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077A -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077A
KR20200079077A KR1020180168600A KR20180168600A KR20200079077A KR 20200079077 A KR20200079077 A KR 20200079077A KR 1020180168600 A KR1020180168600 A KR 1020180168600A KR 20180168600 A KR20180168600 A KR 20180168600A KR 20200079077 A KR20200079077 A KR 20200079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temperature
solution tank
period set
cultivation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737B1 (ko
Inventor
한창현
우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트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트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트랙
Priority to KR102018016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7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7Metering or regu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3Solu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양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은 재배 작물의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와 상기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관에 채워진 양액이 배출된 다음,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NUTRIENT SOLUTION ACCORDING TO ENVIRONMENT CONDITION}
본 발명은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양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설원예의 활성화로 인하여 시설원예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생산량을 증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특히 작물에 필요한 수분과 양분의 최적화를 통한 생산량의 증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생장은 온도, 습도 일사량, 이산화탄소, 산소, 양분 등의 생육에 필요한 많은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직물의 경우 필요한 수분과 양분을 작물의 근권부에서 공급받게 되는데, 이 때 적절한 근권 환경을 조성해줄 필요성이 존재한다.
종래 근권 환경의 제어는 작물의 발아부터 작물의 최종 결과물을 수확이 끝날 때까지를 4단계에서 5단계로 나누어서 각 단계에 적정한 양분을 단일 조성으로 조제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작물의 단계적 단순 생장 단계에 따른 양액의 공급은 작물의 생육을 그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양분을 과잉으로 공급하거나 부족하게 공급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근권부의 수분함량의 제어는 하루에 일정 시간이 도달할 경우 일정시간 동안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이거나, 일사량에 비례하여 양액을 공급하여 근권부의 수분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시간제어나 일사량 비례제어를 이용한 근권부 수분량을 제어하는 방식은 실제 작물의 생육정보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작물의 생육 초창기와 후반기에 필요한 수분량의 차이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온실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실내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동절기에는 온실내의 온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어 난방이 필요하고, 하절기에는 지나친 고온으로 작물의 생육에 피해가 발생하므로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방이 필요하다.
종래의 난방장치는 온실 내의 지면에 삽입된 온수파이프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토양과 온실 내부 공기를 따뜻하게 하므로 난방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난방을 위하여 소비되는 에너지원은 유류, 석탄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에너지원의 사용은 화석 연료 비용의 상승에 의한 온실 농가의 경쟁력 하락과 환경오염 문제의 원인이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9937호(2006.05.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권부의 환경 조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물의 최적화된 양액 공급을 통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은 재배 작물의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와 상기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관에 채워진 양액이 배출된 다음,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계절 구분에 따라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열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은 재배 작물의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계절 구분에 따라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와 상기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배관에 채워진 양액이 배출된 다음,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칼슘(Ca(NO3)2 4H2O)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유니코나졸(Uniconazole)이며, 상기 제3 물질은 붕소(H3BO3)일 수 있다.
또한,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장치는 재배 작물의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그리고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와 상기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고, 상기 배관에 채워진 양액이 배출된 다음,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고,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며, 계절 구분에 따라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며,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고,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칼슘(Ca(NO3)2 4H2O)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유니코나졸(Uniconazole)이며, 상기 제3 물질은 붕소(H3BO3)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근권부의 환경 조건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최적화된 양액 공급을 통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방법에서 양액 처리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100)는 양액 탱크(110), 양액 저장부(120), 제1 물질 저장부(130), 제2 물질 저장부(140), 제3 물질 저장부(150), 제어부(160) 및 재배 베드(180)를 포함한다.
양액 제어 장치(100)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물이 존재하는 근권부의 환경 조건을 측정하고, 측정된 환경조건을 이용하여 작물에 필요한 양액의 공급량을 산출한다. 양액 제어 장치(100)는 작물에 최적화된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인 환경 조건 제어와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양액 제어 장치(100)는 데스크톱, 랩톱, 서버 컴퓨터, 클러스터 컴퓨터 등의 시스템으로 자동화할 수 있다.
