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237A - 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237A
KR20200077237A KR1020180166558A KR20180166558A KR20200077237A KR 20200077237 A KR20200077237 A KR 20200077237A KR 1020180166558 A KR1020180166558 A KR 1020180166558A KR 20180166558 A KR20180166558 A KR 20180166558A KR 20200077237 A KR20200077237 A KR 2020007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disposed
container
stirring blad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1213B1 (en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김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규 filed Critical 김원규
Priority to KR102018016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213B1/en
Publication of KR2020007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2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01F15/00538
    • B01F15/006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01F7/00341
    • B01F2015/000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1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ing wing and a dispenser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stirring wing includes: a wing housing into which a shaft hole vertically penetrates and which has an inner space; at least one magnetic body arranged in the inner space; a support part arranged around the shaft hole to connect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of the wing housing; and a wing shaft capable of being placed on a contact surface and supporting the wing housing to be rotated, wherein the wing housing is rotated around the wing shaft by a driving part and an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ic body. Therefore, the stirring wing can have improved durability so that sanitary problems generated when the stirring wing is damaged by hea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교반용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반용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ing blade and a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음료수, 국 따위의 내용물을 제공하는 디스펜서는 바디, 바디에 놓이고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저장된 내용물을 혼합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에는 음료의 배출콕이 설치되어 있다.The dispenser providing contents such as drinks and soups includes a body, a container placed on the body and the contents stored therein, and a stirring unit mixing the stored contents. In addition, a container for discharging beverages is provided.

교반부는, 용기 내부에 위치한 날개 및 용기 외부에 배치되어 날개와 연결되어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용기는 바디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부는 바디에 배치된 상태에서 용기를 관통하여 날개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용기와 바디를 분리할 수 없어 용기 내부 세척이 불편하였다.The stirring unit includes a wing positioned inside the container and a driv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to connect the wing to rotate the wing. The container is fixed to the body, and the driving part penetrates the container and is connected to the wing in a state arranged on the body. Accordingly, it was inconvenient to was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ecause the container and the body could not be separated.

이에, 바디 위에 용기를 단순히 올려 놓고 구동부와 날개를 자기력으로 연결하여 날개를 회전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용기가 바디에 고정되지 않아 날개 회전 시 용기가 흔들리게 되었다. 또한, 날개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수지 따위로 만들어지면서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높은 열로 인해 ABS 수지가 손상되면서 위생적이지 못하였다.Accordingly,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container is simply placed on a body, and the wing is rotated by connec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wing with a magnetic force. However, since the container is not fixed to the body, the container is shaken when the blade is rotated. In addition, as the wings were made of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or the like, it was not hygienic as the ABS resin was damaged due to the high heat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공개특허 제10-2014-0140669호 (2014.12.10.)Published Patent No. 10-2014-0140669 (2014.12.10.) 등록특허 제10-1000916호 (2010.12.07.)Registered Patent No. 10-1000916 (2010.12.07.)

본 발명은 교반용 날개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교반용 날개가 회전할 때 용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in which the stirring blade is not affected by the heat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does not shake when the stirring blade rotate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날개는, 샤프트 홀이 상하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을 갖는 날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상기 샤프트 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날개 하우징의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부 및 접촉면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날개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날개 샤프트를 포함한다.A stirr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hole is penetrated up and down, the wing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t least one magnetic bod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the shaft hole is disposed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wing housing It includes a support shaft connecting the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nd a wing shaft which can be placed on a contact surface and supports the wing housing to rotate.

상기 날개 하우징은 구동부와 상기 자성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날개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wing housing may rotate relative to the wing shaft by the attrac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magnetic body.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되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 홀은 중앙을 상하 관통할 수 있다.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but the e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haft hole may penetrate the center vertically.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 홀 주변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n inner support part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support the shaft hol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 홀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외측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측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upport portion positioned in the shaft hole and pressing the out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in an inner direction.

상기 외측 지지부는, 상기 날개 하우징의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오링,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고 상부와 하부가 상기 오링을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로 가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를 덮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관통하고 있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support portion, O-ring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the wing housing,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shaft hole and presses the O-ring to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t may include an adapter that penetrates through and covers the fixing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nd through which the sleeve penetrates.

상기 교반용 날개는 지지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날개 샤프트가 관통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may further include a sleeve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blade shaft passes.

상기 날개 샤프트는, 상기 접촉면에 놓이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리브를 관통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g shaft may include a flange placed on the contact surface and a ro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lange and penetrating the sleeve.

상기 슬리브와 상기 로드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rod.

상기 교반용 날개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와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flange.

상기 슬리브와 상기 와셔부는 점 접촉할 수 있다.The sleeve and the washer portion may be in point contact.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에는 각각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내부면에 외측방향으로 가압될 수 잇다.Reinforc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ing portions can be pressed outwardly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상기 교반용 날개는, 상기 상측부재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lade disposed at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날개는, 상기와 같은 교반용 날개, 보관공간과 구동공간을 갖는 본체부, 개방된 상기 보관공간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에 배치된 도어부, 상기 보관공간에 놓여 있으며, 상기 교반용 날개가 내부에 위치한 용기,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구동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자기력으로 상기 교반용 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용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blad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nd a driving space, the door portion disposed on the main body portion where the open storage space is formed, the storage space Placed, the stirring blade is disposed therein,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dispos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the driving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stirring blade by magnetic force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tirring blade.

