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861A - 흡연 물품 - Google Patents

흡연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861A
KR20200075861A KR1020207014591A KR20207014591A KR20200075861A KR 20200075861 A KR20200075861 A KR 20200075861A KR 1020207014591 A KR1020207014591 A KR 1020207014591A KR 20207014591 A KR20207014591 A KR 20207014591A KR 20200075861 A KR20200075861 A KR 20200075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wrapper
generating article
aerosolizable
aerosoliza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잉글랜드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1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172A/ko
Publication of KR2020007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4Forming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s, e.g. wrapper materials, sheets, imitation leaves, rods, cakes; Forms of such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원에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103)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102)가 설명되어 있으며, 래퍼는 적어도 3 개의 층들을 포함하고, 주변 층들(501, 503)은 종이를 포함하고, 중간 층(502)은 불연성 재료를 포함하고, 적어도 중간 층 및 주변 층들 중 하나는 라미네이트 구조물로서 제공된다.

Description

흡연 물품
본 발명은 흡연 물품들(smoking articles)에 관한 것으로,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aerosolisable material)를 위한 래퍼(wrapper), 래핑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aerosol generating article), 및 래핑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보유하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aerosol generating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들(cigarettes), 시가들(cigars) 등과 같은 흡연 물품들은 사용 동안에 담배를 태워서 담배 연기를 생성한다. 이들 유형들의 물품들에 대한 대안들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태우지 않고 가열함으로써 화합물들을 방출한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태우거나 연소시키지 않고서,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aerosol)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치는 때로는 "비연소식 가열(heat-not-burn)" 장치 또는 "담배 가열 제품(tobacco heating product)"(THP) 또는 "담배 가열 디바이스(tobacco heating device)" 또는 유사물로서 설명된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한 다양한 상이한 배열체들이 알려져 있다.
이 재료는, 예를 들어 니코틴(nicotine)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다른 비-담배 제품들(non-tobacco products) 또는 블렌딩된 혼합물(blended mix)과 같은 조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를 제공하며, 이 래퍼는 적어도 3 개의 층들을 포함하며, 주변 층들은 종이를 포함하고, 중간 층은 불연성 재료(non-combustible material)를 포함하고, 적어도 중간 층 및 주변 층들 중 하나는 라미네이트 구조물(laminate structure)로서 제공된다.
주변 층들은 본원에서 "최내부" 및 "최외부" 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재료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주위로 래핑된 경우의 그들의 위치를 지칭한다.
일 예에서,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사용 시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인접하게 배치된 주변 층(즉, 최내부 층) 및 중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이것은 하나 이상의 추가 층들에 의해 둘러싸거나 래핑될 수 있으며, 복합 구조물(composite structure)의 주변 층(즉, 최외부 층)은 종이를 포함한다.