먼저, 양액 탱크(110)는 양액, 제1 물질, 제2 물질 및 제3 물질을 공급받아서 양액을 제조한다. 이 때, 양액 저장부(120), 제1 물질 저장부(130), 제2 물질 저장부(140) 및 제3 물질 저장부(150)와 양액 탱크(110)를 연결하는 관은 제어부(160)와 연결된다. 양액 저장부(120), 제1 물질 저장부(130), 제2 물질 저장부(140) 및 제3 물질 저장부(150)는 제어부(160)에 미리 결정된 단계에 따라 양액 탱크(110)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제1 물질(130)은 칼슘(Ca(NO3)2 4H2O), 제2 물질(140)은 유니코나졸(Uniconazole)이며, 제3 물질(150)은 붕소(H3BO3)일 수 있다.
재배 베드(180)는 작물이 설치되어 있는 배지로, 스마트 배지 일 수 있다. 여기서, 작물은 토마토, 파프리카, 감자, 고추, 담배, 버섯 등과 같은 채소류이거나, 사과, 배, 포도, 귤, 감, 바나나 등과 같은 과일류이거나, 관상하기 위해 재배되는 모든 작물인 화훼일 수 있다.
재배 베드(180)는 근권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185)를 구비하고 있으며, 온도 측정부(185)는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측정된 온도를 포함한 근권부 환경 데이터를 전달한다. 여기에서, 근권부 환경 데이터는 근권부의 환경, 작물 생장, 병충해와 관련된 데이터 및 광량, 수분량, 온도, 습도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온도 측정부(185)는 온도센서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각 센서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재배 베드(180)에 설치된다. 이 때, 온도 측정부(185)는 습도센서, 이산화탄소센서, 광센서, 수분센서, 엽온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고, 재배 베드(180)의 시설환경, 작물생장, 근권부 및 병충해에 대한 상태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는 재배 베드(180) 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습도 센서는 재배 베드(180) 내의 습도를 측정한다. 또한, 광 센서는 재배 베드(180) 내의 일조량을 측정하며, 수분센서는 재배 베드(180) 내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고, 엽온센서는 작물의 잎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60)는 양액 저장부(120), 제1 물질 저장부(130), 제2 물질 저장부(140) 및 제3 물질 저장부(150)와 연결된 배관, 양액 탱크(110)와 재배 베드(180)를 연결하는 배관(174) 및 온도 측정부(185)를 제어한다.
먼저, 제어부(160)는 수집된 근권부의 환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권부의 환경 데이터는 본 발명에서 온도 측정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근권부 주변 환경 상태를 센서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160)에서 미리 정해진 계절(고온기, 저온기)의 각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고온기는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재배 베드와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가 있다.
저온기는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가 있다.
Figure pat00001
표 1는 생육 단계에 따른 최적의 생산 환경설정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토마토 작물에 해당하는 고온기 및 저온기로 미리 정해져 구분되어 있으나, 작물이 변경되는 경우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표 1과 같이, 생육단계별 최적 환경 설정에 따라 계절 구분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배관(174)과 연결되어, 재배 베드(180)에 공급되는 양액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와 연결되는 외부 서버(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양액 온도, 피해 물질 투입량 등을 외부 서버(미도시)로 조절할 수 있다.
재배 베드(180)에 전달 또는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에서 고온기의 제1 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 토출관(172)으로 양액을 배출하고, 양액 탱크(110)에서 양액이 제조될 경우 배관(174)을 통하여 재배 베드(180)에 양액을 전달한다.
