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524A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524A
KR20200075524A KR1020180164301A KR20180164301A KR20200075524A KR 20200075524 A KR20200075524 A KR 20200075524A KR 1020180164301 A KR1020180164301 A KR 1020180164301A KR 20180164301 A KR20180164301 A KR 20180164301A KR 20200075524 A KR20200075524 A KR 2020007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mold
vent
pneumatic tire
lock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9581B1 (en
Inventor
백호진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58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pneumatic tire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vent hole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ld performing a curing process of a green tir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a vent hole portion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detachable from the mold, and formed with a through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ed vent hole; and an elastic portion disposed inside the vent hole, and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vent hole portion when the vent hole portion rotates.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Manufactur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neumatic tire.

공기입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류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가류 공정은 유연한 고무로 된 그린 타이어를 일정한 금형에 넣어 내부와 외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해 유황과 다른 화학 약품이 고무와 반응을 일으키는 작업으로서 트레드 패턴의 독특한디자인과 고무의 탄성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manufacture pneumatic tires, a vulcanization process is required. At this time, the vulcanization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sulfur and other chemicals react with rubber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from inside and outside by putting green tires made of flexible rubber into a certain mold to give the unique design of the tread pattern and the elasticity of rubber. Is made of

이러한 가류 공정에 사용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는 금형과 그린 타이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금형에는 이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벤트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벤트홀은 최초 금형의 제조 시 일정한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device for the pneumatic tire used in the vulcanization process can release the air existing between the mold and the green tire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a vent hole is formed in the mold to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and the vent hole may be disposed in a certain range when manufacturing the initial mold.

이러한 경우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시 벤트홀에 의하여 그린 타이어가 움직이는 방향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그린 타이어거 설계된 것과 같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 금형을 외부로 반출하여 별도의 홀을 형성하거나 새로운 금형을 설계하여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manufacturing the pneumatic ti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een tire moves by the vent hole may be determined. At this time, if the green tires do not move as designed, it is necessary to take the mold out to form a separate hole or to design a new mold, which may reduce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그린 타이어의 가류 공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벤트홀이 구비된 금형과,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금형과 찰탈 가능하고, 결합된 상기 벤트홀과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벤트홀부와, 상기 벤트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벤트홀부의 회전 시 상기 벤트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a vulcanization process of the green tire, a plurality of vent holes and a mold,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the mold and the removable, the vent ho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vent hole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elastic portion that is disposed inside the vent hole and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vent hole portion when the vent hole is rotated.

또한,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1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f the vent hole portion or the mold has a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other of the vent hole portion or the mold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wh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rotate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fixed.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어 상기 벤틀홀을 차폐시키는 상기 벤트홀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nt hole may be furthe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and inserted into the vent hole to shield the vent hole.

또한,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2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f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or the mold has a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the other of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or the mol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wh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rotated, the first 2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locking proje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벤트홀의 위치 및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position and number of vent holes.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optimizing the shape of the pneumatic ti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nt hole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vent hole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nt hole shield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1.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vent hole shield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manufactured through the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벤트홀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벤트홀차폐부와 벤트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nt hole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vent hole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nt hole shield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1.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vent hole shield and the vent hole shown in FIG. 4.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는 금형(10), 벤트홀부(20), 탄성부(30), 벤트홀차폐부(40), 센서부(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a mold 10, a vent hole portion 20, an elastic portion 30, a vent hole shielding portion 40, the sensor portion 50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금형(10)은 그린 타이어(G)의 다양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금형(1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금형(1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금형(10)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근접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그린 타이어(G)의 최종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old 10 may be dispose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green tire G. At this time, a plurality of molds 1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molds 1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molds 10 may form an inner space to correspond to the final shape of the green tire G by forming spaces close to each othe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금형(10)에는 벤트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벤트홀(11)은 금형(10)과 그린 타이어(G) 사이의 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벤트홀(11)은 그린 타이어(G)에 압력이 가해져 그린 타이어(G)가 부풀어 오르는 경우 그린 타이어(G)의 전개 방향, 전개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트홀(11)의 개수, 벤트홀(11)에서 흡입하는 기체의 흡입 압력 등에 따라 그린 타이어(G)의 전개 방향과 전개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A vent hole 11 may be formed in the mold 10 as described above. The vent hole 11 may discharge gas in a space between the mold 10 and the green tire G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when the green tire (G) is swollen due to pressure applied to the green tire (G), the vent hole 11 may determine the deployment direction and degree of deployment of the green tire (G). For example, the deployment direction and degree of deployment of the green tire 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ent holes 11, the suction pressure of the gas sucked in the vent holes 11,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벤트홀(11)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벤트홀(11)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벤트홀(11)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벤트홀(11)은 금형(10)의 일부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벤트홀(11)은 금형(10)의 전면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plurality of vent holes 11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1 may be disposed only in a part of the mold 10.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where they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ld 10.

