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727A -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727A
KR20200076727A KR1020207015409A KR20207015409A KR20200076727A KR 20200076727 A KR20200076727 A KR 20200076727A KR 1020207015409 A KR1020207015409 A KR 1020207015409A KR 20207015409 A KR20207015409 A KR 20207015409A KR 20200076727 A KR20200076727 A KR 20200076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ctuator device
output
out1
safet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피자토
쥬세페 피자토
Original Assignee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0007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07C9/0070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conductive components, e.g. pins, wires, metallic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1Functional circuits, e.g. logic, sequencing, interlockin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8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in connection with the locking of doors, covers, guards, or like members giving access to moving machin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02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H01H3/163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associated with locking or manipulating means of the clos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remote controlled apparatus; for lines connecting such apparatus

Abstract

산업용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는 제어될 액세스 부(B)의 고정부(F)와 관련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 및/또는 그 제어를 위한 플랜트의 서비스 회로들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을 갖는 스위칭 장치(2), 상기 액세스 부(B)의 이동 가능부(P)와 관련되고, 상기 회로들 중 하나 이상의 개방/폐쇄, 그리고 제거된 상태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액세스 부의 개방/폐쇄 시, 상기 스위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액추에이터 장치(3), 상기 스위칭 장치(2)에 수용되고, 상호 작용 후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를 상기 스위칭 장치(2)에 잠금하도록 구성된 잠금/잠금해제 수단, 제 1 입력(IN1) 및 제 1 출력(OUT1)을 갖는 제 1 통신 채널(6), 및 제 2 입력(IN2) 및 제 2 출력(OUT1)을 갖는 제 2 통신 채널(7)을 갖는 전자 제어 유닛(5)으로서, 상기 통신 채널(6, 7)은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장치(3)의 상태에 따라 액세스 부(B)의 잠금 및 개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및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 유닛(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력(OUT1) 및 상기 제 2 출력(OUT2)은 안전한 유형이고,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의 상기 제거/삽입 및/또는 잠금 상태를 검출한 후 그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5)은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에 대한 제 1 및 제 2 상태 각각의 검출시에, 상기 제 1 출력(OUT1) 및 상기 제 2 출력(OUT2)의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상태는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
본 발명은 산업용 전기 장치 분야에서 응용되고, 특히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안전 스위치를 목적으로 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보안 패널, 배리어(barrier), 및 안전 경계와 같이,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의 액세스 부를 제어 또는 보호하도록 설계된 스위치는 액세스 부의 고정부에 고정되게 적합한 스위칭 장치, 및 이동 가능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 장치를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이동 가능부가 폐쇄될 때, 스위칭 장치와 엑추에이터 장치 사이의 상호 작용이 생기고, 이는 오퍼레이터의 특정 개입을 필요로 하는 상태가 아닌 한, 기계 또는 플랜트를 시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액세스 부의 개방과 그에 따른 스위칭 장치로부터 액추에이터 장치의 멀어지는 이동은 기계 또는 플랜트의 즉각적 또는 시간적(timed) 정지를 초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그것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더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요구하며, 하나 이상의 기계가 여전히 움직일 때, 플랜트내로의 불안전한 진입과 관련된 위험이 더 커진다.
이러한 스위치의 일부 예는 본 출원인의 명칭으로 출원된 WO2015/083143 및 WO2015/155744에 기재되어 있다.
스위치의 안전도는 또한 통신 채널을 제어하며, 입력 및 출력 포트의 스위칭 상태를 관리하는 전자 회로의 구조에 의해 결정는데, 이는 액세스 부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 또는 액세스 부의 잠금해제되었지만 폐쇄된 상태의 함수로 적절한 신호를 전송한다.
특히, 더 높은 안전도를 갖는 스위치에서는, 안전 유형의 입력과 출력을 모두 갖는 2 개의 통신 채널이 있으며, 안전 출력은 작동 모드에 따라, 액추에이터의 릴리스 및 그 추출(extraction) 이후에 동시에, 또는 단지 잠금해제 시 이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액세스 부 중 심지어 하나의 잠금해제 및/또는 개방의 결과로 전체 라인을 차단한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인 전자 기계 목공 라인과 같이, 단일 채널 관리가 충분한 저급 기술 공정 라인에서는 이러한 안전한 작동 모드가 필요하지 않다.