또한, 양액 제어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온실 내부 또는 외부의 센서(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재배 베드(180)의 측정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시스템 상의 외부 서버(미도시)가 온도 측정부(185)를 통한 재배 베드(180)의 온도와 온실의 기온을 비교하고, 물질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양액 제조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재배 베드(180)에 위치하는 온도 측정부(185)를 통하여 재배 작물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10), 측정된 온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계절로 구분하는 단계(S220), 구분된 계절의 미리 정해진 양액 처리 단계에 따라 양액을 제조하는 단계(S230) 및 재배 베드(180)에 제조된 양액을 공급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10)는 온도 측정부(185)를 통하여 재배 베드(180)에서 재배 작물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것은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온도 측정부(185)는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센서, 광센서, 토양수분센서, 엽온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며, 재배 베드(180)의 시설환경, 작물생장, 근권부 및 병충해에 대한 상태를 측정한다. 온도센서는 근권부의 온도를, 습도센서는 근권부의 습도를, 엽온센서는 작물의 잎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다.
계절을 구분하는 단계(S220)는 측정된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계절을 구분하는 단계로, 미리 정해진 온도 정보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본 발명에서 계절은 고온기 및 저온기로 구분되어 있으며, 20℃를 기준으로 이상일 경우 고온기로, 이하일 경우 저온기로 설정될 수 있다.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계절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작물의 종류에 따라 2개 이상의 세부적인 계절로 구분될 수도 있다.
구분된 계절에 따라 양액을 처리하는 단계(S230)는 S220에서 구분되는 계절에 따라 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단계(S240)는 S230에서 처리된 양액을 재배 베드(180)에 공급하는 단계로, 양액 탱크(110)와 재배 베드(180)를 연결하는 배관(174)을 통하여 양액이 공급된다.
토마토 작물을 재배할 경우 양액 탱크(110)에 존재하는 양액은 고온기 또는 저온기에 해당하는 처리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른 작물을 재배할 경우 미리 정해진 계절의 구분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방법에서 양액 처리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S230 단계는 도 2 및 표 1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표 2는 계절 구분에 따른 각 계절별 양액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표이며, 일 예로 토마토 작물에 따른 계절 구분 및 양액 처리 단계를 설명한다.
표 2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계절 구분은 고온기 및 저온기 중에 하나로 선택될 수 있으며, 구분되는 계절에 따라 양액을 처리 하는 단계가 존재한다. 양액 처리하는 단계는 1단계, 2단계, 3단계의 순차적인 단계로 진행될 수 있으며, 기준 근권온도에 따라 복합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2의 S220 단계에서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되는 경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180)와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110) 사이의 배관(174)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S231)한다.
또한,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110)에 투입(S232)하고,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110)에 투입(S233)한다.
표 2에 따르면, 고온기에서 제1 기준 온도를 20℃, 제2 기준 온도를 25℃, 제3 기준 온도를 30℃로 설명하고, 제1 물질은 칼슘(Ca(NO3)2 4H2O)이고, 제2 물질은 유니코나졸(Uniconazole)이다.
도 2의 S220 단계에서 계절 구분에 따라 저온기로 설정되는 경우,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양액 탱크(110)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S236)하고, 가열된 양액을 배관(174)을 통하여 재배 베드(180)에 공급한다.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에 투입(S237)하고,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양액 탱크에 투입(S238)한다.
표 2에 따르면, 제4 기준 온도를 20℃, 제5 기준 온도를 15℃, 제6 기준 온도를 10℃로 설명하고, 제2 물질은 유니코나졸(Uniconazole)이고, 제3 물질은 붕소(H3BO3)이다.
표 2는 토마토 작물에 관한 양액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토마토 품종에 따라 양액의 상세 처리량은 다를 수 있다.
110 : 양액 탱크 120 : 양액 저장부
130 : 제1 물질 저장부 140 : 제2 물질 저장부
150 : 제3 물질 저장부 160 : 제어부
172 : 토출관 174 : 배관
180 : 재배 베드 185 : 온도 측정부

Claims (10)

  1. 재배 작물의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와 상기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관에 채워진 양액이 배출된 다음,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
  3. 제 2 항에서,
    계절 구분에 따라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열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
  4. 제 3 항에서,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
  5. 재배 작물의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계절 구분에 따라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
  6. 제 5 항에서,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와 상기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배관에 채워진 양액이 배출된 다음,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서, 상기 제1 물질은 칼슘(Ca(NO3)2 4H2O)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유니코나졸(Uniconazole)이며, 상기 제3 물질은 붕소(H3BO3)인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방법.
