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213A - 전열 포트 - Google Patents

전열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213A
KR20200080213A KR1020200078696A KR20200078696A KR20200080213A KR 20200080213 A KR20200080213 A KR 20200080213A KR 1020200078696 A KR1020200078696 A KR 1020200078696A KR 20200078696 A KR20200078696 A KR 20200078696A KR 20200080213 A KR20200080213 A KR 2020008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ousing
electrolytic water
heating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049B1 (ko
Inventor
김영태
김노을
Original Assignee
김노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206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0101B1/ko
Application filed by 김노을 filed Critical 김노을
Priority to KR102020007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0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material to be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681Plates having mobile part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kettles, pans, or the like

Landscapes

  • Cooker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열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열 포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열 포트{Electric heating port}
본 발명은 전열 포트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액체, 예를들면 물을 가열하는 다양한 전열 포트가 판매되고 있고, 또한 이를 개량하는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다양한 용도에 가열된 액체, 예를들면 온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산업화 및 기술화에 개인의 삶의 패턴이 변하고 시간 활용의 중요성에 따라 간편한 방법으로 전열 포트를 이용한 액체의 가열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하고 전열 포트의 효율을 향상의 기술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 안정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전열 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열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열 포트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가열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절연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의 각각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부를 향하는 상면부 및 그 반대를 향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의 복수의 전극은 상기 상면부 및 바닥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된 열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열 포트는 전기적 안정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도 2의 a, b, c의 확대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5의 전열 포트의 인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전열 포트의 사용 시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a, 도 4b, 도 4c는 도 2의 K, L, M의 확대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100)는 본체부(110) 및 가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가열부(150)와 일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열부(150)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와 가열부(150)는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10)와 가열부(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110)와 가열부(150)가 접하거나 본체부(110)와 가열부(150)의 사이에 중간 부재가 더 배치된 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와 가열부(15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10)는 액체(WT)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WT)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150)를 통하여 가열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액체(WT)는 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 전열 포트(100)는 사용자가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액체(WT)가 따르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본체부(11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출구부(112)가 본체부(110)의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열 포트(100)에 대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부(110)의 일 영역에 손잡이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17)에는 전열 포트(1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나 이상의 버튼 부재(B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부재(BP)는 물리적으로 별도의 형태를 갖는 버튼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도시된 버튼 형태를 포함할수도 있다.
가열부(150)는 본체부(110)에 열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열부(150)는 본체부(1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WT)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150)는 하우징(151), 전극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1)은 전해수(IW)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수(IW)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W)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희석된 증류수, 여과수, 생수, 수돗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수(IW)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로는 식용소다, 아산염, 규산염, 폴리 인산염의 무기질, 아민류, 옥시산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청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하우징(151)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전해수(IW)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W)를 하우징(151)에 채운 후 전해수(IW)가 하우징(15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우징(151)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51)은 필요 시 전해수(IW)를 보충할 수 있는 보충 유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보충 유입부와 별도로 또는 보충 유입부를 이용하여 하우징(151)내의 전해수(IW)를 배출하여 전해수(IW)를 새로 교환하거나 하우징(151)내의 공간을 전해수(IW)가 없는 상태로 보관하거나 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하우징(151)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151)은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51)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151)은 불소 수지인 테프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우징(151)의 면 중 전해수(IW)와 인접한 내측면에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프론 수지층은 절연성 테프론층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51)의 면 중 전해수(IW)와 인접한 내측면에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51)은 본체부(110)의 외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원과 유사한 형태의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51)은 낮은 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바닥부(151a), 측면부(151b) 및 상면부(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152)는 하우징(151)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152)는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은 각각 하우징(151)내의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은 전극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 받고 전극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전극부(152)의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하우징(151)내의 전해수(IW)는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IW)의 열은 본체부(110)에 전달되어 수용 공간 내의 액체(WT)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된 채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된 채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선형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이 연장되어 형성된 각각의 단부는 하우징(151)의 영역, 구체적 예로서 측면부(151b)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은 하우징(151)의 바닥부(151a) 및 상면부(151c)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1 전극(152a) 및 제2 전극(152b)의 일 영역과 연결된 