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411A -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411A
KR20200076411A KR1020180165497A KR20180165497A KR20200076411A KR 20200076411 A KR20200076411 A KR 20200076411A KR 1020180165497 A KR1020180165497 A KR 1020180165497A KR 20180165497 A KR20180165497 A KR 20180165497A KR 20200076411 A KR20200076411 A KR 2020007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database
sha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크
Priority to KR102018016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411A/ko
Publication of KR2020007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을 사용하는 특정 개인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상기 제1 데이터에 기반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3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한 제3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의 가치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가치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 상기 제3 단말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METHOD CREATING SHARING DATABASE}
본 발명은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각 단말에 기여도에 기초한 보상을 분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공 지능, 머신 러닝, 유전자 분석, 질병 예측, 미래 예측 등의 각종 분야에서 빅데이터(Big Data)가 필수적으로 활용됨에 따라 개개인이 가지는 정보의 가치는 날로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넷 플랫폼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아마존,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의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개인 정보가 담겨있는 데이터를 인터넷에 업로드하거나, 검색 이력이나 구매 이력 등의 데이터를 검색 이력의 로그로 남기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개개인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활용하여 다른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제3 업체에 판매하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지만,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된 개개인의 데이터를 이용한 수익이 플랫폼 서비스의 주체에게만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불합리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더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자가 개인 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거나 판매하는 경우, 개인 정보의 침해라는 문제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개인의 정보들이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에 대해 개인의 동의와 함께, 개개인에게 데이터베이스의 소유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개인의 정보를 시간에 따라 축적하고, 가공하는데 기여한 당사자에 대하여 데이터 수익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1470호: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 인증 기반 경량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정보 은닉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한 각 단말의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각 단말에 특정 개인에 대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할당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개개인의 정보가 모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한 개개인에게 합리적으로 돌려주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동시에, 각 단말들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참여하게끔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을 사용하는 특정 개인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상기 제1 데이터에 기반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3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한 제3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의 가치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가치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 상기 제3 단말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의 정량적 정보 및 데이터의 정성적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가치 점수를 산정하고, 각 단말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기여한 정도를 산정함에 따라, 각 단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한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따르면, 다른 데이터 생성의 기반이 되는 소스 데이터(source data)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에 송신/공유한 단말에 데이터 지분 또는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해 부여하여, 소스 데이터의 업로드를 유도해 데이터베이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특정 개인에 대한 소스 데이터로부터 새롭게 생성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에 공유/송신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해 부여하여, 가치 있는 데이터의 업로드를 유도해 데이터베이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을 각 단말 사용자에게 합당하게 배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포괄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이러한 프로세스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제1 단말, 제2 단말, 제3 단말을 통해 수신하는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일 예시이다.
도 5는 제1 단말, 제2 단말, 제3 단말을 통해 수신하는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다른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바이오메디컬 데이터(biomedical data)"는 의료 데이터, 병리 이미지(pathological image) 정보, 영상 정보(image data), 임상시험 정보, 유전자 정보, 인체유래물 정보, 영양 정보, 처방 정보 등 건강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공유 데이터베이스는 간단히 '데이터베이스'로 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은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 등의 단말,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a, 200b, 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 등 각 단말은 특정 개인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01)의 목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데이터베이스(101)가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 병리 이미지(pathological image) 정보, 영상 정보(image data), 임상시험 정보, 유전자 정보, 인체유래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1)가 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자산 정보, 신용도 정보, 연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01)가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구축될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나이 정보, 거주 지역 정보, 접속 시간 정보, 지불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01)의 목적에 맞게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바이오메디컬 데이터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이하 각 단말(11, 12, 13)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각 단말(10, 11, 12)로부터 특정 개인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수신한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에 포함된 정량적인 정보 또는 정성적인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대한 각 단말의 가치 점수를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여도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 특정 개인의 전체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해 부여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에 의해 수익이 발생할 경우, 발생한 수익을 데이터 공유 지분율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 분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생성한 데이터베이스(101)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101)가 사용자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101)를 활용하여 예컨대 사람들의 유전자에 따라 발병 가능한 질병을 예측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101)가 특정 개인의 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사용자의 자산 수준에 따른 적절한 금융 상품을 예측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에 데이터베이스(101)를 사용할 수 있다.
