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375A - Smart toy - Google Patents

Smart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375A
KR20200080375A KR1020180162818A KR20180162818A KR20200080375A KR 20200080375 A KR20200080375 A KR 20200080375A KR 1020180162818 A KR1020180162818 A KR 1020180162818A KR 20180162818 A KR20180162818 A KR 20180162818A KR 20200080375 A KR20200080375 A KR 2020008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ser terminal
cable
smart toy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5158B1 (en
Inventor
홍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8016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15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oy (10)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two detachable modules with each other, and performing an operation by input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from a network-connected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toy (10) comprises: a base module (100)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200) combined; and the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200) which are combined with the base module (100) to perform a preset operation based on the corresponding signal by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mutual coupling state of each module in a user terminal (20).

Description

스마트 토이 {Smart toy}Smart toy {Smart toy}

본 발명은 스마트 토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2 이상의 모듈이 상호 결합되고 사용자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이 이뤄지며, 모듈의 결합 상태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사용자가 해당 모듈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토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oy, specifically, two or more modules are mutually coupled and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by a user's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It relates to a smart toy that can be easily input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of.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럭(블록)은 2 이상의 블럭을 상호 조합하여 원하는 형태의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장난감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Blocks (block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re widely used as toys of various ages, from children to adults, in that two or more blocks can be combined to make a desired type of toy.

다만 이러한 블럭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는 장난감들은 사용자가 직접 블럭을 움직이거나 별도의 동작 가능한 기구를 사용하여야만 동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모터, 조명 등을 블럭과 결합하고 이러한 블럭들을 이용하여 결합된 장난감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의 블럭 장난감이 개발되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oys manufactu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se blocks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user directly moves the block or uses a separate movable mechanism. To improve this, a block toy of various functions has been developed that combines motors, lights, and the like with blocks, and allows the combined toys to operate using these blocks.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 스마트 토이(smart toy)가 있다. 스마트 토이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나 사물인터넷(IOT) 같은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장난감을 의미하며, 이러한 장난감들은 사람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동작이 이뤄지게 된다.An example of such a technology is a smart toy. A smart toy means a toy incorpora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OT) 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ese toys are oper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a person.

