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168A - 모듈형 유체 혼합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유체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168A
KR20200076168A KR1020180165012A KR20180165012A KR20200076168A KR 20200076168 A KR20200076168 A KR 20200076168A KR 1020180165012 A KR1020180165012 A KR 1020180165012A KR 20180165012 A KR20180165012 A KR 20180165012A KR 20200076168 A KR20200076168 A KR 2020007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ousing
flat plate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희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168A/ko
Publication of KR2020007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discs
    • B01F15/02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01F7/00633
    • B01F2015/000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1Seal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유체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 유체를 혼합 또는 반응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평판(20)를 포함하여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유체 혼합기{MODULE TYPE FLUID MIXING DEVICE}
본 발명은 모듈형 유체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를 혼합 또는 반응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 이동할 수 있는 평판 또는 평판단을 포함함에 따라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혼합 및 반응 공정은 화학, 약품, 식품 등의 여러 공업 분야 및 농업이나 건설 기타 생활 현장에서도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유체의 종류와 혼합 또는 반응의 정도 등 그 혼합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혼합 장치 및 혼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유체 혼합방법은 하나의 챔버에 혼합 대상 물질을 넣고 모터에 연결된 교반기를 가지고 일정 시간 교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교반에서는 교반기의 회전 속도나 시간을 조절하여 원하는 정도의 혼합물을 만들기에 적합하지만 별도의 교반 용기 및 교반 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 교반장치의 설치 및 운용에 따른 추가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반 날개와 바닥면 사이에 유체 내용물 등이 잔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유체의 혼합비율이 달라지거나, 원하지 않는 성분의 유체가 혼합될 수 있어, 혼합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두가지 이상의 유체를 서로 반응시켜 생성물을 생성하는 반응장치에서는 필수적으로 상기 반응물로 사용되는 둘 이상의 유체를 서로 혼합하여 반응하여야 한다. 상기 반응 공정에 사용되는 반응장치에는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 연속교반반응기(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플러그흐름반응기(PFR; Plug Flow Reactor) 등이 있다.
상기 회분식 반응기는 소규모 공정에서 유리하며, 투자비가 적게 들고, 온도 조절이 유리한 장점을 갖고 있으나, 생산원가가 높으며, 교반이 필요하여 교반장치를 더 부가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또한 상기 교반장치에 의해서도 교반이 원활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속교반반응기는 반응을 연속공정을 수행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동일한 전환율을 얻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형태의 반응기에 비하여 반응기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속교반반응기 역시 교반장치가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흐름반응기는 상기 회분식 반응기와 연속교반액상반응기와는 달리 교반기가 필요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지관리가 쉽고 흐름반응기 중에서 반응기 부피당 전환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응기 내에서 혼합이 불충분하여 반응열의 조절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
유체 혼합 또는 반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8080호(2012.06.13.)는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유체 혼합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유체 혼합기는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며 유체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에서는 주변부 벽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 편으로 경사지게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체 입력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7770호(2018.01.11.)는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개구된 원통 공간부 및 당해 원통 공간부의 내주면으로 개구된 유체 도입로를 구비한 상자체와, 상자체의 원통 공간부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원통 공간부의 개구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단부가 개구된 원통 공간부 및 당해 원통 공간부의 주벽으로 개구하는 구멍부를 구비한 원통부재를 구비하고, 유체 도입로로부터 도입한 액상 유체를, 구멍부를 통해 원통부재의 원통 공간부 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선회류를 발생시켜, 원통부재로부터 유출시키는 유체 혼합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체 혼합 장치는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혼합 또는 반응되는 유체의 유량의 조절이 유동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체 혼합 장치는 내부공간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음에 따라 유체 혼합 장치내의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는 공간에 이물질이 남아 혼합 또는 반응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8080호(2012.06.1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7770호(2018.01.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기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된 챔버의 내부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실링부재가 포함된 평판을 포함함에 따라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기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이동관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평판 및 상기 평판의 외주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분리하여 단을 형성할 수 있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로, 상기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평판은 하우징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이동관은 평판의 외곽에 접선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각각의 평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축은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폐루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평판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추가적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측에 유체 유입관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각각의 평판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이동관은 상이한 접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동되는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링 부재를 포함한 평판을 이용하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므로 장치 제작 비용이 절감되며, 운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장치 운전시 필요에 따라 내부의 공간을 조정할 수 있어, 혼합율과 반응율을 단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유체 혼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우징의 하단에 유체 유입구가 분리된 모듈형 유체 혼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형 유체 혼합기의 구성 중 하우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원뿔 기둥형상의 하우징을 갖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중 평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다수의 평판과 다수의 연결축으로 구성된 평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평판의 유체 이동관을 통해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 이동관 출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모듈형 유체 혼합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모듈형 유체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를 이루는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하우징이라 호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유체 혼합기의 구성을 도시화한 것으로,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10)와 하단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분리가능한 유체 유입구 및 혼합 또는 반응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한 하우징(10)와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 이동관(21)이 적어도 1개 포함되며, 평판(20)의 외주면에 실링부재(30)가 포함된 3개의 평판(20)와 각각의 평판(20)를 연결한 연결축(40)이 포함된 구성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2는 유체가 혼합되는 하우징(10)와 평판(20)부를 분리한 것을 도시화한 것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분리되어, 평판(20)부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유체 혼합기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기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와 상기 하우징(10)의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 이동관(21)을 적어도 1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표면에 밀착되어 하우징 내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실링부재(30)가 포함된 평판(2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우징(1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되는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는 내부공간 및 혼합 또는 반응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는 원통형의 하우징(10)로,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및 혼합 또는 반응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3)로 구성된다.