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904A - Smart home service platform - Google Patents

Smart home service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904A
KR20200076904A KR1020180165870A KR20180165870A KR20200076904A KR 20200076904 A KR20200076904 A KR 20200076904A KR 1020180165870 A KR1020180165870 A KR 1020180165870A KR 20180165870 A KR20180165870 A KR 20180165870A KR 20200076904 A KR20200076904 A KR 2020007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sumer
smart home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현
Original Assignee
신한에어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에어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에어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904A/en
Publication of KR2020007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9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6Flash evapo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which provides a home service related to a repair and installation of all the items in a house.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put module for inputting problem information for receiving a home service;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analyzing the input problem information and providing a consumer with information on a service provider to provide a related service; an image providing module for recording a working image in real-time via a webcam from a time point when the service providers visits a house requesting the home service to a time point when a service is provided and visiting is completed, and providing the consumer with the working image; 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in real-time the working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module with respect to consumer recognition information. A treatment from a process of inputting the problem information in the input module to storage of the working image in the storage module is performed by a single service request.

Description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Smart home service platform}Smart home service platform

본 발명은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내 모든 물품들의 수리, 설치와 관련된 홈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providing a home service related to repair and installation of all items in the home.

가정에는 많은 다양한 물품들이 비치된다. 가전제품에서부터, 상하수도와 관련된 설비제품, 보일러, 조명, 가구 및 인테리어 소품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물품들이 설치되어진다. There are many different items in the home. A wide variety of items are installed, including household appliances, water and sewage related equipment, boilers, lighting, furniture and interior accessories.

최근에는 이사를 돕는 이사업체나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판매회사 등 대부분의 서비스 제공업체나 물품판매업체에서 해당 물품의 설치 및 수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는 단발성에 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recent years, most service providers or goods sellers, such as moving companies that help move or sales companies that sell home appliances, provide service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repair of the goods. However, such services are generally limited to single shots.

공개특허 10-2017-0115219호는, 집을 수리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직접 수리 받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리 대상을 수리할 수 있는 수리 업체를 입찰 받아 선택할 수 있는 집수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5219 provides a home repair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a consumer who wants to repair a hous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o be repaired directly, and to select a repair company that can repair the object by bidding Is disclosed.

상기 공개특허는 소비자 단말이 수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리 요청 페이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리 요청 페이지를 수리 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수리 업체 단말이 수리를 희망하는 수리 입찰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리 요청 페이지에 상기 수리 입찰을 입력한 수리 업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이 상기 수리 업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수리 업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The disclosed pat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repair target by the consumer terminal; A service server creating a repair request page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repair target; The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repair request page to a repair company terminal, and the repair company terminal receiving a repair bid to request repair; Displaying, by the service server, information on a repair company that has entered the repair bid on the repair request page; And the consumer terminal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repair company and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repair companies.

즉, 상기 공개특허는 소비자와 불특정 다수간의 이해관계가 맞는 사람들 사이의 온라인 연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That is, the disclosed patent only provides an online connection service between a consumer and people who have interests between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다시 서비스를 신청할 필요가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들은 해당 업체를 찾아야 하는 수고를 거쳐야 하고, 다시 처음부터 서비스와 관련된 상담을 받아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수반해야만 하였다.Therefore,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or when the need to apply for the service occurs again, the users have to go through the trouble of finding the corresponding company, and have to have the trouble of having to consult with the service from the beginning.