스마트 토이에 관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98482호(2010.10.08 출원)의 "동작카드를 이용한 블록완구 동작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적어도 하나의 블럭으로 형성되고 블럭의 동작을 위한 구동모터가 설치된 블럭완구와, 모양, 색상, 문양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어 미리 설정된 블럭완구의 동작신호가 표시되는 동작신호 식별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카드와, 상기 동작카드가 접촉되어 동작신호를 인식하는 동작카드 인식부 및 상기 동작 프로그램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동작카드 인식부로부터 수신된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블럭완구의 동작을 위한 구동명령 신호를 상기 제어모터로 전송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여 블럭완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s an example of a prior art related to a smart toy, there is a "block toy motion control system using a motion card and its control metho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8482 (filed on October 10, 2010). The prior ar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block toy formed of at least one block and equipped with a drive motor for operation of the block, and an operation signal in which an operation signal of a preset block toy is displayed by being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a shape, color, pattern and symbol At least one operation card is formed, the operation card is recognized by the operation card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card recognition unit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programs are installed, the oper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card recognition unit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ck toy, including a control box that executes and transmits a drive command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block toy to the control motor.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나 조명 등의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단순 동작시키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단순제어를 넘어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리 명령어가 설정된 각각의 명령어 카드를 블럭완구에 인식시키는 과정을 통해 블럭완구의 동작 제어가 손쉽게 이루어지며, 다수의 동작카드를 조합하여 많은 블럭완구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ior art goes beyond simple control to turn on/off a switch, such as a motor or a light, or to operate remotely using a remote control, and the user blocks blocks each command card in which a command is set in advance using a program.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to, the motion control of the block toy is easily performed, and there are advantages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or execute the operation of many block toys by combining multiple motion cards.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블럭을 결합하였을 때 결합된 블럭이 어떤 것인지를 미리 파악하여야 해당 블럭을 동작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면 2 이상의 모터 및/또는 조명 블럭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블럭에 따른 명령어 카드를 찾아 이를 확인하면서 동작이 이뤄져야 하므로 어린 아이들이 블럭완구를 용이하게 동작시키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when a block is combined, it is necessary to know in advance what the combined block is to operate the block. Incidentally, when two or more motors and/or lighting blocks are used, it is necessary to find and check the command card according to each block, and thus, th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allowing children to easily operate block toys.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 이상의 모듈이 상호 결합되고 사용자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이 이뤄지며, 모듈의 결합 상태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사용자가 해당 모듈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토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wo or more modules are mutually coupled and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by a user's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the combined state of the module is recognized by the user, the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toy that can easily input a control command that performs a preset function of the modu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는 탈부착 가능한 적어도 2 이상의 모듈이 상호 결합하여 구성되며,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에 의해 동작이 수행되는 스마트 토이로서, 상기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베이스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모듈과 결합하여,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신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각의 모듈의 상호 결합상태가 인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mart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composed of at least two detachable modules that are mutually coupled, and is a smart toy in which an operation is performed by a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of a network-connected user terminal. A base module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mbined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And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module and performing a preset operation based on the corresponding signal by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and configured to recognize the mutual coupling state of each module in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의 결합 모듈 형상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은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 중 선택 입력된 기능 모듈을 기초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mbined module shape of the combined module, and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of the user terminal is a function module selected and input among the combined modul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n the basis of.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기능 모듈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모듈은 모터, 서보모터, 감지센서, 조명장치, 소리 발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odul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and a programmable process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function module, wherein the function module includes a motor, a servo motor , At least one of a sensing sensor, a lighting device, and a sound generating devic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모듈은 블럭 형상으로 이뤄지며, 상기 결합이 이뤄지는 각각의 모듈에서, 일측 모듈의 결합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된 모듈 요홈부가 구비되고 타측 모듈의 결합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모듈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요홈의 삽입에 의한 기구적 결합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module is formed in a block shape, and in each module in which the coupling is made,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a coupling position of one module is provided with a module groove, and the other module is coup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mechanical projection by inse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 module protrusion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모듈 요홈부 또는 상기 모듈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 감지센서는 상기 요홈과 돌기의 삽입에 의한 모듈간 결합을 감지하여 상기 베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module recesses or the module protrusion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detection sensor, and the coupling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coupling between the modules by the insertion of the grooves and protrusions, thereby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base modul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이 이뤄지는 각각의 모듈은 케이블에 의한 전기적 결합이 이뤄지되, 상기 케이블은 요홈 또는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블럭 형상의 케이블 몸체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몸체가 각각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요홈-돌기의 삽입에 의한 기구적 결합이 더욱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module in which the coupling is made is electrically coupled by a cable, wherein the cable is formed by being coupled to a block-shaped cable body in which at least one of a groove or a protrusion is formed, the The cabl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mechanical coupling is further achieved by inser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modules and the groove-protrus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의 중앙부는 케이블 몸체 내부에 내설되며,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돌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ble is installed inside the cable body, and the outer protruding length of the cable is adjust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명령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이뤄진 GUI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에 기초한 제어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is a control command based on a GUI-based application program made by a preset programming language.

본 발명은 각각의 모듈의 결합 상태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식되어 사용자가 해당 모듈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어린 아이들도 스마트 토이를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bined state of each module is intuitively recogniz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easily input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a preset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odule, so that even small children can easily operate the smart to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모듈의 기구적 및/또는 전기적 결합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각각의 모듈의 결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the coupling state of each module in the user terminal by mechanical and/or electrical coupling of each module.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모듈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스마트 토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모듈간의 결합시에도 케이블의 외부 노출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able for the electrical coupling of each module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mart toy, and the external exposure length of the cable can be minimized even when combined between various modu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의 결합 상태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토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smart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mbined state diagram of a smart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ser terminal displaying a combined state of a smart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 smart toy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cured or obscured by specifically explaining the known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known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의 구성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의 결합 상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mbined state diagram of a 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는 탈부착 가능한 적어도 2 이상의 모듈이 상호 결합하여 구성되며,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에 의해 동작이 수행된다.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two detachable modules with each other, and an operation is performed by input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network-connected user terminal 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토이(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2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베이스 모듈(100)과,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결합하여,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신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200)을 포함한다.1, the smart toy 10 receives the remote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base module 10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mbined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200 ,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module 100, includes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200 that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based on the corresponding signal by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를 제어하는 모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원격 제어명령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기능 모듈(200)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각각의 모듈(100, 200)의 결합상태 신호를 전달한다.The base module 100 is a module that controls 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rts a remot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into a control signal to the function module 200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combined state signal of each module 100 and 2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기능 모듈(20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The base modul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20 and a programmable processo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function module 200.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3G, 4G, LTE 및 RF통신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제어명령 및 모듈간 결합상태 정보 등을 전달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Bluetooth, Wi-Fi, Zigbee, 3G, 4G, LTE and RF communic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 in a network to control information and control status information between modules. Will be delivered.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 제어, 감지 신호 수신 등 다양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픈 소스 기반의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인 아두이노(Arduino)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processor stores a program and performs various control functions such as motor control and detection signal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ogram, and may be, for example, an Arduino processor, which is an open source based single board microcontroller. have.

