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932A -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6932A KR20200076932A KR1020180165922A KR20180165922A KR20200076932A KR 20200076932 A KR20200076932 A KR 20200076932A KR 1020180165922 A KR1020180165922 A KR 1020180165922A KR 20180165922 A KR20180165922 A KR 20180165922A KR 20200076932 A KR20200076932 A KR 202000769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emical
- storage tanks
- opening
- closing valve
-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6—Detoxification by using acid or alkaline reag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누출된 화학 물질이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기 전에 중화처리를 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은, 방류벽 내에 배치되되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로와 폐수 처리장을 연결하는 화학 물질 처리로에는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화학물질 처리로에서 분기되어 빗물이 배출되는 우수로에는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화학 물질 처리로에서 상기 유로와 제1개폐밸브 사이에는 pH 조절부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를 중화시켜 폐수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 제2개폐밸브 및 pH 조절부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방류벽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1차로 감지하며,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와 각 공정설비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2차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은, 방류벽 내에 배치되되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로와 폐수 처리장을 연결하는 화학 물질 처리로에는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화학물질 처리로에서 분기되어 빗물이 배출되는 우수로에는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화학 물질 처리로에서 상기 유로와 제1개폐밸브 사이에는 pH 조절부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를 중화시켜 폐수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 제2개폐밸브 및 pH 조절부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방류벽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1차로 감지하며,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와 각 공정설비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2차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저장 탱크로부터 누출된 화학 물질이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기 전에 중화처리를 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해 화학 물질이 저장된 저장 탱크가 방류벽 내에 설치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방류벽 내에는 저장 탱크를 둘러싸는 유로가 배치되어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이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유로에는 폐수 처리장으로 이어지는 폐수 처리로가 연결되어 있지만 배수로도 연결되어 있어 누출된 유해 화학 물질이 배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고,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류벽 내의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또는 시스템이 종래에 다수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해 화학 물질 누설 감지 장치에서는 누액 감지기 또는 가스 감지기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누설을 감지하는데, 이와 같이 누액 감지기 또는 가스 감지기를 통해서는 단순히 방류벽 내에 화학 물질이 누출된 사실만 확인이 가능하고,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어떤 화학 물질이 얼마만큼 누출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누액 감지기의 경우 실외에서는 빗물에도 반응하기 때문에 화학 물질 누설 감지에 비효율적이고, 각각의 화학 물질 특성에 맞는 누액 감지기 또는 가스 감지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화학 물질에는 다종의 유해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상당수가 고온, 고압 등의 극한조건에서 취급되고 있으며, 화재, 폭발, 화학반응, 독성 등의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많아 이에 대처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단 누출사고가 발생하면 막대한 재해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로 국내외의 화학공장에서 크고 작은 누출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국민안전처, 환경부, 노동부 등 여러 정부부처에서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는 바, 환경부의 경우 캐나다 CANUTEC의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ERG)를 번역한 '유해물질 비상 대응 핸드북'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의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고대비물질 키인포가이드(Key Info Guide)' 를 제작 및 제공하고 있다.