상기 용기의 하면과 상기 보관공간의 바닥은 접하며, 상기 하면과 상기 바닥 사이에는 서로 결합된 복수의 요철부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are in contact, and a plurality of uneven parts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회전 중심이 교반용 날개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구동 회전체, 상기 구동 회전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구동 회전체를 회전 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a case disposed in the driving space, a driving rotational body arrang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rotational center coinciding with a rotational center of a stirring blade, at least disposed inside the driving rotational body It may include a magnet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driving rotor.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풀리 외부둘레는 상기 구동 회전체의 외부둘레와 직접 접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coupled with the driving motor may directl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tor.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는 상기 본체부 내부 둘레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 조절부의 주변 공기를 상기 보관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 fan circumfere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in the main body to flow the ambient air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the storage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 하우징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높은 열에 영향을 받지 않아 교반용 날개는 손상되지 않는다. 이에 교반용 날개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열에 의해 교반용 날개가 손상되면서 발생한 위생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housing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and is not affected by high heat of the contents, so that the wing for stirring is not damaged.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stirring blade is improved, and hygienic problems caused by damage to the stirring blade due to he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 샤프트의 로드와 슬리브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날개가 결합된 날개 하우징은 날개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슬리브 사용으로 베어링을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위생적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rod and the sleeve of the wing shaft so that the wing housing to which the wings are coupled can rotate relative to the wing shaft. The use of sleeves eliminates the use of bearings to provide a sanitary dispen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내부 중앙을 내측 지지부가 지지하고 있고 샤프트 홀에서 외측 지지부가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를 내측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중앙 부분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inner center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presses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ward the inner support in the shaft ho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It can be stably fix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샤프트 홀 주변부분에 내측 지지부와 외측 지지부가 배치되어 있어 기밀성이 향상되어 내부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입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support portion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are disposed at the periphery of the shaft hol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he airtightness is improved and the contents are not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와 날개 샤프트 및 와셔부가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날개 하우징 회전 시 서로 접촉부위에서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디스펜서의 위생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the wing shaft, and the washer portion are formed of ceramic so that particles are not generated at the contact portions with each other when the wing housing is rotated. This improves the hygiene of the dispen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요철부와 본체 요철부가 서로 맞물리어 용기와 본체부가 서로 결합되므로 용기 내부에서 교반용 날개가 회전하여 내용물이 유동하여도 용기는 흔들리지 않는다. 이에 용기의 안정성이 높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iner irregularities and the body irregulariti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ontainer and the main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tainer is not shaken even when the stirring blade rotates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contents flow. Thus, the stability of the container is hig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의 풀리와 구동 회전체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풀리의 회전력이 구동 회전체에 전달되므로 벨트 따위의 동력전달수단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이에 구동 회전체와 풀리가 위치하는 케이스를 슬립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디스펜서 전체를 슬립하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rotating body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unit pulley and the driving rotating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se of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belt can be excluded. Accordingly, the case in which the driving rotator and the pulley are located can slip. Due to this, the entire dispenser can be slipp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외부 둘레가 본체부의 내부 둘레와 이격되어 있고 휀의 구동으로 온도 조절부 주변 공기가 통기홀을 통해 보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온도 조절부의 주변 공기가 보관공간을 통해 용기에 전달되므로 간접적으로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온도 조절부 주변 공기가 용기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발효물에 전달되는 온도가 내용물의 발효 온도를 적정온도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내용물의 최적 발효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내용물의 발효 효율이 높아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arou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by driving the fan. At this time, since the ambient air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delivered to the container through the storage space, it may be indirectly delivered to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ccordingly, since the air arou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not directly delivered to the container, the temperature delivered to the fermentation product does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of the content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ptimum fermentation temperature of the contents, which increases the fermentation efficiency of th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관공간에 용기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도어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본체부와 용기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교반용 날개와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4의 교반용 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을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내측 지지부와 외측 지지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of Figure 1;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portion of FIG. 2 is clos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ntainer portion of FIG.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tirring blade and the driving unit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blade of Figure 4;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taken along the line VII-VII.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ner and outer supports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날개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교반용 날개가 적용된 디스펜서 위주로 설명한다.A stirring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mainly described with a dispenser to which the stirring blade is applied.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관공간에 용기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도어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본체부와 용기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교반용 날개와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4의 교반용 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을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내측 지지부와 외측 지지부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portion of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ainer of FIG. 2,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tirring blade and the driving unit of FIG. 4,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blade of FIG. 4,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taken along the line VII-VII,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ner and outer supports of FIG. 8.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는 본체부(10), 용기(20), 도어부(30), 온도 조절부(40), 교반용 날개(50) 및 구동부(70)를 포함하며, 교반용 날개(50)가 용기(2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교반용 날개(50)가 회전할 때 용기(20)가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놓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내용물은 국물, 음료 따위의 유체일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ispens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0, a container 20, a door portion 30, a temperature control portion 40, and a stirring blade 50 ) And the drive unit 70, the stirring blade 50 is not affected by the heat o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0, the stirring blade 50 is stable so that the container 20 does not shake when rotating Try to keep it in place. Here, the contents may be a fluid such as broth or beverage.

본체부(10)는 디스펜서(1)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가 보관공간(11)과 구동공간(12)으로 구획되어 있다. 보관공간(11)을 이루는 본체부(10)의 상부측은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보관공간(11)을 이루고 있는 본체부(10)에는 단열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부는 본체부(10)의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위치한다.The body portion 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dispenser 1 and is divided into a storage space 11 and a driving space 12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constituting the storage space 11 is open to the front and top surfaces. In the main body part 10 constituting the storage space 11, an insulating part (not shown) is disposed. Here, the heat insulat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부(10)의 하부에는 하부도어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도어에 의해 구동공간(12)은 개방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하부에는 디스펜서(1)을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저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도시하지 않음) 또는 캐스터(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lower door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10. The driving space 12 may be opened by the lower door. A handle (not shown) for transporting the dispenser 1 is formed under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a non-slip pad (not shown) or a caster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보관공간(11)의 바닥(111)에는 본체 요철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관공간(11)의 바닥에는 배수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The body 111 is formed on the bottom 111 of the storage space 11. And a drainage hole (not show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

본체부(10)의 하부 전면에는 컵 따위를 놓을 수 있는 받침대(13)가 배치되어 있다.On the lower front of the main body 10, a pedestal 13 for placing a cup or the like is disposed.