상기 아두이노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신호값을 수신하여 LED 등의 조명이나 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다양한 제어를 통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누구나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의 프로그래밍 학습 도구로서 이용되기도 한다.The Arduino has the advantage of receiving signals from multiple switches or sensors and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such as LEDs or motors to perform various controls in one processor at the same time, and anyone can easily develop them. It is also used as a programming learning tool for children by providing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다양한 종류의 기능 모듈(200)과 결합이 이뤄지도록 하는 다양한 결합부(예, 케이블 결합홈)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원단자(170) 및 전원 스위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odule 100 may include various coupling parts (eg, cable coupling grooves) to b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al modules 200, and further includes a power terminal 170 and a power switch 150 It can contain.

상기 기능 모듈(200)은 상기 베이스 모듈(100)에 의해 제어되며, 모터, 서보모터, 감지센서, 조명장치, 소리 발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The function module 200 is controlled by the base module 100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tor, a servo motor, a sensing sensor, a lighting device, and a sound generating device.

상기 기능 모듈(200)은 상기 모터, 조명장치 등 각각의 동작 장치로 인해 움직임, 소리, 빛, 감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function module 200 performs an oper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motion, sound, light, and sensing due to each operation device such as the motor and the lighting device.

상기 감지센서는 접촉 감지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광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스마트 토이(10) 주변의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스마트 토이(10)의 동작에 감지된 센싱값이 반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may be any one of a touch detec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and detects an environment and/or a user's movement around the smart toy 10 and detects the motion of the smart toy 10. It can be controlled to reflect the sensed value.

일예로, 상기 기능 모듈(200)이 서보모터(Servo motor)로 이뤄지는 경우, 엔코더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및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의 회전이 상기 베이스 모듈(100)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씩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가 일정한 거리만큼씩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unction module 200 is made of a servo motor, the rotation of the servo motor capable of detecting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by the encoder is made by the base module 100 by a certain angle. , 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to move by a certain distan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 모듈(200)은 상기 서보머터에 연장 형성되는 조인트 결합홈(280)과 바퀴(wheel) 등의 기능 모듈용 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 결합홈(280)을 연결하는 조인트(400)를 연결부재로 하여 상기 기능 모듈용 부재(300)와 결합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unctional module 200 may be a joint coupling groove 280 extending in the servomotor and a member 300 for a functional module such as a wheel, and the joint. The joint 400 connecting the coupling groove 280 may be coupled to the functional module member 300 by using the connecting member as a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는 이러한 기능 모듈의 제어를 이용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프로그램 언어(code)를 써서 명령과 정보를 만드는 이른바 '코딩(coding)'을 쉽게 배우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ontrol of such a function module to easily learn the so-called'coding' for creating commands and information using a program language, which is a language that a computer can understand. It may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베이스 모듈(100) 및/또는 기능 모듈(200)은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예, 사면체, 육면체 등)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뤄진 모듈이어도 기구적 결합 및/또는 전기적 결합에 의해 모듈간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The base module 100 and/or the function module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eg, tetrahedron, hexahedron, etc.) to enable mutual coupling. Even if the modules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mechanical coupling and/or electrical Coupling between modules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상기 베이스 모듈(100) 및 기능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미도시)은 교환식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여 상기 베이스 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를 동작하게 된다.The base module 100 may be combined with a power module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base module 100 and the function module 200. The power module (not shown) has a built-in exchangeable or rechargeable battery to supply power through the base module 100, and operates 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예로, 상기 각각의 모듈(100, 200)은 블럭(육면체)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modules 100 and 200 may be formed in a block (hexahedron) shape.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블럭 형상의 베이스 모듈 몸체(110) 내부에 아두이노 등의 제어 보드(미도시)가 구비되고, 베이스 모듈 몸체(110) 측면에 베이스 모듈(100)을 on/off하는 전원 스위치(150), 전원단자(170) 등 상기 제어 보드(미도시)에 설치된 여러 단자들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ard (not shown) such as an Arduino inside the block-shaped base module body 110, and the base module 1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se module body 110. Various terminals installed on the control board (not shown), such as a power switch 150 to turn on/off and a power terminal 170,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는, 상기 결합이 이뤄지는 각각의 모듈(100, 200)에서, 일측 모듈의 결합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된 모듈 요홈부(130)가 구비되고 타측 모듈의 결합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모듈 돌출부(120, 220)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요홈의 삽입에 의한 기구적 결합이 이뤄진다. 이러한 모듈간의 기구적 결합을 통해 스마트 토이(10)의 구조적 견고함이 이뤄진다. 도 2에서는 상기 베이스 모듈(100)에 형성된 모듈 요홈부(130)를 표현하였으나, 베이스 모듈(100)은 물론 기능 모듈(200)에도 모듈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each of the modules 100 and 200 where the coupling is made,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position of one module is provided with a module groove 130 and the other module Module projections 120 and 220 are provided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in the coupling position, thereby mechanically engaging by inserting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Through th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modules, the structural robustness of the smart toy 10 is achieved. In FIG. 2, the module recesses 130 formed in the base module 100 are represented, but the module recesses may be formed in the functional module 200 as well as the base module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의 결합 상태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20)의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ser terminal 20 in which a combined state of a 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스마트 토이(10)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이며, 상기 베이스 모듈(100)에 원격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통신부, 상기 베이스 모듈(100) 및 기능 모듈(200)이 표시되는 표시부(21)를 포함하여 이뤄진다.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in which a smart toy 10 control program set in advance by a programming language is installed,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remote control command to the base module 100, the base It comprises a module 100 and the display unit 21, the function module 200 is displayed.