또한 종래 특허는 소비자에게 온라인 연결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제공자와 서비스를 시행하는 서비스 업체가 상이하였다. 즉, 소비자와 서비스 업체 사이의 1 : 1 맞춤이 아니라 소비자와 온라인 제공자 그리고 서비스 업체가 연계되는 상황이 된다. 이러한 상태는 소비자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 소비자가 문제점을 제시했을 때, 온라인 제공자와 서비스 업체가 책임 회피하면서 책임감있는 사후관리가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atent, an online provider providing an online connection service to a consumer and a service company implementing the service are different. That is, it is not a 1:1 fit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service provider, but a situation where the consumer, the online provider, and the service provider are linked. This condition also occurs when the consumer is provided with the service, or after the service is provided, when the consumer presents a problem, the online provider and the service provider avoid responsibility and the responsible follow-up is not guarante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서비스 요청을 통하여 가정 내 모든 물품들의 수리, 설치와 관련된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at provides a life convenience service related to repair and installation of all items in a home through a single service reque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한 가정 방문, 서비스 비용에 대한 만족, 책임감 있는 사후관리가 필요한 가정 내 모든 물품들의 수리, 설치와 관련된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at provides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related to the repair and installation of all items in the home that require safe home visits, satisfaction with service costs, and responsible post managemen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홈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문제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된 문제정보를 분석하고,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제공자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홈서비스를 요청한 집에 서비스제공자가 방문하는 시점에서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문을 완료하는 시점까지의 웹캠을 통해서 작업 영상을 실시간 녹화하고, 상기 작업 영상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영상제공모듈; 및 상기 영상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작업 영상을 소비자 인식 정보를 기준하여 실시간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모듈에 문제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부터 상기 저장모듈에 작업 영상이 저장되기까지 한번의 서비스 요청을 통해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for inputting problem information for receiving a home service;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that analyzes the input problem inform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r to provide a related service to a consumer; An image providing module that records a work image in real time through a webcam from a time when a service provider visits a home requesting home service to a time when a service is provided and a visit is completed, and provides the work image to a consumer; 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work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module in real time based on consumer recogni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ingle service from the process of inputting problem information to the input module until the work image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is made through a request.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서비스는 보일러, 욕실설비, 조명, 상하수도 및 렌지를 포함하는 가정설비 관련 서비스; 텔레비젼, 냉장고, 컴퓨터 및 에어컨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이전, 설치, A/S 대행 서비스; 가구 및 액자 설치 등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home service includes a boiler, bathroom facility, lighting, water supply and sewage and stove related services; Home appliances, including television, refrigerator, computer and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after-sales servic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interior-related services including furniture and frame install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제공모듈은 상기 작업 영상을 요청에 의해서 소비자의 단말기로 실시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image provid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he working image to the consumer's terminal in real time upon reques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작업 영상은 웹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working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web.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모듈은 소비자의 단말기와 웹을 이용해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input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face connected to the consumer's terminal using the web.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제공모듈은,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홈서비스를 요청한 집에 방문할 때, 방문알림 내용을 문자로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ervice provider visits the home requesting the home service, the content of the notification of the visit is transmitted to the consumer by text.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홈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생활편의서비스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상기 교육시스템의 관리하에 서비스제공자들의 이력사항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o establish a life convenience service education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the home service, to manage the service provider's history under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가정 내 모든 물품들의 수리, 설치와 관련된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 접속하여 한번의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것으로 필요한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생활편의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빠른 해결을 얻을 수 있도록 도모한다.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e convenience service related to the repair and installation of all items in the home, and provides a consumer convenience service required by a consumer accessing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nd making a single service request. . Therefore,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hassle of the consumer who wants to receive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and to obtain a quick solu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인증이 허용된 자에 한정해서 홈 방문이 이루어지도록 도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소비자가 외부인에 대한 불안감 없이 생활편의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도모한다.In addition,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make a home visit limited to those who are permitted to authenticate to the service provider so that consumers can receive the service with confidence. Therefore,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enable consumers to receive life convenience services without any anxiety about outsid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때, 작업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해주므로서, 소비자가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providing a related service,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 work image in real time and provides it to the consumer, so that the consumer can check the work situation.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가정설비와 관련된 서비스, 가전제품의 이전, 설치 및 A/S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인테리어와 관련된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해주므로서,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수리, 설치와 관련된 문제들을 빠르고 편리하고 해결할 수 있다.Above all,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sumers with services related to home facilities, services related to home appliances, installation and A/S services, and services related to interiors, thereby providing various repairs in the home. , Installation problems can be solved quickly and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과 연계되는 스마트폰 앱의 대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래폼에서 생활편의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분화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동작 과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동작 과정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representative screen of a smartphone app linked to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use of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using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for providing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in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performed in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performed in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노드" 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parts" and "nodes"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가정에 필요한 모든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form that provides all the convenience services for the home.

