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588A -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588A
KR20200080588A KR1020180170187A KR20180170187A KR20200080588A KR 20200080588 A KR20200080588 A KR 20200080588A KR 1020180170187 A KR1020180170187 A KR 1020180170187A KR 20180170187 A KR20180170187 A KR 20180170187A KR 20200080588 A KR20200080588 A KR 20200080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gasification facility
natural gas
iot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6181B1 (en
Inventor
이정섭
유진열
이인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181B1/en
Publication of KR2020008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control system based on cloud connected with ship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control system based on cloud connected with ship Internet of Things includes: an automation system part installed in a regasification facility part for re-gasifying and supplying liquefied natural gas to a consume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part and controlling the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par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 Internet-of-Things managemen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n Internet-of-Things platform accessed by the consum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utomation system part to the consumer; and a cloud transceive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part and the Internet-of-Things manag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LNG regasification facility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ere is no need for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regasification facility to stay in a ship, and also, the regasification facility can be efficiently managed due to the elimination of a positional limitation on the control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Description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ship Internet of Things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주요 시설인 재기화 설비를 선박의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ship IoT, and more specifically, a ship thing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regasification facility, which is a major facility of the ship, using the IoT and the cloud of the ship. Internet-relat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천연가스는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천연가스의 생산, 공급 및 운반에 대한 기술이 국가 경쟁력과 연결된다. 천연가스가 생산되지 않는 국가는 인접한 국가에서 육상 파이프라인을 통해 천연가스를 공급받거나 수송선을 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를 수입한다. 수송선을 이용하여 이송된 액화천연가스는 액화된 상태에서 육상의 저장소에 저장되고, 수요처의 요구에 따라 압력, 유량 및 온도 등의 조건에 맞춰 재기화하여 공급된다.As natural gas demand increases worldwide, 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supply and transportation of natural gas are linked to national competitiveness. In countries where natural gas is not produced, liquefied natural gas (LNG) is imported from neighboring countries by natural gas supplied through onshore pipelines or by means of transport. The liquefied natural gas transported using a transport ship is stored in a land storage in a liquefied state, and regasified and supplied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pressure, flow rate,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ustomer.

하지만, 육상에 위치한 LNG 저장소는 안정적으로 LNG 수요가 있는 지역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일시적이거나 계절에 따른 수요가 있는 지역에 설치하기에는 높은 설치비용과 관리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LNG 저장소를 설치하기에 부적합하다. 또한, 육상에서 LNG를 재기화하기 위한 설비는 테러나 자연재해 등에 의해 손상이 되었을 때,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However, LNG storage onshore can be stably installed in areas with demand for LNG, but it is not suitable for installing LNG storage because it requires high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to install in areas with temporary or seasonal demand. Do. In addition, facilities for regasification of LNG on the ground are at risk of causing major problems when damaged by terrorism or natural disasters.

따라서 최근에 수송선을 이용하여 수입된 LNG를 수송선에서 재기화하여 육상의 수요처로 직접 공급하는 기술이 이용되거나, 또는 LNG의 저장 및 재기화 설비를 갖춘 부유식 구조물에서,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육상의 수요처로 직접 공급하는 기술이 이용된다.Therefore, the technology of supplying LNG that has recently been imported using a transport vessel from a transport vessel directly to the demand on land is used, or in a floating structure equipped with storage and regasification facilities for LNG, the stored LNG is regasified to land The technology that supplies directly to the customer's demand is used.

이때, 기화된 천연가스는 적절한 함량의 가스 구성을 가지는데, 육상의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함량의 가스 구성 및 가스 공급 흐름이 유지된 상태에서 육상의 수요처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스 상태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가스 계량시스템은, LNG 재기화 설비와 함께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된다. 따라서 가스 구성과 가스 흐름 상태에 대한 정보는 LNG 재기화 설비를 운영하는 운영자만 확인할 수 있고, 육상이나 다른 위치에서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the vaporized natural gas has an appropriate gas composition, and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gas composition and gas supply flow required by the on-demand demand source to the on-demand demand destination. However, a gas metering system for measuring such gas state information is installed on a ship or floating structure together with an LNG regasification facility. Therefore, only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LNG regasification facility can check the gas configuration and gas flow statu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ormation cannot be checked on land or in other locations.