상기 스마트 토이(10)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각각의 모듈의 형태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각각의 모듈의 결합에 따른 결합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1)에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smart toy 10 control program includes image information on the form of each module, and receives a combined signal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ach modu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1 of the user terminal 20 It is configured to.

상기 표시부(21)는 일예로, 터치스크린일 수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명령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터치하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 may be, for example, a touch screen, and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may be made by touching a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서 각각의 모듈의 상호 결합상태가 인식 가능하도록 구성된다.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mutual coupling state of each module.

이러한 결합된 모듈에 대한 결합상태의 인식은, 베이스 모듈(100)과 하나의 기능 모듈(200)과의 단순한 결합은 물론, 2 이상의 기능 모듈(200)이 베이스 모듈(100)에 결합된 경우에도 어떤 모듈의 결합이 이뤄졌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각의 모듈을 동작할 때 결합된 모듈 정보에 따라 원하는 기능 모듈(200)을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Recognition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combined module is not only simple coupling between the base module 100 and one functional module 200, but also when two or more functional modules 200 are coupled to the base module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understand which modules are combined, and when a user operates each module, a desired function module 200 can be easily operated according to the combined module information.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200)이 결합될 때,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의 결합 모듈 형상(10i)이 상기 표시부(21)에 표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base module 100 and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200 are coupled, the combined module shape 10i of the combined module is expressed on the display unit 21 Can be.

상기 베이스 모듈(100) 및 기능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일정한 고유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스마트 토이(10) 제어 프로그램에 상기 각각의 모듈의 형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base module 100 and the function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each have a unique shape, and each of the smart toy 10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0 control program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module may be included.

이 경우,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200)이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 모듈(100)이 결합된 기능 모듈(200)이 어떠한 장치가 포함된 기능 모듈(200)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20)로 결합상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base module 100 and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200 are combined, the function module 200 to which the base module 100 is coupled detects which device includes the function module 200. Coupling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ase modul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 connected to the network.

이 때,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기능 모듈(200)의 결합은 전기적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the base module 100 and the function module 200 may be understood as electrical coupling.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이러한 결합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토이(10)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상기 표시부(21)에 결합 모듈 형상(10i)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모듈의 결합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user terminal 20 displays the combined module shape 10i on the display unit 21 in which the smart toy 10 control program is running based on the combined stat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ombine each module. To be recognized.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은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100, 200) 중 선택 입력된 기능 모듈(200)을 기초로 이뤄진다.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of the user terminal 20 is made based on the function module 200 selected and input among the modules 100 and 200 in which the combination is mad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를 제어할 때,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모듈(200)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20)은 선택된 기능 모듈(200)의 동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해당 기능 모듈(200)과 관련된 제어명령 입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1)에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요소(22)가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ontrols 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when selecting any one functional module 200 of the combined module, the user terminal 20 ) Is controlled so that control command input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200, which enables the operation of the selected function module 200, can be made, and a control command element selectable on the display unit 21 of the user terminal 20 (22) is displayed.