용기(20)는 보관공간(11)에 위치하며 하면이 보관공간(11)의 바닥(111)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용기(20)의 저면에는 본체 요철부(111a)와 대응하는 용기 요철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요철부(111a)와 용기 요철부(22)가 서로 맞물려 용기(20)는 보관공간(11) 바닥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서, 본체 요철부(111a)와 용기 요철부(22)의 요철 정도는 2 내지 3mm 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요철부(111a)와 용기 요철부(22)는 서로 맞물려 결합력을 높이며 작업자가 용기(20)를 보관공간(11)에서 본체부(10) 외부로 들어내기 용이하다.The container 20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111 of the storage space 11. Accordingly, a container uneven portion 22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uneven portion 111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e main body irregularities 111a and the container irregularities 2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tainer 2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 and does not move. Here, the unevenness of the body uneven portion 111a and the container uneven portion 22 may be 2 to 3 mm. The body irregularities 111a and the container irregularities 2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and it is easy for an operator to lift the container 20 from the storage space 11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용기(20) 하부에는 배출콕(21)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콕(21)은 본체부(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본체부(10) 외부로 노출되어 받침대(13) 위에 위치한다. 용기(20) 내부에는 배출콕(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내용물 따위가 수용될 수 있다.A discharge cock 21 is formed under the container 20. The discharge cock 2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 through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is located on the pedestal 13. Inside the container 20, such as contents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ock 21 may be accommodated.

용기(20)에서 보관공간(11)의 바닥(111)으로 떨어진 내용물은 배수홀을 통해 본체부(10)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contents dropped from the container 20 to the bottom 111 of the storage space 11 may be drained out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rain hole.

도어부(30)는 본체부(10)의 개방된 전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어부(30)는 본체부(10)와 힌지(33) 연결되어 있다. 도어부(30)는 본체부(1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도어(31) 상면에 배치된 상면도어(32)를 포함한다. 전면도어(31)와 상면도어(32)에는 각각 단열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The door parts 30 are disposed on the opened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body part 10, respectively. The door part 30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10 and the hinge 33. The door part 30 includes a top door 32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door 31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sulating parts (not shown) are disposed on the front door 31 and the top door 32, respectively.

전면도어(31)는 제1 도어(311)와 제2 도어(312)로 분리되어 있다. 제1 도어(311)와 제2 도어(312)는 힌지(33)를 기준으로 움직여 본체부(10)의 개방된 전면을 단속한다.The front door 31 is divided into a first door 311 and a second door 312. The first door 311 and the second door 312 move relative to the hinge 33 to intermittently ope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제1 도어(311)와 제2 도어(312)가 닫힐 때 배출콕(21)이 전면도어(31)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도어(311)와 제2 도어(312)가 접하는 부분에는 노출홀(31a)이 형성되어 있다.When the first door 311 and the second door 312 are closed, an exposure hole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door 311 and the second door 312 are in contact so that the discharge cock 21 is exposed outside the front door 31. (31a) is formed.

아울러, 제1 도어(311)와 제2 도어(312)가 접하는 부분 도는 제1 도어(311), 제2 도어(312)가 본체부(10)와 접하는 부분에는 락킹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락킹부재는 제1 도어(311)와 제2 도어(312)의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a lock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door 311 and the second door 312 contact, or a portion where the first door 311 and the second door 312 contact the main body 10. Are deployed. The locking member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door 311 and the second door 312.

온도 조절부(40)는, 보관공간(11)의 바닥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온도 조절부(40)는 가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을 포함한다. 가열수단은 러버히터, 열선, 면상발열체, 열전 소자 따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단은 냉동사이클, 열전소자 따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0 is disposed inside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0 includes heating means or cooling means. The heating means may include a rubber heater, a heating wire, a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oling means may include a refrigeration cycle, a thermoelectric element.

용기(2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온도 조절부(40)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40)의 열은 단열부에 의해 본체부(1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0 may be heated or cool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0. Heat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unit 10 by the heat insulation unit.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여 교반용 날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tirring bla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urther.

도 5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면, 교반용 날개(50)는 날개 하우징(51), 자성체(53), 지지부(54) 및 날개 샤프트(56)를 포함하며 용기(20) 내부에 위치하며 내용물이 고르게 섞이도록 내용물을 젓는다.5 to 9, the stirring blade 50 includes a wing housing 51, a magnetic body 53, a support portion 54, and a wing shaft 56, and i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20 and the contents Stir the contents to mix evenly.

날개 하우징(51)은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를 포함한다.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되, 그 가장자리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결합되어 있다.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 사이에는 내부공간(51a)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두께는 1mm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The wing housing 51 includes an upper member 511 and a lower member 512.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with a gap, and their edges are bent and coupl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edges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are bent in a curved surface. An inner space 51a is formed between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The thickness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does not exceed 1 mm and is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는 얇은 두께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표면에는 보강부(511a, 51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511a, 512a)는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내측면이 외측방향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표면에는 보강부(511a, 512a)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511a, 512a)는 교반용 날개(5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may be changed by a thin thickness, reinforcement parts 511a and 512a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to prevent this. . The reinforcement parts 511a and 512a are formed while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are recessed in the outer direction. Accordingly, reinforcement parts 511a and 512a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surfaces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The reinforcement parts 511a and 512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stirring blade 50.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중앙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샤프트 홀(51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샤프트 홀(51b) 주변은 복수로 구부러져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A shaft hole 51b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Here, around the shaft hole 51b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a plurality of bent steps are formed.

