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455A -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455A
KR20200078455A KR1020200077027A KR20200077027A KR20200078455A KR 20200078455 A KR20200078455 A KR 20200078455A KR 1020200077027 A KR1020200077027 A KR 1020200077027A KR 20200077027 A KR20200077027 A KR 20200077027A KR 20200078455 A KR20200078455 A KR 20200078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culpture
dimensional
space
sculp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배
김규태
Original Assignee
이성배
김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배, 김규태 filed Critical 이성배
Priority to KR102020007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8455A/en
Publication of KR20200078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44F1/06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comprising at least two transparent elements, e.g. sheets, lay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capable of freely expressing a desired shape with sculptured element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fill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sculpture can be freely expressed by using a transparent carrier as a fixing means, and a transparent carrier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s,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when creating sculptures by installing texts,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composed of any one or more of points, lines, sides and three-dimensional object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Description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물질로 채워지는 3차원의 입체공간 내에 제작되는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요소인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과 고정수단인 투명 바인더나 이동수단인 투명 캐리어를 수용하여 조형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3차원의 투명한 입체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ulpture produced in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pace fill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 particular, to receive the sculptures by accommodating the articles, pictures, internal sculptures, which are components, and transparent binders, which are fixed means and a transparent carrier, which is a moving means. It relates to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o a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three-dimensional space that can be freely expressed in a desired shape.

3차원의 조형물을 구성하는 요소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이 있고, 이들은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표현 범위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의 순서로 넓지만, 사실감은 이와 반대로 실물, 조형물, 그림 및 글의 순서로 크다. Elements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sculptures are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nd these can be expressed as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The range of expression is wide in the order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objects, but the sense of realism, on the contrary, is large in the order of objects, sculptures, pictures and texts.

일반적으로, 2차원(면) 상에서 점, 선, 면 및 입체를 이용하여 표현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은 아래의 테이블에 요약한 것과 같다. 즉, 점, 선 및 면으로 글 및 그림을 각각 표현할 수 있지만 조형물이나 실물은 표현할 수 없고, 입체로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표현할 수 없다.In general, what can be expressed (○) and what is impossible (×) using two-dimensional (plane) points, lines, planes, and solids is as summarized in the table below. In other words, writing and painting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dots, lines, and faces, but not sculptures or objects, and writings, drawings, sculptures, and objects cannot be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3차원(입체) 상에서 점, 선, 면 및 입체를 이용하여 표현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은 아래의 테이블과 같다. 즉, 입체로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모두 표현할 수 있지만, 면,선 및 점으로는 글과 그림만을 표현할 수 있을 뿐 조형물이나 실물은 표현할 수 없다.The table below shows what can and cannot be expressed by using points, lines, faces, and solids in three dimensions (stereoscopic).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possible to express all texts,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in three dimensions, only texts and pictures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faces, lines, and dots, and not sculptures or objects.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와 같이, 종래에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일부는 점,선 및 면으로 표현할 수 없었던 바, 이들 모두를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As described above, some of texts,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could not be expressed in terms of dots, lines, and faces, and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freely express all of them in a desired shap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투명한 공간 내에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express a desired shape by using a transparent binder and any one or more of text, drawings, sculptures, and objects made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in a transparent space.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roduce sculptur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투명한 입체영역 내에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 캐리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second task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express a desired shape using any one or more of text,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made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in a transparent three-dimensional area and a transparent carrier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roduce sculptur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투명한 공간 내에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 바인더 및 투명 캐리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third task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ired shape by using any one or more of texts, drawings, sculptures and objects made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in a transparent space and a transparent binder and a transparent carrier. It is intended to enable the creation of freely expressed sculptur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은,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한다.The sculpture in the 3D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culpture component instal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internal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 transparent binder that secures the sculpture component to a desired position in a receiving frame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e is located; And a transparent material filled in the empty spac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은,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한다.The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culpture component instal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 transparent carri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xt, a picture, a sculpture, and a real object,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stalled in a receiving frame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e is located; And a transparent material filled in the empty spac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은,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및 상기 투명 캐리어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한다.The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sculpture component instal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 transparent carri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 components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stall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 transparent binder that secures the sculptural component and the transparent carrier to a desired position in a receiving frame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al material sits; And a transparent material filled in the empty spac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은,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상기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sculpture in a 3D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installing a receiving fram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e is located; (b) disposing a sculpture component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 using the transparent binde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fixing the sculpture component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receiving frame; And (d) filling the empty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n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은,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sculpture in a 3D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installing a receiving fram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e is located; (b) disposing a sculpture component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 disposing a transparent carri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t a desired pos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d) filling the empty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n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은,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d)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상기 조형 구성물 및 상기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sculpture in a 3D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installing a receiving fram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e is located; (b) disposing a sculpture component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 disposing a transparent carri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t a desired pos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d) using a transparent binde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ing the molding structure and the transparent carrier in a desired pos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e) filling the empty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n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본 발명은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한 바인더나 투명한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투명한 바인더 및 투명한 캐리어 모두를 이용하여 투명한 공간 내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시각 디자인하여 투명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 조형물을 사실감 있고 다양하며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ransparent binder or a transparent carrier and any one or more of articles, drawings, sculptures, and objects made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or both transparent binders and transparent carriers to be desired in a transparent space. By freely visually designing the shape to produce a transparent sculpture, there is an effect that a transparent sculpture can be produced realistically, variously, and accurately.

