner와 일치하면, 상기 기기의 소유권 검증이 완료된다.
상기 기기의 소유권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소유자 단말기(300)의 월렛(310)과 상기 기기의 월렛(MWLT) 간에 새로운 크레덴셜을 생성하여 상기 상대방의 크레덴셜을 저장시키는 페어링(pairing)을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의 제조사(200)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기기를 등록하고, 상기 제조사(200) 및 기기의 소유자(OWN1, OWN2, OWNN)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100)에 소유권 이전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기기의 최종 소유자는 기기 소유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기기의 소유권을 검증하여 기기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제공 없이 기기 소유자(OWN1, OWN2, OWNN)의 소유권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기 소유자(OWN1, OWN2, OWNN)의 권한을 정확히 확인하여 상기 기기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소유권 증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안을 위해 전자 기기의 소유권 증명이 필요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블록 체인 네트워크 200: A 제조사
210: 제조사의 월렛 300: 기기 소유자 단말기
310: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월렛

Claims (13)

  1. 블록 체인 네트워크;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기기;
    상기 기기를 제조하고, 상기 기기의 기기 ID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제조사;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획득하며,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 소유자; 및
    상기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을 인증받기 위해 상기 기기에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기 소유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들의 가상 머신에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공유되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제조사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 ID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
    상기 소유자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 및
    상기 기기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현재 소유자 정보를 리턴하는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기기 소유자 저장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는 {기기 ID 필드, 소유자 ID 필드,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이고,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입력 인자인 기기 ID가 상기 기기 ID 필드에 저장되고,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자의 ID가 상기 소유자 ID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의 호출에 해당하는 트랜잭션 ID는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이전 트랜잭션 ID 필드는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 소유자 ID 및 트랜잭션 ID}이고,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에서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기기 ID에 해당하는 쿼리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쿼리 결과는 {기기 ID, 소유자 ID, 현재 트랜잭션 ID, 이전 트랜잭션 ID}이며,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자가 상기 쿼리 결과의 상기 소유자 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자가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기기 ID에 대응하는 기기의 현재 소유자인 것이 검증되며,
    상기 입력 인자인 상기 트랜잭션 ID가 상기 쿼리 결과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이 정상적인 호출임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자가 상기 기기 ID에 대응하는 기기의 현재 소유자인 것이 검증되고,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호출이 정상적인 호출임이 검증되면,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소유자 ID 필드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의 입력 인자인 상기 소유자 ID로 변경하며,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는 상기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를 호출한 트랜잭션 ID로 변경하고,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이전 트랜잭션 ID는 상기 쿼리 결과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의 입력 인자는 {기기 ID}이고,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가 실행되면,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는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소유자 ID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입력 인자인 기기 ID에 해당하는 상기 기기의 소유자 ID를 리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월렛은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공개 키, 임의의 랜덤 값 및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개인 키로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공개 키 및 상기 임의의 랜덤 값을 서명한 서명값이 포함된 상기 인증 메시지를 상기 기기의 월렛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월렛은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메시지의 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기기의 월렛은 상기 기기 소유자 단말기의 상기 공개 키를 블록 체인 주소 형태로 변환하여 IDowner값을 생성하며,
    상기 기기의 월렛은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통해 리턴된 상기 소유자 ID가 상기 기기의 월렛이 변환한 IDowner값과 일치하면, 상기 기기의 소유권 검증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소유자의 월렛은 기기 목록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는 {기기 ID 필드, 트랜잭션 ID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의 상기 기기 ID 필드 및 상기 트랜잭션 ID 필드는 상기 기기 소유자의 월렛이 상기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호출하여 획득하고,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의 상기 기기 ID 필드에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기기 ID 필드의 값이 저장되고, 상기 기기 목록 저장소의 상기 트랜잭션 ID 필드에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상기 기기 소유자 저장소의 상기 현재 트랜잭션 ID 필드의 값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13. 제조사가 제조한 기기의 기기 ID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소유자가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획득하면,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기기 소유자 단말기가 상기 기기로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의 소유권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기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들의 가상 머신에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공유되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제조사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 ID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기기 레지스트리 함수;
    상기 소유자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상기 소유권의 이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오너쉽 트랜스퍼 함수; 및
    상기 기기의 월렛에 의해 호출되며, 상기 기기의 현재 소유자 정보를 리턴하는 오너쉽 리트리브 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소유권 증명 방법.
KR1020180170754A 2018-12-27 2018-12-27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0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54A KR20200080846A (ko) 2018-12-27 2018-12-27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54A KR20200080846A (ko) 2018-12-27 2018-12-27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46A true KR20200080846A (ko) 2020-07-07

Family

ID=7160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54A KR20200080846A (ko) 2018-12-27 2018-12-27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0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5436A1 (en) * 2020-07-31 2022-02-02 Alipay (Hangzhou)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generating digital document of tit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5436A1 (en) * 2020-07-31 2022-02-02 Alipay (Hangzhou)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generating digital document of title
US11501317B2 (en) 2020-07-31 2022-11-15 Alipay (Hangzhou)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generating digital document of ti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2707B (zh) 基于区块链的数字证书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Omar et al. Identity management in IoT networks using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s
CN110933163B (zh) 区块链合约部署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2022123070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652767B2 (ja) 接続デバイスのステータス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
CN110839029B (zh) 一种微服务注册方法和装置
KR101956486B1 (ko) 단말 식별자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22524996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の使用方法
CN106664308B (zh) 注册之前的设备验证
JP6650513B2 (ja) 情報を登録および認証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13472807B (zh) 用户间的隐私通信方法和装置
CN111753014B (zh) 基于区块链的身份认证方法及装置
CN111178840A (zh) 业务处理方法及装置、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632573A (zh) 智能合约执行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269915B (zh) 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559430B (zh) 基于安卓系统的应用账号管理方法和装置
KR20200080846A (ko) 기기 소유권 증명 시스템 및 방법
CN114365134A (zh) 使用不可克隆函数的安全身份证
CN116975901A (zh) 基于区块链的身份验证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CN11243694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通信授权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4817903A (zh) 基于智能合约的疫苗接种验证系统、方法及合约平台
CN105825247B (zh) 一种读卡器及数据传输方法
KR20200080845A (ko) 기기 정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N111177660B (zh) 一种开放平台脚本代码的权限校验方法
CN112637124A (zh) 报文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