더하여, 데이터베이스(101)가 특정 개인의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01)라면,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따라 적합한 상품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에 데이터베이스(101)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데이터베이스(101)의 활용 또는 구매를 위해 적절한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익에 대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1)가 활용되어 수익이 발생할 경우, 발생한 수익을 데이터 공유 지분율에 기반하여 각 단말(11, 12, 13)의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 12, 13),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시하는 시스템(1)을 실현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포괄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이러한 프로세스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각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의 순서가 방법의 시계열적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따라 각 단계의 순서를 바꾸어 수행할 수 있다.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단말(11)로부터, 제1 단말(11)을 사용하는 특정 개인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이하 특정 개인이 환자(P)임을 전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단말(11)은 환자(P)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컴퓨터 단말일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데이터는 환자(P)의 인구학적 데이터(demographic data) 또는 의무기록사본을 스캔(scan)한 이미지 데이터, 임상시험 데이터, 처방 기록 데이터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단말(12)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제2 단말(12)은, 예컨대 제1 단말(11)을 사용하는 환자(P)가 방문한 기관(entity)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단말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단말(12)은 병원 또는 유전자 검사 기관 등 상기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생성/보유하고 있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단말일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특정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이다.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에 기반한다. 여기서 '기반한다'라는 것은, 제1 데이터가 없이는 제2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생성을 직접적으로 가능케 하는 이벤트(event)가 공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시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제3 단말(13)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제3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제3 단말(13)은, 예컨대 제1 단말(11)을 사용하는 환자(P)가 방문 또는 검사를 의뢰한 기관(entity)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단말일 수 있다. 예컨대 제3 단말(13)은 병원 또는 유전자 검사 기관, 데이터 분석 기관 등 상기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생성/보유하고 있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단말일 수 있다. 제3 데이터는 특정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이다. 제3 데이터는 제2 데이터에 기반한다. 여기서 '기반한다'라는 것은, 제2 데이터가 없이는 제3 데이터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제2 데이터와 제3 데이터의 생성을 직접적으로 가능케 하는 이벤트(event)가 공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시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각 단계(S100, S200, S300)는 상술한 순서와 반대로 수행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제3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의 가치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S400)가 수행된다. 가치 점수는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을 위해 각 단말에서 송신한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가치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실시예 1: 인체유래물 샘플에 관한 병리 데이터 및 유전자 데이터>
도 4는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을 통해 수신하는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일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11)은 임상시험(clinical trial)에 참가하는 특정 환자(P)의 모바일 단말이고, 제1 데이터는 임상시험(clinical trial) 중 수행되는 혈액검사, 화학검사 등에 관한 검사 결과 데이터(411)일 수 있다. 검사 결과 데이터(411)는 모바일 앱을 스크린샷 찍은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단말(11)은 병원에서 제공하는 검사 결과 데이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12)은 상기 특정 환자(P)가 임상시험을 위해 방문하는 병원의 컴퓨터 단말이고, 제2 데이터는 특정 환자(P)의 병리 데이터(pathological data, 412)일 수 있다. 병리 데이터(412)는 환자(P)의 암 조직(tissue, T) 또는 암세포 등의 인체유래물 샘플(sample)을 분석하여 얻은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특정 환자(P)가 유방암 환자인 경우, 병리 데이터(412)는 유방암의 병기(stage), 조직 채취 날짜, 부위, 수술 방법, 림프절 전이 여부, ER, PR, Her2, p53, ki-67 등 종양표지자(biomarker)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병리 데이터(412)는 의무기록사본을 스캔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말(13)은 상기 병원에서 조직(T)의 유전자 검사를 의뢰한 외부 기관의 컴퓨터 단말이고, 제3 데이터는 특정 환자(P)의 조직(T)의 유전자 데이터(413)일 수 있다. 유전자 데이터(413)는 환자(P)의 암 조직(tissue, T) 또는 암세포 등의 인체유래물 샘플(sample)의 DNA, RNA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특정 환자(P)가 유방암 환자인 경우, 유전자 데이터(413)는 특정 유전자의 발현(gene expression) 데이터, 암세포의 single-cell heterogeneity 데이터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인 임상시험 데이터(411)와 제2 데이터인 병리 데이터(412)는 모두 질병 발생이라는 이벤트(event)에 의해 생성이 가능한 것이므로,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에 기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인 병리 데이터(412)와 제3 데이터인 유전자 데이터(413)는 모두 조직(T) 채취라는 이벤트(event)에 의해 생성이 가능한 것이므로, 제3 데이터는 제2 데이터에 기반한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치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제1 데이터(D1) 제2 데이터(D2) 제3 데이터(D3)