또다른 예에서,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중간 층 및 주변 층들 각각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불연성 재료는 금속 포일(metal foil)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금속 포일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래퍼는 3 개 초과의 층들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3 개의 층들로 구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주변 층들 및 중간 층을 포함하는 3 개 층의 라미네이트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며, 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및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주위로 래핑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래퍼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담배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로드(rod)이고, 래퍼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멀리 있는 로드의 단부를 적어도 둘러싸고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로드 길이의 25% 이상에 걸쳐 로드를 적어도 둘러싸고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추가적으로 필터(filter) 및/또는 냉각 요소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냉각 요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와 필터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필터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와 냉각 요소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제공하며, 이 조립체는 히터(heater) 및 제2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는 담배 가열 제품(또한, 비연소식 가열 디바이스로도 알려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에어로졸 발생 디바이스 및 제2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제1 양태에 따른 래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점화시키거나 연소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양태에 따른 래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태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호환 가능한 범위에서, 각각의 다른 양태와 조합하여 명시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단지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예들에 대한 하기의 도면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청구범위의 범위에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측면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단부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1 단부도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측면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래퍼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예에 따른 래퍼의 분해 개략도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라미네이트 구조물(laminate structure)"은 층들이 서로 체결되어 단일 몸체를 형성하는 다층 구조물을 지칭한다. 층들은 예를 들어 접착제로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층들은 정적 상호작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제1 층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고 제1 층을 제2 층과 접촉시키며 제1 층이 고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들, 묶음(tying), 재봉(sewing), 나사결합(screwing), 못박음(nailing), 볼트결합(bolting), 후크결합(hooking)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층들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이 라미네이트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착제가 각각의 층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접착제가 층들의 주변부에만 도포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라미네이트 구조물의 각각의 층은 인접한 층(들)에 체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라미네이트 구조물들에서, 2 개의 층들의 주변부는 중간 층들이 중간에 포획된 상태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래퍼의 일 예에서,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사용 시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인접하게 배치된 주변 층(즉, 최내부 층) 및 중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이것은 하나 이상의 추가 층들에 의해 둘러싸거나 래핑될 수 있으며, 복합 구조물의 주변 층(즉, 최외부 층)은 종이를 포함한다. 도 6은 그러한 예의 개략도이다. 라미네이트 구조물(점선들로 표시됨)은 주변 층(501) 및 중간 층(502)을 포함한다. 래퍼는 주변 층(503)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것은 라미네이트 구조물의 일부가 아니다.
또다른 예에서,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중간 층 및 주변 층들 각각을 포함한다. 즉, 일 예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라미네이트 래퍼는 적어도 3 개의 층들을 포함하고, 주변 층들(즉, 최내부 층 및 최외부 층)은 종이를 포함하고, 중간 층은 불연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 5는 그러한 예의 개략도이다. 라미네이트 구조물(점선들로 표시됨)은 주변 층들(501, 503) 및 중간 층(502)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불연성 재료는 금속 포일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불연성 재료는 금속 포일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금속 포일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금속 포일은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하거나, 알루미늄 포일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알루미늄 포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포일은 불연성 재료이며, 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 시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열을 전도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금속 포일은 두께가 약 100 ㎛, 50 ㎛, 20 ㎛, 10 ㎛ 또는 8 ㎛ 미만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금속 포일은 두께가 약 1 ㎛, 3 ㎛ 또는 5 ㎛ 초과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3 개의 층들로(즉, 종이를 포함하는 최내부 및 최외부 층들 및 중간 불연성 층만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래핑 재료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주변 층들 및 중간 층을 포함하는 3 개 층의 라미네이트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의 최내부 및 최외부 층들은 담배 래핑지(tobacco wrapping paper)이다.
담배 가열 제품들과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들을 준비할 때의 고려사항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태울 염려가 없도록, 연소되는 경우에 허용 가능한 흡연 경험을 생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제제(formulation)가 연소되도록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리고, 연소로부터 기인하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태우지 않고 가열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하는 에어로졸, 또는 전통적인 시가렛들의 연소로부터 기인하는 에어로졸보다 흡입에 덜 적합할 수 있기 때문임).
래퍼에의 불연성 층의 사용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통상적인 가연성 시가렛으로서 태워서 흡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어구 "불연성(non-combustible)"은 담배의 발화(점화) 또는 연소와 통상적으로 연관된 온도들에서 발화하거나 타지 않는 재료를 지칭한다.
또한, 금속 포일 층의 사용은 낮은 다공도를 가져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의 측류 공기 유동(side stream air flow)을 감소시키는 래퍼를 야기한다. 이것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산소 레벨들을 제한함으로써 연소 경향을 더욱 감소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라미네이트 래퍼의 최내부 층 및 최외부 층에 종이를 갖는 것이, 그러면 라미네이트 표면들이 해당 종이의 마찰 계수를 갖기 때문에,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을 확립하였다. 이것은 라미네이트 래퍼가 알려진 시가렛 제조 프로세스들 및 기계들에서 보다 쉽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가렛 종이의 마찰 계수와 동등한 마찰 계수를 갖는 라미네이트 표면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제조 기계의 가니처 벨트(garniture belt)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가니처를 통해 라미네이트 래퍼를 구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최내부 층은 또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주위로 래핑되어 가열될 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로 전달되는 향미제(flavou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향미제는 최내부 층의 종이 내로 함침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향미제는 멘톨(mentho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라미네이트 재료의 최내부 층에 종이를 갖는 것이 향미 캐리어(flavour carrier)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을 확립하였다.
