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999A -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999A
KR20200079999A KR1020180169789A KR20180169789A KR20200079999A KR 20200079999 A KR20200079999 A KR 20200079999A KR 1020180169789 A KR1020180169789 A KR 1020180169789A KR 20180169789 A KR20180169789 A KR 20180169789A KR 20200079999 A KR20200079999 A KR 2020007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ental
oral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3893B1 (en
Inventor
이현섭
김진덕
김태형
나보아
정성목
정준호
조민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93B1/en
Publication of KR2020007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A method for managing a dental pat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treat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set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nd provide the set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 notification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a dental patient terminal.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he disease by removing the source of the onset of the dental disease and taking precautions. 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atient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their teeth,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patient hygiene management information for dental hygienists, management coordinators, and dentists.

Description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치과 환자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의료정보를 기초로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여 이를 치과 서버 및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ntal patient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oral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a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as a notification to a dental server and a dental patient terminal.

일반 가정에서 의료비 지출이 가장 높은 부분 중 하나가 치과 진료 부분이다. 그 이유는 타 진료 영역에 비하여 예방 및 의원 방문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Dental care is one of the most common medical expenses in homes. The reason is that awareness of prevention and visits to clinics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areas of care.

구강질환 초기에는 단순 출혈, 약간의 시림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환자들이 크게 염려하지 않는 증상이며, 치과 진료에 대한 막연한 공포심 등으로 치료 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치주질환으로 발전하여 더욱 많은 의료비 지출이 발생하게 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In the early stages of oral disease, symptoms such as simple bleeding and slight swelling appear. This is a symptom that patients are not very concerned about, and sometimes the treatment time is missed due to vague fear of dental treatment. In this case, it develops into periodontal disease, leading to a vicious cycle in which more medical expenses are incurred.

이에 질환 예방 및 의원 방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등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치과 환자 관리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ervice to secure competitiveness, such as preventing disease and raising awareness of clinic visits.

2010년 초반 치과 진료는 임플란트, 교정 영역에서 큰 수익이 발생하였지만, 최근에는 각 영역의 재료비 및 비용 감소 전문 치과의원의 등장(임플란트 전문 치과, 교정 전문 치과 등)으로 많은 일반 치과 의원의 수익률 악화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In early 2010, dental care generated significant profits in the area of implants and orthodontics, but recently, the decline in material cost and cost in each area has led to the emergence of specialized dental clinics (implant-specialized dentistry, orthodontic dentistry, etc.), which has deteriorated the yield of many general dental clinics. It is appearing.

이에 기존의 치과 진료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이 한계가 있어, 현재 많은 치과에서는 환자 관리를 위한 ICT 융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limit to generating profits through existing dental care, and many dentists are currently constructing an ICT convergence system for patient management.

특히 최근 치과 치료의 패러다임 중 크게 주목받고 있는 부분이 병증의 발현 이후 치과의 방문이 아닌 병증 발현 억제임에 따라, 치위생이라는 개념과 함께 치과 병증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관리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몇몇 치과에서는 관리 시스템 및 환경을 구성하여 환자에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기도 한다.In particular, as a part of the recent paradigm of dental treatment, which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s to suppress the manifestation of the disease rather than the visit of the dentist after the manifestation of the disease, a concept of dental hygiene and many management techniques for suppressing the manifestation of the dental disease have appeared. Some dentists have established management systems and environments to serve patients.

다만 기존 환자 관리 서비스의 경우, 단순히 방문 내역, 치료 내역 등 병원에서 필요한 환자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큰 메리트를 가질 수 없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즉, 치과 방문 환자의 충성도를 끌어올려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patient management service, it is simply used for patient management required in the hospital, such as visit history and treatment history, an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have a great advantage from the patient's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there is no system to increase the loyalty of the patients visiting the dentist and increase the revisit rate.

이에 병원뿐만 아니라, 환자의 입장에서도 환자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누릴 수 있는 새로운 치과 환자 관리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dental patient management technology that can enjoy the functions of a patient management system not only in a hospital but also in a patient's positio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5999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5999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11024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611024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9-312201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99-3122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치과 질환이 발병하는 근원을 제거하고, 이를 선조치하여 질환 발생의 확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a source of dental disease, and to preemptively reduce the probability of disease occurrence.