이러한 제어명령 요소(22)의 표시는 비주얼 프로그래밍 언어(Visual programming language)를 통한 아이콘 등의 표시로 이해될 수 있다.The display of the control command element 22 may be understood as a display of an icon or the like through a visual programming language.

만일 사용자가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 중 다른 기능 모듈(200)을 선택하게 되면, 다른 기능 모듈(200)의 가능한 동작과 관련한 제어명령 입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1)에 표시됨은 물론이다.If the user selects another functional module 200 among the modules in which the combination is made, the control unit 21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21 of the user terminal 20 so that a control command input related to a possible operation of the other functional module 200 can be made. Of course it is displayed.

각각의 모듈의 결합상태의 표시 및 관련된 제어명령 입력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모듈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도 쉽게 스마트 토이(10)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2 이상의 기능 모듈(200)이 상기 베이스 모듈(100)에 결합된 경우, 어떠한 제어명령을 입력하여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모듈(200)이 동작하는지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각각의 모듈의 결합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을 원하는 기능 모듈(200)을 선택할 때 해당 기능 모듈(200)의 동작에 관련한 제어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듈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of the combined state of each module and the input of the related control command enables the user to control the module intuitively, so that even a small child can easily control the smart toy 10. That is, when two or more functional modules 200 are coupled to the base module 100, it is difficult to easily understand which function module 200 the user wants to operate by entering what control command, so that each module is coupled. By displaying and allowing the user to input control command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200 when the user selects the function module 200 to be operated,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modul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2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명령 입력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 모듈(200)의 형상을 터치한 후 상기 기능 모듈(200)의 동작에 관련한 제어명령 요소(22)를 터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21 of the user terminal 2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is touched by the shape of any one function module 2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n the function module ( It can be achieved simply by touching the control command element 22 related to the operation of 200).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서버(미도시)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다양한 베이스 모듈(100) 및 기능 모듈(200)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작한 스마트 토이(10)의 형상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에서 구성한 제어명령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타 사용자에게 배포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2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rough a network, and the external server (not shown) may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base modules 100 and function modules 200 to the user terminal 20. It may provide, and receive and store the shape of the smart toy 10 produced by the user and control commands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20, or distribute it to other users.

상기 결합상태 인식의 다른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알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 고유의 신호(색상, 소리 등)가 상기 알림부를 통해 표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통해 모듈간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모듈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제어명령을 손쉽게 결정(선택)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of the recognition of the combined state, the user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and the module-specific signal (color, sound, etc.) in which the combination is achieved may be configured to be expressed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through which the user By easily grasping the coupling status between modules,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select) the control commands necessary for module contro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는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기능 모듈(200)의 기구적 결합이 이뤄질 때, 각각의 모듈의 결합이 있음이 상기 사용자 단말(20)에서 인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chanical coupling of the base module 100 and the functional module 200 is achieved, the user terminal 20 recognizes that there is a combination of each module It may be configured as possible.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요홈부(130) 또는 상기 모듈 돌출부(12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 감지센서(s1, s2)가 구비된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2, at least one of the module recesses 130 or the module protrusions 120 and 220 is provided with coupling detection sensors s1 and s2.

상기 결합 감지센서(s1, s2)는 상기 요홈과 돌기의 삽입에 의한 모듈간 결합을 감지하여 상기 베이스 모듈(10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네트워크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mbination detection sensors (s1, s2) detects the coupling between the modules by the insertion of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and the det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networked with the base module 100 through the base module 100 Can pass.

상기 결합 감지센서(s1, s2)는 상기 모듈 요홈부 또는 모듈 돌출부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모서리측 일부에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mbined sensing sensors s1 and s2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module recess or module protrusion, or may be partially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상기 결합 감지센서(s1, s2)는 접촉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거리 감지 센서, 광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뤄질 수 있다.The combined sensing sensors s1 and s2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contact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distance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상기 결합 감지센서(s1, s2)가 접촉센서인 경우, 상기 돌기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접촉함으로써 감지센서가 눌려져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기능 모듈(200)이 결합된 상태가 인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bined sensing sensors s1 and s2 are contact sensors, the sensor is pressed by contacting the protrus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 so that the base module 100 and the functional module 200 are coupled. It can be recognized an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모듈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10)에서, 상기 결합이 이뤄지는 각각의 모듈은 케이블(560)에 의한 전기적 결합이 이뤄진다.In the smart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module in which the coupling is made is electrically coupled by the cable 560.