데이터 종류 임상시험 데이터 병리 데이터 유전자 데이터
제1 단말 50 0 0
제2 단말 0 100 0
제3 단말 0 0 50
[표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종류마다 기 설정되어 있는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가치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특정 환자(P)가 사용하는제1 단말(11)로부터 임상시험 데이터(411)를, 병원이 사용하는 제2 단말(12)로부터 상기 환자(P)의 조직(T)을 분석한 병리 데이터(412)를, 유전자 검사 기관이 사용하는 제3 단말(13)로부터 상기 환자(P)의 조직(T)을 분석한 유전자 데이터(413)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하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임상시험 데이터, 특정 조직(T)의 병리 데이터, 특정 조직(T)의 유전자 데이터 각각에 가치 점수를 산정해 놓은 상태이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각 단말(11, 12, 1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여 각 단말(11, 12, 13)에 기 설정된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제1 단말(1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특정 일자의'혈액검사'에 관한 것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이를 '임상시험 데이터'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50의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제2 단말(1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유방암 조직 검사 결과에 관한 것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이를 '병리 데이터'로 판단하여 100의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제3 단말(1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상기 유방암 조직의 유전자 검사 결과에 관한 것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이를 '유전자 데이터'로 판단하여 50의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가치 점수는,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이 송신하는 데이터의 종류, 양, 질(quality)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1)을 사용하는 환자(P)가, 임상시험을 위해 병원에 다녀올 때마다 임상시험 관련 기록(411)을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하는 경우, 제1 데이터의 양은 많아지고, 가치 점수(V1)는 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단말(12)을 사용하는 병원이 병리 데이터(412) 뿐만 아니라 수술 데이터, 방사선 치료 데이터, 외래 기록 데이터, 간호 기록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의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하는 경우, 제2 데이터의 종류는 많아지고, 가치 점수(V2)는 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3 단말(13)을 사용하는 유전자 검사 기관이 유전자 데이터(413)의 해석 결과뿐만 아니라 원본 데이터인 유전자 서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하는 경우, 제3 데이터의 질은 높아지고 가치 점수(C3)는 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중 데이터 분석에 있어 서로 부가가치를 내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정보에 기 설정되어 있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가치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임상시험에 참여한 특정 환자(P)의 부작용 정보와 처방전 정보가 서로 부가가치를 내는 정보라고 설정하여, 이러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는 경우 10%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가치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병리 데이터(412)와 수술 데이터가 서로 부가가치를 내는 정보라고 설정하여, 이러한 정보가 같은 단말에서 함께 수신되는 경우 10%의 가중치를 부가하여 가치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의 종류 및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가치 점수를 반영하여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S500)가 수행된다. 데이터 공유 지분율은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특정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 전체의 축적에 관여한 단말들 사이의 지분(equity)을 의미한다. 제1 단말(11)의 사용자인 환자(P)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에서도 환자(P)의 데이터 축적에 관여하여 가치를 창출한 경우, 이에 기여한 정도를 산정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 축적에 관여한 각 단말에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해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는, 제2 데이터에 관한 제1 단말(11)과 제2 단말(12) 간 데이터 지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3 데이터에 관한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 간 데이터 지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단말(11, 12, 13)이 송신한 데이터의 가치 및 각 데이터의 지분(equity)을 산정하여 데이터베이스(101)에 구축된 특정 개인의 전체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한다.