일부 경우들에서, 라미네이트의 최내부 및 최외부 층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종이는 적어도 약 10 g·m-2, 15 g·m-2, 20 g·m-2, 또는 25 g·m-2 내지 약 50 g·m-2, 45 g·m-2, 40 g·m-2, 또는 35 g·m-2 의 기본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의 밀도를 갖는 종이는 낮은 다공도를 가지며, 이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산소 레벨들을 제한함으로써 연소 경향을 더욱 감소시킨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의 최내부 및 최외부 층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종이는 하나 이상의 난연성 물질들(burn-retardant substances)로 처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래퍼는 하기로 구성되는 라미네이트 구조물이다:
(a) 두께가 1.0 내지 7 ㎛, 적합하게는 6.0 내지 6.3 ㎛인 알루미늄 포일의 중간 층; 및
(b) 포일의 양 측면의 2 개의 종이 층들. 종이 층들 각각은 25 내지 35 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일 예에서, 래퍼는 하기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a) 25 내지 35 g·m-2의 기본 중량을 갖고, 래핑될 때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인접하게 배열된 종이 층; 및
(b) 두께가 1.0 내지 7 ㎛, 적합하게는 6.0 내지 6.3 ㎛ 인 알루미늄 포일 층.
이러한 예에서, 래퍼는 사용 시에 라미네이트 위에 래핑된 제2 종이 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2 종이 층은 25 내지 35 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라미네이트 재료는 단일 종이 보빈(paper bobbin)으로부터 공급되는, 표준 시가렛 메이커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보빈 코어(bobbin core) 상에 권취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들(ventilation apertures)이 래퍼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 개구들은 사용 동안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공기 유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기는 흡입된 에어로졸의 일부를 형성한다.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임의의 적합한 라미네이션 기술(lamination technique)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층들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 예들에서, 최내부 층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와 접촉하여 배치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담배를 포함한다. 담배는 단일 그레이드들(grades) 또는 블렌드들(blends), 컷 래그(cut rag) 또는 전체 잎, 분쇄 담배(ground tobacco), 담배 섬유, 썰은 담배(cut tobacco), 압출 담배(extruded tobacco), 담배 줄기 및/또는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고체 담배일 수 있다. 담배는 버지니아(Virginia) 및/또는 벌리(Burley) 및/또는 오리엔탈(Oriental) 담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로드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로드(rod)"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는 세장형 몸체를 지칭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로드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로드인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멀리 있는 로드의 단부(즉, 마우스-단부(mouth-end)가 아닌 원위-단부(distal-end))를 적어도 둘러싸고 있다. 이것은 불연성 래퍼가 사용자가 점화하려고 시도할 수 있는 로드의 단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라미네이트 래퍼는 로드 길이의 적어도 25%에 걸쳐 로드를 둘러싸고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로드 길이의 적어도 35%, 40%, 45% 또는 50%에 걸쳐 연장된다. 로드가 보다 많이 둘러싸일수록, 로드의 연소가 더 어려워진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퍼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로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지 않으며, 그 결과 비용이 절감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라미네이트 래퍼는 로드 길이의 약 85%, 80%, 75%, 70%, 65% 또는 60% 미만에 걸쳐 연장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예시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1)은 래퍼(102)에 의해 래핑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103)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이러한 래퍼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원위-단부로부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마우스-단부까지 대략 50%의 거리에 걸쳐 연장된다. 일부 예들에서, 래퍼(102)는 3 개의 층들을 포함하며, 주변 층들은 종이를 포함하고, 중간 층은 불연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의 주변 층 및 중간 층이 라미네이트 구조물로서 제공된다(도 6 참조). 다른 예들에서, 주변 층들 및 중간 층 둘 모두가 라미네이트 구조물로서 제공된다(도 5 참조).