또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 대상물들을 투명한 바인더나 투명한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투명한 바인더 및 투명한 캐리어 모두를 이용하여 투명한 공간 내에서 설치할 때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를 채워 넣음으로써,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bjects made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are transparent by using a transparent binder or a transparent carrier, or both a transparent binder and a transparent carrier. When installing in the space, by filling a transparent pil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e empty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oduction time of the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nd to conveniently produce it.

도 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완제품 상태 이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면체 형상의 수용틀의 개략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캐리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바인더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완제품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예로써 맥주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3D transparent molded obje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finished product state.
2 is a schematic view of a hexahedral shape receiv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exemplary views of a transparen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of a transparent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ished product state of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molded obje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beer can as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조형물을 구성하는 조형물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before explaining the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structure of the sculpture constituting the sculpture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공간 내에서의 조형물은 아래와 같이 점, 선, 면 및 입체를 이용하여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Sculptures in a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text,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by using dots, lines, faces, and solids as follows.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서는 조형물의 구성요소인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과 고정수단인 투명 바인더나 이동수단인 투명 캐리어를 수용하여 조형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express the sculpture in a desired shape by accommodating articles, pictures, internal sculptures, and a transparent binder that is a fixing means or a transparent carrier that is a mov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형물(10)은, 조형물(10)이 설치되는 입체공간(10A)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용틀(11); 상기 입체공간(10A)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인 내부조형물(12A), 실물(12B), 그림(12C) 및 글(13E);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 캐리어(13A,13B,13C,13E); 상기 조형물(12A), 실물(12B), 그림(12C) 및 글(13E)과, 상기 투명 캐리어(13)를 상기 수용틀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14); 및 상기 입체공간(10A) 내에서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더미(15)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투명 캐리어(13)는 상기 투명 캐리어(13A,13B,13C,13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12C)은 실제 그림이 투명캐리어에 직접 그려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조형물(12A)은 상기 입체공간(10A)의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형상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this, the sculpture 10 is a receiving frame 11 us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space 10A in which the sculpture 10 is installed. ); An internal sculpture (12A), an actual sculpture (12B), a picture (12C), and a writing (13E), which are structural objects that are install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Transparent carrier (13A, 13B, 13C, 13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ext,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 transparent binder 14 for fixing the sculpture 12A, the object 12B, the picture 12C and the writing 13E, and the transparent carrier 13 to the receiving frame; And a transparent dummy 15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occupies a certain spac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ransparent carrier 13 means any one or more of the transparent carriers 13A, 13B, 13C, and 13E. Here, the above picture 12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ctual picture is directly drawn on the transparent carrier. The inner sculpture 12A means a component of a sculpture shape install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제3 실시예의 조형물 구성요소 중에서 투명 캐리어가 생략된 구성을 갖고, 제2 실시예는 상기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에서 투명 바인더가 생략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를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ransparent carrier is omitted among the molding components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ransparent binder is omitte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수용틀(11)은 조형물(10)이 자리잡는 입체공간(10A)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후 제거되는 것으로, 이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차원 투명 조형물(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틀(11)은 육면체 또는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receiving frame 11 is removed after being us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space 10A in which the sculpture 10 is located, and its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3D transparent sculpture 10 It can be made into a shape. For example, the receiving frame 1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xahedron or a cylinder.