아래 [표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단말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
사용자 환자 병원 유전자 검사 기관
제1 데이터 지분(%) 100 0 0
제2 데이터 지분(%) 20 80 0
제3 데이터 지분(%) 5 20 75
최종 데이터 공유 지분율(%) 30 40 30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1 단말(11)로부터 수신한 제1 데이터(임상시험 데이터)에 대해 제1 단말(11)에 100%의 데이터 지분을 부여하였다. 이는 제1 데이터가 환자(P)에 관한 데이터이고, 환자(P) 자신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된 데이터이고,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은 이러한 데이터 생성/송신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2 단말(12)로부터 수신한 제제2 데이터(병리 데이터)에 대해 제1 단말(11), 제2 단말(12)에 각각 20, 80% 의 데이터 지분을 부여하였다. 이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제2 단말(12)로부터 이루어졌지만, 병리 데이터가 환자(P)에 관한 것이므로 데이터 생성에 환자 역시 기여했기 때문이다. 한편, 병리 데이터의 생성/송수신에 제3 단말은 관여하지 않았으므로 제3 단말(13)에는 데이터 지분이 부여되지 않았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3 단말(13)로부터 수신한 제제3 데이터(유전자 데이터)에 대해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에 각각 5, 20, 75% 의 데이터 지분을 부여하였다. 이는 유전자 데이터의 생성 및 송수신이 제3 단말(13)로부터 이루어졌지만, 이를 위한 조직(T)의 제공 및 병리 데이터의 제공에 환자와 병원이 기여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데이터에 관하여 각 단말(11, 12,13)의 데이터 지분이 계산되고, 데이터의 가치 점수가 산정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가치 점수와 데이터 지분을 곱하여 각 단말(11, 12, 13)의 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 1], [표 2]의 예시에서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제3 데이터 구축에 대한 제1 단말(11)의 기여도는 [제1 데이터 지분*제1 데이터 가치 점수)+ (제2 데이터 지분*제2 데이터 가치 점수)+ (제3 데이터 지분*제3 데이터 가치 점수) = 75 이며, 비슷한 방식으로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의 기여도는 100, 75 이다. 이에 따르면, 특정 환자(P)의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제3 데이터 전체에 대한 제1 단말(11)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은 제1 단말의 기여도 / (제1 단말의 기여도+제2 단말의 기여도+제3 단말의 기여도) = 30% 이고, 비슷한 방식으로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은 40%, 30% 이다.
상술한 예시를 살펴보면, 제1 단말(11)의 사용자인 환자(P)는 제2 데이터, 제3 데이터 생성의 기반이 되는 제1 데이터(임상시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만으로도 제2 데이터, 제3 데이터의 지분을 일부 획득하여,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30% 획득하였다. 또한 제2 단말(12)의 사용자인 병원은 제3 데이터 생성의 기반이 되며 가치가 높은 제2 데이터(병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하여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40%나 획득하였다. 또한 제3 단말(13)의 사용자인 유전자 검사 기관은 분석한 데이터를 기관 내부에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시 공유하여 30%의 지분을 획득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따르면, 다른 데이터 생성의 기반이 되는 소스 데이터(source data)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공유한 단말에 데이터 지분 또는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해 부여하여, 소스 데이터의 업로드를 유도해 데이터베이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특정 개인에 대한 소스 데이터로부터 새롭게 생성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공유/송신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해 부여하여, 가치 있는 데이터의 업로드를 유도해 데이터베이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데이터에 대한 제1 단말(11), 제2 단말(12)의 지분 비율과 제3 데이터에 대한 제1 단말(11), 제2 단말(12)의 지분 비율은 같을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지분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데이터 지분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서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 단말(11, 12, 13)의 동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각 단말의 식별 정보(ID)에 가치점수 및/또는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계산된 가치 점수 및/또는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각 단말의 식별 정보(ID)에 매핑하여 저장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관리하거나,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가치 점수 및/또는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기초로 얻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의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새로운 단말로부터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식별 정보(또는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공개키(public key),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 가치 점수, 또는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이전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된 블록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블록에 기록될 정보는 각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나,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정보와 서버에 저장할 정보가 별도로 나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병리 이미지 데이터 및 어노테이션(annotation) 데이터>
도 5는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을 통해 수신하는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다른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11)은 특정 환자(P)의 모바일 단말이고, 제1 데이터는 의무기록사본 중 병리 보고서를 스캔 또는 사진 찍은 병리 데이터 (511)일 수 있다. 제1 단말(11)은 병리 데이터(511)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12)은 상기 특정 환자(P)가 방문하는 병원의 컴퓨터 단말이고, 제2 데이터는 특정 환자(P)의 조직 슬라이드(slide)를 촬영한 병리 이미지 데이터(pathological image, 512)일 수 있다.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는 환자(P)의 암 조직(tissue, T) 또는 암세포 등의 인체유래물 샘플(sample)을 현미경으로 스캔/촬영하여 얻은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말(13)은 상기 병원에서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의 어노테이션(annotation)을 의뢰한 의사의 컴퓨터 단말이고, 제3 데이터는 병리 이미지의 어노테이션(annotation) 데이터(513)일 수 있다. 어노테이션 데이터(513)는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에서 암 조직(tumor) 또는 암 세포의 위치, 정상 조직 또는 정상 세포의 종류/위치 등을 표시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3 데이터인 어노테이션 데이터(513)는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가 없이는 생성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제3 데이터는 제2 데이터에 기반한다.