날개(52)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측부재(511) 상면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날개(52)와 상측부재(511)는 별도의 부재로 각각 만들어져 조립되어 있다. 평면에서 본 날개(52)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52)는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여 위체가 섞이도록 한다.The wings 52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511. The wings 52 and the upper member 511 are each made of separate members and assembled. The wing 52 seen from the plane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he wings 52 apply pressure to the contents to mix the stomach.

날개 하우징(51)과 날개(52)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용기(2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열에 영향을 받지 않아 위생적이다.The wing housing 51 and the wing 52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r the like. Accordingly, it is hygienic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the heat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

자성체(53)는 보관공간(11)에 위치하여 날개 하우징(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 [도 7]에서 자성체(53)를 4개 도시하였으나, 자성체(53)의 개수는 교반용 날개(5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성체(53)는 영구자석, 금속 따위를 포함한다.The magnetic body 53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11 and i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g housing 51. In FIG. 7, four magnetic bodies 53 are illustrated, but the number of magnetic bodies 53 may vary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stirring blade 50. The magnetic body 53 includes a permanent magnet and metal.

지지부(54)는 샤프트 홀(51b) 주변에 배치되어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샤프트 홀(51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지지한다. 지지부(54)는 내측 지지부(541), 외측 지지부(542), 오링(542a) 및 어댑터(542c)를 포함한다.The support part 54 is disposed around the shaft hole 51b to support a portion in which the shaft hole 51b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is formed. The support portion 54 includes an inner support portion 541, an outer support portion 542, an O-ring 542a, and an adapter 542c.

내측 지지부(541)는 내부가 채워져 있으며 내부공간(51a)에 위치하여 샤프트 홀(51b)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541)는 샤프트 홀(51b)의 단턱(51c)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541)는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내측 중앙을 지지하여 눌리지 않도록 한다. 내측 지지부(541)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테플론)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inner support part 541 is filled inside and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51a and is disposed around the shaft hole 51b. The inner support portion 54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epped portion 51c of the shaft hole 51b. The inner support part 541 supports the inner center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so as not to be pressed. The inner support portion 541 may be made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Teflon).

외측 지지부(542)는 샤프트 홀(51b)에 위치하여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샤프트 홀(51b) 주변부를 내측 지지부(541) 방향으로 가압한다. 외측 지지부(542)는 오링(542a), 고정부재(542b) 및 어댑터(542c)를 포함한다.The outer support portion 542 is located in the shaft hole 51b to pres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haft hole 51b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pport 541. The outer support portion 542 includes an O-ring 542a, a fixing member 542b, and an adapter 542c.

오링(542a)은 고무 따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 홀(51b)에 위치하여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단턱(51c)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O-ring 542a is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and is located in the shaft hole 51b and is disposed on the stepped surfaces 51c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respectively.

고정부재(542b)는 샤프트 홀(51b)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오링(542a)을 단턱(51c)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재(542b)는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샤프트 홀(51b) 주변을 내측 지지부(541)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오링(542a) 압착으로 기밀성을 유지하며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의 중앙 부분은 고정된다. 고정부재(542b)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fixing member 542b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51b,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to press the O-ring 542a in the stepped direction 51c.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542b presses around the shaft hole 51b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pport 541. Accordingly,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by pressing the O-ring 542a, and the central portions of 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are fixed. The fixing member 542b may be made of metal.

어댑터(542c)는 고정부재(542b)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와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져 고정부재(542b)의 구부러진 부분을 덮고 있다. 어댑터(542c)는 내측 지지부(541)와 같은 재질 따위 만들어질 수 있다.The adapter 542c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542b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ent outward to cover the bent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542b. The adapter 542c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he inner support 541.

샤프트 홀(51b)을 이루고 있는 상측부재(511)와 하측부재(512) 부분이 내측 지지부(541)와 외측 지지부(542) 배치로 지지되면서 기밀성이 유지된다.The upper member 511 and the lower member 512 forming the shaft hole 51b are suppor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support portion 541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542, thereby maintaining airtightness.

슬리브(55)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고 어댑터(542c) 내부를 관통하고 있다. 슬리브(55)는 억지 끼워 맞춤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슬리브(55)는 세라믹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슬리브(55)는 날개 하우징(51)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며 하부에 걸림턱(551)이 형성되어 어댑터(542c) 하부에 걸려 있다. 슬리브(55)는 베어링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슬리브(55)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어댑터(542c)는 슬리브(55)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sleeve 55 is penetrated up and down inside and penetrates inside the adapter 542c. The sleeve 55 is coupled in an interference fit form. The sleeve 55 may be made of ceramic or the like. Here, the sleeve 55 is inser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ing housing 51 in the upper direction, and a locking jaw 551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o be hung under the adapter 542c. The sleeve 55 can serve as a bearing. However, the sleeve 55 can be omitted. At this time, the adapter 542c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leeve 55.

지지부(54)와 슬리브(55)는 날개 하우징(51)의 회전 무게 중심이 될 수 있다. 이에 날개 하우징(51)의 회전 무게 중심이 날개 하우징(51) 중앙에 형성되어 날개 하우징(51)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upport 54 and the sleeve 55 may be a center of gravity of rotation of the wing housing 51. Accordingly, the center of gravity of rotation of the wing housing 5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ng housing 51 so that the wing housing 51 can stably rotate.