도 2는 육면체 형상의 수용틀(11)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11)의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가 일체형으로 밀폐되며, 상부에서 하부까지는 비워진 구조를 갖는다.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receiving frame 11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frame 11 is opened and the side and the bottom are integrally sealed, and has a structure empti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

마감재(11A)는 상기 수용틀(11)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3차원 투명 조형물(10)의 제작 공정이 완료된 후 별도로 표면처리를 하는 마감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특히 3차원 투명 조형물(10)의 표면에 글이나 그림이 실리는 경우 별도의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원하는 형태의 표면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재(11A)는 아크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nishing material 11A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11 and is used to omit the finishing process of surface treatment separately 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3D transparent molding 10 is completed. In particular, when writing or painting is carried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10,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urface of a desired shap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surface treatment process. The finishing material 11A may include an acrylic material.

상기 수용틀(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입체공간(10A)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공간(10A)의 외부는 투명한 고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는 투명한 고체, 젤을 포함하는 투명한 액체 및 투명한 기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란 완전한 투명 뿐만 아니라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도로 환하게 비치는 것을 의미한다.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formed inside the receiving frame 1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outside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olid, and the inside may lead to any one of a transparent solid, a transparent liquid containing a gel, and a transparent gas. Here, transparence means not only complete transparency, but also shining brightly enough to discern texts, drawing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조형물(10)은 구성요소로 내부조형물(12A), 실물(12B), 그림(12C) 및 글(13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조형물(12A)은 사람이나 기계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이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에서는 나무 형상의 내부조형물(12A)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실물(12B)은 자연에 존재하는 각종 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는 실물(12B)의 예로써 흙(또는 자갈)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실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림(12C)은 투명 캐리어에 직접 그려진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글(13E)은 사람에 의해 직접 필기되거나 피씨 등을 통해 프린트되거나, 음각이나 양각으로 제작되거나,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거나, 이밖에 다른 과정을 통해 제작되어 상기 입체공간(10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낱개의 글이 투명캐리어에 포함된 형태로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다.The sculpture 1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sculpture 12A, the object 12B, the picture 12C, and the article 13E as a component. The inner sculpture 12A is manufactured by a person or a machine, and its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IG. 1, the inner sculpture 12A having a tree shape is exemplarily shown. The real thing 12B means various real things existing in nature, and the kind of thi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at is, in FIG. 1, soil (or gravel)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real 12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real. Figure 12C shows an example that is directly drawn on a transparent carrier. The writing 13E may be directly written by a person or printed through a PC or the like, embossed or embossed, produc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or produced through other processes to be install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have. In FIG. 1, an example in which each piece is installed in a form included in a transparent carrier is shown.

투명 캐리어(13A,13B,13C,13E)는 고체, 액체 및 기체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태인 투명한 공간 내에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실물은 기체, 고체 및 액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캐리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a)는 고체 상태의 투명한 판넬 영역에 북두칠성의 그림이 포함된 판넬형 투명 캐리어(13A)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고체 상태의 투명공간에 글, 원 무늬 및 격자가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B)를 나타낸 것이고, (c)는 고체 상태의 투명공간에 기체 상태의 구름이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C)를 나타낸 것이고, (d)는 고체 상태의 투명공간에 액체(물)가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D)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캐리어(13A-13D)의 재질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투명 캐리어(13)의 예로써, 상기 판넬형 투명 캐리어(13A), 입체형 캐리어(13B),(13C) 및 개별문자(개업축하)가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E)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결국, 투명 캐리어(13)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조형물(10)의 외부에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입체공간(10A) 내로 옮겨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때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nsparent carriers 13A, 13B, 13C, and 13E are any one of writing, painting, sculpture, and real objects made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in a transparent space in any one of solid, liquid, and gas states. The above may include, wherein the real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gas, solid and liquid. 3 exemplarily shows a transparen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a) shows a panel-type transparent carrier 13A containing a picture of the Big Dipper in a solid-state transparent panel area, and (b) is a solid-shaped transparent space containing writings, circles, and grids. The carrier 13B is shown, and (c) shows the three-dimensional carrier 13C containing gaseous clouds in a solid transparent space, and (d) contains liquid (water) in the solid transparent space. It shows the three-dimensional carrier (13D). The material type of the carrier 13A-13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acrylic material may be included. In FIG. 1, as an example of the transparent carrier 13, the panel-type transparent carrier 13A, the three-dimensional carrier 13B, and 13C, and an exampl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carrier 13E including individual characters (congratulations on opening) are installed are shown. will be. In the end, the transparent carrier 13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rves to make the installation more convenient when the sculpture components having various shapes outside the sculpture 10 are moved into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and installed at a desired location.