더욱이,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는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에서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육상의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가스 구성이나 가스 흐름 상태에 대한 조건이 달라지는 경우, 즉각적으로 해당 요구에 맞도록 LNG 재기화 설비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Moreover, LNG regasification facilities installed on ships or floating structures can be controlled only on ships or floating structures. Therefore, when the conditions for the gas composition or gas flow condition required by the demand onshore are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LNG regasification facility to meet the demand immediatel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8730호 (2017.09.2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8730 (2017.09.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의 주요 시설인 재기화 설비를 선박의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based on a ship IoT that can remotely control a regasification facility, which is a major facility of a ship, based on the IoT and the cloud of the ship.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재기화 설비부에 설치되며,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부;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수요처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수요처가 접속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통신하는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및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클라우드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gasification facility for regasify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supplying it to a consumer, and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An automated system unit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fields and controls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 IoT management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an IoT platform to which the consumer connects to transmi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utomation system to the consumer; And a cloud transceiver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상기 재기화 설비부는, 상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카고 탱크;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에서 증발된 증발가스를 재응축하는 재응축부; 상기 재응축부에서 배출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는 기화기; 상기 기화기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기화기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에 대한 상태를 계량하는 계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a cargo tank in which the liquefied natural gas is stored; A recondensing unit for recondensing the evaporated gas evaporated from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ed in the cargo tank; A vaporizer for regasify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discharged from the recondensation unit; A heater for supplying a heat source to the vaporizer; And it may include a metering unit for measuring the state for the natural gas re-gasified in the vaporizer.

상기 재기화 설비부는, 상기 카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고 탱크에서 상기 재응축부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LNG 펌프; 상기 재응축부에서 상기 기화기로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고압 펌프; 및 상기 히터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is disposed inside the cargo tank, an LNG pump for supplying liquefied natural gas from the cargo tank to the recondensation unit; A high pressure pump for compressing liquefied natural gas supplied to the vaporizer from the re-condensing unit to high pressur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a water pump for supplying sea water to the heater.

상기 자동화시스템은, 상기 카고 탱크, 기화기, 히터, 계량 유닛, LNG 펌프, 고압 펌프 및 해수 펌프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tomation system may perform any one or mor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argo tank, carburetor, heater, metering unit, LNG pump, high pressure pump and seawater pump.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에 대한 제어명령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에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loud transceiver may control a control command for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real time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nternet of Things management terminal.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의 동작 상태 정보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로 실시간으로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loud transceiver may control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to be real-time one-way communication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to the IoT management terminal.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공정 정보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로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loud transceiver may control the process information of natural gas supplied from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to the demand destination to be unidirectionally communicated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to the IoT management terminal.

상기 자동화시스템부는, 원격에서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대한 데이터에 접근 여부를 설정, 상기 재기화 설비부의 원격 제어 여부를 설정 및 원격에서 상기 재기화 설비부를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의 접속 여부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선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on system can remotely set whether to access the data for the regasification facility, set whether or not to remotely control the regasification facility, and remotely control whether or not to access the software that drives the regasification facility. It may include an on-offline selector.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온-오프라인 선택장치에서 선택 정보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의 양방향 통신이 항상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loud transceiver may control so that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is always perform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in the on-offline selection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에서 증발된 증발가스를 재응축하는 재응축부;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재응축부에 공급하는 LNG 펌프; 상기 재응축부에서 배출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고압 펌프; 상기 고압 펌프에서 압축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는 기화기; 상기 기화기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상기 히터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펌프; 상기 기화기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계량하는 계량 유닛; 상기 기화기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브; 상기 카고 탱크, 재응축부, LNG 펌프, 고압 펌프, 기화기, 히터, 해수 펌프, 계량 유닛, 및 공급밸브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부;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수요처 측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수요처가 접속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통신하는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및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클라우드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를 통해 상기 카고 탱크, 재응축부, LNG 펌프, 고압 펌프, 기화기, 히터, 해수 펌프, 계량 유닛, 및 공급밸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go tank for stor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to supply it to the consumer by regasify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A recondensing unit for recondensing the evaporated gas evaporated from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ed in the cargo tank; LNG pump for supply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ed in the cargo tank to the re-condensation unit; A high pressure pump for compressing liquefied natural gas discharged from the re-condensation unit to a high pressure; A vaporizer regasifying liquefied natural gas compressed in the high pressure pump; A heater for supplying a heat source to the vaporizer; A seawater pump that supplies seawater to the heater; A metering unit for metering natural gas regasified in the vaporizer; A supply valve for supplying natural gas regasified from the vaporizer to the demand source; An automation system unit for collect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cargo tank, recondensing unit, LNG pump, high pressure pump, carburetor, heater, seawater pump, metering unit, and supply valve; An IoT managemen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IoT platform accessed by the demand destination to transmi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utomation system to the demand destination; And a cloud transceiver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and through the IoT management terminal, the cargo tank, recondensation unit, LNG pump, high pressure pump, vaporizer, heater, seawater pump, and metering unit. , And a control command for any one of the supply valves.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에서 LNG 재기화 설비를 제어할 수 있어, 재기화 설비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선박에 상주할 필요가 없어지며, 또한, 재기화 설비의 제어에 대한 위치적인 한계가 없어져 재기화 설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LNG regasification facility, so there is no need for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regasification facility to reside on the ship, and also, there is no positional limitation on the control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so regasifi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iciently operate the equipment.