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면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평판(20)는 연결축(4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연결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평판(20)를 이동시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구분된 각 단의 공간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평판(20)와 연결축(40)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20)에 연결축(40)이 통과되는 구멍을 형성하고 평판(20)의 구멍 내부과 연결축(40)간에는 고무링 등의 실링부재를 사용하여 밀폐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에 연결된 평판(20)는 모듈화하여 미리 제작될 수 있으며, 하우징내로 상기 모듈화된 평판을 삽입만 하면 되므로, 상기 유체 혼합기의 제작이 간편해지며, 수리 및 변형도 자유롭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유체 혼합기의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유체 유입관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10)의 일실시예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3의 a는 유입구가 하우징(10)의 하단에 위치한 것으로, 하단에 위치된 유입구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며, b는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측면에 위치된 유체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체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도시화한 것이다.
또한, 도 3c는 추가적으로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유입관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것을 도시화한 것으로, 하우징(10) 하단에 위치한 유입구를 통하여 제1 유체가 유입되고,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위치한 유입관을 통해 제2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도시화 한 것이다.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추가적으로 유입관이 포함됨에 따라 다종의 유체를 혼합 또는 반응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유입관이 적어도 2개 이상 포함된 경우에는 유입관으로의 역할뿐만 아니라 반응이 진행된 후에 유출관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모듈형 유체 혼합기의 평판(20) 단의 구성을 사용자의 편의 또는 혼합 또는 반응되는 유체의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듈형 유체 혼합기의 일측면에 추가적으로 유체 유입관을 포함함에 따라 적어도 2종 이상의 유체를 혼합 또는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있는 부분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는 분리가 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평판(20) 구성을 하우징(10)의 내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유체 혼합기의 하우징(10)는 직사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의 바닥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의 바닥면이 원형이고, 몸체는 원뿔형 또는 원기둥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의 바닥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유체가 하우징(10) 내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저항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하우징(10)의 길이는 유입되는 유체가 충분히 혼합 또는 반응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고 있으면 하우징(10)의 길이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하우징(10)의 형상이 원뿔 기둥의 하우징(10)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로부터 혼합 또는 반응된 유체가 유출구까지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원뿔 기둥 하우징(10)의 일 실시예이다.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의 점차적으로 줄어듬에 따라 단을 구성하는 평판(20)의 직경도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20)를 도시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성 중 평판(2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이동관(21)(2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평판(20)의 형상은 하우징(10)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평판(20)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부재(30)를 포함함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일한 단을 갖고 있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으로 구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20)의 외주면에 포함된 실링부재(30)는 폐루프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루프 구조로 형성된 실링부재(30)는 평판(20)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이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분리할 때, 완전한 분리를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0)는 평판(20)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30)는 폐루프 구조의 형상으로, 평판(2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며, 평판(20)의 외주면의 둘레 일부를 감싸거나 외주면의 둘레 전체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0)는 유체, 혼합 또는 반응 유체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탄성부재인 고무 또는 플루오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인 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루오르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린 공중합체,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20)는 적어도 1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평판(20)가 적어도 2개 이상 포함된 경우에는 각각의 평판(20)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축(40)이 포함된다. 상기 연결축(4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는 평판(20)의 구성은 각각의 평판(20)를 연결하는 연결축(40)이 하나인 경우를 도시화한 일 실시예이다.
각각의 평판(20)를 연결하는 연결축(40)이 하나인 경우에는 평판(2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유체가 이동하는 동안 와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6은 각각의 평판(20)를 연결하는 연결축(40)이 4개인 경우의 평판(20) 구성의 일 실시예이다. 상기 평판은 적어도 2개 이상 구성된 것으로, 제1 평판, 제2 평판, 제3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평판과 제2 평판을 연결하게 위한 연결축은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인 도 6의 경우에는 제1 평판과 제2 평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4개의 연결축이 포함된 것이다. 상기 연결축이 1개인 경우에는 평판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평판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이동이 자유롭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평판(20)의 유체 이동관(21)을 통해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 이동관(21) 출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체 이동관(21)은 하우징내 구분된 하나의 영역에서 유체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된 유체를 평판을 통과하여 다른 영역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하우징 내부공간을 평판을 포함함에 따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구분된 제1 영역에서의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 후에 제2 영역에서 추가적으로 혼합 또는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제1 영역에서 혼합 또는 반응된 유체가 제2 영역으로 이동을 해야한다. 이때, 평판 내에 유체 이동관을 통하여 제1 영역에서 반응 또는 혼합된 유체가 제2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유체 이동관의 유입과 유출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으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유체의 이동의 흐름이 원활하면, 유입 및 유출에 대한 방향성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듈형 유체 혼합기에는 유체 이동관(21)이 1개만 도식화되어 있으나, 평판(20)에 포함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 이동관(21)은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유체 이동관(21)이 적어도 2개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접선방향으로 설치를 하여 동일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유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체 이동관(21)의 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체가 회전하도록 하여 이동하는 유체가 서로 부딪히도록 함으로써, 유체간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10)는 추가적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일측에 유체 유입관을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의 하우징(10)에 추가적으로 T형의 플랜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형성을 하게 되면, 유체의 유입구는 2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가적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유입구
12: 내부공간
13: 유출구
20: 평판
21: 유체 이동관
30: 실링부재
40: 연결축