상기 케이블(560)은 양측 단부에 케이블 단자(550)가 결합되며, 각각의 모듈에 형성된 케이블 결합홈(140, 240)에 상기 케이블 단자(550)가 각각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In the cable 560, cable terminals 550 are coupled to both ends, and the cable terminals 550 are coupled to cable coupling grooves 140 and 240 formed in respective modules, so that each module is electrically coupled. .

이 때,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기능 모듈의 케이블 결합홈(140, 240) 부근에는 제1, 2 모듈 표식(160, 2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모듈 표식(160, 260)은 케이블(560)이 결합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케이블(560)을 연결할 수 있어서 케이블(560)이 다른 위치에 결합되어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module markers 160 and 260 may b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able coupling grooves 140 and 240 of the base module 100 and the functional module, and the first and second module markers 160, 260) can be intuitively connected to the cable 560 by displaying the same shape at the position where the cable 560 is coupled, so that the cable 560 is coupled to another position to prevent malfunction.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560)은 요홈(미도시) 또는 돌기(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블럭 형상의 케이블 몸체(510)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몸체(510)가 각각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요홈-돌기의 삽입에 의한 기구적 결합이 더욱 이뤄진다. 상기 케이블(560)은 케이블 몸체(510)에 결합되어 케이블 모듈(500)을 형성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able 560 is formed to be coupled to a cable-shaped cable body 510 in which at least one of a recess (not shown) or a protrusion 520 is formed, and the cable body ( 510) mechanical coupling by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modules and the insertion of the groove-protrusion is further achieved. The cable 560 is coupled to the cable body 510 to form the cable module 500.

상기 케이블 모듈(500)은 베이스 모듈(100) 및/또는 기능 모듈(200)과의 기구적 결합에 의해 상기 케이블(560)이 안정적으로 각각의 모듈(100, 2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블(560)의 탈락이 방지된다.In the cable module 500, the cable 560 can be stably coupled to each module 100 and 200 by mechanical coupling with the base module 100 and/or the function module 200, , The fallout of the cable 560 is prevented.

일예로, 상기 케이블(560)의 중앙부는 케이블 몸체(510) 내부에 내설되며, 상기 케이블(560)의 외부 돌출 길이가 조절된다.In one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ble 560 is installed inside the cable body 510, and the external protrusion length of the cable 560 is adjusted.

상기 케이블 몸체(510)는 케이블(560)을 릴 형태로 수용하고, 상기 케이블 몸체(5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회동중심이 되는 중심축(미도시) 및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태엽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케이블(560)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560)을 외측으로 당겨서 원하는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케이블(560)을 당겼다 놓는 행위를 통해 케이블(560)이 태엽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말려들어가서 외부 돌출길이가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ble body 510 accommodates the cable 560 in the form of a reel, and a central axis (not shown)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ble body 510 and a mainspring spring installed around the central axis (not shown) Si)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cable 560, and pull the cable 560 outwar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by a desired length, and pull the cable 560 to release the cable 560. It can be configured to be rolled inward by the spring to reduce the outer protrusion length.

상기 케이블(560)의 외부 돌출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모듈 간 전기적 결합을 형성하는 케이블(560)의 노출 길이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접촉 가압으로 인한 케이블(560)의 탈락(결합 해제)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external protruding length of the cable 560 can be easily adjusted, the exposure length of the cable 560 forming the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modules is minimized, and the cable 560 is dropped (uncoupled) due to the user's contact pressure. It can reduce the phenomen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을 이용한 스마트 토이(10)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toy 10 using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이뤄진 GUI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에 기초한 제어명령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20 may be a control command based on a GUI-based application program made by a preset programming language.

상기 제어명령은 기계어 명령을 내리는 행위인 '코딩'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may be understood as'coding', which is an act of issuing a machine language command.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제어명령은 상기 GUI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이 표현된 상기 표시부(21) 화면상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아이콘 형태의 제어명령 요소(22)를 배치하여 제어명령 로직(24)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어명령 로직(24)을 실행하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remote control command is controlled in the form of an icon preset by a drag & drop metho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1 on which the GUI-based application is expressed. It may consist of placing the command element 22 to form the control command logic 24 and executing the formed control command logic 24.