도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도전부(미도시)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으로서, 전극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15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하우징(15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극부(152)는 3상의 형태로서 3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a, 도 4b, 도 4c는 도 2의 K, L, M의 확대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우징의 바닥부(151a')는 외부층(OL) 및 내부층(IL)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층(OL)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층(OL)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IL)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내부층(IL)은 세라믹 재료등과 같은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내부층(IL)은 수지층과 같은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일 예로서 내부층(IL)은 절연성 테프론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층(IL)은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우징의 측면부(151b')는 외부층(OL) 및 내부층(IL)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층(OL)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층(OL)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IL)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내부층(IL)은 세라믹 재료등과 같은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내부층(IL)은 수지층과 같은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일 예로서 내부층(IL)은 절연성 테프론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층(IL)은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우징의 상면부(151c')는 외부층(OL) 및 내부층(IL)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층(OL)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층(OL)은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IL)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내부층(IL)은 세라믹 재료등과 같은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내부층(IL)은 수지층과 같은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일 예로서 내부층(IL)은 절연성 테프론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층(IL)은 정전기 방지 테프론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는 가열부의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의 열은 본체부에 전달되고 본체부의 액체는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열 포트의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온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전극부의 전극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가 배치되는 하우징 또는 적어도 하우징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전열 포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가열하고 전해수의 열을 통하여 본체부의 액체를 가열하는 전열 포트로서 직접적인 액체 가열로 인한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200)는 본체부(210) 및 가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가열부(250)와 일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열부(250)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와 가열부(250)는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210)와 가열부(2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210)와 가열부(250)가 접하거나 본체부(210)와 가열부(250)의 사이에 중간 부재가 더 배치된 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와 가열부(25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210)는 액체(WT)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WT)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250)를 통하여 가열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액체(WT)는 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 전열 포트(200)는 사용자가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액체(WT)가 따르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본체부(21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출구부(212)가 본체부(210)의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열 포트(200)에 대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부(210)의 일 영역에 손잡이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17)에는 전열 포트(2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나 이상의 버튼 부재(B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부재(BP)는 물리적으로 별도의 형태를 갖는 버튼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도시된 버튼 형태를 포함할수도 있다.
가열부(250)는 본체부(210)에 열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열부(250)는 본체부(2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WT)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250)는 하우징(251), 전극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51)은 전해수(IW)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수(IW)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W)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희석된 증류수, 여과수, 생수, 수돗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수(IW)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로는 식용소다, 아산염, 규산염, 폴리 인산염의 무기질, 아민류, 옥시산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청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하우징(251)은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151)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전극부(252)는 하우징(251)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252)는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은 각각 하우징(251)내의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은 전극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 받고 전극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전극부(252)의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하우징(251)내의 전해수(IW)는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IW)의 열은 본체부(210)에 전달되어 수용 공간 내의 액체(WT)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된 채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은 적어도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5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전극(252a)은 곡선 영역(C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52a)은 곡선 영역(CP)과 연결되고 인출 영역을 포함하는 직선 영역(S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곡선 영역(CP)은 하우징(25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반원 또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252b)은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52a)과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의 형태를 통하여 전극부(252)와 전해수(IW)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고 하우징(251)내의 전해수(IW)에 대한 가열의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의 곡선 영역의 각각의 단부는 하우징(251)의 영역, 구체적 예로서 측면부(251b)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은 하우징(251)의 바닥부(251a) 및 상면부(251c)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1 전극(252a) 및 제2 전극(252b)의 일 영역과 연결된 도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도전부(미도시)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으로서, 전극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25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하우징(25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극부(252)는 3상의 형태로서 3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열 포트(200')는 본체부(미도시) 및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는 지지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8의 전열 포트(200')는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의 전열 포트(200)에 지지부(253')가 더 추가된 형태일 수 있다.
