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198A -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198A
KR20200077198A KR1020180166483A KR20180166483A KR20200077198A KR 20200077198 A KR20200077198 A KR 20200077198A KR 1020180166483 A KR1020180166483 A KR 1020180166483A KR 20180166483 A KR20180166483 A KR 20180166483A KR 20200077198 A KR20200077198 A KR 20200077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anguage
score
measurement object
sc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563B1 (ko
Inventor
임동선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은,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 출력하여 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평가 데이터에 따른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방법으로 측정대상의 언어능력을 신뢰성 있게 측정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부모 설문지는 부모가 아동의 언어 능력에 대한 폭넓은 배경정보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언어 발달력을 살펴볼 수 있 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검사 도구이다(Rosenbaum & Simon, 2016).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부모가 제공한 정보가 주관적인 의견일 수 있으나 정확하게 아동의 언어능력을 보고한다고 하였으며, 부모 보고(parent report)만으로도 아동의 언어 발달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고 하며 부모 보고형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Bennetts et al., 2016; Bzoch et al., 2003; Han et al., 2002; Kim et al., 2003; Machado et al., 2014; Pae & Kwak, 2011).
특히, Hong(2014)의 연구에서는 부모가 제공하는 아동 언어 발달에 대한 정보가 아동의 현 언어 능력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도구라고 하였으며, Rescorla와 Achenbach(2001)에서는 부모 보고형 설문지가 만 2세의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어휘 및 낱말조합 능력도 예측해 줄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언어발달지체 아동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서 부모 혹은 교사 보고형 설문지가 표준화되어 교육 및 임상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Boniffaci et al.,2016).
하지만, 종래 기술은 설문지를 통해 부모의 아날로그적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부모의 주관적인 평가로만 아동의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경우, 잘못된 평가에 의한 측정 결과의 왜곡이 발생하여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5112호 한국공개특허 특2002-009208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언어 발달이 이루어 지지 않아 정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힘든 유아의 언어 능력을 부모보고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평가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은,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출력하고,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한다.
상기 영역은, 상기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1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2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3 영역 및 상기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영역별 점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제3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제4 영역별 점수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와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산출된 상기 제1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의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질문정보 중 걸음마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가 첫 낱말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별 점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2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복수의 영역별 점수 중 점수의 크기에 따라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영역별 점수의 합과 모든 영역별 점수의 합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에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출력하는 질문정보 출력부,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는 점수정보 변환부,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측정대상과 연관된 제3자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정보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 및 현재 언어 능력 수준에 기반한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임상 현장에서 직접 평가가 어려운 어린 유아가 측정대상으로 설정되더라도 신뢰도 높은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연령별 언어 능력 측정 결과의 일 예가 도시된 도표이다.
도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1, 이하 언어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측정대상(특히 아동)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출력하고, 측정대상과 연관된 제3자(예컨대 아동의 부모)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정보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 및 현재 언어 능력 수준에 기반한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관적으로 작성되는 평가 데이터(응답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며, 특정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질문정보와 연관되거나 연관되지 않은 질문정보의 중요도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질문정보 출력부(100), 점수정보 변환부(200), 측정부(300) 및 예측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된 장치일 수 있다. 장치(1)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언어 평가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언어 평가 장치(1)는 질문정보 출력부(100), 점수정보 변환부(200), 측정부(300) 및 예측부(400)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질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정보는 측정대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용자, 예컨대 측정대상의 부모가 측정대상을 관찰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문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정보는 '당신의 자녀는 언제 걷기를 시작하였나요?', '당신의 자녀는 책을 읽거나 부모가 책을 읽어주는 것을 좋아하나요?'