실제로, 이러한 경우, 라인의 전체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특정 잠금해제 및/또는 개방된 액세스 부와 관련된 시스템의 일부만 정지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더욱이, 높은 안전도를 갖는 스위치를 채택하는 것이 이러한 유형의 라인에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위치 대신 이러한 라인에 이러한 스위치를 적용하려면, 항상 정당화할 수 없는 높은 작업 비용 및 높은 비용과 관련된 비용 증가와 함께, 전체 라인을 재배선해야(rewiring)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점을 극복하는 것으로서, 이는 고효율 및 상대적 비용 효율성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목적은 플랜트의 다양한 이동 가능부의 셧다운 및 재시작을 별개의 방식으로 관리하기 위해, 여러 액추에이터를 상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 부의 제어를 위한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동일한 라인과 관련된 액추에이터의 차별화된 검출뿐만 아니라 상이한 상태의 삽입/추출 및 잠금/잠금해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비교적 낮은 안전도를 갖는 플랜트에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여, 그 안전성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보다 명확해지는 목적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목적은 제 1 항에 따라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로의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이는
-제어될 액세스 부의 고정부와 관련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 및/또는 그 제어를 위한 플랜트의 서비스 회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을 갖는 스위칭 장치, 상기 액세스 부의 이동 가능부와 관련되고, 상기 회로들 중 하나 이상의 개방/폐쇄, 그리고 제거된 상태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및 그 반대로의 이동(passing)을 위하여, 상기 액세스 부의 개방/폐쇄 시, 상기 스위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액추에이터 장치, 상기 스위칭 장치에 수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를 상기 스위칭 장치에 대해 잠금/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 잠금/잠금해제 수단, 제 1 입력 및 제 1 출력을 갖는 제 1 통신 채널, 및 제 2 입력 및 제 2 출력을 갖는 제 2 통신 채널을 갖는 전자 제어 유닛으로서, 상기 통신 채널은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장치의 상태 함수로 액세스 부의 잠금 및 개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및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출력은 안전한 유형이고,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의 상기 제거/삽입 및/또는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검출한 후, 그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에 대한 제 1 및 제 2 상태 각각의 검출시에, 상기 제 1 출력 및 상기 제 2 출력의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상태는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특징의 조합으로 인해, 액추에이터 장치 및 관련 액세스 부를 차별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장치가 잠금해제된 경우, 다른 액세스와 관련된 플랜트의 다른 부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플랜트의 관련 부분만 정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유닛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이중 단일 채널 구조일 것이며, 이는 오류 제어에서의 중복성을 유지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전체 라인의 재배선 없이, 심지어 단일 채널 구조를 갖는 종래의 제어 회로에도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예는 종속 항에 따라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의 도움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스위치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보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힌지형 개구를 갖는 액세스 부에의 고정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제 1 조립 모드에서의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제어 유닛의 논리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산업 플랜트에서의 2 개의 상이한 액세스 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2 개의 스위치의 직렬 연결의 논리적 구조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작동 중에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로의 안전하지 않은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해, 배리어 또는 모바일 패널 보호부에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게 적용되도록 설계된,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의 바람직하지만 비-배타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스위치는 액세스 부를 위한 도어의 개방 또는 패널 패쇄의 경우 또는 그러한 액세스 부 개방 요청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즉각적 또는 시간적 방식으로 기계 또는 플랜트의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액세스 부의 보호 부에 적용되도록 설계될 것이다.
도 1은 좌측 개방 도어(P)를 구비한 보호 배리어(B)의 액세스 부에 적용되는 스위치(일반적으로 1로 표시됨)를 도시한다. 그러나, 스위치는 또한 특별한 제한 없이, 우측 개구를 갖는 도어 또는 슬라이딩 도어에, 또는 다른 유형의 개구를 갖는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 대한 전형적인 방식으로, 스위치(1)는 보호부(B)의 고정 프레임(F)에 고정되며, 전원 공급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 주 회로 및/또는 서비스 및 비상 회로의 제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에 공지된 방식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장치(2)를 포함한다.