상기와 같은 벤트홀(11)은 입구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트홀(11)의 입구부는 벤트홀(11)의 다른 부분보다 넓을 수 있으며, 벤트홀(11)의 내경은 벤트홀(11)의 입구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11)의 내경은 벤트홀(11)의 입구부에서 일정 깊이까지 동일하고 이를 도과하면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마다 내경이 점점 줄어들 수 있다. The vent hole 11 may have a stepped opening. For example, the inlet portion of the vent hole 11 may be wid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vent hole 1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 hole 11 may become smaller as it enters from the inlet portion of the vent hole 11 inward. .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 hole 11 is the same as a certain depth from the inlet of the vent hole 11, and if it passes, the inner diameter may gradually decrease each time a certain distance is moved.

복수개의 벤트홀(11) 중 적어도 하나에는 벤트홀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벤트홀부(20)는 중앙에 벤트홀부(2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하는 관통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관통홀(24)의 내경은 각 벤트홀(11)의 내경 중 가장 작은 부위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부(20)의 끝단은 각 벤트홀(11)의 내경 중 가장 작은 부위와 접촉함으로써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관통홀(24)과 벤트홀(11)의 일부는 일직선을 이룰 수 있으며, 내경이 동일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벤트홀부(20)와 벤트홀(11)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유로는 기체의 흡입 시 유로의 내경이 일정하므로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로의 내경 변화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A vent hole portion 20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1. At this time, the vent hole 2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24 penetra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vent hole 20 in the center. In particular,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4 may be the same as the smallest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each vent hole 11. In this case, the end of the vent hole 20 is in contact with the smallest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each vent hole 11 so that when the vent hole 20 is disposed inside the vent hole 11, the through hole 24 and the vent hole ( Part of 11) may form a straight line, and may form a flow path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Therefore, the flow path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vent hole 20 and the vent hole 11 can be sucked at a uniform pressure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is constant when inhaling gas,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due to a change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have.

벤트홀부(20)는 제1 바디부(21), 제2 바디부(22) 및 제3 바디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21)의 외경, 제2 바디부(22)의 외경 및 제3 바디부(23)의 외경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부(21)의 외경은 제2 바디부(22)의 외경보다 크고, 제2 바디부(22)의 외경은 제3 바디부(23)의 외경보다 작으며, 제1 바디부(21)의 외경은 제3 바디부(23)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바디부(23)의 외면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에 삽입된 후 제2 바디부(22)가 배치되는 벤트홀(11)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3 바디부(23)의 외경에 배치된 나사산과 치합할 수 있다. The vent hole portion 20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21, a second body portion 22 and a third body portion 23.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hird body portion 2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ird body portion 23,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ird body portion 23. In this case, a thread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body portion 23, and the vent hole 11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22 is disposed after the vent hole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11 A thread is formed in the portion so as to mesh with the thread dispos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third body portion 23.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 또는 금형(10)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25)를 포함하고, 벤트홀부(20) 또는 금형(10)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25)가 삽입되며 제1 걸림돌기(25)가 회전하여 고정되는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트홀부(20)는 제1 걸림돌기(25)를 구비하고, 금형(10)은 상기 결합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One of the vent hole portion 20 or the mold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locking protrusion 25, and one of the vent hole portion 20 or the mold 10 has a first locking protrusion 25 inserted therei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may include a coupling part (not shown) fixed by rota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ent hol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projection 25, the mold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of having the engaging portion.