  8. 재배 작물의 근권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그리고
    계절 구분에 따라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재배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베드와 상기 재배 베드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탱크 사이의 배관에 채워진 양액을 배출하고, 상기 배관에 채워진 양액이 배출된 다음,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장치.
  9. 제 8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고, 상기 고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며,
    계절 구분에 따라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4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양액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양액을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재배 베드에 공급하며,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5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3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고, 상기 저온기로 설정된 기간에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6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2 물질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양액 탱크에 투입하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서, 상기 제1 물질은 칼슘(Ca(NO3)2 4H2O)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유니코나졸(Uniconazole)이며, 상기 제3 물질은 붕소(H3BO3)인 환경 조건에 따른 제어 장치.
KR1020180168600A 2018-12-24 2018-12-24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12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600A KR102129737B1 (ko) 2018-12-24 2018-12-24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600A KR102129737B1 (ko) 2018-12-24 2018-12-24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077A true KR20200079077A (ko) 2020-07-02
KR102129737B1 KR102129737B1 (ko) 2020-07-03

Family

ID=7157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600A KR102129737B1 (ko) 2018-12-24 2018-12-24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7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37B1 (ko) 2005-02-17 2006-05-15 괴산군 씨감자 양액재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15805B1 (ko) * 2016-06-09 2017-03-15 (주)파워레인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37B1 (ko) 2005-02-17 2006-05-15 괴산군 씨감자 양액재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15805B1 (ko) * 2016-06-09 2017-03-15 (주)파워레인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737B1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ukang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rrigation and fertilization by drip fertigation on tomato yield and water use efficiency in greenhouse
Nasim et al. Response of sunflower hybrids to nitrogen application grown under different agro-environments
CN105638393B (zh) 一种根据作物生长环境变化自动调整给水量的系统和设备及其方法
Hidaka et al. Twofold increase in strawberry productivity by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 and movable beds in a large-scale greenhouse
Giuffrida et al.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pepper grown in a soilless closed system: yield, fruit quality, water and nutrient efficiency
Kinoshita et al. Effects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on leaf area index and fruit yield in high-density soilless tomato culture using low node-order pinching
Segal et al. Root water uptake efficiency under ultra-high irrigation frequency
WO2013126023A1 (en) A plant growth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2129737B1 (ko) 환경 조건에 따른 양액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7027404A (zh) 一种用于植物根系温度精确控制的栽培装置
Hao et al. Liquid desiccant dehumidification system for improving microclimate and plant growth in greenhouse cucumber production
Urrestarazu et al. Effects of fertigation duration on the pollution, water consumption, and productivity of soilless vegetable cultures
Durmanov et al. Application of electrical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cucumber in protected ground structures
Ripley et al. A doubling of atmospheric CO2 mitigates the effects of severe drought on maize through the preservation of soil water
Naderi et al.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pumpkin
Lund et al. Effect of a dynamic climate on energy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Hibiscus rosa-sinensis L. in greenhouses
RU2552033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формированием урожая в теплице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Saha et al. Irrigation strategies for greenhouse tomato production on rockwool
KR102637518B1 (ko) 지상부 기온과 연계하는 양액온도 관리시스템
JPH0767485A (ja) 日射感応型自動養液供給制御方法と装置
Hartanto et al. Automatic hydroponic nutrient mixing for hydroponic NFT and fertigation
Lee et al. A smart fan system for temperature control in plant factory
Lim et al. Comparative yield evaluation of mini-tomato cultivar in two hydroponic systems
Challil et al. Upgradation of a used reefer container to an automated plant factory or greenhouse nursery
KR102646109B1 (ko) 인공지능 기반 시설 원예 시스템 및 이의 작물 판매 수익 최대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