또한 본 발명은 치과에 종사하는 치위생사 및 관리 코디네이터가 보다 효과적으로 환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체계적인 환자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systematic patient management by configuring an interface so that a dental hygienist and a management coordinator engaged in dentistry can perform patient management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경우 현재 자신의 치아 상태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치위생사, 관리 코디네이터 및 치과의사의 경우 환자의 위생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able patients to be aware of their current dental condition,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hygiene management information of patients in the case of dental hygienists, management coordinators, and dentists.

또한 본 발명은 자체적 치과 서버 및 치과 환자 단말기를 별도로 포함하여 환자별 맞춤형 매뉴얼, 카테고리 설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ake it easy to set customized manuals and categories for each patient by separately including its own dental server and dental patien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단순 치과 환자 관리뿐만 아니라, 환자 및 치과 의료진들을 위한 교육 제공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자체 구강 관리, 효율적인 관리 업무 역량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hance self-oral management and efficient management work capabilities by providing an education provision module for patients and dental medical staff, as well as simple dental patient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들을 대상으로만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inimiz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y receiving and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only for patients who have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환자들의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내원일자를 스케줄링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be able to manage patients more efficiently by scheduling visit dates according to priorities based on oral conditions of patients and continuously updating them.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환자별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의료정보 수신부,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는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device that receives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patient-specific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 oral management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nd a notification unit for providing the set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a dental patient terminal can do.

이 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및 치과 환자 단말기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ly include at least one dental server and a dental patient terminal.

의료정보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may receive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s who have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는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로 내원 후보일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산출하는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 산출된 환자별 내원 후보일자를 수신된 환자별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부, 스케줄링을 기초로 환자별 내원일자를 확정하는 내원일자 확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management information setting unit is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nd the hospital candidate d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t least one hospital candidate date for each patient, and the calculated hospital visit date for each patient is prioritized based on the oral condition of each patient. Accordingly, the scheduling unit may include a scheduling unit and an appointment d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patient visit dates based on scheduling.

알림부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모듈을 포함하여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기 설정된 시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may provide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ncluding a Google Cloud Messaging (GCM) module, as a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dental patient terminal at a preset time.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Meanwhile, whenever medic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may be set and provided to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a dental patient terminal for updating.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를 통해 의료정보 수신부 내지 알림부의 사용법,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 영상을 제공하는 교육 영상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ducational image providing unit providing an educational image including a method of receiving a medical information or a notification unit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dental servers, and oral and basic examination methods. .

이 때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은 구강 촬영, 치면세균막 검사, 탐침(Probing), 치석탐지술(Exploring), 불소도포 및 구치측정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ic and detailed examination methods of the oral cavity may include oral imaging, dental microscopic examination, probing, exploring fluoride, fluoride application, and molar measur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은 의료정보 수신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환자별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의료정보 수신단계,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에서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는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 알림부에서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in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the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at least one or more patient-specific oral care information set in the notification unit It may include a notification step of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dental server or dental patient terminal.

이 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및 치과 환자 단말기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ly include at least one dental server and a dental patient terminal.

의료정보 수신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may receive medical information for a patient who has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는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에서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로 내원 후보일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산출하는 내원 후보일자 산출단계, 스케줄링부에서 산출된 환자별 내원 후보일자를 수신된 환자별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단계, 내원일자 확정부에서 스케줄링을 기초로 환자별 내원일자를 확정하는 내원일자 확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the visit candidate date calculation step calculates at least one visit candidate date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sit candidate date calculation unit, and receives the visit candidate date for each patient calculated by the scheduling unit It may include a scheduling step of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based on the oral condition for each patient, and a confirmation date of visit date for determining the date of visit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scheduling in the hospital date determination unit.

알림단계는 알림부에 GCM(Google Cloud Messaging) 모듈을 포함하여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기 설정된 시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tep may provide the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ncluding a GCM (Google Cloud Messaging) module, to the notification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as a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dental patient terminal.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Meanwhile, whenever medic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may be set and provided to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a dental patient terminal for updating.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은 교육 영상 제공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를 통해 의료정보 수신단계 내지 알림단계의 사용법,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 영상을 제공하는 교육 영상 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ducational image providing educational image including a method of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or using a notification step, an oral basic and detailed examination method through at least one dental server in an educational image provid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providing step.