날개 샤프트(56)는 용기(20) 내부 바닥에 놓이며 회전하는 날개 하우징(51)의 회전 중심을 이룬다. 날개 샤프트(56)는 플랜지(561) 및 로드(562)를 포함한다.The wing shaft 56 is placed on the bottom inside the container 20 and forms a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wing housing 51. The wing shaft 56 includes a flange 561 and a rod 562.

플랜지(56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그 하면이 용기(20) 내부 바닥에 놓여 있다.The flange 56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ts lower surface lies on the bottom inside the container 20.

로드(562)는 플랜지(561)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슬리브(55) 중앙을 관통하여 슬리브(55)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슬리브(55)가 생략된 경우 로드(562)는 어댑터(542c)를 관통할 수 있다.The rod 562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561 and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leeve 55 and is exposed to the top of the sleeve 55. When the sleeve 55 is omitted, the rod 562 may penetrate the adapter 542c.

로드(562)의 외부둘레 지름은 슬리브(55)의 내부둘레 지름보다 작다. 이에 외 외부둘레와 슬리브(55)의 내부 둘레 사이에는 틈새(도시하지 않음)가 발생한다. 틈새 발생으로 회전하는 날개 하우징(51)은 로드(562)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로드(562)가 슬리브(55)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로드(562)의 상단에는 슬리브(55) 상면에 걸리는 스냅링(57)이 결합되어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rod 562 is small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leeve 55. Accordingly, a gap (not shown) occurs between the outer outer circumferenc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55. The blade housing 51 that rotates due to the creation of a gap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od 562. In order to prevent the rod 56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eeve 55, a snap ring 57 enga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55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rod 562.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날개(50)는 와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portion.

도 9를 참고하면, 와셔부(60)는 슬리브(55)와 플랜지(561)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로드(562)가 관통한다.Referring to FIG. 9, the washer portion 60 is disposed between the sleeve 55 and the flange 561 and the rod 562 penetrates.

와셔부(60)와 플랜지(561)는 면 접촉하고 있으며, 와셔부(60)와 슬리브(55)는 점 접촉하고 있다. 와셔부(60) 배치로 플랜지(561)와 슬리브(55)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날개 하우징(51)이 회전할 때 와셔부(60)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며 슬리브(55)는 와셔부(60)와 접하면서 회전한다. 그러나 와셔부(60)는 슬리브(55)를 따라 회전할 수도 있다. 와셔부(60)는 슬리브(55)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washer portion 60 and the flange 561 are in surface contact, and the washer portion 60 and the sleeve 55 are in point contact. There is no play between the flange 561 and the sleeve 55 with the washer portion 60 disposed. Accordingly, when the wing housing 51 rotates, the washer part 60 is fixed without moving, and the sleeve 55 rotate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washer part 60. However, the washer part 60 may rotate along the sleeve 55. The washer part 6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leeve 55.

구동부(70)는, 케이스(71), 구동 회전체(72), 자석(73) 및 구동모터(74)를 구동공간(12)에 배치되어 교반용 날개(50)를 회전시킨다.The driving unit 70, the case 71,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the magnet 73 and the driving motor 74 are disposed in the driving space 12 to rotate the stirring blade 50.

케이스(71)는 구동공간(12)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 있다. The case 71 is disposed in the driving space 12 and the inside is empty.

구동 회전체(72)는 케이스(7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회전체(72) 중심 부위에는 케이스(71)와 결합된 중심축(721)이 배치되어 있다. 중심축(721)은 날개 샤프트(56)와 같은 위치에 위치한다. 중심축(721)과 구동 회전체(72) 사이에는 베어링이 위치한다. 구동 회전체(72)는 외력에 의해 중심축(72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driving rotating body 72 is disposed inside the case 71. A central shaft 721 coupled to the case 71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The central axis 721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wing shaft 56. A bear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shaft 721 and the driving rotor 72.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may rotate relative to the central axis 721 by external force.

자석(73)은 구동 회전체(72)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 회전체(72)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자석(73)은 자성체(53)와 마주하며, 자석(73)과 자성체(53)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한다. 구동 회전체(72) 회전 시 인력에 의해 날개 하우징(51)은 날개 샤프트(56)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magnets 73 are located inside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and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The magnet 73 faces the magnetic body 53, and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73 and the magnetic body 53. When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rotates, the wing housing 51 may rotate based on the wing shaft 56 by an attractive force.

구동모터(74)는 케이스(71)에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축이 케이스(71) 내부에 위치한다. 구동모터(74)의 구동축에는 풀리(75)가 결합되어 있다. 풀리(75)의 외부둘레는 구동 회전체(72)의 외부둘레와 접하여 연결되어 있다. 풀리(75)의 회전력이 구동 회전체(72)에 전달되어 구동 회전체(72)는 중심축(7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풀리(75)와 구동 회전체(72)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풀리(75) 외부둘레와 구동 회전체(72)의 외부둘레에는 실리콘 따위의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풀리(75)의 외부둘레와 구동 회전체(72)의 외부둘레에 치차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drive motor 74 is coupled to the case 71 and the drive shaft is located inside the case 71. The pulley 75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74.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75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tor 72.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75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so that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can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721. In order to increase friction between the pulley 75 and the driving rotor 72, a pad (not shown) such as silicon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75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tor 72. In addition, teeth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75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tor 72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풀리(75)와 구동 회전체(72)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풀리(75)의 회전력이 구동 회전체(72)에 전달되므로 벨트 따위의 동력전달수단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이에 풀리와 구동 회전체가 위치하는 케이스를 슬립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펜서 전체를 슬립화할 수 있다.Here,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ley 75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while the pulley 75 and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se of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belt can be excluded. Accordingly, the case in which the pulley and the driving rotating body are located can slip. Therefore, the entire dispenser can be slipp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는 본체부(10)의 전면에 배치된 컨트롤러 및 구동공간(12)에 배치되어 있고, 컨트롤러, 온도 조절부(40) 및 구동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조작으로 온도 조절부(40)의 작동 온/오프, 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구동부(70) 구동 시간 설정으로 교반용 날개(50)의 회전시간 따위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disposed in the controller and the driving space 12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includes a controller, a temperature control unit 40, and a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70.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can set the operation on/off, temperature, etc.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0, and the rotation time of the stirring blade 50 can be set by setting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unit 70.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디스펜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described above.

