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132A -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 - Google Patents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132A
KR20200077132A KR1020180166345A KR20180166345A KR20200077132A KR 20200077132 A KR20200077132 A KR 20200077132A KR 1020180166345 A KR1020180166345 A KR 1020180166345A KR 20180166345 A KR20180166345 A KR 20180166345A KR 20200077132 A KR20200077132 A KR 2020007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index value
received
ser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061B1 (ko
Inventor
문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16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0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동기화 장치는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을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인덱스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인덱스 전송부 및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는 동기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것이고,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상기 전송된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부여된다.

Description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AND SYNCHRONIZATION REFERENCE SERVER}
본 발명은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에 관한 것이다.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 기법이란, 복수의 카메라가 다양한 각도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순간적으로 동시에 촬영한 후, 컴퓨터를 이용해 사진을 연결함으로써, 피사체의 정지된 동작을 마치 무비 카메라로 찍은 듯이 보이게 하는 영상 기법을 말한다. 타임 슬라이스는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느낌을 제공한다.
이러한 타임 슬라이스 기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7-0000994호는 화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에 이용되는 각각의 시점 영상은 카메라가 이미 촬영 중 이더라도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컨트롤러의 명령어에 의해 각 서버에서의 저장 시점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각 서버별 저장 시점이 달라지게 됨에 따라, 다른 시점의 프레임을 같은 시점의 프레임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정확도 높은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동기화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 복수의 서버가 각각의 영상 간의 동일 프레임이 동기화되도록 하기 위해 동일 프레임에 대해 동일 인덱스 값이 부여되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각각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인덱스 값의 수신 시점의 비교를 통해 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고, 동기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카메라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서버 간의 동기화를 통해 정확하게 프레임 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시점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요청받은 경우, 특정 시점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인덱스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인덱스 값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배열하여 손쉽게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을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인덱스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인덱스 전송부 및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는 동기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것이고,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상기 전송된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부여된 것인 동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을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것이고,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상기 전송된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부여된 것인 동기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동기화 장치로부터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인덱스 값을 부여하는 인덱스 값 부여부 및 상기 제 1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상기 동기화 장치로 전송하는 인덱스 값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값 부여부는 상기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제 2 인덱스 값을 부여하고, 상기 인덱스 값 전송부는 상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상기 동기화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장치에 의해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상기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되고, 상기 동기화 장치에 의해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에서 상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에서 상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이 비교되어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가 판단되는 것인 동기화 기준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동기화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 복수의 서버가 각각의 영상 간의 동일 프레임이 동기화되도록 하기 위해 동일 프레임에 대해 동일 인덱스 값이 부여되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인덱스 값의 수신 시점의 비교를 통해 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고, 동기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카메라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서버 간의 동기화를 통해 정확하게 프레임 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시점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요청받은 경우, 특정 시점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인덱스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인덱스 값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배열하여 손쉽게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준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준 서버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에서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종래에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는 펄스 신호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 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졌으며, 펄스 신호를 통해 동기화된 복수의 카메라는 별도의 촬영 시작 신호 없이 동일한 신간 간격으로 영상 데이터를 서버로 전달하였다.
서버는 제어 장치의 명령어에 따라 촬영 시작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동기화된 복수의 카메라는 이미 촬영 중에 있지만, 실제 영상이 서버에 저장되는 시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장치의 명령에 의해 결정된다.