Claims (5)

  1.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혼합 또는 반응되기 위해 내부공간(12)이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며, 상기 구분된 영역 간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체 이동관이 적어도 둘 이상 포함된 평판(20);
    상기 평판(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는 실링 부재(30); 및
    상기 평판과 평판을 연결하는 연결축(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40)으로 연결된 평판단은 하우징(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이동관(21)은 평판(20)의 외곽에 접선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동관(21)은 평판(20) 상에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유체 이동관은 동일한 방향으로 유체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동관(21)은 평판(20) 상에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유체 이동관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체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판(20)이 연결축에 상하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평판(20)의 유체이동관의 출구는 인접한 평판에 설치된 유체이동관과는 상이한 접선 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유체 혼합기.

KR1020180165012A 2018-12-19 2018-12-19 모듈형 유체 혼합기 KR20200076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12A KR20200076168A (ko) 2018-12-19 2018-12-19 모듈형 유체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12A KR20200076168A (ko) 2018-12-19 2018-12-19 모듈형 유체 혼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68A true KR20200076168A (ko) 2020-06-29

Family

ID=7140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12A KR20200076168A (ko) 2018-12-19 2018-12-19 모듈형 유체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16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80B1 (ko) 2009-12-07 2012-06-13 (주)인사이드밸류 유체 혼합장치
KR101817770B1 (ko) 2016-01-28 2018-01-11 주식회사에이비테크 고효율 유체 혼합 또는 반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80B1 (ko) 2009-12-07 2012-06-13 (주)인사이드밸류 유체 혼합장치
KR101817770B1 (ko) 2016-01-28 2018-01-11 주식회사에이비테크 고효율 유체 혼합 또는 반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9542B2 (en) Multi-stage stirred reactor having reduced back mixing
US5178461A (en) Mixing apparatus
KR101901048B1 (ko) 화학 반응기를 위한 반응 챔버, 및 그로부터 구성된 화학 반응기
EP1060786B1 (en) Charging assembly for mixing vessel
KR101148080B1 (ko) 유체 혼합장치
JP3727595B2 (ja) マイクロミキサー
EP0095791A2 (en) Mixing apparatus
CN104822446B (zh) 改进的流动反应器
KR101817770B1 (ko) 고효율 유체 혼합 또는 반응 장치
US2721064A (en) Carbonating device
KR20200076168A (ko) 모듈형 유체 혼합기
JPH04235729A (ja) 混合反応装置
US3281124A (en) Residence time reactor
CN112138619A (zh) 一种反应器
KR101758209B1 (ko) 액―액 혼합 장치
US20190111402A1 (en) Modular oscillatory flow plate reactor
CN210632106U (zh) 一种反应器
KR200353504Y1 (ko) 반응 용기
SU1125040A1 (ru)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реактор
KR20200091708A (ko) 고효율 유체 혼합/반응 장치
RU2074021C1 (ru) Реактор-диспергатор
RU1776431C (ru) Пленочный статический смеситель быстро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их жидкостей
RU2001121620A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створной сополимеризации и полимеризат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