이러한 제어명령 요소(22)의 배치 순서에 따라 스마트 토이(10)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명령 요소(22)를 단순히 배치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토이(10)의 복잡한 제어가 쉽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코딩을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operation of the smart toys 10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 elements 22, and the simple control of the smart toy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simply arranging the control command elements 22. Since it can be don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to learn coding.

일예로, 상기 원격 제어명령의 입력은 상기 배치된 제어명령 요소에 의해 구성된 제어명령 로직(24)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상기 제어명령 로직(24)을 터치 입력하면 상기 원격 제어명령이 베이스 모듈(100)로 전달되고, 상기 베이스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가 상기 기능 모듈(200)로 전달되며, 상기 기능 모듈(200)의 동작에 의해 스마트 토이의 동작이 이뤄지게 된다.In one example, the input of the remote control command is made by touching the control command logic 24 constituted by the arranged control command element. When the control command logic 24 is touch input, the remot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base module 100, a control signal from the base module 100 is transmitted to the function module 200, and the function module 200 ), the operation of the smart toy is achieved.

도 5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베이스 모듈(100) 및 기능 모듈(200)간 전기적 결합을 단순한 케이블(560)을 이용하여 표현하였으나, 상기 케이블 모듈(500)을 이용한 결합이 이뤄져 케이블(560)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스마트 토이(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FIG. 5, the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base module 100 and the function module 200 is expressed using a simple cable 560 for ease of understanding, but the coupling using the cable module 500 is performed to length the cable 56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tably combine with the smart toy 10 while minimizing.

상기 GUI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은 스크래치(scratch), 엔트리 등의 코딩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이러한 코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제어명령의 입력이 이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공지된 오픈소스 기반의 상용 프로그램이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GUI-based application program may be a coding program such as a scratch or an entry, and may be controlled to input the remote control command using such a coding program. The application program is a known open source based commercial program, and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but the above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re substituted, add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embodiments also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스마트 토이 10i: 결합 모듈 형상
20: 사용자 단말 21: 표시부
22: 제어명령 요소 24: 제어명령 로직
100: 베이스 모듈 110: 베이스 모듈 몸체
120: 모듈 돌출부 130: 모듈 요홈부
140: 케이블 결합홈 150: 스위치
160: 제1 모듈 표식 170: 전원단자
200: 기능 모듈 220: 돌출부
240: 케이블 결합홈 260: 제2 모듈 표식
280: 조인트 결합홈 300: 기능 모듈용 부재
400: 조인트 s1, s2: 결합 감지센서
500: 케이블 모듈 510: 케이블 몸체
520: 모듈 돌출부 550: 케이블 단자
560: 케이블
10: smart toy 10i: combined module shape
20: user terminal 21: display unit
22: control command element 24: control command logic
100: base module 110: base module body
120: module protrusion 130: module recess
140: cable coupling groove 150: switch
160: first module mark 170: power terminal
200: function module 220: protrusion
240: cable coupling groove 260: second module mark
280: joint coupling groove 300: functional module member
400: joint s1, s2: coupling detection sensor
500: cable module 510: cable body
520: module protrusion 550: cable terminal
560: cable

Claims (8)