또한, 원격에서 통합자동화 시스템의 로직 및 파라미터를 수정할 수 있어,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수요처의 요구에 대해 육상에서 재기화 설비를 제어하여 반영할 수 있어, 수요처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재기화 설비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modify the logic and parameters of the integrated automation system to control the regasification facility on the ground for the demand of natural gas supply, so that the regasification facility can be immediately reflected the demand of the demand. It has the effect of operating.

더욱이, 원격에서 재기화 설비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어, 각종 필드 장치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비교 분석을 통해 유지보수를 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재기화 설비에 대한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it is possible to acquire various data o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ly, so that various field devices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to perform maintenan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by performing big data analysis using the cloud, It has the effect of optimizing management.

도 1은 선박 재기화 설비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온-오프라인 모드 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선박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 처리를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선박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 처리를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ship regasification facility.
FIG. 2 is a view showing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connected to a ship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n-offline mode switch of a remote control system based on a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connected to a ship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low for processing data and control signals of a ship.
5 is a view showing a flow for processing data and control signals of a ship in a remote control system based on a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connected to a ship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선박 재기화 설비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온-오프라인 모드 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ship regasification facility. FIG. 2 is a view showing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ship-based IoT-link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hip-based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n-offline mode switch of a control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육지부(10)는, 고객, 선주, 조선소 및 용선주가 위치하고, 해당 위치에서 재기화 설비부(2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재기화 설비부(20)의 재기화 설비를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부(2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자동화시스템부(21)에서 육지부(1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USB 메모리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저장하여 우편이나 인편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을 통해 재기화 설비부(20)의 운영자가 해당 정보를 육지부(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객은 고객 단말기(11), 선주는 선주 단말기(12), 조선소는 조선소 단말기(13) 및 용선주는 용선주 단말기(1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land portion 10, the customer, ship owners, shipyards and charter boats are located, in order to check information about 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 at the location, regasification facility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 It can be received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 for controlling the. At this time, in order to transmit data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 to the land unit 10,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B memory device may be stored and transmitted by mail or by hand. Alternatively, the operator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land unit 10 through the Internet. To this end, the customer can check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1, the shipowner's terminal 12, the shipyard's shipyard terminal 13, and the charterer's ship charter terminal 14.

고객은 상기와 같이, 자동화시스템부(21)와의 통신을 통해 일부 정보에 대해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stomer can monitor some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

재기화 설비부(20)는, 저장된 액화천연가스(LNG)를 재기화하고,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고객에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기화 설비부(20)는, 자동화시스템부(21), 카고 탱크(22), 재응축기(23), 기화기(24), 히터(25), 계량 유닛(26), 공급밸브(27, 28), LNG 펌프(LFP, LNG feed pump), 고압 펌프(HP, high pressure pump), 글리콜 워터펌프(GWP, glycol water pump) 및 해수 펌프(SWP, sea water pump)를 포함한다.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 may regasify the stored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supply the regasified natural gas to the customer. To this end,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 includes an automation system unit 21, a cargo tank 22, a recondenser 23, a vaporizer 24, a heater 25, a metering unit 26, a supply valve 27, 28), LNG pump (LFP, LNG feed pump), high pressure pump (HP, high pressure pump), glycol water pump (GWP, glycol water pump) and sea water pump (SWP).

카고 탱크(22)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한다. 그리고 내부에 LNG 펌프(LFP)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는 LNG 펌프(LFP)에 의해 카고 탱크(22)에서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cargo tank 22 stores liquefied natural gas. And it may include an LNG pump (LFP) inside. Therefore, the stored liquefied natural gas may be supplied to the outside from the cargo tank 22 by an LNG pump (LFP).

액화천연가스는 LNG 펌프(LFP)에 의해 카고 탱크(22)에서 공급되는 과정에 많은 증발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카고 탱크(22)에서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다시 액화하기 위해 재응축기(23)가 구비된다. 재응축기(23)는 LNG 펌프(LFP)에 의해 공급된 액화천연가스와 카고 탱크(22)에서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된 증발가스를 재응축하여 액화천연가스에 합쳐 배출한다. 재응축기(23)에서 배출된 액화천연가스는 고압 펌프(HP)를 통해 높은 압력으로 압축된 상태로 기화기(24)로 공급될 수 있다.Liquefied natural gas may generate a lot of evaporation gas in the process of being supplied from the cargo tank 22 by an LNG pump (LFP). A recondenser 23 is provided to liquefy the boil-off gas discharged from the cargo tank 22 again. The re-condenser 23 is supplied with liquefied natural gas supplied by the LNG pump (LFP) and boiled gas discharged from the cargo tank 22, and re-condensed the supplied boiled gas to be combined with the liquefied natural gas and discharged. The liquefied natural gas discharged from the recondenser 23 may be supplied to the vaporizer 24 in a compressed state at a high pressure through a high pressure pump HP.