제1 걸림돌기(25)는 제1 바디부(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돌기(2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걸림돌기(25)는 제1 바디부(21)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jections 25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jections 25 may be arranged to form a certain angle from each other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21.

상기 결합부는 금형(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제1 걸림돌기(25)가 삽입되도록 벤트홀(11)의 입구부의 홈(12)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의 홈(12)에 삽입된 제1 걸림돌기(25)가 회전 가능하도록 벤트홀(11)의 내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의 홈(12)으로 삽입된 후 벤트홀부(20)를 회전하면,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의 그루브(미도시)를 따라 회전하여 걸릴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mold 10. 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groove 12 of the inlet of the vent hole 11 so that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5 is inserted. 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may include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nt hole 11 so that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5 inserted into the groove 12 is rotatabl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n the vent hole 20 is rotated,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5 rotates along the groove (not shown) of the coupling portion. Can take.

탄성부(30)는 벤트홀(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0)의 일단은 벤트홀(11)의 단차진 내부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30)의 타단은 벤트홀부(20) 또는 후술할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의 일부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The elastic part 30 may be inserted into the vent hole 11. At this time,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30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stepped inside of the vent hole 11,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ortion 30 may be a vent hole portion 20 or a vent hole shield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upported by contacting a portion of either.

상기와 같은 탄성부(3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3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탄성부(3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0)는 내부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할 수 있다. 탄성부(3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의 일부가 십입될 수 있다. The elastic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elastic part 30 may include a ba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elastic part 30 may include a spring. The elastic part 30 may or may not have a space therein. When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elastic part 30, a part of one of the vent hole part 20 or the vent hole shield part 40 may be inserted.

벤트홀차폐부(40)는 벤트홀부(2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트홀차폐부(40)는 내부에 벤트홀부(20)의 관통홀(2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차폐부(40)가 벤트홀(11)에 결합하는 경우 벤트홀(11)은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The vent hole shield 40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vent hole 20.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24 of the vent hole 20 may not be formed in the vent hole shield 40. In this case, when the vent hole shield 40 is coupled to the vent hole 11, the vent hole 11 may be completely shielded.

벤트홀차폐부(40) 또는 금형(10) 중 하나는 제2 걸림돌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돌기(41)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결합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후 벤트홀차폐부(40)가 회전하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트홀차폐부(40)는 제2 걸림돌기(4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One of the vent hole shield 40 or the mold 10 may include a second locking protrusion 41. At this time,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41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described above, and after insertion, when the vent hole shield 40 is rotated, it may be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ent hole shielding part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41.

센서부(50)는 금형(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50)는 금형(10)과 그린 타이어(G) 사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금형(10)의 외면으로부터 그린 타이어(G)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50)는 압력센서 및 거리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5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 10.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50 may measure the pressure of the gas between the mold 10 and the green tire G, or may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 1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een tire G.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공기입 타이어(미도시)의 제조가 제대로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결과가 기 설정된 결과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가류 공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사용자에게 이러한 결과를 알림부(미도시)를 통하여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부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미지, 소리 등을 통하여 상기의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heck whether manufacturing of a pneumatic tire (not shown) is properly performed based on a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5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vulcanization process is not properly performed when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 is not the same as the preset resul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notify the external user of this result through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unit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display panel to transmit the result through an image, sound, or the like.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를 통하여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그린 타이어(G)를 공기가 주입되는 기체주입부(60)에 배치한 후 금형(10)을 제조될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neumatic tire through the manufacturing device 1 for the pneumatic tire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green tire (G) is placed in the gas injection unit 60 into which air is injected, and then the mold ( 10) can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neumatic tire to be manufactured.