스위칭 장치(2)를 이들 회로에 연결하는 방법은 공지된 유형이며,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액추에이터 장치(3)는 보호부(B)의 이동 가능부(P)에 대신 장착되고, 액세스 부의 개방 또는 폐쇄시에 스위칭 장치(2)와 상호 작용하여, 그러한 안전 스위치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회로의 개방 또는 폐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 장치(2)는 모니터링될 액세스 부에서 배리어(B)의 고정부에 고정되며, 기계 또는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제어부 및/또는 서비스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그 내측에 수용하는 케이싱(4)을 포함한다.
케이싱(4) 내부에 있을 때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스위칭 수단은 섹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없이 스위치의 기능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케이싱(4) 내부에는 또한 공지된 기술에 따른 경우, 스위칭 장치(2)와 액추에이터 장치(3) 사이의 상호 작용시, 기계 또는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회로의 개방/폐쇄를 위한 액세스 부의 개방/폐쇄 시, 스위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한 공지된 유형의 액추에이터 수단이 존재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위치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유형, 즉 2 개의 스위칭 장치와 액추에이터 장치 사이에 원격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며,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섹터에서 공지된 모드에 따라 구성된 태그/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장치(2)는 케이싱(4) 내부에 삽입되며, 액추에이터 장치가 스위칭 장치(2)에 의해 검출 가능한 최소 거리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 장치(3)내에 수용된 송신기 또는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 또는 존재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수신기를 수용할 수 있다.
특히, 트랜스폰더에는 기계 또는 시스템이 시동될 수 있도록, 수신기에 의해 인식되어야하는 식별 코드를 갖는 태그가 제공될 것이다.
높거나 또는 낮은 코딩 수준을 갖는 스위치를 만들지 여부에 따라, 코드 인식이 독보적이거나(univocal) 일반적일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1)는 또한 키 액추에이터로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 기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채택된 구성에 관계없이, 액추에이터 장치(3)는 이러한 안전 스위치의 전형적인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회로의 개방 또는 폐쇄를 결정하기 위해, 액세스 부의 개방 또는 폐쇄시, 액추에이터 수단을 통해 스위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스위칭 장치(2)는 또한 보이지 않는 잠금/잠금해제 수단을 수용하며, 이는 액세스 부의 폐쇄 후 그 상호 작용시, 액추에이터 장치(3)를 스위칭 장치(2)에 잠금하고, 액세스 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신호의 전송 후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스위치(1)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IN1) 및 제 1 출력(OUT1)을 갖는 제 1 통신 채널(6), 및 제 2 입력(IN2) 및 제 2 출력(OUT2)을 갖는 제 2 통신 채널(7)을 갖는 전자 제어 유닛(5)을 구비할 것이다. 입력(IN1 및 IN2)과 출력(OUT1 및OUT2)은 모두 전자식이다.
2 개의 채널(6, 7)은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장치(3)에 대해 검출된 상태에 따라 액세스 부의 잠금 및 개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및 전송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제 1 출력(OUT1) 및 제 2 출력(OUT2)은 모두 안전한 유형이며, 액추에이터 장치(3)에 대한 특정 제거/삽입 및/또는 잠금 상태를 검출할 때, 그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설계될 것이다.
특히,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전자 제어 유닛(5)은 액추에이터 장치(3)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제 1 및 제 2 상태 각각의 검출에 따라, 2 개의 출력(OUT1 및 OUT2)의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설계될 것이다.
일 예로서, 제 1 출력(OUT1)은 액추에이터 장치(3)가 스위칭 장치(2)에 대해 삽입 및 잠금해제되는 액추에이터 장치(3)의 제 1 상태의 검출시 그 상태를 변경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2 출력(OUT2)은 액추에이터 장치(3)가 스위칭 장치(2)에 대해 삽입되지만 잠금되는 제 2 상태의 검출시 그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 장치(3)의 잠금해제는 모든 출력(OUT1 및 OUT2)의 비활성화를 야기하지 않을 것이지만, 특정한 경우, 이들 중 하나(OUT1)는 다운스트림 기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활성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명백히, 2 개의 통신 채널(66, 7)의 작동 로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것과 관련하여 반대로 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 1 입력(IN1) 및 제 2 입력(IN2) 모두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안전도를 보장하기 위해 안전한 입력일 것이다.