선택적으로, 래퍼는 또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원위 단부가 래퍼로 완전히 밀폐되도록,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원위-단부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는 래퍼(102)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103)의 둘레부 주위로 래핑된 예를 예시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1)의 원위-단부는 래퍼로 덮여 있지 않다. 도 3은 래퍼(102)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를 완전히 밀폐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1)의 대안적인 예를 예시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예들은 필터 및/또는 냉각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들 추가 구성요소들은 래퍼의 모든 층들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이들은 다른 층들보다 더 큰 비율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걸쳐 연장되는 래퍼의 단일 층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적합하게는, 추가 구성요소들은 래퍼의 최외부 주변 층(또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둘러쌈)에 의해서만, 또는 대안적으로 래퍼의 최내부 주변 층에 의해서만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마우스-단부는 냉각 요소 및 필터 중 하나 이상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냉각 요소(존재하는 경우)는 증기 성분들이 응축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또는 장치의 매우 고온 부분들을 사용자로부터 이격시킨다. 필터(존재하는 경우)는 흡입된 에어로졸의 화학 조성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체 유동으로부터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특징들에 부가하여, 냉각 요소(104), 필터(105) 및 마우스-단부 튜브(mouth-end tube)(106)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1)의 일 예를 예시하고 있다. 냉각 요소(104) 및 필터(105)는, 예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103)의 마우스-단부와 마우스-단부 튜브(106)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103)로부터의 유동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냉각 요소(104) 및 필터(105)를 통과한다(또는 필터가 유동에서 냉각 요소 이전에 배열되는 경우, 이와 반대로 필터(105) 및 냉각 요소(104)를 통과함). 도 4의 예는 냉각 요소(104), 필터(105) 및 마우스-단부 튜브(106)를 예시하지만, 다른 예들에서는 이들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마우스-단부 튜브(106)(존재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예컨대 나선형으로 권취된 종이 튜브 형태의 종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판지(cardboard), 크림핑된 종이(crimped paper), 예컨대 크림핑된 내열성 종이 또는 크림핑된 양피지(parchment paper), 및/또는 중합체 재료들,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일부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우스-단부 튜브(106)는 중공 튜브일 수 있다. 그러한 중공 튜브는 휘발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우스-단부 튜브(106)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메인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매우 고온 부분(들)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세장형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필터(105)(존재하는 경우)는 필터 플러그(filter plug)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냉각 요소(104)(존재하는 경우)는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는 모놀리식 로드(monolithic rod)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 구멍들은 로드의 중심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냉각 요소(104)의 관통 구멍들은 횡단면에서 볼 때 대체로 요소의 반경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일 예에서, 요소는 관통 구멍들을 규정하고 2 개의 메인 구성들, 즉 반경방향 벽들 및 중앙 벽들을 갖는 내벽들을 갖는다. 반경방향 벽들은 요소의 단면의 반경들을 따라 연장되고, 중앙 벽들은 요소의 단면의 중심에 중심설정된다. 일 예에서, 중앙 벽들은 원형이지만, 다른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단면 형상들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 예에서, 요소의 단면은 원형이지만, 다른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단면 형상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관통 구멍들의 대부분은 육각형 또는 대체로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예에서, 요소는 일 단부에서 볼 때 "허니콤(honeycomb)" 구조로 불릴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냉각 요소(104)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메인 장치의 매우 고온 부분(들)으로부터 필터(105)(존재하는 경우)를 이격시키는 중공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요소(104)는 예를 들어, 예컨대 나선형으로 권취된 종이 튜브 형태의 종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판지, 크림핑된 종이, 예컨대 크림핑된 내열성 종이 또는 크림핑된 양피지, 및/또는 중합체 재료들,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일부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 요소(104)(존재하는 경우)는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일 수 있다. 