이 때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은 구강 촬영, 치면세균막 검사, 탐침(Probing), 치석탐지술(Exploring), 불소도포 및 구치측정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ic and detailed examination methods of the oral cavity may include oral imaging, dental microscopic examination, probing, exploring fluoride, fluoride application, and molar measure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s described above,

첫째, 치과 질환이 발병하는 근원을 제거하고, 이를 선조치하여 질환 발생의 확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rst,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bability of disease occurrence by removing the root cause of the dental disease and taking precautions.

둘째, 치과에 종사하는 치위생사 및 관리 코디네이터가 보다 효과적으로 환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체계적인 환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by configuring an interface so that the dental hygienist and management coordinator engaged in dentistry can perform patient management more effectively,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systematic patient management.

셋째, 환자의 경우 현재 자신의 치아 상태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치위생사, 관리 코디네이터 및 치과의사의 경우 환자의 위생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ird, patients can be aware of their current dental condition, and dental hygienists, management coordinators, and dentists have the effect of systematically managing patient hygiene information.

넷째, 자체적 치과 서버 및 치과 환자 단말기를 별도로 포함하여 환자별 맞춤형 매뉴얼, 카테고리 설정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Fourth, a separate manual for each patient and a category can be easily set by including a separate dental server and a dental patient terminal.

다섯째, 단순 치과 환자 관리뿐만 아니라, 환자 및 치과 의료진들을 위한 교육 제공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자체 구강 관리, 효율적인 관리 업무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fth, by providing an education provision module for patients and dental medical staff, as well as simple dental patient management, it has the effect of enhancing its own oral management and efficient management work capabilities.

여섯째,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들을 대상으로만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ixth, it is possible to minimiz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y receiving and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only for patients who have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일곱째, 환자들의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내원일자를 스케줄링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들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eventh, by scheduling the visit date according to the priority based on the oral condition of the patients, and continuously updating it, it has the effect of managing patients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130)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S130)를 나타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FIG. 1 or FIG. 2.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S130) according to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의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 best way of his own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atching meaning and concept.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13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FIG. 1 or FIG. 2.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은 의료정보 수신부(110),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130) 및 알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은 치과 서버(200) 및 치과 환자 단말기(300)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자체적 치과 서버(200) 및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환자별 맞춤형 매뉴얼, 카테고리 설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실시예라 할 수 있다. 이 때 치과 환자 단말기(300)는 휴대용 전화기, PC 등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라 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1,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n oral management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and a notification unit 150. . In this case,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ntal server 200 and a dental patient terminal 300 separately. This can be said to be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specific manual and category can be easily set in the own dental server 200 and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At this time,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may be referred to as various types of terminal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C.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정보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로부터 환자별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치과 서버(200)로부터 환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1 and 2,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patient-specific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Can. This can be said to be a component for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dental server 200.

이 때 의료정보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로부터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들을 대상으로만 의료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medical information for a patient who has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This can be said to minimize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by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only for patients who have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130)는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환자별로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관리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may set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This can be said to be a component for constructing optimal management information by considering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130)는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131), 스케줄링부(133) 및 내원일자 확정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may include an admission candidate date calculation unit 131, a scheduling unit 133, and an appointment date determination unit 135.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131)는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로 내원 후보일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산출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후속관리를 위해 환자의 구강상태 및 진료정보, 개인정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보일자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 때 후보일자는 여러 환자들을 대상으로 스케줄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스케줄이 겹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일자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구강상태 및 진료정보는 후속 진료의 시급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이며, 개인정보는 환자가 내원이 가능한 요일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된 정보라 할 수 있다.The visit candidate date calculation unit 131 may calculate at least one visit candidate date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This can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for calculating the candidate date by considering the patient's oral condition, medic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follow-up management. At this time, the candidate dates may overlap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schedule for several patients, so that at least one candidate date can be calculated for each patient.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s oral condition and medical information are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urgency of the follow-up care, and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aid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day and time that the patient can visit.

스케줄링부(133)는 산출된 환자별 내원 후보일자를 수신된 환자별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는 환자별로 산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원 후보일자를 기초로 스케줄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링부(133)는 환자별 구강상태에 따라, 시급한 순서로 스케줄링하여 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scheduling unit 133 may schedule the calculated patient visit candidate date according to the priority based on the received oral condition of each patient. This can be said to be a component that adjusts so that the schedule does not overlap based on at least one candidate date calculated for each patient. At this time, the scheduling unit 133 may manage the patient more efficiently by scheduling in an urgent order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 of each patient.