기화기(24)는,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재기화된 가스를 생산한다. 이때, 기화기(24)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기 위해 히터(25)로부터 열원이 공급되며, 기화기(24)는 공급된 열원을 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한다.The vaporizer 24 regasifies the supplied liquefied natural gas to produce regasified gas. At this time, the heat source is supplied from the heater 25 to regasify the liquefied natural gas in the vaporizer 24, and the vaporizer 24 re-vaporizes the liquefied natural gas using the supplied heat source.

기화기(24)에서 이용되는 열원은 글리콜 워터펌프(GWP)를 통해 순환되는 글리콜 워터가 이용될 수 있다. 글리콜 워터는 에틸렌 및 폴리 글리콜 등의 부동액이 물과 혼합된 액체이다. 이러한 글리콜 워터는 글리콜 워터펌프(GWP), 히터(25) 및 기화기(24)를 순환하며, 글리콜 워터펌프(GWP)의 동작에 의해 순환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The heat source used in the vaporizer 24 may be glycol water circulated through a glycol water pump (GWP). Glycol water is a liquid in which an antifreeze such as ethylene and poly glycol is mixed with water. The glycol water circulates through the glycol water pump (GWP), the heater 25, and the vaporizer 24, and whether or not the circula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glycol water pump (GWP).

그리고 히터(25)에는 글리콜 워터와 함께 해수가 공급되는데, 해수는 해수 펌프(SWP)에 의해 공급되며, 히터(25)에서 글리콜 워터와 함께 해수가 가열되어, 가열된 글리콜 워터 및 해수가 기화기(24)에 공급되어 열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해수 펌프(SWP)는 히터(25)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고, 해수 펌프(SWP)의 동작 여부에 따라 히터(25)에 공급되는 해수의 공급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And the sea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er 25 together with glycol water, the sea water is supplied by a sea water pump (SWP), and the sea water is heated together with the glycol water in the heater 25, the heated glycol water and sea water are vaporizers ( 24) and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The seawater pump SWP is provided to supply seawater to the heater 25, and whether seawater supplied to the heater 25 is supplied according to whether the seawater pump SWP is operated may be controlled.

여기서, 히터(25)는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온도로 가스가 가열되도록 열원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heater 25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so that the gas is heated to a temperature required by the demand destination.

기화기(24)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는 계량 유닛(26)을 통해 가스의 상태에 대해 계량된 다음, 공급밸브(27, 28)를 통해 육상의 수요처(고객)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계량 유닛(26)은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가스 구성이나 가스 흐름 상태를 계량한다.The natural gas regasified in the carburetor 24 can be metered for the state of the gas through the metering unit 26 and then supplied to the demand (customer) of the land through the supply valves 27 and 28. At this time, the metering unit 26 measures the gas configuration or gas flow state required by the customer.

이때, 계량 유닛(26)에서 계량된 가스의 구성이나 가스 흐름 상태에 대한 정보는 자동화시스템부(21)로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편이나 인편으로 육지부(10)에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configuration of the gas metered by the metering unit 26 or the gas flow state may be transmitted to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 and this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nd unit 10 by mail or scale Can be passed on.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시스템부(210), 클라우드 송수신기(212),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 카고 탱크(220), 재응축기(230), 기화기(240), 히터(250), 계량 유닛(260) 및 공급밸브(270, 280)를 포함한다. 그리고 LNG 펌프(LFP), 고압 펌프(HP), 글리콜 워터펌프(GWP) 및 해수 펌프(SWP)를 더 포함한다.The remote control system for a ship-based IoT-based cloud 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is an automation system unit 210, a cloud transceiver 212, an IoT management terminal 214, and a cargo tank. 220, a re-condenser 230, a vaporizer 240, a heater 250, a metering unit 260 and a supply valve (270, 280). And it further includes an LNG pump (LFP), a high pressure pump (HP), a glycol water pump (GWP) and a sea water pump (SWP).