또한, 화학물질 사고 대응 정보시스템(CARIS), 화학물질 정보시스템(NCIS) 등을 개발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정보, 누출물질의 방재정보, 대응기관별 임무 체계, 유해화학물질의 인체에 대한 위험/위해성 정보 등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서 유해 화학 물질 누출시 방재를 위한 여러 건의 국내외 특허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유해 화학 물질 누출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응 방법을 누출 장소에 있는 당사자(방재공무원 및 일반 사용자 등)에게 신속하고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이 부재하여, 화학사고 현장의 급박한 상황에서 초동 대응의 효율을 높이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
즉, 유해 화학 물질 누출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해 화학 물질 누출시 초기 대응이 무척 중요한데, 유해 화학 물질이 누출된 장소에 있는 당사자(방재공무원 및 일반 사용자 등)들이 해당 화학 물질 정보 및 그 처리법을 즉각적으로 습득하기 어려운 상태이므로, 화학사고 현장의 급박한 상황에서 초동 대응의 효율을 높이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
더욱이, 유해 화학 물질 누출시, 소방 및 환경공무원이 해당 유해 화학 물질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를 수배하여 연락하면, 해당 전문가는 최적방재방법을 조사 및 선정하여 방재방법을 자문하고 이를 활용하여 누출 대응을 하고 있으며, 이 일련의 과정은 최소 수시간, 최대 수일을 소요하므로 유해 화학 물질 누출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초기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어떤 화학 물질이 어느 정도의 양만큼 누출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누출된 화학 물질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유해 화학 물질 누출 대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누출된 화학 물질의 영향범위 내에 있는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알려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장 탱크로부터 누출된 화학 물질이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기 전에 중화처리를 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은, 방류벽 내에 배치되되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방류벽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와 각 공정설비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인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누출 감지수단은 누액 감지기 또는 가스 감지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대응 방법은, 방류벽 내에 배치되되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감지하여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방류벽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와 각 공정설비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인식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이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사업장 대응요원에게 상기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을 문자로 자동 전송하고,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방재 장비와 방재 물품 및 그 위치를 자동으로 문자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화학 물질 누출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에 누출된 화학 물질에 대한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경보 방법은, 방류벽 내에 배치되되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감지하여 경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방류벽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와 각 공정설비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인식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이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저장 탱크에 저장된 화학물질의 영향범위를 산출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영향범위 내에 있는 지역 주민들에게 재난 문자를 발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4단계에서 발송되는 문자에는 대피장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피장소는 상기 화학물질의 영향범위를 산출한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풍속만 입력하여 산출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은, 방류벽 내에 배치되되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로와 폐수 처리장을 연결하는 화학 물질 처리로에는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화학물질 처리로에서 분기되어 빗물이 배출되는 우수로에는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화학 물질 처리로에서 상기 유로와 제1개폐밸브 사이에는 pH 조절부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를 중화시켜 폐수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 제2개폐밸브 및 pH 조절부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방류벽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1차로 감지하며,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와 각 공정설비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2차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누출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것이 없고 레벨 게이지와 유량 게이지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제1개폐밸브와 제2개폐밸브는 모두 폐쇄 상태이고, 상기 누출 감지수단에서 빗물을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와 유량 게이지의 변화가 없으면 제1개폐밸브는 폐쇄되고 제2개폐밸브는 개방되며, 상기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을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와 유량 게이지의 차이로 인한 유량 손실이 발생하면 제1개폐밸브는 개방하고 제2개폐밸브는 폐쇄하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H 조절부는, 산성 물질 투입기와 염기성 물질 투입기로 이루어져 화학 물질 처리로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에 따라 산성 물질 투입기 또는 염기성 물질 투입기를 제어하여 pH 7 내지 8이 되도록 중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누출 감지수단에 의해 방류벽 내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된 것을 1차로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어떤 화학 물질이 어느 정도의 양만큼 누출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복수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 화학 물질의 특성에 따라 누출 감지수단을 복수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사업장 대응요원에게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을 문자로 자동 전송하고,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방재 장비와 방재 물품 및 그 위치를 자동으로 문자 전송함으로써, 누출 사고시 신속하게 초기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저장 탱크에 저장된 화학물질의 영향범위를 산출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누출된 화학 물질의 영향범위 내에 있는 지역 주민들에게 재난 문자를 발송함으로써,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장 탱크로부터 누출된 화학 물질이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기 전에 중화처리를 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에 채용된 누출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대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경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제1개폐밸브와 제2개폐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대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경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제1개폐밸브와 제2개폐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해 화학 물질(사고 대비 물질)이란 화학 물질 중에서 급성독성 및 폭발성 등이 강하여 화학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 물질로서, 화학 사고 대비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화학물질관리법 제39조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지정 고시한 화학 물질을 말한다.(화학물관리법 제2조)
국내에서는 국민안전처, 환경부, 노동부 등 여러 정부부처에서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는데, 환경부의 경우 캐나다 CANUTEC의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ERG)를 번역한 '유해물질 비상 대응 핸드북'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의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고 대비 물질 키인포가이드(Key Info Guide)' 를 제작 및 제공하고 있다.