아래 [표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치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제1 데이터(D1) 제2 데이터(D2) 제3 데이터(D3)
데이터 종류 병리 데이터 병리 이미지 데이터 어노테이션 데이터
제1 단말 50 0 0
제2 단말 0 100 0
제3 단말 0 0 100
[표 4]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종류마다 기 설정되어 있는 기여 점수를 합산하여 가치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특정 환자(P)가 사용하는제1 단말(11)로부터 병리 데이터(511)를, 병원이 사용하는 제2 단말(12)로부터 상기 환자(P)의 조직 슬라이드(slide)를 촬영한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를, 병리과 의사가 사용하는 제3 단말(13)로부터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에서 암 조직/정상 조직을 구분하여 표시한 어노테이션 데이터(513)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하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병리 데이터(511), 특정 조직 슬라이드의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 어노테이션 데이터(513) 각각에 가치 점수를 산정해 놓은 상태이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각 단말(11, 12, 1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여 각 단말(11, 12, 13)에 기 설정된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제1 단말(1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조직병리 검사 결과의 스캔본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이를 OCR한 후 '병리' 등의 단어를 추출하여 이를 '병리 데이터'로 판단해 50의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제2 단말(1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제2 단말에 100의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제3 단말(1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의 특정 영역 또는 픽셀의 분류(classification) 정보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이를 어노테이션 데이터(513)로 판단하여 100의 가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가치 점수는,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이 송신하는 데이터의 종류, 양, 질(quality)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단말(12)을 사용하는 병원이 여러 장의 슬라이드(slide)에 대한 병리 이미지 데이터(512)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송신하는 경우, 제2 데이터의 양은 많아지고, 가치 점수(V2)는 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3 단말(13)을 사용하는 병리과 의사의 어노테이션(annotation) 최소 단위 영역이 작을수록 제3 데이터의 질은 높아지고 가치 점수(C3)는 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이후, 가치 점수를 반영하여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S500)가 수행된다. 이는 상술한 <실시예 1>에서의 예시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S500) 이후,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로부터 제1 단말(11)을 사용하는 특정 개인의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또는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대금을 전송받는 단계 및 데이터 공유 지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구매 대금을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에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200a, 200b, 200c)는 환자(P)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구매하려는 연구 기관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이때 특정 환자(P)의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또는 제3 데이터가 연구 기관에 의하여 구매되는 경우,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데이터 축적에 관여한 환자 자신(제1 단말(11)의 사용자)과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의 사용자에게 데이터 공유 지분율에 비례하여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연구기관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구축한 데이터베이스(101) 중 100명의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구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고 가정하자. 연구기관이 특정 환자(P)를 포함하는 100명의 데이터를 구매하는데 전체 1억원을 지급한다면, 특정 환자(P)의 데이터 전체를 구매하는데 쓴 금액은 100만원이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기 산정한 최종 데이터 공유 지분율에 따라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에 데이터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상술한 [표 4]에서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은 각각 30%, 40%, 30% 였으므로, 데이터 수익 배분 금액은 이에 비례한 30만원, 40만원, 30만원이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로 하여금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높일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 등이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치 점수를 높여야 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각 단말이 정성적으로/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에 공유/송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개인의 데이터를 축적하는데 관여한 당사자(각 단말의 사용자)에게 합당한 보상을 분배하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는 수신부(110), 가치 점수 계산부(120), 지분율 계산부(130) 및 수익 분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제1 단말(11)로부터, 제1 단말(11)을 사용하는 특정 개인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10)는 제2 단말, 제3 단말로부터 각각 상기 특정 개인의 제2 데이터, 제3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치 점수 계산부(120)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제3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의 가치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치 점수 계산부(120)는 계산된 가치 점수에 계산된 시간 기여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기여한 구축 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지분율 계산부(130)는 가치 점수를 기초로 특정 개인의 데이터 전체 에 대한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할 수 있다.