먼저, 도어부(30)가 열리어 보관공간(11)이 개방된 상태에서 보관공간(11)에 용기(20)를 위치시킨다. 이때 본체 요철부(111a)와 용기 요철부(22)가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용기(20) 내부로 내용물을 수용한다. 내용물을 섞는 교반용 날개(50)를 용기(20) 내부에 위치시킨다. 날개 샤프트(56)의 플랜지(561)는 용기(20) 내부 바닥에 접한다. 전면도어(31)와 상면도어(32)를 닫으며 배출콕(21)이 노출홀(31a)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First, the container 20 is placed in the storage space 11 in a state where the door part 30 is opened and the storage space 11 is opened. At this time, the body irregularities 111a and the container irregularities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n, the contents are received into the container 20. The stirring blades 50 for mixing the contents ar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20. The flange 561 of the wing shaft 56 abut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0. The front door 31 and the top door 32 are closed and the discharge cock 21 is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31a.

용기(20)를 보관공간(11) 바닥에 놓을 때 자성체(53)와 자석(73)은 일치하며 그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구동모터(74)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풀리(75)를 통해 구동 회전체(72)에 전달된다. 이때 인력에 의해 날개 하우징(51)은 로드(562)를 기준으로 구동 회전체(72)를 따라 회전한다. 날개(52)에 의해 내용물은 압력을 받으며 내용물은 날개 하우징(51)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섞이게 된다.When the container 20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 the magnetic body 53 and the magnet 73 coincide, and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m.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74 is transmitted to the drive rotor 72 through the pulley 75. At this time, the wing housing 51 is rotated along the driving rotating body 72 based on the rod 562 by the attraction force. The contents are pressurized by the wings 52 and the contents are mixed while flow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ng housing 51.

이때 온도 조절부(40)는 내용물에 열을 전달하거나 열을 흡수하여 내용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 by transferring heat to the content or absorbing heat.

그리고 용기 요철부(22)와 본체 요철부(111a)의 결합으로 교반용 날개(50) 회전 시 용기(20)가 보관공간(11)에서 흔들리지 않는다. 이에 용기(20)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20 is not shaken in the storage space 11 when the stirring blade 50 is rot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tainer irregularities 22 and the body irregularities 111a. Accordingly, the stability of the container 20 may be increased.

날개 하우징(51)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높은 열에 영향을 받지 않아 교반용 날개(50)는 손상되지 않는다. 이에 교반용 날개(50)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열에 의해 교반용 날개가 손상되면서 발생한 위생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Since the wing housing 51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and is not affected by the high heat of the contents, the stirring wing 50 is not damaged.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stirring blade 50 is improved, and hygienic problems caused by damage to the stirring blade by heat can be prevented.

아울러, 용기 요철부(22)와 본체 요철부(111a)가 서로 맞물리어 용기(20)와 본체부(10)가 서로 결합되므로 용기(20) 내부에서 교반용 날개(50)가 회전하여 내용물이 유동하여도 용기(20)는 보관공간(11)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concavo-convex portion 22 and the body concavo-convex portion 111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ontainer 20 and the body portion 1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irring blades 50 rotate inside the container 20, and the contents thereof are rotated. Even if it flows, the container 20 can maintain a stable state without being shaken in the storage space 1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온도 조절부(도시하지 않음)는 보관공간(11)의 바닥(111) 내부에 위치하지 않고 보관공간(11)의 둘레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온도 조절부는 본체부(10)의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단열부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부(10)의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휀(80)이 배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적어도 하나의 휀(80)이 위치한 본체부(10) 내부면 부분에는 통기홀(111b)들이 형성되어 있다. 온도 조절부의 공기는 휀(80)의 구동으로 통기홀(111b)을 통해 보관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가열수단이 작동된 경우 온풍이 보관공간(11)으로 유입되며, 냉각수단이 작동된 경우 냉풍이 보관공간(11)으로 유입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not shown) is not located inside the bottom 111 of the storage space 11 but is disposed in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11. That is,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disposed with the heat insulation unit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 In addition, at least one 80 8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ee FIG. 10 ). Ventilation holes 111b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where at least one fan 80 is located. Air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11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1b by driving the fan 80. At this time, when the heating means is operated, warm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11, and when the cooling means is operated, cold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11.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발효 종균일 수 있다. 용기(20)는 보관공간(11)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외부 둘레가 본체부(10)의 내부 둘레와 접하지 않는다. 이에 보관부(10)의 내부 둘레와 용기(20)의 외부 둘레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ermentation spawn. In the container 20,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20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Accordingly,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unit 1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20.