또한, 통신 채널(6, 7)은 선호도에 따라 정상적으로 여기되거나 정상적으로 무전압 상태로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제로, 제어 유닛(5)은 그 자체로 공지된대로 도시되지 않은 전자석을 구비할 것이며, 이는 입력 신호의 함수로서 잠금/잠금해제 수단을 활성화/비활성화할 것이다.
이러한 입력 신호는 이중 신호, 즉 2 개의 개별 신호가 안전 레벨을 높이도록 잠금 및 잠금해제(LOCK/UNLOCKED)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통신 채널들(6, 7)은 에러 신호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관리 로직 유닛들(8, 9)를 포함할 것이며, 이는 오류에 대한 중복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장 높은 레벨의 이중 채널 회로에서 일어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통신하도록 설계될 것이고, 그 결과 어떤 채널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에 상관없이 오류 신호의 검출 후 시스템 셧다운을 발생시킨다.
추가적인 특히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안전 출력(OUT1 및 OUT2)은 각각의 액추에이터 장치(3)를 독특하게 식별하고, 및/또는 다른 가능한 정보, 예를 들어 비-소모적인 방식으로 주변 온도, 공급 전압, 물품 일련 코드, 드라이브 넘버 등을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펄스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일련의 펄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제어 유닛(5)은 직렬로 연결되며 액추에이터 장치(3)를 식별하기에 적합한 스위치의 출력으로부터 오는 일련의 펄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회로를 포함할 것이다.
도 3은 무전압 전자석으로 잠금된 액추에이터 장치(3)의 작동과 관련된 가능한 작동 모드를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플랜트 시동 이전 단계에서, 안전 입력(IN1 및 IN2)과 2 개의 안전 출력(OUT1 및 OUT2)이 모두 오프된 후, 플랜트 시작시 2 개의 입력(IN1 및 IN2)의 활성화가 발생하는 것이 관찰된다.
TAG의 검출에 의한 폐쇄된 액세스 부 상태의 검출에 이어, 제 2 출력(OUT2)이 활성화될 것이며, 따라서 폐쇄되었지만 잠금되지 않은 액세스 부의 상태를 구별할 것이다.
한편, 제 1 출력(OUT1)은 전자석을 구비하는 잠금/잠금해제 수단에 의한 액세스 부의 잠금(잠금된) 후에만 활성화될 것이다.
2 개의 입력(IN1 및 IN2) 중 임의의 비활성화 및 후속 활성화는 대응 출력(OUT1 및 OUT2)의 비활성화 및 후속 활성화를 결정할 것이다.
정상적으로 무전압 상태로 된 경우, 전자석의 활성화는 스위칭 장치(2)에 대한 액추에이터 장치(3)의 잠금해제 및 그에 따른 액세스 부의 해제를 생성할 것이다.
폐쇄 및 잠금된 액세스 부 상태를 구별하는 제 1 출력(OUT1)은 비활성화되는 반면, 제 2 출력(OUT2)은 TAG가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액세스 부가 개방될 때까지 활성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TAG의 결과적인 검출로 액세스 부의 후속적인 폐쇄는 제 2 출력(OUT2)의 활성화를 생성하는 반면, 잠금된 액세스 부 상태에서 잠금/잠금해제 전자석의 복귀로부터 기인하는 액세스 부의 후속적인 잠금은 또한 제 1 출력(OUT1)의 활성화를 생성할 것이다.