수익 분배부(140)는 산정된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01)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제1 단말(11), 제2 단말(12), 제3 단말(13)에 배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100)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이 해당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과정은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가 포함하는 수신부(110), 가치 점수 계산부(120), 지분율 계산부(130) 및 수익 분배부(140)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들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의 정량적 정보 및 데이터의 정성적 정보에 기초하여 각 단말이 데이터베이스(101)의 구축에 기여한 정도를 산정함에 따라, 각 단말의 데이터베이스(101) 구축에 대한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산정해 데이터 업로드를 유도하여 신속하면서 정성적으로나 정량적으로 좋은 품질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데이터 공유 지분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1)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을 각 단말 사용자에게 합당하게 배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제1 단말
12: 제2 단말
13: 제3 단말
100: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101: 데이터베이스
110: 수신부
120: 가치 점수 계산부
130: 지분율 계산부
140: 수익 분배부
200: 데이터베이스 이용 장치

Claims (2)

  1.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을 사용하는 특정 개인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상기 제1 데이터에 기반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3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개인의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한 제3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에 포함된 정성적 정보 또는 정량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의 가치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가치 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 상기 제3 단말의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공유 지분율을 계산하여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에 관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 데이터 지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관한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 상기 제3 단말 간 데이터 지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KR1020180165497A 2018-12-19 2018-12-19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KR20200076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497A KR20200076411A (ko) 2018-12-19 2018-12-19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497A KR20200076411A (ko) 2018-12-19 2018-12-19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11A true KR20200076411A (ko) 2020-06-29

Family

ID=7140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497A KR20200076411A (ko) 2018-12-19 2018-12-19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4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470A (ko) 2017-01-06 2018-07-1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 인증 기반 경량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정보 은닉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470A (ko) 2017-01-06 2018-07-1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 인증 기반 경량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정보 은닉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oss et al.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and race on trial participation for older women with breast cancer
KR101835880B1 (ko) 임상 결과 추적 및 분석
AlDossary et al. The development of a telemedicine planning framework based on needs assessment
Basu et al. Managed care and preventable hospitalization among Medicaid adults
Zhao et al. International telepathology consultation: three years of experience between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and KingMed Diagnostics in China
KR101720040B1 (ko)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테스트 대상들 또는 환경 테스트 대상들과 관련된 수집된 데이터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Mitchell Urologists’ self-referral for pathology of biopsy specimens linked to increased use and lower prostate cancer detection
Carlin et al. The impact of hospital acquisition of physician practices on referral patterns
US201401221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dministration of a Medical Test to a User
CN105940427A (zh) 识别用于临床试验的候选人
Yiadom et al. Measuring emergency department acuity
Otero Varela et al. Evaluation of interventions to improve electronic health record documentation within the inpatient setting: 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CN113950680A (zh) 用于个人医疗和财务数据的加密交换的布置
Agiro et al. Data linkages between patient-powered research networks and health plans: a foundation for collaborative research
Ayvaci et al. Preference‐sensitive management of post‐mammography decisions in breast cancer diagnosis
Rankin et al. Secret shopper studies: an unorthodox design that measures inequities in healthcare access
Bellass et al. Quality indica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for prison healthcare: a scoping review
Segelov et al. Developing clinical indicators for oncology: the inaugural cancer care indicator set for the 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dards
KR20200076397A (ko)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Ndifon et al. Adoption of mobile health insurance systems in Africa: evidence from Cameroon
Hadley et al. Medicare breast surgery fees and treatment received by older women with localized breast cancer
Lipscomb et al. State-level cancer quality assessment and research: building and sustaining the data infrastructure
KR20200076411A (ko) 공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Dy et al. AI improves accuracy, agreement and efficiency of pathologists for Ki67 assessments in breast cancer
Ramanathan et al. General practitioner referral patterns for women with gynaecological symptoms: a randomised incomplete block study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