등과 같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질문정보 출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질문정보는 측정대상(예컨대 아동)이 직접 응답하는 문항이 아닌, 측정대상을 평소에 자주 관찰하는 제3자로부터 측정대상에 대한 언어 능력 발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질문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임상 현장에서 직접 평가가 어려운 어린 유아가 측정대상으로 설정되더라도 신뢰도 높은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질문정보 출력부(100)에는 복수의 질문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질문정보는 영역별로 그룹화되어 분류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질문정보를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총 4개의 질문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걸음마 시기, 첫 낱말 발화 시기, 2어 조합 시기 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과거 능력을 다각도로 측정하기 위한 질문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아동 발달을 설명하고자 하는 여러 이론 중 역동적체계이론(Dynamic system theory, Kamm et al., 1990)에 따르면 운동기능, 언어 발달, 인지 능력 등은 중앙신경체계(central nervous system:CNS)의 성숙도에만 의존하여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며, 신체발달과 언어 능력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운동기능과 언어 능력 간의 관계를 검토한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운동기능(motor skills)은 첫 낱말 산출시기 전에 말 산출에 관여하는 운동기관의 움직임 여부와 관련이 있으며 아동이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새로운 운동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Darrah et al., 2003; Iverson, 2010). 또한, 언어발달지체 아동이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걸음마가 늦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도 신체발달과 언어 능력 간의 관계를 검토할 수 있는 질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초기 신체 발달 시기, 첫 낱말 발화 시기, 2어 조합 시기 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과거 능력을 다각도로 측정하기 위한 질문정보들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은 측정대상의 표현능력, 조음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장구성능력과 같이 아동의 현재 언어수준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질의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이 측정대상의 과거 발달사항에 대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되었다면, 제2 영역은 측정대상의 현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아동이 연령이 높은 취학 전 아동이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인 경우 이미 시간이 오래 지나 부모가 아동의 과거 언어수준을 회상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제2 영역에서는 아동의 과거언어 능력이 아닌 현재 언어수준에 초점을 맞춘 문항들도 포함하여 현재 언어수준에 대한 부모의 주관적인 느낌을 점수화 할 수 있는 질문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모는 언어치료사와 같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처럼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언어의 각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기 쉽지 않다. 따라서,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현재 언어수준 영역에는 각 언어 영역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 문항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대신 또래와 자녀의 언어수준을 대략적으로 비교하여 일상생활에서 부모가 자주 관찰하는 아동의 언어 능력을 보고 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정보들을 제2 영역의 질문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은 '또래의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였을 때, 자녀가 자신의 의사를 얼마만큼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나요?', '또래의 다른 아이들의 발음 정확도에 비해 자녀의 단어 발음은 어느 정도로 정확하게 발음하나요?'등과 같은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영역은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영역은 책읽기 선호도, 읽기/쓰기 능력, 선호하는 신체활동, 학습효율성, 선호활동패턴, 의사소통 시 성향 등과 같이 아동의 인지능력 및 학습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역은 '당신의 자녀는 책을 읽거나 성인이 책을 읽어주는 것을 좋아하나요?', '자녀가 의사 표현을 말 대신 행동으로 표현하나요?' 등과 같은 질문정보들로 구성되어, 이에 대한 부모의 평가데이터를 통해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치료사 혹은 연구자가 아동을 직접적으로 평가할 때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부모가 통찰력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부모보고를 통해 아동의 언어 발달에 대해 정보를 얻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그 밖에 비언어적인 영역에서도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연구결과(Chun & Yim, 2017; Leonard, 1998; Yang et al., 2015; Yim et al., 2015, 2016b)가 지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 언어 외적인 요소에서도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특이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Paradis와 연구진(2010)은 '아동의 행동패턴에 대한 문항'에서 일반 및 언어발달지체 집단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보고하며 언어발달지체 위험군은 인지적인 어려움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는 언어능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하나의 신호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언어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 외에도 아동의 행동패턴에 대한 질문정보가 제3 영역에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아동의 인지-행동발달적인 측면에서 언어 발달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영역은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4 영역은 가족 구성원의 교육수준, 학습 및 언어발달 가족력 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언어 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Bishop과 연구진(1995)은 쌍생아를 대상으로 언어발달지체의 유전적 요인에 대해 검토한 결과 언어발달지체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유전적인 요인과 부모의 학력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Lewis와 연구진(1989)이 실시한 연구에서도 음운발달이 지연된 아동은 그들의 형제에게서 음운발달지연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형제 내 음운발달지연 출현비율은 일반 아동과 그들의 형제와 비교하였을 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고 하였다. 또한, Tomblin 등(1997)에서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부모는 일반아동의 부모와 비교하여 교육연수가 낮고, 언어 및 학습장애를 보고한 비율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가족 구성원이 모두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나요?'