보관공간(11)으로 유입된 온풍 또는 냉풍은 보관공간(11)에서 용기(20)를 통해 내용물에 전달되어 발효에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에 가해지는 온도는 35℃ 내지 40℃일 수 있다. 온도가 35℃ 미만이거나, 40℃를 초과할 경우 내용물이 사멸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warm air or cold air flowing into the storage space 11 is transferred to the contents through the container 20 in the storage space 11 to maintain an optimum temperature for fermentation. Here,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contents may be 35°C to 40°C. When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35°C or exceeds 40°C, a problem occurs that the contents are killed.

가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의 열이 공간을 통해 용기(20)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내용물의 발효 적정온도에서 온도 변화가 크기 않다. 이에 적정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내용물은 최적의 발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heat of the heating means or the cooling means is indirectly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20 through the space,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fermentation proper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s not large. Accordingly, the optimum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so that the contents can maintain an optimum fermentation state.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Many feature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9 can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음용 할 수 있는 유체를 보관하거나, 발효 종균을 수용하여 온도 조절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통해 발효 종균의 발효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음용물 보관 또는 발효 종균 발효기 따위로 사용될 수 있다.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tore a drinkable fluid or receive the fermentation seed and maintain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of the fermentation seed through heat transferr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herefore,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for storing beverages or fermenting seed ferment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 디스펜서 10: 본체부
11: 보관공간 111: 바닥
111a: 본체 요철부 12: 구동공간
13: 받침대 20: 용기
21: 배출콕 22: 용기 요철부
30: 도어부 31: 전면도어
311: 제1 도어 312: 제2 도어
31a: 노출홀 32: 상면도어
33: 힌지 40: 온도 조절부
50: 교반용 날개 51: 날개 하우징
511: 상측부재 512: 하측부재
51a: 내부공간 51b: 샤프트 홀
51c: 단턱 511a, 512a: 보강부
52: 날개 53: 자성체
54: 지지부 541: 내측 지지부
542: 외측 지지부 542a: 오링
542b: 고정부재 542c: 어댑터
55: 슬리브 551: 걸림턱
56: 날개 샤프트 561: 플랜지
562: 로드 57: 스냅링
60: 와셔부 70: 구동부
71: 케이스 72: 구동 회전체
721: 중심축 73: 자석
74: 구동모터 75: 풀리
80: 휀
1: dispenser 10: main body
11: Storage space 111: Floor
111a: Main body irregularities 12: Driving space
13: stand 20: container
21: discharge cock 22: container irregularities
30: door part 31: front door
311: first door 312: second door
31a: Exposure hole 32: Top door
33: hinge 40: temperature control
50: stirring blade 51: wing housing
511: upper member 512: lower member
51a: inner space 51b: shaft hole
51c: Step 511a, 512a: Reinforcement
52: wing 53: magnetic material
54: support 541: inner support
542: outer support 542a: O-ring
542b: fixing member 542c: adapter
55: sleeve 551: locking jaw
56: wing shaft 561: flange
562: load 57: snap ring
60: washer section 70: drive section
71: case 72: drive rotating body
721: central axis 73: magnet
74: drive motor 75: pulley
80: 휀

Claims (13)

샤프트 홀이 상하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을 갖는 날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상기 샤프트 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날개 하우징의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부 및
접촉면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날개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날개 샤프트
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 하우징은 구동부와 상기 자성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날개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교반용 날개.
Wing housing with shaft hole penetrated up and down and having inner space,
At least one magnetic body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 support portion disposed around the shaft hole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the wing housing, and
A wing shaft that can be placed on a contact surface and supports the wing housing to rotate
It includes,
The wing housing is rotated relative to the wing shaft by the attrac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magnetic body
Stirring wing.
제1항에서,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되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 홀은 중앙을 상하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 홀 주변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
를 포함하는
교반용 날개.
In claim 1,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but the e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haft hole penetrates the center up and down,
The support portion,
An inner support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support the shaft hole periphery
Containing
Stirring wing.
제2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 홀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외측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측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교반용 날개.
In claim 2,
The support portion,
An outer support portion located in the shaft hole and pressing the out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in an inner direction.
Containing more
Stirring wing.
제3항에서,
상기 외측 지지부는,
상기 날개 하우징의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오링,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고 상부와 하부가 상기 오링을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로 가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를 덮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관통하고 있는 어댑터
를 포함하는
교반용 날개.
In claim 3,
The outer support portion,
O-ring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the wing housing,
A fix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shaft hole and pressing the o-ring to the upper and lower members by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dapter which penetrates the fixing member and covers the fixing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nd through which the sleeve penetrates.
Containing
Stirring wing.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날개 샤프트가 관통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교반용 날개.
In claim 1,
The stirring blade further comprises a sleeve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wing shaft passes.
제5항에서,
상기 날개 샤프트는,
상기 접촉면에 놓이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리브를 관통하는 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와 상기 로드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교반용 날개.
In claim 5,
The wing shaft,
A flange placed on the contact surface and
Rod projecting from the center of the flange and penetrating the sleeve
It include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rod
Stirring wing.
제6항에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와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와 상기 와셔부는 점 접촉하는 교반용 날개.
In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wash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flange, the sleeve and the washer portion is a stirring blade for contact point.
제1항에서,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에는 각각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상측부재와 하측부재의 내부면에 외측방향으로 가압되어 형성된 교반용 날개.
In claim 1,
Reinforc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ing portions are formed by press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in an outward direction, thereby forming a stirring blade.
제1항에서,
상기 상측부재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더 포함하는 교반용 날개.
In claim 1,
The stirring blad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blade disposed at a dista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제1항 내지 제9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 되어 있는 교반용 날개,
보관공간과 구동공간을 갖는 본체부,
개방된 상기 보관공간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에 배치된 도어부,
상기 보관공간에 놓여 있으며, 상기 교반용 날개가 내부에 위치한 용기,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구동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자기력으로 상기 교반용 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용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A stirring blade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9,
Body part having storage space and driving space,
A door part disposed in the main body part where the open storage space is formed,
The container is placed in the storage space, the stirring blade is located inside,
A temperature control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A driving unit disposed in the driving space and connected to the stirring blade by a magnetic force to rotate the stirring blade
Dispenser containing.
제10항에서,
상기 용기의 하면과 상기 보관공간의 바닥은 접하며, 상기 하면과 상기 바닥 사이에는 서로 결합된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 디스펜서.
In claim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are in contact, and a dispenser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with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제10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회전 중심이 교반용 날개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구동 회전체,
상기 구동 회전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구동 회전체를 회전 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풀리 외부둘레는 상기 구동 회전체의 외부둘레와 직접 접하고 있는 디스펜서.
In claim 10,
The driving unit,
A case disposed in the driving space,
A drive rotating body disposed rotatably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rotation center coinciding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stirring blade,
At least one magnet disposed inside the driving rotor and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rotor
It include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lley coupled with the driving motor is a dispens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rotor.
제10항에서,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는 상기 본체부 내부 둘레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 조절부의 주변 공기를 상기 보관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휀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In claim 10,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fan arranged in the main body to flow the ambient air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the storage space.
KR1020180166558A 2018-12-20 2018-12-20 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KR102151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58A KR102151213B1 (en) 2018-12-20 2018-12-20 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58A KR102151213B1 (en) 2018-12-20 2018-12-20 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37A true KR20200077237A (en) 2020-06-30
KR102151213B1 KR102151213B1 (en) 2020-09-02