또한, 화학 물질 사고 대응 정보시스템(CARIS), 화학 물질 정보시스템(NCIS) 등을 개발하여 유해 화학 물질 취급업체정보, 누출물질의 방재정보, 대응기관별 임무 체계, 유해 화학 물질의 인체에 대한 위험/위해성 정보 등을 제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에 채용된 누출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에 채용된 누출 감지 시스템은, 방류벽(2) 내에 배치되되 유로(4)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방류벽(2)은 저장 탱크(T1,T2,T3,T4)에서 누출되는 화학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는 벽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 저장되는 화학 물질은 누출되는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고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유해 물질이다.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 각각 저장되는 화학 물질은 같은 물질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방류벽(2) 내에 저장 탱크(T1,T2,T3,T4)를 둘러싸도록 유로(4)가 배치된다.
즉,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는 유로(4)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된다.
유로(4)는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로부터 누출되는 화학 물질을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비가 오는 경우 빗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각각에는 레벨 게이지(G1,G2,G3,G4)가 설치되고,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와 각 공정설비(F1,F2,F3,F4)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B1,B2,B3,B4)에는 유량 게이지(D1,D2,D3,D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배관(B1,B2,B3,B4)에는 펌프(P1,P2,P3,P4)가 각각 설치된다.
아울러, 유로(4)와 폐수처리장(K)을 연결하는 화학 물질 처리로(6) 중 방류벽(2) 내에 위치한 부분에는 누출 감지수단(S)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누출 감지수단(S)은 누액 감지기 또는 가스 감지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물질 처리로(6)에는 우수로(8)가 분기되어 방류벽(2) 내의 빗물이 우수로(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류벽(2) 내에 배치되되 유로(4)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방류벽(2)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S)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1단계(S10); 및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을 측정(S21)하고,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와 각 공정설비(F1,F2,F3,F4)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B1,B2,B3,B4)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측정(S22)한 다음,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인식(S23)하는 제2단계(S20);를 포함한다.
이때,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인식된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된다.
제어부는 방류벽(2)의 외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누출 감지수단(S)에 의해 방류벽(2) 내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된 것을 1차로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어떤 화학 물질이 어느 정도의 양만큼 누출되었는지 감지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 저장된 화학 물질의 특성에 따라 누출 감지수단(S)을 복수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대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대응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류벽(2) 내에 배치되되 유로(4)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감지하여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방류벽(2)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S)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1단계(S10);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을 측정(S21)하고,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와 각 공정설비(F1,F2,F3,F4)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B1,B2,B3,B4)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측정(S22)한 다음,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인식(S23)하는 제2단계(S20); 제2단계(S20)에서 인식된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이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는 제3단계(S30); 및 제어부는 사업장 대응요원에게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을 문자로 자동 전송하고,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방재 장비와 방재 물품 및 그 위치를 자동으로 문자 전송하는 제4단계(S4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화학 물질 누출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에 누출된 화학 물질에 대한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제5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은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업장 대응요원에게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을 문자로 자동 전송하고,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방재 장비와 방재 물품 및 그 위치를 자동으로 문자 전송함으로써, 누출 사고시 신속하게 초기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경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경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류벽(2) 내에 배치되되 유로(4)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감지하여 경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방류벽(2)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S)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1단계(S10);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을 측정(S21)하고,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와 각 공정설비(F1,F2,F3,F4)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B1,B2,B3,B4)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측정(S22)한 다음,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인식(S23)하는 제2단계(S20); 제2단계에서 인식된 누출 화학 물질의 종류와 누출량이 무선통신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는 제3단계(S30); 및 제어부는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저장 탱크(T1,T2,T3,T4)에 저장된 화학물질의 영향범위를 산출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영향범위 내에 있는 지역 주민들에게 재난 문자를 발송하는 제4단계(S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4단계(S40)에서 발송되는 문자에는 대피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장소는 상기 화학물질의 영향범위를 산출한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풍속만 입력하여 산출된다.
이처럼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저장 탱크(T1,T2,T3,T4)에 저장된 화학물질의 영향범위를 산출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누출된 화학 물질의 영향범위 내에 있는 지역 주민들에게 재난 문자를 발송함으로써,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류벽(2) 내에 배치되되 유로(4)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로(4)와 폐수 처리장(K)을 연결하는 화학 물질 처리로(6)에는 제1개폐밸브(6a)가 설치되고, 화학물질 처리로(6)에서 분기되어 빗물이 배출되는 우수로(8)에는 제2개폐밸브(8a)가 설치된다.