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언어평가 시 부모의 학력에 대한 질문정보 및 측정대상의 언어 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정보를 생성하여 제4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복수의 질문정보를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1 영역,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2 영역,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3 영역 및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 측정 과정이 개시되면 미리 정해진 출력 순서, 예컨대 제1 영역-제2 영역-제3 영역-제4 영역 순으로 질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출력되는 질문정보에 대하여, 측정대상과 관련된 제3자(이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종래의 설문 방식과는 상이하게 각 질문정보별로 아동 언어 발달에 대한 부모의 추상적인 느낌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각각의 질문정보에 대하여'매우 그렇다', '그런 편이다', '보통이다', '아니다' 등과 같은 네 개의 선택지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지를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특정 질문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매우 그렇다'라는 선택지를 선택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점수정보를 3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특정 질문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아니다'라는 선택지를 선택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점수정보를 0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평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음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미리 정해진 선택지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로부터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가 갖는 의미를 추정하고, 추정된 음성 데이터의 의미에 따라 추상적인 평가 데이터를 0~3 사이의 객관적인 점수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포함된 모든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1 영역에 포함된 모든 질문정보 각각에 대한 평가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수신된 평가 데이터를 점수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합산하여 제1 영역별 점수(제1 영역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2 영역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 제3 영역에 대한 제3 영역별 점수 및 제4 영역에 대한 제4 영역별 점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각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측정부(300)는 영역별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연령별 언어 능력 측정 결과의 일 예가 도시된 도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300)는 연령별 언어 능력 측정 통계 결과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세 집단은 현재 언어 발달 능력인 제2 영역에서 평균적으로 10.61점(표준편차 3.25점)을 획득함을 알 수 있으며, 5세 집단은 이보다 향상된 14.31점(표준편차 2.13점)을 획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측정부(300)는 정상집단(NL)과 언어 발달 지체 집단(LD)에 대한 각각의 영역별 점수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300)는 점수정보 변환부(200)에 의해 생성되는 측정대상의 영역별 점수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 연령대에 대한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상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만 2세집단과 만 5세집단에 대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에 따라 언어 능력을 측정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연령대에 대한 통계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측부(400)는 산출된 영역별 점수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부(400)는 산출된 영역별 점수들 중 제2 영역별 점수와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부(400)는 2세 측정대상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와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이 0~1사이의 값을 갖는 제1 기준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미래 시점(예컨대 3세)에서는 동 연령대의 평균적인 언어 능력과 유사한 수준까지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예측부(400)는 제2 영역별 점수와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이 1~2사이의 값을 갖는 제2 기준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시점에서는 동 연령대와 유사한 언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미래에는 동 연령대보다 낮은 언어 능력이 기대될 것이라는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평가 결과는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측정대상의 연령 및 평가 환경 등에 따라 평가 결과는 다른 결과로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예측부(400)에 의해 수행되는 미래 언어 능력 예측 과정에서, 상술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각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1 영역에 포함된 질문정보들이 모두 출력된 이후에 산출되는 제1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제2 영역의 영역별 점수, 제3 영역의 영역별 점수 및 제4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질문정보 중 걸음마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가 첫 낱말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측정대상의 걸음마 시기가 첫 낱말을 발성한 시기보다 늦은 것으로 확인되면, 측정대상이 과거에는 언어 능력보다 신체 능력이 우선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2 영역의 점수정보, 다시 말해 현재 언어 능력 및 신체 능력을 과거 발달 수준과 연계되어 평가될 수 있도록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제2 영역별 점수와 현재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제3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1 영역별 점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4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제2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측부(400)는 복수의 영역별 점수 중 점수가 가장 높은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영역별 점수의 합과 모든 영역별 점수의 합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측부(400)는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신뢰성있게 예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후술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가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에 대한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언어 평가 장치(1)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 출력할 수 있다(31).