냉각 요소(104)는 세라믹 재료, 또는 압출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는 중합체,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요소의 다공도는 60% 내지 75%의 범위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공도는 관통 구멍들에 의해 점유된 요소의 횡단면적의 백분율의 척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요소의 다공도는 약 69% 내지 70%이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의 다른 예들은 PCT/GB2015/051253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의 전체 내용, 특히 도 1 내지 도 8, 및 8 페이지 11 행 내지 18 페이지 16 행의 설명이 본원에 참조로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추가의 예들에서, 냉각 요소(104)는 관통 구멍들을 형성하도록 접히거나, 크림핑되거나 주름진 시트 재료(sheet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재료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 또는 종이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냉각 요소(104)와 필터(105)는 래퍼지(wrapper paper)에 의해 함께 유지되어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조립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1)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체 및 적어도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마우스-단부를 둘러싸는 추가 래퍼에 의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1)은 냉각 요소(104), 필터(105) 및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103)를 한번의 작업으로 효과적으로 래핑함으로써 형성되며, 냉각 요소 및/또는 필터 구성요소들(존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티핑지(tipping paper)가 제공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 개구들은 사용 동안에 공기 유동을 물품 내로 제공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은 흡입된 에어로졸의 일부를 형성한다. 물품의 원위 단부를 통한 공기 유동을 감소시켜서 연소의 경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그래서 개구들은 물품의 원위-단부보다 물품의 마우스-단부에 더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 개구들은 냉각 요소 및/또는 필터(존재하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통기 구멍들은 불연성 재료로 래핑되지 않은 물품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불연성 재료를 절단하여 통기 개구들을 형성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확립하였다.
사용 시에, 일부 경우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태우지 않고서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가열 디바이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다른 경우들에서, 물품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태우지 않고 가열하는 가연성 연료 소스(combustible fuel source) 또는 화학적 열원(chemical heat source)과 같은 연료 소스를 갖는 조립체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들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의 일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다른 예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임의의 다른 예들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균등물들 및 변형예들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aerosolisable material)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wrapper)로서,
    상기 래퍼는 적어도 3 개의 층들을 포함하며, 주변 층들은 종이를 포함하고, 중간 층은 불연성 재료(non-combustible material)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중간 층 및 상기 주변 층들 중 하나는 라미네이트 구조물(laminate structure)로서 제공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상기 중간 층 및 상기 주변 층들 각각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물은 사용 시에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주변 층 및 상기 중간 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재료는 금속 포일(metal foil)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포일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3 개의 층들로 구성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래퍼.