이러한 경우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는 복수개의 벤트홀(11) 중 일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기체주입부(60)에서 그린 타이어(G)로 기체를 주입하는 경우 그린 타이어(G)가 부풀어 오르면서 금형(10)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금형(10)은 그린 타이어(G)의 외면을 고온과 고압으로 가압하여 트레드의 블록 형태와 그루브 형태 등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ent hole portion 20 and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4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some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1. When the gas i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ion unit 60 to the green tire G, the green tire G may swell and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 10. At this time, the mold 10 may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green tire G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form a block shape, a groove shape, or the like of the tread.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그린 타이어(G)와 금형(10)의 외부 사이의 기체를 벤트홀(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의 위치에 따라 기체의 흐름이 상이해짐으로써 그린 타이어(G)의 형태 변화가 그린 타이어(G)의 각 부분에서 서로 상이해질 수 있다. During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gas between the green tire G and the outside of the mold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11. In this case, the flow of the gas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vent hole portion 20 and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40, so that the shape change of the green tire G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green tire G.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그린 타이어(G)의 변화에 따라 또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완성 후에 형태를 비교하여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트홀부(20) 중 일부를 제거하고 벤트홀차폐부(40)를 그 자리에 배치하거나 벤트홀차폐부(40) 중 일부를 제거하고 벤트홀부(20)를 그 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s of the vent hole portion 20 and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40 by comparing the sha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reen tire G or after completion of the pneumatic tire. For example, a part of the vent hole 20 is removed and the vent hole shield 40 is disposed there, or a part of the vent hole shield 40 is removed and the vent hole 20 is disposed there. Can.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센서부(50)에서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경우 해당하는 금형(10)에 결합된 벤트홀부(20) 중 일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벤트홀차폐부(4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해당하는 금형(10)에 결합된 벤트홀부(20) 중 일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벤트홀차폐부(40)를 삽입할 수 있다. 반면, 센서부(50)에서 측정된 결과가 상기와 반대인 경우 상기와 반대로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based on the result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 is lower than a preset pressure, the user removes some of the vent hole portions 20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mold 10 and places the vent hole shield portion 40 in place. ) Can be inserted. In addition, if the distanc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user removes some of the vent hole portions 20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mold 10 and removes the vent hole blocking portion 40 in its place. Can be inserted. On the other hand, if the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50 is opposite to the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vent hole 20 and the vent hole shield 40 in contrast to the above.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와 벤트홀차폐부(40)를 금형(10)에 설치하는 경우는 서로 유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When the vent hole portion 20 and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40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in the mold 10, they may be similar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vent hole 20 is inserted into or drawn out of the vent hole 11 is as follows.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에 삽입하는 경우 벤트홀부(20)를 회전시켜 제3 바디부(23)가 벤트홀(11) 내부의 나사산에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3 바디부(23)는 벤트홀(11) 내부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여 벤트홀(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부(30)에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vent hole 20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11, the vent hole 20 may be rotated so that the third body 23 is engaged with the thread inside the vent hole 11 to rotate. At this time, the third body portion 23 may be inserted into the vent hole 11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inside the vent hole 11, and may contact the elastic portion 30.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는 벤트홀(11)의 입구부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제1 걸림돌기(25)와 상기 결합부의 홈(12)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후 벤트홀부(20)를 누르면, 탄성부(30)가 압축되면서 벤트홀부(20)가 벤트홀(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벤트홀부(20)를 누른 상태에서 벤트홀부(20)를 회전하면,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의 그루브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걸림돌기(25)의 위치와 상기 결합부의 홈(12)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제1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가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의 입구부 측으로 가력함으로써 벤트홀부(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vent hole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slightly protruding from the inlet of the vent hole 11. After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and the groove 12 of the coupling portion are arranged to correspond, and the vent hole portion 20 is pressed, the elastic portion 30 is compressed while the vent hole portion 20 is inside the vent hole 11 Can be inserted into. When the vent hole 20 is rotated while the vent hole 20 is pressed in this wa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may rotate along the groove of the coupling portion. In this case, while the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and the position of the groove 12 of the engaging portion are shifte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may be caught in the engaging portion. In addition, the elastic part 30 can prevent the vent hole part 20 from rotating by pressing the vent hole part 20 toward the inlet part side of the vent hole 11.