언어 평가 장치(1)는 복수의 질문정보를 초기 이정표 영역(제1 영역), 현재 언어수준 영역(제2 영역),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 영역(제3 영역) 및 언어발달 관련 가족력에 대한 영역(제4 영역)으로 분류하고, 측정이 개시되면 제1 영역으로 분류된 질문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언어 평가 장치(1)는 각각의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평가 데이터를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32). 언어 평가 장치(1)는 각각의 질문정보별로 생성된 점수정보를 이용하여 영역별 점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언어 평가 장치(1)는 영역별 점수정보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언어 평가 장치(1)는 산출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33). 이와 동시에, 언어 평가 장치(1)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도 있다(34). 현재 언어능력 측정 및 미래 언어능력 예측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질문정보 출력부
200: 점수정보 변환부
300: 측정부
400: 예측부

Claims (10)

  1.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출력하고,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상기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1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2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3 영역 및 상기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4 영역을 포함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영역별 점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제3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제4 영역별 점수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와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산출된 상기 제1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의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질문정보 중 걸음마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가 첫 낱말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별 점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2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복수의 영역별 점수 중 점수의 크기에 따라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영역별 점수의 합과 모든 영역별 점수의 합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출력하는 질문정보 출력부;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는 점수정보 변환부;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
KR1020180166483A 2018-12-20 2018-12-20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20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483A KR102200563B1 (ko) 2018-12-20 2018-12-20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483A KR102200563B1 (ko) 2018-12-20 2018-12-20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98A true KR20200077198A (ko) 2020-06-30
KR102200563B1 KR102200563B1 (ko) 2021-01-07

Family

ID=7112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483A KR102200563B1 (ko) 2018-12-20 2018-12-20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084A (ko) 2001-06-02 2002-12-11 김성원 유아 언어 능력 검사지
KR20140105112A (ko) 2013-02-22 2014-09-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언어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언어평가방법
KR20150123938A (ko) * 2013-03-07 2015-11-04 미데쏘 게엠베하 의학적 결정을 지원하는 의학적 제안의 스코어 계산방법
KR20160009155A (ko) * 2014-07-15 2016-01-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효과적인 학습 독려와 가이드 및 학습 전략 수립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 개인화 학습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8298A (ko) * 2016-11-24 2018-06-01 (주)카이맥스 취학연령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084A (ko) 2001-06-02 2002-12-11 김성원 유아 언어 능력 검사지
KR20140105112A (ko) 2013-02-22 2014-09-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언어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언어평가방법
KR20150123938A (ko) * 2013-03-07 2015-11-04 미데쏘 게엠베하 의학적 결정을 지원하는 의학적 제안의 스코어 계산방법
KR20160009155A (ko) * 2014-07-15 2016-01-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효과적인 학습 독려와 가이드 및 학습 전략 수립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 개인화 학습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8298A (ko) * 2016-11-24 2018-06-01 (주)카이맥스 취학연령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발달검사앱/육아어플 추천 앱으로 받는 무료발달검사 CJ발달진단,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4.03.11. , [2019.09.05. 검색], 인터넷 https://jheunyang86.blog.me/202066844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563B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amson et al. Detecting depression using vocal, facial and semantic communication cues
Mohammadi et al. Automatic personality perception: Prediction of trait attribution based on prosodic features
Wagner et al. Speech synthesis evaluation—state-of-the-art assessment and suggestion for a novel research program
Haley et al. Toward a quantitative basis for assessment and diagnosis of apraxia of speech
Curhan et al. Thin slices of negotiation: predicting outcomes from conversational dynamics within the first 5 minutes.
Van Nuffelen et al. Speech technology‐based assessment of phoneme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Baxter et al.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stuttering in children and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evaluation of clinical effectiveness, and exploration of barriers to successful outcomes.
McLeod et al. Speech sound disorders in a community study of preschool children
Ballati et al. Assessing virtual assistant capabilities with Italian dysarthric speech
Ivanov et al. Recognition of personality traits from human spoken conversations
Preston et al. Developing a weighted measure of speech sound accuracy
US99344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emotion recognition capability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emotion recognition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Pincus et al. Nonlinear dynamics and interpersonal correlates of verbal turn-taking patterns in a group therapy session
Vukovic et al. Estimating cognitive load from speech gathered in a complex real-life training exercise
D’Mello et al. Unimodal and multimodal human perceptionof naturalistic non-basic affective statesduring human-computer interactions
Sobol-Shikler Automatic inference of complex affective states
Munson et al.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gendered speech in preschool children: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Bodigutla et al. Domain-independent turn-level dialogue quality evaluation via user satisfaction estimation
Lehner et al. Clinical measures of communication limitations in dysarthria assessed through crowdsourcing: Specificity, sensitivity, and retest-reliability
Pérez-Espinosa et al. Using acoustic paralinguistic information to assess the interaction quality in speech-based systems for elderly users
Laskowski Predicting, detecting and explaining the occurrence of vocal activity in multi-party conversation
KR102200563B1 (ko)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Hildebrand-Edgar Creaky voice: An interactional resource for indexing authority
Metze et al. A review of personality in voice-based man machine interaction
Tao et al. CUEMPATHY: A counseling speech dataset for psychotherapy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