  7. 에어로졸 발생 물품(aerosol generating article)으로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및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 주위로 래핑된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담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로드(rod)이고, 상기 래퍼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멀리 있는 상기 로드의 단부를 적어도 둘러싸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로드 길이의 적어도 25%에 걸쳐 상기 로드를 적어도 둘러싸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1. 제7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filter) 및/또는 냉각 요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필터 및 냉각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요소는 상기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3. 제7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히터(heater)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담배 가열 제품(tobacco heating product)인,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사용 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디바이스인,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
  16. 에어로졸 발생 디바이스, 및 제7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래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18.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점화시키거나 발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래퍼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점화시키거나 발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KR1020207014591A 2017-11-24 2018-11-15 흡연 물품 KR20200075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1007A KR20230048172A (ko) 2017-11-24 2018-11-15 흡연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719521.5A GB201719521D0 (en) 2017-11-24 2017-11-24 Smoking article
GB1719521.5 2017-11-24
PCT/EP2018/081395 WO2019101623A1 (en) 2017-11-24 2018-11-15 Smoking artic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007A Division KR20230048172A (ko) 2017-11-24 2018-11-15 흡연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861A true KR20200075861A (ko) 2020-06-26

Family

ID=609506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591A KR20200075861A (ko) 2017-11-24 2018-11-15 흡연 물품
KR1020237011007A KR20230048172A (ko) 2017-11-24 2018-11-15 흡연 물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007A KR20230048172A (ko) 2017-11-24 2018-11-15 흡연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22390A1 (ko)
EP (1) EP3713430A1 (ko)
JP (2) JP2021503875A (ko)
KR (2) KR20200075861A (ko)
GB (1) GB201719521D0 (ko)
RU (1) RU2751709C1 (ko)
WO (1) WO20191016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976A (ko) *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위한 래퍼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2220609A1 (ko) * 2021-04-14 2022-10-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에어로졸 발생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9159B1 (en) * 2019-02-01 2021-11-10 Imperial Tobacco Ventures Limited Elongated smoking article
EP3922111A1 (en) * 2020-06-10 2021-12-15 JT International SA Laminated wrapper for tobacco products
TW202241292A (zh) * 2021-04-20 2022-11-01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製品和生產氣溶膠產生製品之方法
CA3233864A1 (en) * 2021-10-29 2023-05-04 Kt&G Corporation Cigarette and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with the same
KR20230114791A (ko) * 2022-01-24 2023-08-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19A (en) * 1899-03-10 1899-11-21 Richmond Gold And Silver Cigarette Company Cigarette-wrapper.
US1836228A (en) * 1930-07-07 1931-12-15 W A Mckee Carton opener
US5396911A (en) * 1990-08-15 1995-03-14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ubstrate material for smoking articles
US5546965A (en) * 1994-06-22 1996-08-2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with improved fuel element insulator
AR002035A1 (es) * 1995-04-20 1998-01-07 Philip Morris Prod Un cigarrillo, un cigarrillo y encendedor adaptados para cooperar entre si, un metodo para mejorar la entrega de aerosol de un cigarrillo, un material continuo de tabaco, un cigarrillo operativo, un metodo para manufacturar un material continuo, el material asi obtenido, un calentador, un metodo para formar un calentador y un sistema electrico para fumar
US5570707A (en) * 1995-06-19 1996-11-05 Hill; Archie S. Cigarette with filter
US6598607B2 (en) * 2001-10-24 2003-07-29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Non-combustible smoking device and fuel element
ES2674139T5 (es) * 2009-03-23 2024-05-08 Japan Tobacco Inc Artículo para inhalación de aroma, de tipo sin combustión
AU2011231251B2 (en) * 2010-03-26 2015-05-07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heat resistant sheet material
EP2893822B2 (en) * 2010-03-26 2022-08-03 Japan Tobacco Inc. Smoking article
AR091509A1 (es) * 2012-06-21 2015-02-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para fumar para ser usado con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interno
KR102365893B1 (ko) * 2013-12-05 2022-02-2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열 확산 말단부를 구비한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US20170055576A1 (en) * 2015-08-31 2017-03-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976A (ko) *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위한 래퍼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2220609A1 (ko) * 2021-04-14 2022-10-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에어로졸 발생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1623A1 (en) 2019-05-31
KR20230048172A (ko) 2023-04-10
EP3713430A1 (en) 2020-09-30
RU2751709C1 (ru) 2021-07-16
GB201719521D0 (en) 2018-01-10
US20210022390A1 (en) 2021-01-28
JP2023027306A (ja) 2023-03-01
JP2021503875A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5861A (ko) 흡연 물품
US11058145B2 (en) Smoking article having filter with hollow tube segment
JP5771338B2 (ja) 生物分解性香味発生成分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JP2023156434A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のための支持要素
AU2018373559C1 (en) Smoking article
EP3373753B1 (en) Multicomponent aerosol-forming article
US20180077966A1 (en) Smoking article with combustible heat source gripping means
AU2019431538B2 (en) Smoking article
RU2798907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6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330

Effective date: 20230602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