탈부착 가능한 적어도 2 이상의 모듈이 상호 결합하여 구성되며,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에 의해 동작이 수행되는 스마트 토이(10)로서,
상기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2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베이스 모듈(100); 및
상기 베이스 모듈(100)과 결합하여,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신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에서 각각의 모듈(100, 200)의 상호 결합상태가 인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At least two detachable modules are configur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smart toy 10 is an operation performed by inputting a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network-connected user terminal 20,
A base module 100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mbined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200; And
Includes;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module 100,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200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based on the signal by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Smart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2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mutual coupling state of each module (100,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의 결합 모듈 형상(10i)이 표시되는 표시부(21)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 입력은 상기 결합이 이뤄진 모듈 중 선택 입력된 기능 모듈(200)을 기초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21 on which the combined module shape 10i of the combined module is displayed, and the remote control command input of the user terminal 20 is a selection input among the combined modules Smart toy, characterized in that is made o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module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기능 모듈(20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모듈(200)은 모터, 서보모터, 감지센서, 조명장치, 소리 발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modul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20 and a programmable processo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function module 200,
The function module 200 is a smart to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motor, a servo motor, a sensor, a lighting device, and a sound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듈(100, 200)은 블럭 형상으로 이뤄지며,
상기 결합이 이뤄지는 각각의 모듈에서, 일측 모듈의 결합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된 모듈 요홈부(130)가 구비되고 타측 모듈의 결합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 모듈 돌출부(120, 220)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요홈의 삽입에 의한 기구적 결합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modules (100, 200) is made of a block shape,
In each module in which the coupling is made, the module recesses 130 having at least one recess formed at the bonding position of one module are provided, and the module protrusions 120 and 220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at the bonding position of the other module It is provided with a smart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mechanical coupling by the insertion of the projection and the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요홈부(130) 또는 상기 모듈 돌출부(12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 감지센서(s1, s2)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 감지센서(s1, s2)는 상기 요홈과 돌기의 삽입에 의한 모듈간 결합을 감지하여 상기 베이스 모듈(10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According to claim 4,
At least one of the module recesses 130 or the module protrusions 120 and 220 is provided with a combination detection sensor s1, s2,
The combination detection sensor (s1, s2) is a smart toy,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module by the insertion of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the base module 10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 이뤄지는 각각의 모듈(100, 200)은 케이블(560)에 의한 전기적 결합이 이뤄지되,
상기 케이블(560)은 요홈 또는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블럭 형상의 케이블 몸체(510)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몸체(510)가 각각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요홈-돌기의 삽입에 의한 기구적 결합이 더욱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According to claim 4,
Each of the modules (100, 200) where the coupling is made is electrically coupled by the cable 560,
The cable 560 is formed to be coupled to a cable-shaped cable body 510 in which at least one of a groove or a protrusion is formed, and the cable body 510 is formed by insertion of a groove-projection with at least one of each module. A smart toy characterized by more mechanical coupl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560)의 중앙부는 케이블 몸체(510) 내부에 내설되며, 상기 케이블(560)의 외부 돌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The method of claim 6,
The central part of the cable 560 is installed inside the cable body 510, the smart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rotruding length of the cable 560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원격 제어명령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이뤄진 GUI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에 기초한 제어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토이.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20 is a control command based on a GUI-based application program made by a preset programming language.
KR1020180162818A 2018-12-17 2018-12-17 Smart toy KR102205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18A KR102205158B1 (en) 2018-12-17 2018-12-17 Smart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18A KR102205158B1 (en) 2018-12-17 2018-12-17 Smart t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375A true KR20200080375A (en) 2020-07-07
KR102205158B1 KR102205158B1 (en) 2021-01-20

Family

ID=7160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818A KR102205158B1 (en) 2018-12-17 2018-12-17 Smart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15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841U (en) *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로보로보 A sensor robot for student
KR101696151B1 (en) * 2016-06-09 2017-01-12 신재광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JP2018134452A (en) * 2018-04-11 2018-08-30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Block, block system, and display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841U (en) *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로보로보 A sensor robot for student
KR101696151B1 (en) * 2016-06-09 2017-01-12 신재광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JP2018134452A (en) * 2018-04-11 2018-08-30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Block, block system, and display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FIBRICKS: INTERACTIVE BUILDING BLOCKS BASED ON RF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158B1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086B2 (en) Toy building system with function building elements
TWI452544B (en) Remote control apparatus
KR101696151B1 (en) MODULAR ROBOTICS SYSTEM BASED ON IoT
CN102855744B (en) Based on infrared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for smart mobile phone
KR20180032623A (en) Intelligent home wireless control system
ES2795409T3 (en) Home automation system
KR102273306B1 (en) A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EP3698338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element in a display device
CN110622231B (en) Programming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ming method
CN104238740B (en) Man-machine dialogue equipment and system
KR20170053185A (en) Motion control system for block kits using motion cards, and thereof method
WO20070722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issioning a remote controller
KR200480780Y1 (en) A sensor robot for student
KR20200086834A (en) A Programable Module Assembly And Executable Code Producing System Therefore
EP3511061B1 (en) Toy building system and peripheral assemblage thereof
KR102205158B1 (en) Smart toy
KR102083091B1 (en) Device for software coding training
TWI568273B (en) Infrared remote control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of home appliance
TWM466428U (en)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 device
KR102092300B1 (en) Multi control device
KR1025168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US20170346318A1 (en) Sensory and Control Platform for an Automation System
KR101840826B1 (en) Unplugged robot programming system using remote controller
KR100755552B1 (en) Apparatus for relay and copy of remocon code
KR101583826B1 (en) Remote inpu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