아울러, 화학 물질 처리로(6)에서 상기 유로(4)와 제1개폐밸브(6a) 사이에는 pH 조절부(10)가 연결되어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를 중화시켜 폐수 처리장(K)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pH 조절부(10)는, 산성 물질 투입기(12)와 염기성 물질 투입기(14)로 이루어져 화학 물질 처리로(6)에 각각 연결되는데, 제어부는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에 따라 산성 물질 투입기(12) 또는 염기성 물질 투입기(14)를 제어하여 pH 7 내지 8이 되도록 중화시키게 된다.
이때, 제1개폐밸브(6a), 제2개폐밸브(8a) 및 pH 조절부(10)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서도, 전술한 제1관점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서 누출되는 화학 물질을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감지하게 된다.
즉,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방류벽(2)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S)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1차로 감지하며,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와 각 공정설비(F1,F2,F3,F4)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B1,B2,B3,B4)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레벨 게이지(G1,G2,G3,G4)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저장 탱크(T1,T2,T3,T4)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2차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저장 탱크(T1,T2,T3,T4)로부터 누출된 화학 물질이 폐수처리장(K)으로 유입되기 전에 중화처리를 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제1개폐밸브와 제2개폐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누출 감지수단(S)에서 감지된 것이 없고 레벨 게이지(G1,G2,G3,G4)와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가 없으면 제1개폐밸브(6a)와 제2개폐밸브(8a)는 모두 폐쇄 상태이고, 누출 감지수단(S)에서 빗물을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G1,G2,G3,G4)와 유량 게이지(D1,D2,D3,D4)의 변화가 없으면 제1개폐밸브(6a)는 폐쇄되고 제2개폐밸브(8a)는 개방되며, 누출 감지수단(S)에서 화학 물질을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G1,G2,G3,G4)와 유량 게이지(D1,D2,D3,D4)의 차이로 인한 유량 손실이 발생하면 제1개폐밸브(6a)는 개방하고 제2개폐밸브(8a)는 폐쇄하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 : 방류벽 4 : 유로
6 : 화학물질 처리로 6a : 제1개폐밸브
8 : 우수로 8a : 제2개폐밸브
10 : pH 조절부 12 : 산성물질 투입기
14 : 염기성 물질 투입기 S : 누출 감지 수단
T1, T2, T3, T4 : 저장 탱크 G1, G2, G3, G4 : 레벨 게이지
F1, F2, F3, F4 : 공정설비 P1, P2, P3, P4 : 펌프
D1, D2, D3, D4 : 유량 게이지
6 : 화학물질 처리로 6a : 제1개폐밸브
8 : 우수로 8a : 제2개폐밸브
10 : pH 조절부 12 : 산성물질 투입기
14 : 염기성 물질 투입기 S : 누출 감지 수단
T1, T2, T3, T4 : 저장 탱크 G1, G2, G3, G4 : 레벨 게이지
F1, F2, F3, F4 : 공정설비 P1, P2, P3, P4 : 펌프
D1, D2, D3, D4 : 유량 게이지
Claims (4)
- 방류벽 내에 배치되되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로와 폐수 처리장을 연결하는 화학 물질 처리로에는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화학물질 처리로에서 분기되어 빗물이 배출되는 우수로에는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화학 물질 처리로에서 상기 유로와 제1개폐밸브 사이에는 pH 조절부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를 중화시켜 폐수 처리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개폐밸브, 제2개폐밸브 및 pH 조절부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게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 탱크에서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방류벽 내에 설치된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의 누출을 1차로 감지하며,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에 각각 설치된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와 각 공정설비를 연결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측정한 다음, 상기 레벨 게이지의 변화값과 유량 게이지의 변화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 탱크 중 어느 저장 탱크에서 얼마만큼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는지 2차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출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것이 없고 레벨 게이지와 유량 게이지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제1개폐밸브와 제2개폐밸브는 모두 폐쇄 상태이고,
상기 누출 감지수단에서 빗물을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와 유량 게이지의 변화가 없으면 제1개폐밸브는 폐쇄되고 제2개폐밸브는 개방되며,
상기 누출 감지수단에서 화학 물질을 감지하고 레벨 게이지와 유량 게이지의 차이로 인한 유량 손실이 발생하면 제1개폐밸브는 개방하고 제2개폐밸브는 폐쇄하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부는,