자동화시스템부(210)는, 재기화 설비부(200)의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재기화 설비부(200)에서 이루어지는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한 정보가 자동화시스템부(210)로 전송되고, 자동화시스템부(210)는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자동화시스템부(210)는, LNG 펌프(LFP), 응축기, 고압 펌프(HP), 기화기(240), 글리콜 워터펌프(GWP), 해수 펌프(SWP) 및 히터(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계량 유닛(260)에서 계량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자동화시스템부(21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serves to control and manage the overall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made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and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can control each component. That is,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NG pump (LFP), condenser, high pressure pump (HP), vaporizer 240, glycol water pump (GWP), sea water pump (SWP), and heater 250. The meter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by the metering unit 260. The other automation system unit 210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자동화시스템부(21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자동화시스템부(210)와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송수신기(212)에서 송수신하는 정보는, 메시지 및 제어신호일 수 있다.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자동화시스템부(210)가 사물인터넷 또는 클라우드와 연계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cloud transceiver 212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That is, the cloud transceiver 212 may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loud transceiver 212 may be a message and a control signal. The cloud transceiver 212 is provided for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to interface with the Internet of Things or the cloud.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클라우드 송수신기(212)와 사물인터넷 플랫폼(300)과 통신을 관리한다. 이때,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는, 사물인터넷 플랫폼(300)과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 명령, 데이터 및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operates based on the IoT, and manages communication with the cloud transceiver 212 and the IoT platform 300. At this time,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may communicate with the IoT platform 300 and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commands, data, and messages.

사물인터넷 플랫폼(300)은 육지부(100)와 재기화 설비부(200)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구비되고, 사물인터넷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육지부(100)에 배치된 고객 단말기(110), 선주 단말기(120), 조선소 단말기(130) 및 용선주 단말기(14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300)을 통해 재기화 설비부(2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재기화 설비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육지부(100)에는 재기화 설비부(200)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단말기가 배치될 수 있다. 관리단말기는 수요처(고객)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라 사물인터넷 플랫폼(300)을 통해 재기화 설비부(200)에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The IoT platform 300 is provided to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land portion 100 and the regasification facility portion 200, and serves to centrally manage the IoT. Accordingly, the customer terminal 110, the ship owner terminal 120, the shipyard terminal 130, and the charter vessel terminal 140 disposed on the land portion 100 are connected to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through the IoT platform 300. Th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and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management termina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0 may be disposed on the land 100. The management terminal may control the state of natural gas supplied from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through the IoT platform 300 according to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consumer (customer).

본 실시예에서, 카고 탱크(220), 재응축기(230), 기화기(240), 히터(250), 계량 유닛(260) 및 공급밸브(270, 28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LNG 펌프(LFP), 고압펌프, 글리콜 워터펌프(GWP) 및 해수 펌프(SWP)의 구성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argo tank 220, the re-condenser 230, the vaporizer 240, the heater 250, the metering unit 260 and the supply valves 270, 28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LNG The configuration of the pump (LFP), high pressure pump, glycol water pump (GWP) and sea water pump (SWP)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자동화시스템부(210)에 포함된 재기화 설비부(200)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화시스템부(210)는, 재기화 설비부(200)의 원격 제어를 위해 구비되고, 메시지 및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재기화 설비부(200) 동작의 제어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자동화시스템부(210)는 재기화 설비부(200)의 동작을 제어한 결과를 저장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it will be described for performing the control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0 included i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In this embodiment,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is provided for remote control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and when a message and a control signal are received, whether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Judge. In additio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may store a result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and respond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시스템부(210)는, 데이터(data), 원격 제어(operating) 및 소프트웨어 접속(software access)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선택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선택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n-offline selection device capable of selecting online or offline of data, remote control, and software access. do.

즉, 데이터의 온-오프라인에 대한 선택은, 재기화 설비부(200)의 각종 데이터가 사물인터넷 플랫폼(300)을 통해 온라인상으로 공개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격에서 재기화 설비부(200)의 각종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selection of on-offline of data may select whether various data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will be released online through the IoT platform 300. In other words, the authority to remotely access various data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may be selected.

원격 제어의 온-오프라인에 대한 선택은, 원격에서 재기화 설비부(200)에 대한 제어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에 대한 온-오프라인의 선택은 중복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록 기능(interlock function)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인터록 기능은 온-오프라인의 중복 선택이 불가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접속에 대한 선택은, 외부 즉, 육지부(100)에 배치된 고객 단말기(110), 선주 단말기(120), 조선소 단말기(130) 및 용선주 단말기(140)에서 재기화 설비부(200)를 제어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원격에서 재기화 설비부(200)의 소프트웨어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고객 단말기(110), 선주 단말기(120), 조선소 단말기(130) 및 용선주 단말기(140) 등)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의 선택은 중복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selection of the on-offline of the remote control can select whether to control 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0 remotely,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lection of the on-offline for the remote control is interlocked to prevent duplication. An interlock function may be included. That is, the interlock function is a function that makes it impossible to select on-offline overlap. In addition, the selection for software access is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from the customer terminal 110, ship owner terminal 120, shipyard terminal 130, and charter vessel terminal 140 disposed on the outside, that is, the land portion 100. Can be selected to access the software that can be controlled or monitor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lect a location (customer terminal 110, ship owner terminal 120, shipyard terminal 130, charter vessel terminal 140, etc.) that can remotely access the software of 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0, wherein The selection of can be set to be selected in duplicate.