지지부(253')는 전극부(25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53')는 제1 지지 부재(253a') 및 제2 지지 부재(2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53a')는 제1 전극(252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 부재(253a')는 제2 전극(252b)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52a)은 제1 지지 부재(253a')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전극(252b)은 제2 지지 부재(25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 또는 접합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253')는 하우징(251)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하우징(251)의 바닥부(251a)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바닥부(251a)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253')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수지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지지부(25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는 가열부의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의 열은 본체부에 전달되고 본체부의 액체는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열 포트의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온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전극부의 전극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을 진행할 수 있다. 전극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곡선 영역을 포함하여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전해수에 대한 가열 효율을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전열 포트의 효율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전열 포트에 대한 이동이나 운동 시에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안정적 배치를 용이하게 하여 전극부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하고 전해수에 대한 가열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가 배치되는 하우징 또는 적어도 하우징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전열 포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가열하고 전해수의 열을 통하여 본체부의 액체를 가열하는 전열 포트로서 직접적인 액체 가열로 인한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300)는 본체부(310) 및 가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가열부(350)와 일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3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열부(350)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와 가열부(350)는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310)와 가열부(3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310)와 가열부(350)가 접하거나 본체부(310)와 가열부(350)의 사이에 중간 부재가 더 배치된 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와 가열부(35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310)는 액체(WT)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WT)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350)를 통하여 가열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액체(WT)는 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 전열 포트(300)는 사용자가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액체(WT)가 따르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본체부(31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출구부(312)가 본체부(310)의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열 포트(300)에 대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부(310)의 일 영역에 손잡이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17)에는 전열 포트(3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나 이상의 버튼 부재(B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부재(BP)는 물리적으로 별도의 형태를 갖는 버튼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도시된 버튼 형태를 포함할수도 있다.
가열부(350)는 본체부(310)에 열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열부(350)는 본체부(3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WT)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350)는 하우징(351), 전극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51)은 전해수(IW)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수(IW)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W)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희석된 증류수, 여과수, 생수, 수돗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수(IW)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로는 식용소다, 아산염, 규산염, 폴리 인산염의 무기질, 아민류, 옥시산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청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하우징(351)은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151)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51)과 본체부(310)의 사이에 절연층(35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357)은 다양한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세라믹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절연층(357)은 하우징(351)의 상부면에 세라믹 코팅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층(357)은 유기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전극부(352)는 하우징(351)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352)는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은 각각 하우징(351)내의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은 전극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 받고 전극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전극부(352)의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하우징(351)내의 전해수(IW)는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IW)의 열은 본체부(310)에 전달되어 수용 공간 내의 액체(WT)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된 채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은 적어도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35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전극(352a)은 곡선 영역(C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352a)은 곡선 영역(CP)과 연결되고 인출 영역을 포함하는 직선 영역(S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곡선 영역(CP)은 하우징(35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반원 또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352b)은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352a)과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의 형태를 통하여 전극부(352)와 전해수(IW)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고 하우징(351)내의 전해수(IW)에 대한 가열의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의 곡선 영역의 각각의 단부는 하우징(351)의 영역, 구체적 예로서 측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은 하우징(351)의 바닥부 및 상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1 전극(352a) 및 제2 전극(352b)의 일 영역과 연결된 도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도전부(미도시)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으로서, 전극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35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하우징(35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극부(352)는 3상의 형태로서 3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53)가 전극부(35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353)는 제1 지지 부재(353a) 및 제2 지지 부재(3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53a)는 제1 전극(352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 부재(353a)는 제2 전극(352b)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352a)은 제1 지지 부재(353a)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전극(352b)은 제2 지지 부재(35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 또는 접합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353)는 하우징(351)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하우징(351)의 바닥부(351a)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바닥부(351a)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353')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수지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지지부(35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는 가열부의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의 열은 본체부에 전달되고 본체부의 액체는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열 포트의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온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전극부의 전극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을 진행할 수 있다. 전극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곡선 영역을 포함하여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전해수에 대한 가열 효율을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전열 포트의 효율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의 하우징과 본체부의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가열부에서의 전류, 예를들면 하우징 내의 전해수를 통한 전류가 본체부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전열 포트에 대한 이동이나 운동 시에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안정적 배치를 용이하게 하여 전극부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하고 전해수에 대한 가열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가 배치되는 하우징 또는 적어도 하우징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전열 포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가열하고 전해수의 열을 통하여 본체부의 액체를 가열하는 전열 포트로서 직접적인 액체 가열로 인한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400)는 본체부(410) 및 가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10)는 가열부(450)와 일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4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열부(450)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410)와 가열부(450)는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410)와 가열부(4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410)와 가열부(450)가 접하거나 본체부(410)와 가열부(450)의 사이에 중간 부재가 더 배치된 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410)와 가열부(45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410)는 액체(WT)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WT)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450)를 통하여 가열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액체(WT)는 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 전열 포트(400)는 사용자가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액체(WT)가 따르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본체부(41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출구부(412)가 본체부(410)의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열 포트(400)에 대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부(410)의 일 영역에 손잡이부(4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17)에는 전열 포트(4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나 이상의 버튼 부재(B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부재(BP)는 물리적으로 별도의 형태를 갖는 버튼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도시된 버튼 형태를 포함할수도 있다.