분명히, 2 개의 출력(OUT1 및 OUT2)의 동작은 전자석이 무전압 상태 이후 액세스 부의 잠금을 생성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여기되도록 반대로 동작할 수 있는 것처럼, 반대로 작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스위치(1, 1')의 연결을 도시하며, 이는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의 보호부에 대한 두 개의 별개의 액세스 부를 보호하도록 설계되고, 여기서 다운스트림 스위치(1')는 업스트림으로 배치된 스위치(1)의 각각의 출력(OUT1 및 OUT2)과 직렬로 연결된 입력(IN1 및 IN2)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표현된 본 발명의 개념 내에 있다. 모든 세부 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 있으며, 재료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요구 조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Claims (10)

  1. 산업용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로서,
    -제어될 액세스 부(B)의 고정부(F)와 관련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 및/또는 그 제어를 위한 플랜트의 서비스 회로들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을 갖는 스위칭 장치(2);
    -상기 액세스 부(B)의 이동 가능부(P)와 관련되고, 상기 회로들 중 하나 이상의 개방/폐쇄, 그리고 제거된 상태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액세스 부의 개방/폐쇄 시, 상기 스위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액추에이터 장치(3);
    -상기 스위칭 장치(2)에 수용되고, 상호 작용 후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를 상기 스위칭 장치(2)에 잠금하도록 구성된 잠금/잠금해제 수단;
    -제 1 입력(IN1) 및 제 1 출력(OUT1)을 갖는 제 1 통신 채널(6), 및 제 2 입력(IN2) 및 제 2 출력(OUT1)을 갖는 제 2 통신 채널(7)을 갖는 전자 제어 유닛(5)으로서, 상기 통신 채널(6, 7)은 대응하는 액추에이터 장치(3)의 상태에 따라 액세스 부(B)의 잠금 및 개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및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력(OUT1) 및 상기 제 2 출력(OUT2)은 안전한 유형이고,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의 상기 제거/삽입 및/또는 잠금 상태를 검출한 후 그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5)은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에 대한 제 1 및 제 2 상태 각각의 검출시에, 상기 제 1 출력(OUT1) 및 상기 제 2 출력(OUT2)의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상태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OUT1)은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에 대한 제 1 상태를 검출한 후에, 그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는 상기 스위칭 장치(2)에 대하여 삽입되어 잠금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OUT2)은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에 대한 제 2 상태를 검출한 후에, 그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3)는 상기 스위칭 장치(2)에 대하여 삽입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IN1) 및 상기 제 2 입력(IN2)는 안전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6, 7)은 정상적으로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6, 7)은 정상적으로 무전압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6, 7)은 에러 신호를 검출하고, 이중 채널 방식으로 에러 검사를 위해 서로 통신하는 각각의 논리 관리 유닛(8, 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출력(OUT1,(OUT2))은 각각의 액추에이터 장치(3)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펄스 신호 또는 펄스 시리즈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5)은 액추에이터 장치(3)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직렬 연결된 스위치의 출력으로부터 일련의 펄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10. 기계 또는 산업 플랜트로의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로서,
    각각의 입력(IN1,(IN2)) 및 출력(OUT1,(OUT2))을 갖는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스위치(1, 1')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1, 1') 각각은 다운스트림에 배치된 스위치의 입력(IN1,(IN2))와 직렬로 연결된 각각의 출력(OUT1,(OUT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스위치.