투명 바인더(14)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어, 입체공간(10A)에서 조형물(12) 및 투명 캐리어(13) 등의 조형물 구성요소를 투명물질(16) 내에서 원하는 위치(좌표)에 설치하기 위해 이들을 수용틀(11)의 바닥이나 측벽 또는 다른 조형물 구성요소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명 바인더(14)의 재질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바인더(14)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형물 구성요소를 고정시키는데 적당하게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투명 바인더(14)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 L자 형상, T자 형상 및 블록 형상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binder 14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order to install a structured component such as a sculpture 12 and a transparent carrier 13 in a three-dimensional space 10A at a desired position (coordinate) within the transparent material 16 It serves to secure them to the bottom or sidewalls of the receiving frame 11 or other molding components. The material type of the transparent binder 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acrylic material may be included.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binder 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itable for fixing a structural component. 4 shows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binder 14 by way of example, and as shown in this, it may be manufactured in a rod shape, an L shape, a T shape, and a block shape.

투명 더미(1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입체공간(10A)에 설치된 조형물 구성요소들의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에 채워진다. The transparent dummy 15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filled in an empty space existing between the structural elements install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따라서, 입체공간(10A)에 상기와 같은 조형물 구성요소들을 설치(디자인)한 후 나머지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16)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을 수행할 때 투명물질(16)이 투명 더미(15)의 공간만큼 덜 채워지므로,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Therefore, the transparent material 16 is transparent dummy 15 when performing the finishing process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16 is filled in the remaining empty space after installing (designing) the above-described molding componen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 so the time of the finishing process is shortened.

상기와 같은 마감공정이 수행된 후 상기 입체공간(10A)으로부터 상기 수용틀(11)이 철거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입체공간(10A) 내에 설치된 투명 캐리어(13), 투명 바인더(14), 투명 더미(15) 및 상기 투명물질(16)은 공히 투명한 재질(예: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들간의 경계면이 보이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동일한 투명공간으로 보이게 된다.After the finishing process is performed, the receiving frame 11 is removed from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In this state, the transparent carrier 13, the transparent binder 14 install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10A, Since the transparent dummy 15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16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acrylic resin), the interface between them is not visible, and as shown in FIG. 5, it is seen as one and the same transparent space.

한편, 도 6은 투명 캐리어를 이용하여 맥주캔을 시각 디자인하여 제작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물질(61), 점(62), 선(63), 면(64) 및 실물(65)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beer can is visually designed using a transparent carrier, and as shown in this, the transparent material 61, the point 62, the line 63, the surface 64, and It may include a real (65).

투명물질(61)은 조형물 구성요소를 제외한 공간에 채워지는 물질로서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점(62)은 실물을 잘라서 만든 것으로, 이의 재질은 각종 천이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62)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 선(63)은 실물을 잘라서 만든 것으로, 이의 재질은 천이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63)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The transparent material 61 may be an acrylic material as a material filled in a space excluding the structural elements. The dots 62 are made by cutting real objects, and their material is various cloths or vinyls. Plastics, woods, etc. may be included. Here, the point 62 shows an example pasted to the outside of the can-shaped transparent material. The wire 63 is made by cutting an object, and its material is cloth or vinyl. Plastics, woods, etc. may be included. Here, the line 63 shows an exampl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n-shaped transparent material.

면(64)은 실물을 잘라서 만든 것으로, 이의 재질은 천이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64)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 실물(65)은 맥주캔으로서, 이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물(65)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The cotton 64 is made by cutting a real object, and its material is cloth or vinyl. Plastics, woods, etc. may be included. Here, the surface 64 shows an exampl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n-shaped transparent material. The real 65 is a beer can, and its material may include aluminum. Here, the real 65 has shown an exampl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n-shaped transparent material.

결국, 도 6은 상기 점(62), 선(63), 면(64) 및 실물(65)이 투명물질인 캐리어와 결합되어 맥주캔의 형상이 보다 편리하고 실감나게, 그리고 다양하게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형물은 광고용으로 사용되거나 액서사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a result, FIG. 6 shows that the shape of the beer can is more convenient and realistic because the dots 62, lines 63, 64, and 65 are combined with a carrier that is a transparent material. And variously You can see that it is expressed. Such sculptures can be used for advertising or as accessories.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 설치 단계(S71),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72), 조형물 구성요소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73), 입체공간을 투명한 물질로 채우는 단계(S74) 및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75)를 포함한다.Meanwhile, FIG. 7 is a flow 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as the receiving frame installation step (S71), the placement of the sculpture component (S72) ), the step of fixing the structural elements with a transparent binder (S73), fill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74) and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S75).