본 발명은 보일러, 욕실설비, 조명, 상하수도, 렌즈 등과 같은 가정설비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냉장고, 컴퓨터,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이전, 설치, A/S 대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구, 액자 설치 등과 같은 인테리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household equipment such as boilers, bathroom equipment, lighting, water and sewage, and len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ervice for the transfer, installation, and after-sales service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s, refrigerators, computers, and air condition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terior related services such as furniture, frame installation, and the lik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ll life convenience services required at home.

상기 생활편의서비스는 간단한 수리에서부터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분야까지 매우 다양하다. The service for daily living is very diverse, ranging from simple repairs to areas requiring specialized skills.

최근의 집은 단순히 쉬는 공간이 아니라 작업 공간에서부터 놀이 공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서 집에서 사용되는 설비들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고, 이러한 점은 간단하게 수리, 설치가 가능한 것에서부터 전문가를 요구하는 수준까지 매우 다양해짐을 의미한다.Recently, the house has evolved from a work space to a play space, not just a resting place. According to these demands, the facilities used at home are becoming very diverse, and this means that they can be very diverse from simple repair and installation to expert level.

또한 집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생활편의서비스는 항상 빠르고 안전하며 편리성을 동반해야만 한다. 이것은 항상 이용해야만 하는 설비이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설비이기 때문이다.In addition, all living convenience services needed at home should always be fast, safe and convenient. This is because it is a facility that must always be used, and is a facility used at home.

기존에는 소비자들이 생활편의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 외부의 도움을 얻기 위해서 다방면의 수고를 하게 된다. 간단히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곳을 검색하는 작업에서부터 문제해결을 위한 서비스 상담, 가격 상담, 그리고 방문시간 상담 등, 매우 번거로운 과정들을 거쳐야만 하였다. 추가적으로 소비자들은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그리고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타인으로부터의 안전한 상태, 또한 책임감 있는 사후관리를 원한다.Conventionally, when consumers need convenience services, they have to do a lot of work to get outside help. In short, it had to go through a very cumbersome process, from searching for a place to receive service, to service consultation for problem solving, price consultation, and visit time consultation. In addition, consumers want a safe state from others and responsible after-sales service when they receive life convenience services an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m.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필요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생활편의서비스에 따른 일련의 과정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빠른 문제 해결, 안전한 문제 해결, 책임감 있는 사후관리 문제해결 등을 도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a series of processes according to the life convenience service described above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nd quick problem solving, safe problem solving, and responsible post-management problem solving are promoted.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시하고 있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shown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입력모듈(1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모듈(10)은 소비자로부터 전화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10)은 웹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소비자의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웹 상으로 소비자의 생활편의서비스 요청에 따른 문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10). The input module 10 may receive a call request from a consumer. The input module 10 may be connected to a consumer's smart phone, smart device, etc. through a web connection interface.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eive problem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or a consumer's convenience service on the web.

상기 문제정보는 소비자가 생활편의서비스 요청을 필요로 하는 정보이다. 즉, 가정설비 관련서비스, 가전제품 이전, 설치, A/S 대행 서비스, 인테리어 관련 서비스를 포함하는 가정에 필요한 모든 홈서비스의 요청을 필요로 하는 정보이다.The problem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the consumer needs to request for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That is, information that requires requests for all home services required for the home, including home equipment related services, home appliance transfer, installation, A/S agency services, and interior related services.