KR1020207015409A 2017-11-08 2018-10-31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 KR20200076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127144 2017-11-08
IT201700127144 2017-11-08
PCT/IB2018/058550 WO2019092555A1 (en) 2017-11-08 2018-10-31 Safety switch for controlling the access to industrial machines or pl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727A true KR20200076727A (ko) 2020-06-29

Family

ID=6152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409A KR20200076727A (ko) 2017-11-08 2018-10-31 산업 기계 또는 플랜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51822B2 (ko)
EP (1) EP3707742B1 (ko)
JP (2) JP2021502664A (ko)
KR (1) KR20200076727A (ko)
CN (1) CN111247614B (ko)
BR (1) BR112020008037A2 (ko)
WO (1) WO2019092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67673A1 (en) * 2020-03-05 2023-03-02 Fanuc Corporation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system
DE102020115307A1 (de) * 2020-06-09 2021-12-09 Sick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e Sicherheitszuhaltu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0791B1 (fr) * 1996-07-02 1998-10-09 Schneider Electric Sa Interrupteur de securite verrouillable par electroaimant
FR2773246B1 (fr) * 1997-12-26 2000-01-28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miniaturise, integre a un connecteur, pour la detection de la presence d'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EP1363306B1 (de) * 2002-05-18 2015-04-15 K.A. SCHMERSAL GmbH & Co. Sicherheitsschalter, Sicherheitskreis mit Sicherheitsschalter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icherheitsschalters
DE10305704B3 (de) * 2003-02-12 2004-06-24 K.A. Schmersal Gmbh & Co Sicherheitszuhaltung
JP4212964B2 (ja) * 2003-06-12 2009-01-21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安全リレーシステム、安全リレーシステム用入力ブロック化ユニット、および安全リレーの制御方法
JP2005038664A (ja) * 2003-07-17 2005-02-10 Omron Corp ロックドアスイッチ
JP4238705B2 (ja) * 2003-11-25 2009-03-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ーフティコントローラ
DE502005009527D1 (de) * 2004-04-19 2010-06-17 Pilz Gmbh & Co Kg Meldegerät für eine sicherheitsschaltung
DE102005057108A1 (de) * 2005-11-28 2007-05-31 Pilz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er zum Erzeugen eines Freigabesignals in Abhängigkeit von der Position einer beweglichen Schutztür
JP4710648B2 (ja) * 2006-02-23 2011-06-29 オムロン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CN201051462Y (zh) * 2007-04-05 2008-04-23 安士能有限公司 用于监控机器保护装置状态的装置
DE102008060004B4 (de) * 2008-11-25 2021-09-02 Pilz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er zum Erzeugen eines Anlagenfreigabesignals in Abhängigkeit von der Position einer beweglichen Schutztür
FR2991116B1 (fr) * 2012-05-25 2014-05-16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de detection securisee integrant des fonctions de diagnostic
ITVI20120154A1 (it) * 2012-07-04 2014-01-05 Pizzato Elettrica Srl Adattatore per il collegamento di un dispositivo ad interruttore ad un bus dati ed assieme interruttore comprendente l'adattatore
FR3003660B1 (fr) * 2013-03-22 2016-06-24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ITVI20130290A1 (it) * 2013-12-06 2015-06-07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ad azionamento elettronico
TR201907775T4 (tr) * 2014-04-11 2019-06-21 Pizzato Elett S R L Kilitleme cihazına sahip güvenlik anahtarı.
CN105993046B (zh) * 2014-09-25 2019-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
DE102015101133A1 (de) * 2015-01-27 2016-07-28 Euchner Gmbh + Co. Kg Modulanordnung mit wenigstens einem Grundmodul
CN204658978U (zh) * 2015-05-30 2015-09-23 湖北嘉一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的防伤害仓门自动锁闭控制系统
CN105329167B (zh) * 2015-12-11 2016-11-30 安徽工程大学 一种车辆开门预警系统及其安全防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7742A1 (en) 2020-09-16
JP2023139051A (ja) 2023-10-03
EP3707742B1 (en) 2021-08-25
WO2019092555A1 (en) 2019-05-16
JP2021502664A (ja) 2021-01-28
US20200265664A1 (en) 2020-08-20
CN111247614B (zh) 2022-07-08
US11151822B2 (en) 2021-10-19
BR112020008037A2 (pt) 2020-11-03
CN111247614A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39051A (ja) 産業機械またはプラント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安全スイッチ
US947721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achine, locking insert for such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EP2645393B1 (en) Safety switch with dual anti-tamper
KR102393171B1 (ko) 보조 잠금 해제 제어 장치의 구동 검출 기능을 갖는 안전 스위치
US20220251876A1 (en) Safety switch with touch panel for monitoring access to machines or industrial plants
KR102562654B1 (ko) 차등화된 cpu를 갖는 안전 스위치
KR102561169B1 (ko) 잠금 해제 메커니즘의 엔드 스트로크 감지 기능을 갖는 안전 스위치
US11959591B2 (en) Safety handle for the control of access for machines or industrial plants
CN117396930A (zh) 用于控制工业机器或设施安全保护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