반면,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 내부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0)는 약간 압축될 수 있으며 제1 걸림돌기(25)는 그루브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벤트홀부(20)를 회전시키면 제1 걸림돌기(25)는 그루브를 따라 회전하다가 상기 결합부의 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벤트홀부(20)를 벤트홀(11)로부터 인출하고, 벤트홀(11)에 벤트홀차폐부(40)를 결합하여 벤트홀(11)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ng the vent hole 20 from the vent hole 11, the user can force the vent hole 20 into the vent hole 11. At this time, the elastic portion 30 may be slightly compressed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may be rotatable in the groove. Then, when the vent hole portion 20 is rotate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 rotates along the groove, and whe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2 of the coupling portion is reached, the vent hole portion 20 is pulled out of the vent hole 11 It can be done. The user can withdraw the vent hole 20 from the vent hole 11 and completely block the vent hole 11 by combining the vent hole shield 40 with the vent hole 11.

상기와 같은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형(10)의 다양한 부위의 벤트홀(11)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와 벤트홀(11) 내부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는 벤트홀부(20) 또는 벤트홀차폐부(40) 중 하나의 외면에 설치된 상태일 수도 있다. The vent hole portion 20 or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40 as described above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vent holes 11 of various parts of the mold 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one of the vent hole 20 or the vent hole shield 40 and the inside of the vent hole 11. The sealing member may be in a state installed on one of the vent hole 20 or the vent hole shield 40.

따라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는 금형(10)에 형성된 벤트홀(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금형(10)과 그린 타이어(G) 사이의 압력을 간편하면서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since the manufacturing device 1 of the pneumatic tire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vent hole 11 formed in the mold 10, it is easy and accurate to adjust the pressure between the mold 10 and the green tire G. It is possible.

또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1)는 그린 타이어(G)를 상기 공기입 타이어로 제조 시 그린 타이어(G)의 형상 변화를 어느 정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device 1 of the pneumatic tire can adjust the shape change of the green tire G to some extent when the green tire G is manufactured from the pneumatic tir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manufactured through the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6을 참고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는 중앙에 배치되어 지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숄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30)는 숄더부(120)와 연결되며, 비드부(140)는 숄더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는 내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비드부(140)가 림(미도시)에 설치됨으로써 내부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pneumatic tire 100 may include a tread portion 110, a shoulder portion 120, a side wall portion 130, and a bead portion 140. At this time, the tread portion 11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to contact the ground, and the shoulder portion 120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110. In addition, the side wall portion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houlder portion 120, and the bead portion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houlder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tread portion 110, the shoulder portion 120, the side wall portion 130, and the bead portion 140 may form an interior space, and the bead portion 140 is installed on a rim (not shown) inside It can shield the space.

상기와 같은 숄더부(120)와 트레드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숄더부(120)와 트레드부(110)는 동종의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숄더부(120)는 일면이 골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숄더부(120)의 폭은 트레드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The shoulder portion 120 and the tread portion 11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is time, the shoulder portion 120 and the tread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houlder portion 120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shoulder portion 120 may b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tread portion 110.