이로 인해, 다른 시점의 프레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시점의 프레임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됨에 따라, 프레임 간의 동기화를 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기화 시스템(1)은 동기화 장치(110), 동기화 기준 서버(120), 동기화 대상 서버(130), 복수의 카메라(140) 및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 동기화 기준 서버(120), 동기화 대상 서버(130), 복수의 카메라(140) 및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동기화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동기화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 또는 동기화 대상 서버(130)와 동시에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 의해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되며, 제 1 프레임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최초 프레임)일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는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복수의 카메라(140)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카메라 동기화 신호를 복수의 카메라(14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덱스 값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것일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인덱스 값은 전송된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동기화 대상 서버(130)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부여된 것으로, 동기화 대상 서버(130)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인덱스 값이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전송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부여되는 것일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는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 2 인덱스 값 및 제 3 인덱스 값은 일치하는 것일 수 있다.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1)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을 다른 동기화 대상 서버(132)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는 복수의 카메라(14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40) 중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일부 카메라(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내지 제 3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동기화 대상 서버(130)는 복수의 카메라(140) 중 각각의 동기화 대상 서버(130)에서 관리하는 일부 카메라(예를 들어, 제 4 카메라 내지 제 6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는 각 서버가 관리하는 카메라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로부터 각 서버가 관리하는 영상이 중복되지 않도록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동기화 장치(110)로부터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수신한 영상에 대해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수신한 영상에 대해 -100 ~ -1까지 인덱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인덱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최초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100을 제 1 인덱스 값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수신한 영상 중 제 2 프레임에 대해 제 2 인덱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프레임은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프레임으로,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제 2 프레임에 대해 제 1 인덱스 값(-100)보다 '1'이 증가한 '-99'를 제 2 인덱스 값(-99)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제 1 인덱스 값(-100)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제 2 인덱스 값(-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가 완료된 경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제 1 프레임에 제 1 인덱스 값(-100)이 부여되고, 이후 수신된 다음 프레임에 대해 '1'씩 증가된 인덱스 값을 부여한 후, 기설정된 인덱스 값(예를 들어, -1)까지 부여가 완료되면, 수신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서버(130)는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부터 제 n 동기화 대상 서버(133)까지의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서버(130)는 동기화 장치(110)로부터 인덱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는 동기화 장치(110)로부터 제 1 인덱스 값(-100)을 수신할 수 있다.
동기화 대상 서버(130)는 수신한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수신한 인덱스 값의 다음 인덱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는 제 1 인덱스 값(-100)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제 3 인덱스 값(-99)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기화 대상 서버(130) 중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는 부여된 제 3 인덱스 값(-99)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3 인덱스 값(-99)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부여된 제 2 인덱스 값(-99)과 일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제 3 인덱스 값(-99)은 동기화 장치(110)에 의해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제 2 인덱스 값(-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에서 제 3 인덱스 값(-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이 동기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3 인덱스 값은 동기화 장치(110)에 의해 제 2 동기화 대상 서버(132)로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40)는 객체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신호 발생 장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카메라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되어 각각의 카메라가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140)는 신호 발생 장치(미도시)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생성된 정형파를 수신하여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4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카메라를 관리하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 또는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40)는 동기화 장치(11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140)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메라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특정 시각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요청받으면, 특정 시각과 대응되는 프레임의 인덱스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프레임의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확인된 프레임의 인덱스 값을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요청할 수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부터 요청한 프레임의 인덱스 값과 대응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한 프레임을 카메라 배열 정보에 기초하여 배열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의 영상으로부터 확인한 프레임의 인덱스 값과 대응되는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프레임을 카메라 배열 정보에 기초하여 배열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생성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기화 장치(110)는 신호 전송부(210), 인덱스 수신부(220), 인덱스 전송부(230) 및 동기화 판단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부(210)는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인덱스 수신부(220)는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예를 들어, -100)을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 의해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되며, 제 1 프레임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최초 프레임)일 수 있다.
인덱스 전송부(230)는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예를 들어, -100)을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 판단부(24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것일 수 있다.
동기화 판단부(240)는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은 전송된 제 1 인덱스 값(예를 들어, -100)에 기초하여 동기화 대상 서버(130)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부여된 것으로, 동기화 대상 서버(130)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인덱스 값(예를 들어, -100)이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전송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부여되는 것일 수 있다.
동기화 판단부(240)는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기화 판단부(24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 간의 동기화 여부를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동기화 판단부(240)는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
Figure pat00002
)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
Figure pat00003
)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sync time) 미만인 경우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4
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j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l번째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05
은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에서 관리하는 j+1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l번째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 2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 및 제 3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은 일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동기화 판단부(24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와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 제 2 동기화 대상 서버(132), ..., 제 n 동기화 대상 서버(133)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신호 전송부(210)는 복수의 카메라(140)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카메라 동기화 신호를 복수의 카메라(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인덱스 수신부(22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을 수신할 수 있다.
인덱스 전송부(23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 3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을 제 2 동기화 대상 서버(13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동기화 장치(110)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110)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동기화 장치(110)는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동기화 장치(110)는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준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영상 수신부(410), 신호 수신부(420), 인덱스 값 부여부(430), 인덱스 값 전송부(440) 및 저장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4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의 카메라(14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카메라(140)로부터 수신한 영상은 신호 발생 장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카메라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된 복수의 카메라(14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신호 수신부(420)는 동기화 장치(110)로부터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덱스 값 부여부(430)는 수신한 영상에 대해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덱스 값 부여부(430)는 수신한 영상의 제 1 프레임에 대해 '-100'을 제 1 인덱스 값으로 부여하고, 이후 수신한 영상의 프레임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1까지 인덱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인덱스 값 부여부(430)는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인덱스 값(예를 들어, -100)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가 수신한 영상 중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최초 프레임)일 수 있다.