도 4는 선박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 처리를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선박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 처리를 위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flow for processing data and control signals of a ship, and FIG. 5 is a ship data and control signal processing of a remote control system based on a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connected to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flow for.

도 4를 참조하면, 선박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 처리에 대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재기화 설비부(20)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field device)은 카고 탱크(22), 재응축기(23), 기화기(24), 히터(25), 계량 유닛(26), 공급밸브(27, 28), LNG 펌프(LFP), 고압 펌프(HP), 글리콜 워터펌프(GWP) 및 해수 펌프(SWP)이다. 이러한 각종 장치들이 작동되며, 작동됨에 따른 정보는 자동화시스템부(21)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시스템부(21)에서 제어하고, 외부에서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각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시스템부(21)에서 모니터링된 정보는 육지부(10)로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is possible to check the flow of the ship's data and control signal processing. Various devices (field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20 is a cargo tank 22, a recondenser 23, a vaporizer 24, a heater 25, a metering unit 26, a supply valve 27, 28), LNG pump (LFP), high pressure pump (HP), glycol water pump (GWP) and sea water pump (SWP). These various devices are operated,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an be monitored i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 And it is controlled by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device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 can be transmitted to the land unit 10.

상기와 같이, 선박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던 것을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적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cessing of the data and control signals of the ship is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ship Io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can be modified as shown in FIG. 5.

본 실시예에서, 자동화시스템부(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오프라인 선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송수신기(212)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물인터넷 플랫폼(300)을 통해 육지부(100)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may include an on-offline sel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cloud transceiver 212 and an IoT management terminal 214. In addition, communication with the land portion 10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oT platform 300.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자동화시스템부(210)와 통신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재기화 설비부(200) 내부에 배치된 자동화시스템부(210)와 클라우드 및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고, 신호별로 처리를 하며, 전달 경로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The cloud transceiver 212 may communicate with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That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disposed inside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driven based on the cloud and the IoT may be relayed. Therefore, the cloud transceiver 212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system, process each signal, and configure a transmission path differently.

이때,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경우, 다음과 같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loud transceiver 212 is set to perform remote control, it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communication as follows.

첫 번째로, LNG 펌프(LFP), 고압 펌프(HP), 글리콜 워터펌프(GWP) 및 해수 펌프(SWP)에 대한 동작 여부에 대한 명령, 공급밸브(270, 280)의 개폐 명령 및 다른 장치들에 대한 제어명령은, 클라우드 송수신기(212)가 자동화시스템부(210)와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 간에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송한다.First, a command for whether to operate the LNG pump (LFP), a high pressure pump (HP), a glycol water pump (GWP) and a sea water pump (SWP), a comman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valves 270 and 280, and other devices The control command for the cloud transceiver 212 transmits in real time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두 번째로, 카고 탱크(220), 재응축기(230), 기화기(240), 히터(250), 계량 유닛(260), 공급밸브(270, 280), LNG 펌프(LFP), 고압 펌프(HP), 글리콜 워터펌프(GWP) 및 해수 펌프(SWP)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는 자동화시스템부(210)에서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로 단방향 실시간 전송하도록 클라우드 송수신기(212)가 제어할 수 있다.Second, cargo tank 220, recondenser 230, vaporizer 240, heater 250, metering unit 260, supply valves 270, 280, LNG pump (LFP), high pressure pump (HP ),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glycol water pump (GWP) and the sea water pump (SWP) can be controlled by the cloud transceiver 212 to transmit in one direction in real time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to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

세 번째로, 천연가스의 압력, 온도, 흐름에 대한 공정과 관련된 정보는, 자동화시스템부(210)에서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로 단방향 전송하도록 클라우드 송수신기(212)가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공정과 관련된 정보는 별도로 저장하고, 이전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재기화 설비부(200)에 대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ir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cess of pressure, temperature, and flow of natural gas may be controlled by the cloud transceiver 212 so that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transmits one-way to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At this time, the cloud transceiver 212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cess separately, and perform maintenance o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200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previous data.