가열부(450)는 본체부(410)에 열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열부(450)는 본체부(4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WT)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450)는 하우징(451), 전극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51)은 전해수(IW)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수(IW)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W)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희석된 증류수, 여과수, 생수, 수돗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수(IW)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로는 식용소다, 아산염, 규산염, 폴리 인산염의 무기질, 아민류, 옥시산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청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하우징(451)은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151)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51)과 본체부(410)의 사이에 절연층(45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457)은 다양한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세라믹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절연층(457)은 하우징(451)의 상부면에 세라믹 코팅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층(457)은 유기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51)과 본체부(410)의 사이에 열전달부(4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열전달부(4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열전달부(460)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열전달부(460)는 절연층(457)과 본체부(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전달부(460)는 본체부(410)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열전달부(460)는 가열부(450)에서 발생한 열이 본체부(410)로 용이하게 전달되고 측면으로 방열되는 것을 감소하여 전열 포트(400)의 열효율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열전달부(460)는 본체부(410)의 바닥부를 보호할 수 있어 본체부(410)의 손상을 감소하고 사용 수명을 증가할 수 있다.
전극부(452)는 하우징(451)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452)는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은 각각 하우징(451)내의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은 전극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 받고 전극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전극부(452)의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하우징(451)내의 전해수(IW)는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IW)의 열은 본체부(410)에 전달되어 수용 공간 내의 액체(WT)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된 채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은 적어도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45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전극(452a)은 곡선 영역(C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452a)은 곡선 영역(CP)과 연결되고 인출 영역을 포함하는 직선 영역(S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곡선 영역(CP)은 하우징(45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반원 또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452b)은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452a)과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의 형태를 통하여 전극부(452)와 전해수(IW)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고 하우징(451)내의 전해수(IW)에 대한 가열의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의 곡선 영역의 각각의 단부는 하우징(451)의 영역, 구체적 예로서 측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은 하우징(451)의 바닥부 및 상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1 전극(452a) 및 제2 전극(452b)의 일 영역과 연결된 도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도전부(미도시)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으로서, 전극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45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하우징(45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극부(452)는 3상의 형태로서 3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53)가 전극부(45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53)는 제1 지지 부재(453a) 및 제2 지지 부재(4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453a)는 제1 전극(452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 부재(453a)는 제2 전극(452b)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452a)은 제1 지지 부재(453a)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전극(452b)은 제2 지지 부재(45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 또는 접합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453)는 하우징(451)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하우징(451)의 바닥부(451a)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바닥부(451a)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453')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수지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지지부(45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는 가열부의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의 열은 본체부에 전달되고 본체부의 액체는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열 포트의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온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전극부의 전극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을 진행할 수 있다. 전극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곡선 영역을 포함하여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전해수에 대한 가열 효율을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전열 포트의 효율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의 하우징과 본체부의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가열부에서의 전류, 예를들면 하우징 내의 전해수를 통한 전류가 본체부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의 하우징과 본체부의 사이에 열전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가열부에서의 열이 본체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전열 포트의 열효율을 향상할수 있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전열 포트에 대한 이동이나 운동 시에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안정적 배치를 용이하게 하여 전극부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하고 전해수에 대한 가열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가 배치되는 하우징 또는 적어도 하우징 내측 공간을 절연 물질로 형성하여 외부로 전류의 누출을 감소 또는 차단하여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전열 포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가열하고 전해수의 열을 통하여 본체부의 액체를 가열하는 전열 포트로서 직접적인 액체 가열로 인한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도 15의 전열 포트의 인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500)는 본체부(510) 및 가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10)는 가열부(550)와 일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5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열부(550)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510)와 가열부(550)는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510)와 가열부(5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510)와 가열부(550)가 접하거나 본체부(510)와 가열부(550)의 사이에 중간 부재가 더 배치된 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510)와 가열부(55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510)는 액체(WT)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WT)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550)를 통하여 가열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액체(WT)는 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 전열 포트(500)는 사용자가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액체(WT)가 따르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본체부(51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출구부(512)가 본체부(510)의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열 포트(500)에 대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부(510)의 일 영역에 손잡이부(5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517)에는 전열 포트(5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나 이상의 버튼 부재(B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부재(BP)는 물리적으로 별도의 형태를 갖는 버튼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도시된 버튼 형태를 포함할수도 있다.