수용틀 설치 단계(S71)에서는 3차원 투명 조형물이 자리를 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원하는 형상으로 설치한다. In the receiving frame installation step (S71), a receiving fram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is placed is installed in a desired shape.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72)에서는 조형물 구성요소가 3차원의 투명한 입체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형물, 실물, 그림 및 글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Sculpture component arrangement step (S72) is that the sculptural components are arranged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three-dimensional space, wherein the sculptural components are sculptures, real objects, pictures, and writing composed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Any one or more may be included.

조형물 구성요소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73)에서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공간에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원하는 위치(좌표)에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상기 투명 바인더에 의해 상기 수용틀의 바닥이나 측벽 또는 다른 조형물 구성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바인더의 재질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step of fixing the sculpture component with a transparent binder (S73), th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sculpture component in a desired position (coordinate) is performed using a transparent binde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t this time, the sculpture component may be fixed to the bottom or sidewall of the receiving frame or other sculpture component by the transparent binder. The material type of the transparent bin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acrylic material may be included.

입체공간을 투명한 물질로 채우는 단계(S74)에서는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가 채워진 후 상기 투명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In the step of fill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74), a finish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is fill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structural elemen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material may be filled after a transparent dumm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illed in an empty space between the structural elements, thereby shortening the time of the finishing process.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7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In the step of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S75), a process of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from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performed.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 설치 단계(S81),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82),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83), 입체공간을 투명물질로 채우는 단계(S84) 및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85)를 포함한다.Meanwhile, FIG. 8 is a flow 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culpture in a 3D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as the receiving frame installation step (S81) and the placement of the sculpture component (S82) ), transparent carrier placement step (S83), fill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84) and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S85).

수용틀 설치 단계(S81)에서는 3차원 투명 조형물이 자리를 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원하는 형상으로 설치한다. In the receiving frame installation step (S81), a receiving fram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is placed is installed in a desired shape.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82)에서는 조형물 구성요소가 3차원의 투명한 입체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형물, 실물, 그림 및 글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lacing the sculpture component (S82), the sculpture component is disposed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three-dimensional space, wherein the sculpture component is a sculpture, a real object, a picture, and a writing composed of one or more of points, lines, faces, and three-dimensional objects. Any one or more may be included.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83)에서는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 캐리어가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좌표)에 배치된다. In the transparent carrier placement step (S83), a transparent carri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is disposed at a desired position (coordinat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입체공간을 투명한 물질로 채우는 단계(S84)에서는 상기 입체공간 내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입체공간 내의 빈 공간에 투명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가 채워진 후 상기 투명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In step S84 of fill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a finishing process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is filled in the empty spac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performed. At this time, after the transparent dumm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illed in the empty spac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e transparent material may be filled, thereby shortening the time of the finishing process.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8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In the step of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S85), a process of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from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performed.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 설치 단계(S91),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92),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93), 조형물 구성요소 및 투명 캐리어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94), 입체공간을 투명물질로 채우는 단계(S95) 및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96)를 포함한다.Meanwhile, FIG. 9 is a flowchart of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culpture in a 3D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as the receiving frame installation step (S91) and the placement of the sculpture component (S92) ), a transparent carrier placement step (S93), the step of fixing the molding component and the transparent carrier with a transparent binder (S94), fill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95) and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S96) do.

수용틀 설치 단계(S91)에서는 3차원 투명 조형물이 자리를 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원하는 형상으로 설치한다. In the receiving frame installation step (S91), a receiving fram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culpture is placed is installed in a desired shape.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92)에서는 조형물 구성요소가 입체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형물, 실물, 그림 및 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lacing the sculpture component (S92), the sculpture component is dispo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 sculpture component includes any one or more of sculptures, objects, pictures, and writings composed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It can contain.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93)에서는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투명 캐리어가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좌표)에 배치된다. 상기 투명 캐리어는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에 포함된다.In the transparent carrier placement step (S93), a transparent carrier that accommodates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is disposed at a desired position (coordinat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e transparent carrier is included in the sculpture component.