내원일자 확정부(135)는 스케줄링을 기초로 환자별 내원일자를 확정할 수 있다. 이는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인 내원일자를 치과 또는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확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visit date determination unit 135 may determine a visit date for each patient based on scheduling. This can be said to be a component to determine the patient's oral care information, the date of visit to provide to the dentist or patient.

알림부(150)는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경우 현재 자신의 치아 상태 및 내원일자 스케줄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치과 의료진(치위생사, 관리 코디네이터 및 치과의사 등)의 경우 환자의 위생관리 정보 및 내원일자 스케줄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150 may provide the set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 notification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or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This enables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atient's hygiene management information and schedule of visit dates in the case of dentists (dental hygienists, management coordinators and dentists), so that patients can be aware of their current dental condition and date schedule. It can be said to be a component to enable.

이 때 알림부(150)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기 설정된 시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알림으로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Google Cloud Messaging (GCM) modul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module for providing a set of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or more dental servers 200 or dental patient terminals 300 at a preset time point.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제공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는 환자들의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내원일자를 스케줄링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Meanwhile, whenever the medic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s set and provided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or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for updating. This can be said to be able to manage patients more efficiently by scheduling visit dates and continuously updating them according to priorities based on the oral condition of patients.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은 의료정보 수신부(110),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130) 및 알림부(150)와 함께, 교육 영상 제공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ducation image providing unit 160 together with a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n oral management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and a notification unit 150. It can contain.

교육 영상 제공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를 통해 의료정보 수신부(110) 내지 알림부(150)의 사용법,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education image providing unit 160 may provide an education image including usage of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o the notification unit 150, oral basic and precise examination methods through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보다 상세하게 교육 영상 제공부(160)는 구강 촬영, 치면세균막 검사, 탐침(Probing), 치석 탐지술(Exploring), 불소 도포법, 구취 측정법, 위상차 현미경, Q scan · 큐레이 캠 · 큐레이 뷰, 구강미생물검사 · PCR, 치아우식 활성도 검사, scaling(case에 따른 tip 설별 및 적용법), 수기구 활용법, 기구연마, PMTC 치간청결물리용법, 맞춤형 TBI(개별 칫솔질법), 와타나베, 맞춤형 구강위생용품 적용(칫솔, 치약, 가글제, 보조용품 등), 불소 도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철학 · 목표 설정, 커뮤니케이션 스킬 업(치과 공포조절법), 계속관리 프로그램 보험 청구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education image providing unit 160 includes oral imaging, gingival microscopic examination, probing, calculus detection, fluoride application, bad breath measurement, phase contrast microscopy, Q scan , Oral microbial test · PCR, dental caries activity test, scaling (tip dispensing and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case), hand tool usage, instrument polishing, PMTC interdental cleansing method, customized TBI (individual brushing method), Watanabe, customized oral hygiene products It may include application (toothbrush, toothpaste, gargles, supplements, etc.), fluoride application, philosophy and goal setting as a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 up (dental fear control method), continuity management program insurance claim method, etc.

한편, 교육 영상 제공부(160)는 도 2의 제2실시예에 포함되었지만 도 1의 제1실시예에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ducation image providing unit 160 is includ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2 but may also be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S130)를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S130) according to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은 의료정보 수신단계(S110),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S130) 및 알림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may include a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an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S130), and a notification step (S150).

의료정보 수신부(11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로부터 환자별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이는 치과 서버(200)로부터 환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from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S110). This can be said to be a step for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dental server 200.

이 때 S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로부터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들을 대상으로만 의료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S110 may receive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s who have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This can be said to minimize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by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only for patients who have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130)에서 S110으로부터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130). 이는 환자별로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관리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130 may set the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received from S110 (S130). This can be said to be a step to establish optimal management information by considering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30은 내원 후보일자 산출단계(S131), 스케줄링단계(S133) 및 내원일자 확정단계(S135)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S130 may include an operation candidate date calculation step (S131 ), a scheduling step (S133 ), and an appointment date determination step (S135 ).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131)에서 S110으로부터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로 내원 후보일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산출할 수 있다(S131). 이는 환자의 후속관리를 위해 환자의 구강상태 및 진료정보, 개인정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보일자를 산출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 이 때 후보일자는 여러 환자들을 대상으로 스케줄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스케줄이 겹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일자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구강상태 및 진료정보는 후속 진료의 시급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이며, 개인정보는 환자가 내원이 가능한 요일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된 정보라 할 수 있다.The hospital candidate date calculator 131 may calculate at least one hospital candidate candidate date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S110 (S131 ). This can be said to be a step for calculating the candidate date by considering the patient's oral condition, medic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follow-up management. At this time, the candidate dates may overlap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schedule for several patients, so that at least one candidate date can be calculated for each patient.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s oral condition and medical information are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urgency of the follow-up care, and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aid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day and time that the patient can visit.