가열부(550)는 본체부(510)에 열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열부(550)는 본체부(5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WT)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550)는 하우징(551), 전극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51)은 전해수(IW)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수(IW)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전해수(IW)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희석된 증류수, 여과수, 생수, 수돗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수(IW)에 포함된 전해질 물질로는 식용소다, 아산염, 규산염, 폴리 인산염의 무기질, 아민류, 옥시산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청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하우징(551)은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151)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551)과 본체부(510)의 사이에 절연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551)과 본체부(510)의 사이에 열전달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열전달부(미도시)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극부(552)는 하우징(551)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극부(552)는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은 각각 하우징(551)내의 전해수(IW)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은 전극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 받고 전극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전극부(552)의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하우징(551)내의 전해수(IW)는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IW)의 열은 본체부(510)에 전달되어 수용 공간 내의 액체(WT)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은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된 채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은 적어도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55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전극(552a)은 곡선 영역(C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552a)은 곡선 영역(CP)과 연결되고 인출 영역을 포함하는 직선 영역(S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곡선 영역(CP)은 하우징(55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반원 또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552b)은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552a)과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의 형태를 통하여 전극부(552)와 전해수(IW)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고 하우징(551)내의 전해수(IW)에 대한 가열의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의 곡선 영역의 각각의 단부는 하우징(551)의 영역, 구체적 예로서 측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은 하우징(551)의 바닥부 및 상면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1 전극(552a) 및 제2 전극(552b)의 일 영역과 연결된 도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도전부(미도시)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으로서, 전극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55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하우징(55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극부(552)는 3상의 형태로서 3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553)가 전극부(55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553)는 제1 지지 부재(553a) 및 제2 지지 부재(5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553a)는 제1 전극(552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 부재(553a)는 제2 전극(552b)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552a)은 제1 지지 부재(553a)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전극(552b)은 제2 지지 부재(55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 또는 접합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553)는 하우징(551)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하우징(551)의 바닥부(551a)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바닥부(551a)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553')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수지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지지부(55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551)의 일 영역에 인입부(580)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580)는 하우징(551)내의 전해수(IW)의 보충을 위한 영역이 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17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급 라인(IL)이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공급 라인(IL)을 통하여 전해수(IW)를 하우징(551)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입부(580)는 하우징(551)내의 전해수(IW)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1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입부(580)를 하우징(551)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해제하여 하우징(551)으로부터 전해수(IW)를 모두 또는 일부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열 포트는 가열부의 전극부의 전극에 인가된 전류의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의 열은 본체부에 전달되고 본체부의 액체는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열 포트의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에게 온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전극부의 전극에 대한 전류의 용이한 제어를 통하여 전해수에 대한 안정적인 가열을 진행할 수 있다. 전극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곡선 영역을 포함하여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전해수에 대한 가열 효율을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액체를 용이하게 가열하여 전열 포트의 효율을 향상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인입부를 이용하여 전해수를 필요할 때에 공급하여 하우징 내의 전해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가열된 전해수를 통한 본체부에 공급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인입부를 통하여 전해수를 본체부에서 배출할 수 있어 본체부 내의 수리 또는 전열 포트의 미사용 시 전열 포트의 보관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열 포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전열 포트의 사용 시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열 포트(600)는 본체부(610) 및 가열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610)와 가열부(650)는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610)는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액체가 따르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본체부(61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출구부(612)가 본체부(610)의 수용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열 포트(600)에 대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부(610)의 일 영역에 손잡이부(6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617)에는 전열 포트(6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나 이상의 버튼 부재(BP)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610)와 가열부(65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열부(650)를 통한 본체부(610)의 액체에 대한 가열이 완료된 후에 본체부(610)를 가열부(65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액체를 배출, 예를들면 컵에 따를 수 있도록 본체부(610)와 가열부(65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열부(650)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열 포트는 선택적으로 도 18 및 도 19와 같이 본체부와 가열부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전열 포트
110, 210, 310, 410, 510, 610: 본체부
150, 250, 350, 450, 550, 650: 가열부

Claims (1)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열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전해수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수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액체가 수용 시 상기 수용된 액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전극부를 대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전해수와 접하도록 절연성 소재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전열 포트.