상기와 같은 숄더부(120)는 사이드월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숄더부(120)의 상면에 사이드월부(130)의 하면이 배치되거나 숄더부(120)의 하면에 사이드월부(130)의 상면이 배치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숄더부(120)의 상면에 사이드월부(130)의 하면이 배치되어 숄더부(120)와 사이드월부(130)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shoulder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the side wall portion 130.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ulder portion 12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3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oulder portion 12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13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ulder part 120 and the shoulder part 120 and the side wall par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 내부에는 공통적으로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는 카커스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커스층(150)은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카커스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커스층(150)은 제조 시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에 에어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홀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에어홀은 카커스층(150)의 표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커스층(15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카커스층(150)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카커스층(150)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Inside the tread portion 110, the shoulder portion 120, the side wall portion 130, and the bead portion 140, a carcass layer 150 serving as a skeleton of a tire may be disposed in common. At this time, the carcass layer 150 may be formed by rolling a plurality of carcass cords (not shown) made of steel or a fiber organic material with rubb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teel or fiber organic material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teel or fiber organic material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n air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cass layer 150 to prevent air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therein. At this time, at least one air hole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air hole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carcass layer 150. At least one carcass layer 150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carcass layers 150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carcass layers 150 may be stacked with each other.

카커스층(150)의 저면에는 인너라이너층(160)이 배치되어 카커스층(15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인너라이너층(160)은 특수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nner liner layer 16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cass layer 150 to be combined with the carcass layer 150. At this time, the inner liner layer 160 is formed of a special rubber material or the like to improve airtightness therein.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10)는 카커스층(150) 상에 적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드부(110)는 제1 트레드외피층(111)과 제2 트레드외피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드외피층(111)은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레드외피층(111)에는 블록(111a), 종그루브(111b) 및 횡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111a)은 자동차의 구동 시 지면과 접촉하는 영역으로, 종그루브(111b) 및 상기 횡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종그루브(111b)와 이웃하는 다른 종그루브(111b) 사이 및 어느 하나의 상기 횡그루브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횡그루브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블록(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그루브(111b)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원주방향(예를 들면, 도 2의 Y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그루브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예를 들면, 도 2의 X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ead portion 11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rubber layers stacked on the carcass layer 150. For example, the tread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tread sheath layer 111 and a second tread sheath layer 112. The first tread sheath layer 111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Specifically, a block 111a, a longitudinal groove 111b, and a transverse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irst tread sheath layer 111. At this time, the block 111a is an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may be divided by at least one of a vertical groove 111b and the horizontal groove. That is, a block 111a may be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grooves 111b and other neighboring longitudinal grooves 111b an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adjacent horizontal grooves and the other adjacent adjacent horizontal grooves.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groove 111b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00 (for example, the Y direction in FIG. 2), and the transverse groove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00 (for example, 2 in the X direction).

상기와 같은 제2 트레드외피층(112)에는 벨트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벨트층(170)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belt layer 17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tread sheath layer 112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belt layer 170 may improve dur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00 and form a skeleton. The belt layer 170 is disposed under the tread portion 110 and may be formed by rolling by coating a plurality of belt cords (not shown) made of steel or an organic fiber material with rubber.

벨트층(170)의 양단에는 캡 플라이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캡 플라이층(180)은 벨트층(170)의 양단을 차폐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캡 플라이층(180)은 특수 코드지로 주행 시 벨트층(17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고속 주행 시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ap fly layers 180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elt layer 170. At this time, the cap ply layer 180 may be stacked to shield both ends of the belt layer 170. The cap ply layer 180 may minimize movement of the belt layer 170 when driving with a special cord paper to prevent departure when traveling at high speed.

사이드월부(130)는 숄더부(120)와 연결되어 차량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30)는 차량 등의 주행 시 일정 정도 변화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월부(130)에는 카커스층(15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월외피층(131)이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wall pa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houlder part 120 to support a load of a vehicl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ide wall portion 130 can absorb a shock by changing a certain degree when driving a vehicle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sidewall shell 130 may be provided with a sidewall envelope layer 131 disposed on the carcass layer 150.