조형물 구성요소 및 투명 캐리어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94)에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공간에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원하는 위치(좌표)에 배치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상기 투명 바인더에 의해 상기 수용틀의 바닥이나 측벽 또는 다른 조형물 구성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바인더의 재질 종류는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step of fixing the sculpture component and the transparent carrier with a transparent binder (S94), an operation of disposing the sculpture component in a desired position (coordinate) is performed using a transparent binde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t this time, the sculpture component may be fixed to the bottom or sidewall of the receiving frame or other sculpture component by the transparent binder. The material type of the transparent binder may include an acrylic material.

입체공간을 투명수지로 채우는 단계(S9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가 채워진 후 상기 투명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In the step of fill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 transparent resin (S95), a finish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is fill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structural elemen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material may be filled after a transparent dumm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illed in an empty space between the structural elements, thereby shortening the time of the finishing process.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9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In the step of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S95), a process of removing the receiving frame from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more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se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 수용틀 11A : 마감재
12A : 내부조형물 12B : 실물
12C : 그림 13A-13E : 투명 캐리어
14 : 투명 바인더 15 : 투명 더미
11: Receptacle frame 11A: Finishing material
12A: internal structure 12B: real
12C: Figure 13A-13E: Transparent carrier
14: transparent binder 15: transparent pile

Claims (10)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Sculpture components instal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drawings, internal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 transparent binder that secures the sculpture component to a desired position in a receiving frame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e is located; And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omprising a transparent material filled in the empty space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Sculpture components instal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 transparent carri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stalled in a receiving frame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es are placed; And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omprising a transparent material filled in the empty space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및 상기 투명 캐리어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Sculpture components instal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ext, pictures, sculptures, and real objects;
A transparent carri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culpture components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stall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 transparent binder that secures the sculptural component and the transparent carrier to a desired position in a receiving frame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culptural material sits; And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omprising a transparent material filled in the empty space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캐리어는
기체 및 액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transparent carrier
A structured object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gas and liquid.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캐리어는
선, 판넬 형상 및 입체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transparent carrier
A struc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haracterized by having any one of a line, a panel shape,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캐리어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글, 그림, 조형 구성요소,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transparent carrier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y one or more of a text, a picture, a molding component, and an object made of any one or more of dots, lines, faces, and solids.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물질은 아크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ransparent material is acrylic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haracterized by being a substance.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틀은 내측 벽면에 설치된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ceiving frame is a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nishing material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아크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9. The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nishing material is an acrylic material.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공간 중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더미에 의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The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filled by a transparent pil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KR1020200077027A 2020-06-24 2020-06-24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2000784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027A KR20200078455A (en) 2020-06-24 2020-06-24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027A KR20200078455A (en) 2020-06-24 2020-06-24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613A Division KR102133568B1 (en) 2016-09-08 2016-09-08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55A true KR20200078455A (en) 2020-07-01

Family

ID=7160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027A KR20200078455A (en) 2020-06-24 2020-06-24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845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opigno et al. Digital fabrication techniques for cultural heritage: a survey
JP6220073B2 (en) Method for generating tire ground consolidation image and tire ground consolidation display
Cignoni et al. Computer-assisted generation of bas-and high-reliefs
CN204496446U (en) Pointer and the system caught for texture
CN103218846B (en) The ink and wash analogy method of Three-dimension Tree model
CN106067185A (en) A kind of threedimensional model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CN101027672A (en) Automatic drawing creation system
JP4842677B2 (en) Topographic model forming system and topographic model manufacturing method
KR102356044B1 (en) Method of extracting and converting BIM data for Web Browser and VR/AR Application
CN110796732A (en) WebGL and C # based three-dimensional mine display method
KR102133568B1 (en)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95806B1 (en)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288860A (en)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design system and method
KR20200078455A (en) 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2693065A (en) Method for processing visual effect of stereo image
CN105216306B (en) Carve model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engraving model 3D printing system and method
CN103679794B (en) The method for drafting of the three-dimensional sketch pencil drawing of simulation
WO2018097339A1 (en) Sculpture in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Vilbrandt et al. Digitally interpreting traditional folk crafts
KR102129770B1 (en) Sculpture in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853146A (en) Relief modeling method and system and relief processing equipment
Karnapke et al. Digital heritage and 3D printing: Trans-media analysis and the display of prehistoric rock art from Valcamonica
CN106651763A (en) Method for packing box auxiliary design of conversion from 3D image to 2D image
Clark et al. Rear-projecting virtual data onto physical terrain: an exercise in two senses being better than one
Cao Sculpture Design using 3D VR Technology with an Example of Nanjing Jiangbei New Distri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