KR1020200078696A 2018-10-10 2020-06-26 전열 포트 KR10245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96A KR102451049B1 (ko) 2018-10-10 2020-06-26 전열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08A KR102130101B1 (ko) 2018-10-10 2018-10-10 전열 포트
KR1020200078696A KR102451049B1 (ko) 2018-10-10 2020-06-26 전열 포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08A Division KR102130101B1 (ko) 2018-10-10 2018-10-10 전열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213A true KR20200080213A (ko) 2020-07-06
KR102451049B1 KR102451049B1 (ko) 2022-10-05

Family

ID=8359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696A KR102451049B1 (ko) 2018-10-10 2020-06-26 전열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0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857A (ko) * 2004-12-14 2006-06-20 김형우 전기 포트의 발열장치
US20080264926A1 (en) * 2007-04-24 2008-10-30 Zheng Peng Cooking range
KR101112122B1 (ko) * 2011-07-22 2012-02-14 (주)대성기연 전기 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857A (ko) * 2004-12-14 2006-06-20 김형우 전기 포트의 발열장치
US20080264926A1 (en) * 2007-04-24 2008-10-30 Zheng Peng Cooking range
KR101112122B1 (ko) * 2011-07-22 2012-02-14 (주)대성기연 전기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049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101B1 (ko) 전열 포트
CN106711547A (zh) 一种热管理装置及动力电源装置
CA2482911A1 (en) Plasma arc torch electrode
KR102114427B1 (ko) 전극 보일러 시스템
CN104583131A (zh) 液体处理装置以及液体处理方法
KR20200080213A (ko) 전열 포트
JP4594357B2 (ja) 殺菌剤製造装置
CN102412176A (zh) 托盘及具有其的晶片处理设备
CN2789279Y (zh) 微弧氧化摩擦式阴极
CN105830274B (zh) 熔融盐电池
US20160130714A1 (en) Holding device and high-speed plat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same
CN104404591B (zh) 基于分离式补偿阴极提高膜层厚度均匀性和能量利用率的微弧氧化装置
CN110408977A (zh) 一种多尺度强化沸腾功能表面及复合制备方法
CN206480732U (zh) 一种加热装置及电源装置
CN103208439A (zh) 一种用于半导体介质刻蚀机的气体分配加热器
RU2772868C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сосуд
CN105862119B (zh) 抛光槽和抛光设备
CN209227087U (zh) 一种微弧氧化装置
CN210040393U (zh) 一种石墨烯基纳米硅碳锂动力电池
CN216775052U (zh) 一种异型半导体纳米电热膜发热体
CN207567365U (zh) 一种用于微弧氧化的挂具
US10218042B2 (en) Heat dissipating device for an electrochemical storage device
CN201754646U (zh) 等离子处理设备
CN220958883U (zh) 玻璃加热设备
CN114423103A (zh) 一种异型半导体纳米电热膜发热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