인덱스 값 부여부(430)는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제 2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을 부여할 수 있다.
인덱스 값 전송부(440)는 제 1 인덱스 값(예를 들어, -100)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인덱스 값(예를 들어, -100)은 동기화 장치(110)에 의해 동기화 대상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인덱스 값 전송부(440)는 제 2 인덱스 값(예를 들어, -99)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450)는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가 완료된 경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덱스 값 부여부(430)에서 수신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해 -100부터 -1까지 순차적으로 인덱스 값을 부여한 경우, 저장부(450)는 인덱스 값이 '0'이 되면 수신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동기화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판단부(미도시)는 도 2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카메라(140)로부터 수신한 프레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판단부(미도시)는 제 1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수신 시점(
Figure pat00006
)과 제 2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수신 시점(
Figure pat00007
)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sync time) 미만인 경우, 제 1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과 제 2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 간의 동기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8
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j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l번째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09
은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j+1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l번째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준 서버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동기화 기준 서버(120)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준 서버(20)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4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동기화 장치(110)로부터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인덱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제 1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동기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에서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기화 시스템(1)은 동기화 장치(110), 동기화 기준 서버(120),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 제 2 동기화 대상 서버(132) 및 복수의 카메라(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40) 중 일부 카메라는 영상을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 전송하고(S601), 다른 일부 카메라는 영상을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로 전송하고(S602), 또 다른 일부 카메라는 영상을 제 2 동기화 대상 서버(132)로 전송할 수 있다(S603).
동기화 장치(110)는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604).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수신한 일부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제 1 인덱스 값을 부여하고(S605),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606). 이 때, 동기화 장치(110)는 제 1 인덱스 값을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로 전달할 수 있다(S607).
동기화 기준 서버(120)는 수신한 일부 영상 중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제 2 인덱스 값을 부여하고(S608),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609). 이와 동시에,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2)는 수신한 다른 일부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제 3 인덱스를 부여하고(S610),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611).
동기화 장치(110)는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비교하고(S612),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3).
예를 들어,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 간의 동기화되지 않은 경우(S614), 동기화 장치(110)는 복수의 카메라(140)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카메라 동기화 신호를 복수의 카메라(140)로 전송할 수 있다(S615).
다른 예를 들어,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 간의 동기화된 경우(S616), 동기화 장치(110)는 제 3 인덱스 값을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로 요청할 수 있다(S617).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131)는 제 3 인덱스 값을 동기화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618).
동기화 장치(110)는 제 3 인덱스 값을 제 2 동기화 대상 서버(132)로 전송할 수 있다(S619).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1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에서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기화 기준 서버(120) 및 동기화 대상 서버(130)는 영상을 압축하여 메타데이터 및 프레임의 인덱스 값과 함께 공통의 스토리지(7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같은 숫자의 인덱스 값은 같은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특정 시각의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요청받으면,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인덱스 값(예를 들어, -75)을 확인하고, 확인된 인덱스 값(예를 들어, -75)에 해당하는 시간의 프레임(710)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추출한 프레임(710)을 카메라 배열 정보에 기초하여 배열함으로써, 타임 슬라이스 영상(7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150)는 추출한 프레임을 j번째 카메라의 프레임, j+1번째 카메라의 프레임, j+2번째 카메라의 프레임의 순으로 배열하여 타임 슬라이스 영상(72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동기화 장치 및 동기화 기준 서버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동기화 장치 및 동기화 기준 서버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동기화 장치
120: 동기화 기준 서버
130: 동기화 대상 서버
131: 제 1 동기화 대상 서버
132: 제 2 동기화 대상 서버
133: 제 n 동기화 대상 서버
140: 복수의 카메라
150: 타임 슬라이스 영상 제공 서버
210: 신호 전송부
220: 인덱스 수신부
230: 인덱스 전송부
240: 동기화 판단부
410: 영상 수신부
420: 신호 수신부
430: 인덱스 값 부여부
440: 인덱스 값 전송부
450: 저장부

Claims (20)

  1.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을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인덱스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인덱스 전송부; 및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는 동기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것이고,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상기 전송된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부여된 것인, 동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인 것인, 동기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인덱스 값이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부여되는 것인, 동기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인덱스 값 및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일치하는 것인, 동기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인덱스 수신부는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인덱스 값을 수신하고,
    상기 인덱스 전송부는 상기 제 3 인덱스 값을 다른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동기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에서 수신한 영상은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생성된 카메라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것인, 동기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판단부는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인, 동기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카메라 동기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 전송하는 것인, 동기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에 의해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되는 것인, 동기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영상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에 의해 저장되는 것인, 동기화 장치.