상기 문제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은, 영상입력, 사진입력, 문자/메일입력, 음성입력, 질문지입력 등, 매우 다양한 과정을 통해서 문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problem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input problem information through a wide variety of processes, such as video input, photo input, text/mail input, voice input, and questionnaire input.

상기 영상입력의 경우, 문제가 발생된 설비를 소비자가 동영상으로 촬영해서 상기 입력모듈에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사진입력은, 문제가 발생된 설비를 소비자가 사진으로 촬영하고, 상기 입력모듈에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문자입력은 문제가 발생된 설비에 대해서 개략적인 정보를 문자나 메일 등으로 구성하여 상기 입력모듈에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음성입력은 소비자가 설비의 문제점을 음성 녹음하고, 상기 입력모듈에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질문지입력은 상기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서비스 단계별로 구성한 질문에 소비자가 답을 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입력모듈에 업로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video input, the user can take a video of a facility having a problem and upload it to the input module. The photo input may be taken by a consumer taking a photograph of a facility having a problem, and uploaded to the input module. The text input can be uploaded to the input module by constructing rough information about a facility having a problem with text or mail. The voice input allows the consumer to record a problem of the equipment and upload it to the input module. The questionnaire input may be uploaded to the input module through the process of a consumer answering a question configured in each step of the service in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상기 입력모듈(10)에 문제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소비자 중심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모듈을 구성한다.In the process of inputting problem information to the input module 10,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n input module to enable consumer-centered input.

일 예로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카테고리의 선택을 통해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보기쉬운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큰 글자로 표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소비자의 단말기로 확인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의 대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As an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screen that is easy to see so that input is possible through selection of a category, and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n large letters. 2 is an exemplary view of a representative screen of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checked by a consumer's terminal.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정보제공모듈(20)을 포함한다.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0.

상기 정보제공모듈(20)은 상기 입력모듈(10)을 통해서 입력된 문제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인증된 서비스제공자들 중에서, 상기 문제정보를 해결하기에 최적의 담당자를 찾고, 서비스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0 analyzes proble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0. And among the service providers authenticated in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st person to find the problem information is found,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er is provided to the consumer.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생활편의서비스 교육시스템을 이수하고, 인증된 자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문제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신청한 소비자와 가장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는 사람을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해당 분야에서 경험이 많은 사람, 관련 기술 전문가로 구성되고, 충분히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노년층(사회적 약자인 노년층에게 경제활동 기회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is composed of an authorized person who completes the education system for life convenience services provided by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problem information to provide a person located in the area closest to the consumer who applied for the service. The service provider may include an experienced person in the field, a related technical expert, and may include an elderly person capable of providing sufficient services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economic activity to an elderly person who is a socially weak person).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제공자 관련정보는, 방문시간, 방문목적, 서비스제공자 사진, 서비스제공자 전화번호, 서비스 이용요금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onsumer may include a visit time, a purpose of visit, a picture of a service provider, a phone number of a service provider, a service usage fee, and the like.

상기 서비스 이용요금은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적정하게 결정된 일정한 요금으로 산정된다. 또한 수행할 서비스에 새로운 부품을 필요로 하면, 서비스 이용요금에 부품값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이용요금은 서비스 이용시간, 서비스 종류, 서비스 부품에 대해서 세분화되어 투명하면서도 일정하게 산정되어 소비자가 상기 서비스 이용요금의 내역에 대해서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rvice usage fee is calculated as a predetermined fe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f a new part is required for the service to be performed, the part value may be added to the service usage fee. The service usage fee is subdivided into service time, service type, and service parts, and is calculated transparently and consistently so that the consumer can clearly recognize the service usage fee.

상기 소비자는 상기 정보제공모듈(20)에서 제공한 서비스제공자 관련정보를 확인하고, 서비스제공자의 교체, 서비스 부품의 교체 등을 요구할 수도 있다. The consumer may check the service provider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0, and may request replacement of the service provider, replacement of service parts,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정보제공모듈(20)은 서비스제공자가 해당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집을 방문할 때, 방문알림문자를 소비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Further,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0 may transmit a visit notification text to the consumer when the service provider visits the consumer's home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service.