네 번째로, 자동화시스템부(210)에 포함된 온-오프라인 선택장치에서 선택된 정보는, 자동화시스템부(210)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214)에서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클라우드 송수신기(212)가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송수신기(212)는 온-오프라인 선택장치에서의 선택 정보가 항상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Fourth,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on-offline selection device included i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the cloud transceiver 212 so that the two-way communication in real time in the automation system unit 210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214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cloud transceiver 212 may control the selection information in the on-offline selection device to always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describ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nly.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0: 육지부
110: 고객 단말기 120: 선주 단말기
130: 조선소 단말기 140: 용선주 단말기
200: 재기화 설비부
210: 자동화시스템부 212: 클라우드 송수신기
214: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220: 카고 탱크 230: 재응축기
240: 기화기 250: 히터
260: 계량 유닛 270, 280: 공급밸브
300: 사물인터넷 플랫폼
LFP: LNG 펌프 HP: 고압 펌프
GWP: 글리콜 워터펌프 SWP: 해수 펌프
100: land
110: customer terminal 120: owner terminal
130: shipyard terminal 140: Yongseonju terminal
200: regasification facility
210: automation system unit 212: cloud transceiver
214: IoT management terminal
220: cargo tank 230: recondenser
240: carburetor 250: heater
260: weighing unit 270, 280: supply valve
300: IoT platform
LFP: LNG pump HP: High pressure pump
GWP: glycol water pump SWP: sea water pump

Claims (10)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재기화 설비부에 설치되며,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부;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수요처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수요처가 접속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통신하는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및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클라우드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It is install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for regasify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supplying it to the customer. It collects information on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an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it is install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An automation system unit that controls devices;
An IoT managemen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n IoT platform accessed by the demand destination to transmi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utomation system to the demand destination; And
A remote control system for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ies including a cloud transceiver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설비부는,
상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카고 탱크;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에서 증발된 증발가스를 재응축하는 재응축부;
상기 재응축부에서 배출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는 기화기;
상기 기화기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기화기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에 대한 상태를 계량하는 계량 유닛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A cargo tank in which the liquefied natural gas is stored;
A recondensing unit for recondensing the evaporated gas evaporated from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ed in the cargo tank;
A vaporizer for regasify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discharged from the recondensation unit;
A heater for supplying a heat source to the vaporizer; And
A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 metering unit that measures a state of natural gas regasified in the vaporiz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설비부는,
상기 카고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고 탱크에서 상기 재응축부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LNG 펌프;
상기 재응축부에서 상기 기화기로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고압 펌프; 및
상기 히터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펌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An LNG pump disposed inside the cargo tank and supplying liquefied natural gas from the cargo tank to the recondensation unit;
A high pressure pump for compressing liquefied natural gas supplied to the vaporizer from the re-condensing unit to high pressure; And
A remote control system for re-gasification equipmen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further comprising a seawater pump that supplies seawater to the heat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시스템은, 상기 카고 탱크, 기화기, 히터, 계량 유닛, LNG 펌프, 고압 펌프 및 해수 펌프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automation system, a remote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that performs any one or mor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status of the cargo tank, vaporizer, heater, metering unit, LNG pump, high pressure pump, and seawater pum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에 대한 제어명령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에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transceiver is a remote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that controls real-tim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for control commands for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Control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의 동작 상태 정보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로 실시간으로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transceiver is a remote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that controls real-time one-way communication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to the IoT management terminal for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Control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공정 정보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로 단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transceiver is a remote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that controls one-way communication from the automation system unit to the IoT management terminal for process information of natural gas supplied from the regasification facility unit to the demand destination. Control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시스템부는, 원격에서 상기 재기화 설비부에 대한 데이터에 접근 여부를 설정, 상기 재기화 설비부의 원격 제어 여부를 설정 및 원격에서 상기 재기화 설비부를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의 접속 여부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선택장치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on system can remotely set whether to access the data for the regasification facility, set whether or not to remotely control the regasification facility, and remotely control whether or not to access the software that drives the regasification facility.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on-offline selection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송수신기는, 상기 온-오프라인 선택장치에서 선택 정보에 대해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의 양방향 통신이 항상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cloud transceiver is an IoT-based cloud-based regasification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so that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is always perform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in the on-offline selection device.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에서 증발된 증발가스를 재응축하는 재응축부;
상기 카고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재응축부에 공급하는 LNG 펌프;
상기 재응축부에서 배출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고압 펌프;
상기 고압 펌프에서 압축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는 기화기;
상기 기화기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상기 히터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펌프;
상기 기화기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계량하는 계량 유닛;
상기 기화기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브;
상기 카고 탱크, 재응축부, LNG 펌프, 고압 펌프, 기화기, 히터, 해수 펌프, 계량 유닛, 및 공급밸브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자동화시스템부;
상기 자동화시스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수요처 측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수요처가 접속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통신하는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및
상기 자동화시스템부 및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클라우드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관리단말기를 통해 상기 카고 탱크, 재응축부, LNG 펌프, 고압 펌프, 기화기, 히터, 해수 펌프, 계량 유닛, 및 공급밸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A cargo tank for storing liquefied natural gas in order to re-liquefy the liquefied natural gas and supply it to a consumer;
A recondensing unit for recondensing the evaporated gas evaporated from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ed in the cargo tank;
LNG pump for supply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ed in the cargo tank to the re-condensation unit;
A high pressure pump for compressing liquefied natural gas discharged from the re-condensation unit to a high pressure;
A vaporizer regasifying liquefied natural gas compressed in the high pressure pump;
A heater for supplying a heat source to the vaporizer;
A seawater pump that supplies seawater to the heater;
A metering unit for measuring natural gas regasified in the vaporizer;
A supply valve for supplying natural gas regasified from the vaporizer to the demand source;
An automation system unit for collect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cargo tank, recondensing unit, LNG pump, high pressure pump, carburetor, heater, seawater pump, metering unit, and supply valve;
An IoT managemen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IoT platform accessed by the demand destination to transmi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utomation system to the demand destination; And
And a cloud transceiver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ation system unit and the IoT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IoT management terminal, the IoT-based cloud-based recovery that receives control commands for any of the cargo tank, recondensation unit, LNG pump, high pressure pump, vaporizer, heater, seawater pump, metering unit, and supply valve Remote control system.
KR1020180170187A 2018-12-27 2018-12-27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KR102626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187A KR102626181B1 (en) 2018-12-27 2018-12-27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187A KR102626181B1 (en) 2018-12-27 2018-12-27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88A true KR20200080588A (en) 2020-07-07
KR102626181B1 KR102626181B1 (en) 2024-01-17