산성 물질 투입기와 염기성 물질 투입기로 이루어져 화학 물질 처리로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누출된 화학 물질의 pH에 따라 산성 물질 투입기 또는 염기성 물질 투입기를 제어하여 pH 7 내지 8이 되도록 중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922A KR102159058B1 (ko) | 2018-12-20 | 2018-12-20 |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922A KR102159058B1 (ko) | 2018-12-20 | 2018-12-20 |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6932A true KR20200076932A (ko) | 2020-06-30 |
KR102159058B1 KR102159058B1 (ko) | 2020-09-23 |
Family
ID=7112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5922A KR102159058B1 (ko) | 2018-12-20 | 2018-12-20 |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905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5533B1 (ko) * | 2015-09-25 | 2016-03-23 | 대한민국 | 유체 유출 경보 방법 |
KR20160080164A (ko) * | 2014-12-29 | 2016-07-07 | 이투엠쓰리(주) |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36824A (ko) * | 2015-09-01 | 2017-04-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화학물질사고를 대비한 실시간 방재 방법 |
KR20180123853A (ko) | 2017-05-10 | 2018-11-2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유체 누출 감지 장치 |
-
2018
- 2018-12-20 KR KR1020180165922A patent/KR1021590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0164A (ko) * | 2014-12-29 | 2016-07-07 | 이투엠쓰리(주) |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KR101692926B1 (ko) | 2014-12-29 | 2017-01-04 | 이투엠쓰리(주) |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36824A (ko) * | 2015-09-01 | 2017-04-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화학물질사고를 대비한 실시간 방재 방법 |
KR101605533B1 (ko) * | 2015-09-25 | 2016-03-23 | 대한민국 | 유체 유출 경보 방법 |
KR20180123853A (ko) | 2017-05-10 | 2018-11-2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유체 누출 감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9058B1 (ko) | 2020-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ullick et al. | Occurrence of transient low and negative pressures in distribution systems | |
Baladeh et al. | A multi-objective model to optimal selection of safety measures in oil and gas facilities | |
Kanakoudis et al. | Potable water security assessment—A review on monitoring, modelling and optimization techniques, applied to water distribution networks | |
CN110675038A (zh) | 一种基于控制力的城市地下综合管廊风险评估方法 | |
NO20090851L (no) | System og fremgangsmate for lekkasjekontroll og/eller testing av rornett og tappepunkter for ikke-komprimerbare vaesker | |
CN116128466A (zh) | 一种地下综合管廊水灾风险内外联动管控方法及系统 | |
Cooper et al. | Pipelines for transporting CO2 in the UK | |
Raj et al. | Risk analysis based LNG facility siting standard in NFPA 59A | |
CN108505540A (zh) | 一种管廊专用埋地阀门井 | |
KR101184693B1 (ko) | 유류저장시설 유출차단시스템 | |
KR20200076932A (ko) |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 |
KR20200076929A (ko) |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감지 방법 | |
KR20200076930A (ko) | 유해 화학 물질 누출 대응 방법 | |
KR102150096B1 (ko) | 유해 화학 물질 누출 경보 방법 | |
KR101605533B1 (ko) | 유체 유출 경보 방법 | |
Muraveva et al. | Provision of ecological safety of water supplying system of industrial enterprises | |
Boryczko et al. | Analysis of risk and failure scenarios in water supply system | |
KR102162196B1 (ko) | 산업용 밸브 가스누출사고 예측 시스템 | |
US20130206236A1 (en) | Intelligent emergency shut down system and a method for emergency closing and regulation of fluid stream in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during earthquake | |
Anh et al. |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domestic water supply system in Pleiku city–Gia Lai province | |
CN109373202B (zh) | 一种输气管道末站干线压降速率监测报警联锁装置 | |
McInerney et al. | New quantitative risk criteria for US LNG facilities | |
CN110185934A (zh) | 一种流体输送管网自动监控系统 | |
Mondal et al. | Safety Performance Assessment of Hazardous Chemical Facilities in Bangladesh Using Indexing Approach | |
Tušer et al. | Risk Assessment and Sustainability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Sustainability 2021, 13, 5120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