즉,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플랫폼에서 직접 소비자에게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통해서 서비스제공자의 신원보증, 명확한 이용요금 등의 문제를 해결한다.That is,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problems such as identity guarantee of service providers and clear usage fees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services to consumers directly from the platform.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와 소비자 사이의 연결을 위한 플랫폼이 아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소비자와 직접 연결되어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이다.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platform for connection between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convenience service and a consumer.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company that directly connects with consumers and provides daily convenience services.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제공자를 다수 구성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인증, 교육 등을 수행한다.Therefore,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number of service providers capable of providing all convenience services that may occur in the home, and performs authentication, education, and the like for the service providers.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생활편의서비스 교육시스템은,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생활편의서비스에 대해서 전문가적인 기술과 인성을 보증할 수 있는 교육체계를 갖춘다.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과거 경력을 조사하고, 개인 성향 파악할 수 있는 인성중심의 면접을 하고, 건강검진 등의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시스템적인 검증과, 전문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The life convenience service education system provided by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education system capable of guaranteeing professional skills and personality for all life convenience services that may occur in the home. Investigate past careers of service providers, conduct personality-oriented interviews to understand personal preferences, and provide systematic verification and professional skills for service providers such as health checkups.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소비자 중심에서 소비자가 안전하고, 만족할 수 있도록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제공자의 교육 및 인증을 관리한다.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e convenience service so that consumers can be safe and satisfied from a consumer center, and manages education and certification of service providers.

따라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교육시스템의 이수 이력사항을 포함하는 기타 관리사항들은 후술되는 저장모듈(4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관리정보는, 소비자가 요청시에 소비자의 단말기(스마트폰, 컴퓨터, 테블릿 pc 등)로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ly, other management matters including the history of completion of the education system for the service provider are databased in the storage module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are systematically managed by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service provider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s terminal (smartphone, computer, tablet pc, etc.) when the consumer requests.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영상제공모듈(30)을 포함한다.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viding module 30.

상기 영상제공모듈(30)은 서비스제공자가 소비자의 집을 방문한 시점에서부터 서비스를 종료하여 방문을 종료하기까지의 과정을 실시간 동영상으로 촬영한다. 그리고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작업영상을 실시간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module 30 records in real time a video from the time the service provider visits the consumer's home to the end of the service and ends the visit. In addition, a work image may be selectively provided to the consumer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sumer.

상기 작업영상의 촬영 및 제공은 소비자에게 관련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부분과, 안전한 서비스를 행하여, 신뢰성 확보에 따른 부분도 추가된다. The photographing and providing of the work image adds a part informing the consumer of how the related service is being performed, and a part in accordance with securing reliability by performing a safe service.

상기 영상제공모듈(30)은 웹캠이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작업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module 30 may take a work image using a webcam or a smartphone.

특히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플랫폼의 제어하에 작업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히 서비스제공자가 개인용의 카메라(스마트폰)를 이용하여 작업영상을 촬영할 경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소비자 안전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직접 제어하는 웹캠과 서비스제공자가 갖고 있는 카메라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통해서 서비스제공자가 서비스를 행하는 동안 적절한 서비스를 행하고 있는지, 소비자 중심으로 안전한 서비스를 행하고 있는지를 감시 확인한다.In particular,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hoot a working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platform. If the service provider simply uses the personal camera (smartphone) to shoot the work image, monitoring of consumer safety is not performed while performing the servi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a service provider is performing an appropriate service or a consumer-oriented safe service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a webcam directly controlled by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nd a camera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are remotely connected. Check surveillance.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제공모듈(30)은 단순히 작업영상을 촬영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에서부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시행에 관한 관리, 감독을 하고, 나아가 소비자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Therefore, the image providing modu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for managing and supervising a service provider's service execution from simply capturing a work image and providing it to a consumer, and further providing a safe service to the consumer.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저장모듈(40)을 포함한다.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module (40).