Family

ID=7160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187A KR102626181B1 (en) 2018-12-27 2018-12-27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1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2519A (en) * 2020-09-30 2020-12-25 瓶安用气(杭州)物联网科技有限公司 Bottled gas cross network system based on thing networking big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530A (en) * 2010-08-23 2012-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emote ship maintenanc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KR20170108730A (en) 2016-03-19 2017-09-27 주식회사 유시스 Apparatus for managing and examining performance of Ship Integrated Control System
KR20180034902A (en) * 2016-09-28 2018-04-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mmunication system of fsru
KR20180115500A (en) * 2017-04-13 2018-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floating type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530A (en) * 2010-08-23 2012-03-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emote ship maintenanc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KR20170108730A (en) 2016-03-19 2017-09-27 주식회사 유시스 Apparatus for managing and examining performance of Ship Integrated Control System
KR20180034902A (en) * 2016-09-28 2018-04-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mmunication system of fsru
KR20180115500A (en) * 2017-04-13 2018-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floating type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2519A (en) * 2020-09-30 2020-12-25 瓶安用气(杭州)物联网科技有限公司 Bottled gas cross network system based on thing networking big data
CN112132519B (en) * 2020-09-30 2024-01-02 瓶安用气(杭州)物联网科技有限公司 Bottled gas cross network system based on big data of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181B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792B1 (en) Dockside shiptoship transfer of lng
KR100678851B1 (en) Offshore lng regasification system with pressure of suction drum controll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26181B1 (en) Fsru remote operating system based cloud connecting ship internet of things
KR101388871B1 (en) Floating Storage Regasfication Power generation Bunkering
KR102059744B1 (en) A Regasification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KR102224810B1 (en) A Regasification System Of Gas and Vessel having same
KR102576199B1 (en) LNG Regasification System and LNG Regasification Method
KR20130064194A (en) System for maintenance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petroleum gas storage tank for ship
KR101302028B1 (en) Boil-Off Gas Reliquefaction System
KR102295010B1 (en) gas treatment system and marine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2177572B1 (en) Regasification System of liquefied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670868B1 (en)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LNG storage facilities, LNG terminal and LNGC RV
KR102487006B1 (en) High Pressure Pump Pressurizing Apparatus for LNG Regasification System
KR20150109789A (en) Safety apparatus of lngc unloading system
KR20170073077A (en) Liquefied Natural Gas Regas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017946B1 (en) A Regasification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KR102188468B1 (en) Regasification System of liquefied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578400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lng handling equipment and regasification equipment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160054747A (en) Plant And Method For LNG Regasification
KR102233194B1 (en) Safety System of Floating Regasification Unit
KR102144180B1 (en) Regasification System of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239706B1 (en) Regasification System of liquefied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535973B1 (en) FSU Bidirectional Mooring And ESD Operation Method
KR102528543B1 (en) Liquefied gas regasification system
KR102315029B1 (en) Lng regasfic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