Family

ID=7112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558A KR102151213B1 (en) 2018-12-20 2018-12-20 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2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23B1 (en) * 2020-07-07 2021-04-14 주식회사 공공 Wave vortex air purifier
IT202100019364A1 (en) * 2021-07-21 2023-01-21 Vin Service Srl DISPENSING SYSTEM FOR DRINKS WITH SUSPENDED PULP OR PARTICULATE AND DISPENSING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20Y2 (en) * 1979-12-12 1985-06-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DC motor with stepless control device
KR20050087537A (en)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efrigerator having a soda water dispenser
KR200450662Y1 (en) * 2010-05-14 2010-10-25 권영식 Sediment Mixing and Feeding Equipment of Rice Wine
KR101000916B1 (en) 2009-09-11 2010-12-13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The apparatus for providing beverage
KR101238437B1 (en) * 2011-09-20 2013-03-04 주식회사 타이거 Beverage dispenser of rotary mixing type
KR20140140669A (en) 2013-05-29 2014-12-10 (주)우리라이프 Beverag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4059B1 (en) 2011-02-14 2013-11-08 Sisvel Technology Srl METHOD FOR THE GENER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TEREOSCOPIC IMAGES AND RELATIVE DEVIC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20Y2 (en) * 1979-12-12 1985-06-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DC motor with stepless control device
KR20050087537A (en)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efrigerator having a soda water dispenser
KR101000916B1 (en) 2009-09-11 2010-12-13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The apparatus for providing beverage
KR200450662Y1 (en) * 2010-05-14 2010-10-25 권영식 Sediment Mixing and Feeding Equipment of Rice Wine
KR101238437B1 (en) * 2011-09-20 2013-03-04 주식회사 타이거 Beverage dispenser of rotary mixing type
KR20140140669A (en) 2013-05-29 2014-12-10 (주)우리라이프 Beverage dispen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23B1 (en) * 2020-07-07 2021-04-14 주식회사 공공 Wave vortex air purifier
WO2022010164A1 (en) * 2020-07-07 2022-01-13 주식회사 공공 Wavy vortex air purifier
KR20220005974A (en)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공공 Wave vortex air purifier
IT202100019364A1 (en) * 2021-07-21 2023-01-21 Vin Service Srl DISPENSING SYSTEM FOR DRINKS WITH SUSPENDED PULP OR PARTICULATE AND DISPEN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213B1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8558C1 (en) Food products and beverages processing device containing magnetic connection
AU2008342326B2 (en) Automatic milk foamer
CN101254075B (en) Blender having an invertable jar
US4090310A (en) Centrifuge for drying salad greens and the like
KR102151213B1 (en) Agitator wing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US11690481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foam from a food liquid, in particular from milk or a milk-based liquid
JP5480392B2 (en) Stirrer
CN107921387A (en) Agitator vessel and assembling include the method for the agitator vessel of telescopic shaft
EP3310227B1 (en) Heat management for food processor
EP3310225B1 (en) Food processor with low friction impeller support
US9357882B2 (en) Removable stirring system for mixing liquid
JP2006506125A (en) Food processing equipment with magnetic drive
EP2525696B1 (en) Device for agitating liquid foodstuff
FR2557430A1 (en) DEVICE FOR PRODUCING ICE TRUFFLES
JP2000237566A (en) Magnetic agitating device for use in microwave oven
CN205197851U (en) A dual drive adapter for kitchen utensil
CN103635124A (en) Processing container with a stirring bowl and a lid
US10524618B1 (en) Blender with vertically movable blades
CN109589019A (en) The structure that feeds intake and flavoring machine
CN109452890A (en) The module that feeds intake and flavoring machine
GB2429415A (en) Self-stirring microwave bowl
CN208864139U (en) A kind of liquid beverage blender
KR20130037132A (en) Soup production equipment
ITMO20060003A1 (en) EQUIPMENT FOR THE MIXING OF SUBSTANCES, PARTICULARLY FOR THE PREPARATION OF DRINKS IN PUBLIC PREMISES AND FOR DOMESTIC USES
CN211484194U (en) Stirring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