상기 저장모듈(40)은 상기 영상제공모듈(30)에서 제공되는 작업영상을 실시간 저장한다. 상기 저장모듈(40)은 웹 서버를 이용 가능하다.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작업영상을, 소비자가 웹을 통해서 접속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모듈(40)에 저장된 작업영상은, 소비자의 인식 정보, 문제정보 등을 포함하여 저장되고,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40 stores the working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module 30 in real time. The storage module 40 can use a web serv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nsumer to check the work image stored in the web server through the web. The work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0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cluding the consum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stored for a set time.

상기 저장모듈(40)에 저장된 작업영상은 적절한 서비스가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모듈(40)에 저장된 작업영상은 수행된 생활편의서비스에 대한 사후관리와도 관련된다.The work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0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an appropriate service has been performed. In addition, the work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0 is also related to the post management of the performed convenience service.

소비자 중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은 정도에 만족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시행된 서비스에 대한 사후관리의 차원에서 일정기간 수리사례를 저장하고, 이를 보증할 수 있도록 한다.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service provided by the consum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ore repair cas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guarantee them in the aspect of follow-up management for implemented services.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생활편의서비스 교육시스템을 운영하고, 상기 교육시스템의 관리하에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이력사항 및 관리사항들을 상기 저장모듈(40)에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소비자 요청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education system, systematically stores history and management matters for a service provider under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in the storage module 40, and upon request by a consum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t to consumers.

도 3은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서비스가 수행된 후의 상태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FIG. 3 shows the state before the service is performed, and FIG. 4 shows the state after the service is performed.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과정도를 도시하고 있다.6 show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of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소비자는 생활편의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 접속하고, 입력모듈(10)에 문제정보를 입력한다(100 단계). When the consumer needs a service for daily living, he connects to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nd inputs problem information to the input module 10 (step 100).

상기 100 단계의 문제정보 입력은, 동영상 입력, 사진 입력, 문자/메일 입력, 음성입력, 질문지입력, 전화통화 입력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The problem information input in step 100 is per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video input, photo input, text/mail input, voice input, questionnaire input, and telephone call input.

정보제공모듈(20)은 상기 입력모듈(10)을 통해서 입력된 문제정보를 분석한다(110 단계).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0 analyzes the proble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0 (step 110).

상기 110 단계의 문제정보 분석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생활편의서비스에 구분된 카테고리와 규정된 메뉴얼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문제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서 최적의 서비스제공자가 결정되어진다(120 단계).The analysis of the problem information in step 110 is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ategory and the prescribed manual classified in the living convenience service, as shown in FIG. 5, and the optimal service provid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oblem information. Lose (step 120).

상기 120 단계에서는 최적의 서비스제공자, 서비스에 소요될 이용시간, 서비스 종류, 서비스에 이용될 부품 등의 항목에 따라서 서비스 이용요금도 같이 산정된다.In the above step 120, the service usage fee is also calculated according to items such as an optimal service provider, service use time, service type, and parts to be used for service.

상기 120 단계에서 결정된 서비스제공자와 관련된 상기의 정보들은 소비자에게 전화, 문자, 이메일 등 다양한 전송수단을 통해서 전송된다(130 단계).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er determined in step 120 is transmitted to a consumer through various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telephone, text message, and email (step 130).

소비자는 상기 130 단계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서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추가적인 사항을 더 요구할 수도 있고, 이용할 서비스에 대한 교체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제공자, 실제 집에 방문할 시간, 서비스에 이용될 부품 등의 교체가 가능하다(140 단계).The consumer may check information on the life convenience service used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ed in step 130, may further request additional information, or may request replacement of the service to be us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ervice provider, the time to visit the actual house, and the parts to be used for the service (step 140).