스케줄링부(133)에서 S131로부터 산출된 환자별 내원 후보일자를 수신된 환자별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줄링할 수 있다(S133). 이는 환자별로 산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원 후보일자를 기초로 스케줄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 때 S133은 환자별 구강상태에 따라, 시급한 순서로 스케줄링하여 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scheduling unit 133 may schedule the patient-specific visit date calculated from S131 according to the priority based on the oral condition of each patient (S133). This can be said to be a step of adjusting so that the schedules do not overlap based on at least one candidate date calculated for each patient. At this time, S133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by scheduling in an urgent order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 of each patient.

내원일자 확정부(135)에서 S133의 스케줄링을 기초로 환자별 내원일자를 확정할 수 있다(S135). 이는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인 내원일자를 치과 또는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확정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The visit date determination unit 135 may determine the visit date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scheduling of S133 (S135 ). This can be said to be a step to determine the patient's oral care information, the date of visit to provide to the dentist or patient.

알림부(150)에서 S130으로부터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S150). 이는 환자의 경우 현재 자신의 치아 상태 및 내원일자 스케줄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치과 의료진(치위생사, 관리 코디네이터 및 치과의사 등)의 경우 환자의 위생관리 정보 및 내원일자 스케줄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150 may provide the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set from S130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or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as a notification (S150). This enables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atient's hygiene management information and schedule of visit dates in the case of dentists (dental hygienists, management coordinators and dentists), so that patients can be aware of their current dental condition and date schedule. It can be said to be a step to make.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은 치과 서버(200) 및 치과 환자 단말기(300)를 별도로 더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자체적 치과 서버(200) 및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환자별 맞춤형 매뉴얼, 카테고리 설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치과 환자 단말기(300)는 휴대용 전화기, PC 등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100)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라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further comprising a dental server 200 and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separately. This can be said to facilitate the setting of a manual and category for each patient in the own dental server 200 and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At this time,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may be referred to as various types of terminal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00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C.

S150에서는 알림부(150)에 GCM(Google Cloud Messaging) 모듈을 포함하여 S130으로부터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기 설정된 시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S150, the notification unit 150 includes a GCM (Google Cloud Messaging) module to provide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set from S130 as a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or more dental servers 200 or dental patient terminals 300 at a preset time. can do.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300)에 제공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는 환자들의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내원일자를 스케줄링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Meanwhile, whenever the medic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s set and provided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or the dental patient terminal 300 for updating. This can be said to be able to manage patients more efficiently by scheduling visit dates and continuously updating them according to priorities based on the oral condition of pati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환자 관리 방법은 의료정보 수신단계(S110),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S130) 및 알림단계(S150)와 함께, 교육 영상 제공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an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S130) and a notification step (S150), further comprising an educational image providing step (not shown) can do.

교육 영상 제공 단계는 교육 영상 제공부(16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200)를 통해 의료정보 수신단계(S110) 내지 알림단계(S150)의 사용법,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education image providing step includes the use of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to the notification step (S150) through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200 in the education image providing unit 160, and the education image including oral basic and precise examination methods Can provide

보다 상세하게 교육 영상 제공 단계는 구강 촬영, 치면세균막 검사, 탐침(Probing), 치석 탐지술(Exploring), 불소 도포법, 구취 측정법, 위상차 현미경, Q scan · 큐레이 캠 · 큐레이 뷰, 구강미생물검사 · PCR, 치아우식 활성도 검사, scaling(case에 따른 tip 설별 및 적용법), 수기구 활용법, 기구연마, PMTC 치간청결물리용법, 맞춤형 TBI(개별 칫솔질법), 와타나베, 맞춤형 구강위생용품 적용(칫솔, 치약, 가글제, 보조용품 등), 불소 도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철학 · 목표 설정, 커뮤니케이션 스킬 업(치과 공포조절법), 계속관리 프로그램 보험 청구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teps of providing educational images include oral imaging, dental microscopic examination, probing, exploring, fluoride application, bad breath measurement, retardation microscopy, Q scan, Cury cam, Cury view, oral microbe Inspection, PCR, dental caries activity test, scaling (tip tip and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case), hand tool usage, instrument polishing, PMTC interdental cleanup physics method, customized TBI (individual brushing method), Watanabe, customized oral hygiene products (toothbrush) , Toothpaste, gargle, supplements, etc.), fluoride application, philosophy and goal setting as a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 up (dental fear control method), continuity management program insurance claim method.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nd deviates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110 : 의료정보 수신부
130 :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 131 :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
133 : 스케줄링부 135 : 내원일자 확정부
150 : 알림부 160 : 교육 영상 제공부
200 : 치과 서버 300 : 치과 환자 단말기
100: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110: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0: Oral management information setting unit 131: Visiting candidate date calculation unit
133: scheduling unit 135: date of visit confirmed
150: notification unit 160: educational video providing unit
200: dental server 300: dental patient terminal