비드부(140)는 사이드월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림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비드부(140)는 사이드월외피층(131)과 연결되는 비드외피층(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각 외피층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ead par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wall part 130 and may be disposed and fixed on the rim. At this time, the bead portion 140 may include a bead envelope layer 141 connected to the sidewall envelope layer 131. In this case, the outer layers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비드부(140)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내부에 삽입되는 비드와이어층(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수 재질을 포함하는 비드필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ad part 140 may include a bead wire layer 142 inserted therei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ase, and may include a bead filler part 143 including a special material.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belong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금형
20: 벤트홀부
30: 탄성부
40: 벤트홀차폐부
50: 센서부
60: 기체주입부
100: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숄더부
130: 사이드월부
140: 비드부
150: 카커스층
160: 인너라이너층
170: 벨트층
180: 캡 플라이층
10: mold
20: vent hole
30: elastic part
40: vent hole shield
50: sensor unit
60: gas injection part
100: pneumatic tire
110: tread
120: shoulder
130: side wall
140: bead
150: carcass floor
160: inner liner layer
170: belt layer
180: cap fly layer

Claims (4)

그린 타이어의 가류 공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벤트홀이 구비된 금형;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금형과 찰탈 가능하고, 결합된 상기 벤트홀과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벤트홀부; 및
상기 벤트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벤트홀부의 회전 시 상기 벤트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A mold performing a vulcanization process of the green tir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A vent hole portion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and removable from the mold,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bined vent hole; And
And an elastic part disposed inside the vent hole and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vent hole when the vent hole is rot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1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1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vent hole portion or the mold has a first locking projection;
The vent hole portion or the other of the mold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the coupling unit for fixing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벤트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어 상기 벤트홀을 차폐시키는 벤트홀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vent hole shielding par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and inserted into the vent hole to shield the vent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하나는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벤트홀차폐부 또는 상기 금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의 회전 시 상기 제2 걸림돌기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One of the vent hole shielding portion or the mold has a second locking projection;
The vent hole shielding part or the other of the mol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the coupling unit for fixing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KR1020180164301A 2018-12-18 2018-12-18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KR1021295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01A KR102129581B1 (en) 2018-12-18 2018-12-18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01A KR102129581B1 (en) 2018-12-18 2018-12-18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24A true KR20200075524A (en) 2020-06-26
KR102129581B1 KR102129581B1 (en) 2020-07-02

Family

ID=7113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301A KR102129581B1 (en) 2018-12-18 2018-12-18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16Y1 (en) * 1997-07-02 1999-09-01 홍건희 Vent unit of the vulcanization mould
KR100857970B1 (en) * 2007-06-20 2008-09-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The air valve of tire mold and the air vent system of tire mold using it
KR101527067B1 (en) * 2014-11-06 2015-06-09 한연수 air vent device for injection mol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16Y1 (en) * 1997-07-02 1999-09-01 홍건희 Vent unit of the vulcanization mould
KR100857970B1 (en) * 2007-06-20 2008-09-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The air valve of tire mold and the air vent system of tire mold using it
KR101527067B1 (en) * 2014-11-06 2015-06-09 한연수 air vent device for injection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581B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934B1 (en) Self-inflating tire assembly
JP6006483B2 (en) Tire and auto-inflator assembly
JP5896694B2 (en) Tire for self-inflating tire equipment
JP5946631B2 (en) In-line pump assembly for self-expanding tires
JP5946632B2 (en) How to make a self-inflating tire
RU2517027C2 (en) Pneumatic tire
JP6382529B2 (en) Functional component mounting base and tire
US10442251B2 (en) Pneumatic tire with side wall decorative portion
JP6058259B2 (en) How to assemble automatic inflatable tire
EP2620300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RPI0823145B1 (en) tire molding and vulcanization process and apparatus
KR102129581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US8186984B2 (en) Tire mold and tire with internal grooves in tire tread
JP2011245881A (en) Retreaded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722113A1 (en) Pneumatic tire comprising resonance noise reduction structure
US8075294B2 (en) Tire mold and tire with internal grooves in shoulder area
KR102056392B1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JP201721383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ire
KR102203854B1 (en) Pneumatic tire assembly
KR102231684B1 (en) Tire mold assembly
JP2013252806A (en) Precure retreaded tire
KR102221732B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R102018067452A2 (en) TIRE CONSTRUCTION DRUM
JP2018114731A (en) Tire mold
JP6878904B2 (en) Tire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