상기 140 단계에 의한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과 소비자 간의 1 : 1 맞춤 서비스 제공에 의해서 충분한 조절이 이루어지면, 정보제공모듈(20)는 확정된 구매정보를 소비자에게 전송한다(150 단계).When sufficient control is made by providing 1:1 customized service between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nd the consumer in step 140,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0 transmits the determined purchase information to the consumer (step 150).

상기 150 단계에서 최종 확정된 구매정보는 서비스제공자의 사진, 경력사항, 방문시간, 사용요금, 사용 부품 등, 이용할 생활편의서비스에 관한 전체적인 정보가 소비자에게 제공된다.The purchase information finally determined in step 150 is provided to the consumer with overall information on the service of daily living, such as a service provider's picture, experience, visit time, usage fee, and used parts.

상기의 과정을 통해서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과 소비자 간의 1 :1 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매정보가 확정되었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purchase information for providing a 1:1 service between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nd the consumer was confirmed.

다음은 상기와 같이 확정된 구매정보에 기준하여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소비자에게 해당하는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process of providing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corresponding to a consumer in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생활편의서비스의 동작 과정도이다.7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of a life convenience service provided to a consumer in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정보제공모듈(20)은 소비자의 집에 서비스제공자가 방문하는 시점에서 소비자에게 전화, 문자, 이메일 등을 통해서 알림정보를 제공한다(200 단계).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20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hrough a phone call, a text message, an email, etc. when the service provider visits the consumer's house (step 200).

상기 200 단계의 알림정보는 소비자로부터 방문해도 좋다는 확인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사전에 약속하여 확인없이도 방문을 할 수도 있다.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f step 200 may be confirmed by the consumer that it may be visited. However, you can also make a visit without prior confirmation.

영상제공모듈(30)은 소비자의 집에 서비스제공자가 방문한 시점에서부터 웹캠을 통해서 영상을 촬영한다(210 단계). 상기 영상 촬영은 서비스가 종료되어 소비자의 집을 나서는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The image providing module 30 captures an image through a webcam from a point of time when the service provider visits the consumer's house (step 210). The video shooting is done in real time at the time when the service ends and leaves the consumer's house.

상기 210 단계에서 촬영되는 작업영상은 소비자의 요청에 의해서 소비자에게 실시간 제공 가능하다(220 단계).The work image photographed in step 210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in real time at the request of the consumer (step 220).

또한 상기 210 단계에서 촬영되는 작업영상은 저장모듈(40)에 저장된다(230 단계).In addition, the work image photographed in step 210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0 (step 230).

상기 230 단계에서 저장모듈(40)에 저장되는 작업영상은 소비자의 인식정보, 문제정보, 서비스가 완료된 상태 사진 정보, 기타 관련정보를 포함하여 일정기간 저장된다.In step 230, the work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0 is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cluding consu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service completed status picture information,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상기 230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는, 소비자에 대한 사후관리의 차원에서 이용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ed in step 230 may be used in the aspect of post management for the consumer.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소비자가 생활편의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관련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집에 방문하여 실제적인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구성으로 포함된다. 일 예로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부품, 서비스제공자 등을 구축하고, 소비자와 관계에서 1:1 맞춤형 생활편의서비스를 제공한다.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ponents for providing a related service when a consumer wants to receive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not only 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but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oviding a practical living convenience service by visiting a consumer's home. For example, we build the parts and service providers needed to provide daily convenience services, and provide 1:1 customized daily convenience services in relation to consumers.