Claims (1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환자별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의료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는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A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An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nd
And a notification unit configured to provide the set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 notification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a dental pati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및 치과 환자 단말기를 별도로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and a dental patient terminal separat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정보 수신부 내지 상기 알림부의 사용법,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 영상을 제공하는 교육 영상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education imag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education image including the usage of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or the notification unit through the at least one or more dental servers, oral basic and detailed examination meth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that receives medical information for a patient who has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from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는,
상기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로 내원 후보일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산출하는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
상기 산출된 환자별 내원 후보일자를 상기 수신된 환자별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스케줄링을 기초로 환자별 내원일자를 확정하는 내원일자 확정부;를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A visited candidate d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t least one visited candidate date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 scheduling unit for scheduling the calculated patient visit date according to a priority based on the received oral condition of each patient; And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patient d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ate of visit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schedu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상기 치과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업데이트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that sets and updates the patient-specific oral care information whenever the medic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and provides the updated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the dental pati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기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A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a dental patient terminal as a notification at a preset time point, including the GCM (Google Cloud Messaging) modu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은,
구강 촬영, 치면세균막 검사, 탐침(Probing), 치석탐지술(Exploring), 불소도포 및 구치측정 방법을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ral basic and detailed examination methods ar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oral imaging, dental microscopic examination, probing, exploring, fluoride application and premolar methods.
의료정보 수신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환자별 구강상태,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의료정보 수신단계;
구강 관리정보 설정부에서 상기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는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 및
알림부에서 상기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A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oral conditio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from at least one dental server in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n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unit; And
And a notification step in which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s the set oral car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 notification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a dental patient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및 치과 환자 단말기를 별도로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and a dental patient terminal separately.
제 9 항에 있어서,
교육 영상 제공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정보 수신단계 내지 상기 알림단계의 사용법,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 영상을 제공하는 교육 영상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Dental patient further comprising; an educational image providing unit providing an educational image including the usage of the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to the notification step, the usage of the notification step, the oral basic and the detailed examination method; Management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후속관리를 신청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A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for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for a patient who has applied for follow-up management from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정보 설정단계는,
내원 후보일자 산출부에서 상기 수신된 환자별 의료정보를 기초로 환자별로 내원 후보일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산출하는 내원 후보일자 산출단계;
스케줄링부에서 상기 산출된 환자별 내원 후보일자를 상기 수신된 환자별 구강상태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단계; 및
내원일자 확정부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초로 환자별 내원일자를 확정하는 내원일자 확정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ral care information setting step,
A hospital candidate dat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t least one hospital candidate date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n the hospital candidate date calculator;
A scheduling step in which the scheduling unit schedules the calculated patient visit date according to a priority based on the received oral condition of each patient; And
Comprising a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including; determining the date of visit to determine the date of visit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scheduling in the hospital date determination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상기 치과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업데이트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that sets and provides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the dental patient terminal whenever the medic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는,
상기 알림부에 GCM(Google Cloud Messaging)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설정된 환자별 구강 관리정보를 기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과 서버 또는 치과 환자 단말기에 알림으로 제공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notification step,
A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set of oral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ncluding a GCM (Google Cloud Messaging) module to the notification unit, as a notification to the at least one dental server or dental patient terminal at a preset tim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기본 및 정밀 검사 방법은,
구강 촬영, 치면세균막 검사, 탐침(Probing), 치석탐지술(Exploring), 불소도포 및 구치측정 방법을 포함하는 치과 환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ral basic and detailed examination method,
Dental patient care methods, including oral imaging, dental hygiene screening, probing, exploring, fluoride application, and molars.
KR1020180169789A 2018-12-26 2018-12-26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273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89A KR102273893B1 (en) 2018-12-26 2018-12-26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89A KR102273893B1 (en) 2018-12-26 2018-12-26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99A true KR20200079999A (en) 2020-07-06
KR102273893B1 KR102273893B1 (en) 2021-07-06