  11. 동기화 장치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시작 신호를 동기화 기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제 1 인덱스 값을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인덱스 값을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각 수신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부여된 것이고,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상기 전송된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부여된 것인, 동기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인덱스 값이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된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부여되는 것이되,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인덱스 값 및 상기 제 3 인덱스 값은 일치하는 것인, 동기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인덱스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인덱스 값을 다른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동기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에서 수신한 영상은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생성된 카메라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것인, 동기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동기화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동기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의 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재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카메라 동기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동기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가 수신한 영상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에 의해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되고,
    상기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영상은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에 의해 저장되는 것인, 동기화 방법.
  18. 동기화 기준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동기화 장치로부터 동기화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동기화 시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중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인덱스 값을 부여하는 인덱스 값 부여부; 및
    상기 제 1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상기 동기화 장치로 전송하는 인덱스 값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값 부여부는 상기 수신한 영상 중 상기 제 1 프레임이 수신된 후에 수신된 제 2 프레임에 대해 제 2 인덱스 값을 부여하고,
    상기 인덱스 값 전송부는 상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을 상기 동기화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인덱스 값은 상기 동기화 장치에 의해 동기화 대상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가 수신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상기 제 1 인덱스 값에 기초하여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되고,
    상기 동기화 장치에 의해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에서 상기 제 2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과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에서 상기 제 3 인덱스 값이 부여된 프레임의 수신 시점이 비교되어 상기 동기화 기준 서버 및 상기 동기화 대상 서버 간의 동기화 여부가 판단되는 것인, 동기화 기준 서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값 부여부는 상기 수신한 영상에 대해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하는 것인, 동기화 기준 서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인덱스 값까지 부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동기화 기준 서버.
KR1020180166345A 2018-12-20 2018-12-20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 KR10220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45A KR102207061B1 (ko) 2018-12-20 2018-12-20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45A KR102207061B1 (ko) 2018-12-20 2018-12-20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32A true KR20200077132A (ko) 2020-06-30
KR102207061B1 KR102207061B1 (ko) 2021-01-25

Family

ID=7112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45A KR102207061B1 (ko) 2018-12-20 2018-12-20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220B1 (ko) * 2021-03-12 2021-08-03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대형 장비에 대한 실시간 계측 영상 동기화를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37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문화방송 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37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문화방송 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220B1 (ko) * 2021-03-12 2021-08-03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대형 장비에 대한 실시간 계측 영상 동기화를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380547B1 (ko) * 2021-03-12 2022-04-01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송신하고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061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896B2 (en) Network synchronized camera settings
CN104581188A (zh) 用于ip视频信号同步的方法和装置
KR101446995B1 (ko) 멀티앵글영상촬영헬멧 및 촬영방법
KR20180090719A (ko) 미디어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5838A (ko)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는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DE112021001105T5 (de) Remote-videozusammenarbeit in echtzeit
JP2020198509A (ja) 同期制御装置、同期制御方法及び同期制御プログラム
KR102207061B1 (ko) 동기화 장치, 방법 및 동기화 기준 서버
WO20071108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sing recording of multiple cameras
US2008022936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scheduling
KR101542416B1 (ko)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5953A (ko) 멀티 채널 초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의 동시 획득 시 채널 간 동기를 위한 하드웨어 장치
KR20200111104A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529139B1 (ko) 멀티앵글영상촬영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101976288B1 (ko) 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US108055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cameras to capture images
KR101840039B1 (ko) 영상 분석을 통한 동영상 촬영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453068B1 (ko) 타임슬라이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동기화를 수행하는 질의 서버, 질의 방법 및 기준 서버
KR20180062621A (ko) 복수의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
KR101386031B1 (ko) 영상 시스템에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46331B1 (ko) 초고화질 영상 재생 모듈을 이용한 dvr 시스템
JP2021052324A (ja) 撮像装置、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70082070A (ko) 그룹 촬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050192A (ko) 카메라 동기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및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2599664B1 (ko) 다시점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