따라서,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입력모듈 20 : 정보제공모듈
30 : 영상제공모듈 40 : 저장모듈
10: input module 20: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30: video providing module 40: storage module

Claims (7)

홈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문제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된 문제정보를 분석하고,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제공자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홈서비스를 요청한 집에 서비스제공자가 방문하는 시점에서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문을 완료하는 시점까지의 웹캠을 통해서 작업 영상을 실시간 녹화하고, 상기 작업 영상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영상제공모듈; 및
상기 영상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작업 영상을 소비자 인식 정보를 기준하여 실시간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모듈에 문제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부터 상기 저장모듈에 작업 영상이 저장되기까지 한번의 서비스 요청을 통해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
An input module for inputting problem information for receiving a home service;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that analyzes the input problem inform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of a service provider to provide a related service to a consumer;
An image providing module for recording a work image in real time through a webcam from a time when a service provider visits a home requesting home service to a time when a service is provided and a visit is completed, and providing the work image to a consumer; And
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work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module in real time based on consumer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problem information to the input module to the storage module, the work is stored in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rough a single service reque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서비스는 보일러, 욕실설비, 조명, 상하수도 및 렌지를 포함하는 가정설비 관련 서비스; 텔레비젼, 냉장고, 컴퓨터 및 에어컨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이전, 설치, A/S 대행 서비스; 가구 및 액자 설치 등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service includes a boiler, bathroom equipment, lighting, water and sewage, and a home equipment related service including a stove; Home appliances, including television, refrigerator, computer and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after-sales service;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at provides interior-related services including furniture and frame instal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모듈은 상기 작업 영상을 요청에 의해서 소비자의 단말기로 실시간 제공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providing module is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at provides the work video to the consumer's terminal in real time upon reque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작업 영상은 웹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at can check the work video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through the we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소비자의 단말기와 웹을 이용해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module is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including an interface connected to a consumer terminal using a we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모듈은,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홈서비스를 요청한 집에 방문할 때, 방문알림 내용을 문자로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s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at, when the service provider visits a home requesting a home service, transmits a visit notification to a consumer through tex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홈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생활편의서비스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상기 교육시스템의 관리하에 서비스제공자들의 이력사항을 관리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home service platform is a smart home service platform that establishes a living convenience service education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the home service and manages service providers' history under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KR1020180165870A 2018-12-20 2018-12-20 Smart home service platform KR202000769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70A KR20200076904A (en) 2018-12-20 2018-12-20 Smart home service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70A KR20200076904A (en) 2018-12-20 2018-12-20 Smart home service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904A true KR20200076904A (en) 2020-06-30

Family

ID=7112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870A KR20200076904A (en) 2018-12-20 2018-12-20 Smart home service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90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043B1 (en) * 2021-02-19 2021-07-28 주식회사 에닥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043B1 (en) * 2021-02-19 2021-07-28 주식회사 에닥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2266B2 (en) Streamlined utility portals for managing demand-response events
US202301285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for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building systems
US20170126509A1 (en) System for configuration and device connectivity based on user selection
US10158535B2 (en) System for active configuration of devices based on user selection
US20150127556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534657A (en) The system of third party's control of network access device
KR20180015670A (en) Asset Communications Hub
Barbosa et al. Do Privacy and Security Matter to Everyone? Quantifying and Clustering {User-Centric} Considerations About Smart Home Device Adoption
US10051015B2 (en) System for configuration, device connectivity and device control based on user selection
US10048836B2 (en) Application connectivity for aggregation and for use in data filtering
US10031645B2 (en) Application connectivity for aggregation
KR101582760B1 (en) Apparatus for checking interior estimate cost
KR1019490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a real estate information
US10095497B2 (en) System for discovery of software operable on a device
US10091206B2 (en) System for discovery of devices and connections associated with a device
KR20200076904A (en) Smart home service platform
US10430025B2 (en) Active selection configuration system with suggested actions
KR20160000007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use moving service
CN107925671A (en) Universal remote life cycle management
US1088549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sentation, and recording medium
US11593900B1 (en) Portable remot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perty transactions
JP2002189647A (en)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US20140379398A1 (en) Shared digital content based problem resolution system and method
KR102359178B1 (en) System for recommending and managing domestic appliances based on building structure bigdata
KR102397810B1 (en) A method for servicing location-based community platform,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6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19

Effective date: 20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