Family

ID=7157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789A KR102273893B1 (en) 2018-12-26 2018-12-26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777B1 (en) * 2020-09-23 2021-03-26 박성만 System for providing dental matching service between jobs and employment
KR20230033207A (en) * 2021-08-30 2023-03-08 박상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and incremental dental health care servic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2201A (en) 1998-04-30 1999-11-09 Koichi Konishi Medical information managing and processing system
KR20020059992A (en) 2001-01-09 2002-07-16 윤기수 System managing dental-clinic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00115508A (en) * 2009-04-20 2010-10-28 이진우 Integrated diagnosis system for dental use
KR101611024B1 (en) 2014-04-01 2016-04-08 강민정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ooth information service
KR101710357B1 (en) * 2016-05-31 2017-02-28 (주)이너웨이브 A system, engine and method for managing of oral care
KR101788030B1 (en)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System and method for risk diagnosis on oral disease and oral care
KR20180068703A (en) * 2016-12-14 2018-06-22 최성숙 Self oral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2201A (en) 1998-04-30 1999-11-09 Koichi Konishi Medical information managing and processing system
KR20020059992A (en) 2001-01-09 2002-07-16 윤기수 System managing dental-clinic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00115508A (en) * 2009-04-20 2010-10-28 이진우 Integrated diagnosis system for dental use
KR101611024B1 (en) 2014-04-01 2016-04-08 강민정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ooth information service
KR101710357B1 (en) * 2016-05-31 2017-02-28 (주)이너웨이브 A system, engine and method for managing of oral care
KR101788030B1 (en)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System and method for risk diagnosis on oral disease and oral care
KR20180068703A (en) * 2016-12-14 2018-06-22 최성숙 Self oral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777B1 (en) * 2020-09-23 2021-03-26 박성만 System for providing dental matching service between jobs and employment
KR20230033207A (en) * 2021-08-30 2023-03-08 박상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and incremental dental health care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893B1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ylan et al. Accuracy of a smartphone-based orthodontic treatment–monitoring application: A pilot study
Zotti et al. Implementing post-orthodontic compliance among adolescents wearing removable retainers through Whatsapp: a pilot study
US10445390B2 (en) Coordination of dental implant information
CN112423699A (en) Method for assessing dental conditions
Kumar et al. Role of text message reminder on oral hygiene maintenance of orthodontic patients
US20230026220A1 (en) Oral health assessment for generating a dental treatment plan
KR102273893B1 (en) The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le et al. Simplified basic periodontal examination (BP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guide for general dental practitioners
Hamudi et al. The association of the one-abutment at one-time concept with marginal bone loss around the SLA and platform switch and conical abutment implants
Tonetti et al. Self‐reported bleeding on brushing as a predictor of bleeding on probing: Early observations from the deployment of an internet of things network of intelligent power‐driven toothbrushes in a supportive periodontal care population
Chowdhary et al. Need of implant dentistry at undergraduate dental curriculum in Indian dental colleges
Ormianer et al. Retrospective clinical evaluation of tapered screw-vent implants: results after up to eight years of clinical function
Snider Clinical Assessment of Dental Monitoring Oral Hygiene Protocol: A Prospective Study
KR102412703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ral health care service in periodontal and peri-implant diseases
KR102498849B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managing teeth using oral image that express state of tooth and state of interdental region to the user
Bain et al. Patient and dentist burnout-a two-way relationship
Pretty The Seattle care pathway: defining dental care for older adults
Ghezzi et al. Strategies for oral health care practitioners to manage older adults through care-setting transitions
Rajashekhara et al. Management of early loss of first permanent molar: A new technique
KR102668999B1 (en) Method for providing dental insurance service associating with insurance compan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hey et al. The role of the general dental practitioner in the implant journey
US20230074164A1 (en) Dental implant reconstruction and restoration based on digital twin
JP6921445B1 (en) Dental clinic management system
US20160092648A1 (en) Risk management system directed to health care environ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osephraj et al. Prediction of excess cement residues using a regression model to avoid peri-implant diseases: An in vitr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