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340A - Composite sheet - Google Patents

Composit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340A
KR20200075340A KR1020180163903A KR20180163903A KR20200075340A KR 20200075340 A KR20200075340 A KR 20200075340A KR 1020180163903 A KR1020180163903 A KR 1020180163903A KR 20180163903 A KR20180163903 A KR 20180163903A KR 20200075340 A KR20200075340 A KR 20200075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heet
polymethyl methacrylate
ethylene
surface lay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684B1 (en
Inventor
박용필
Original Assignee
박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필 filed Critical 박용필
Priority to KR102018016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684B1/en
Publication of KR2020007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6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heet having remarkably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as well as opt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transparency. The composite sheet includes a base layer and a surface layer.

Description

복합시트{COMPOSITE SHEET}Composite sheet {COMPOSITE SHEET}

본 발명은 우수한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heet having significantly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as well as opt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transparency.

최근, 건물이나 가구, 가전제품, 주방용품, 중장비,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유리를 투명 플라스틱으로 교체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replacing glass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buildings, furniture, household appliances, kitchenware, heavy equipment, and automobiles with transparent plastics has increased.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차량 경량화 및 그에 따른 연비개선이 화두가 되면서 투명 플라스틱으로 유리를 교체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유리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였을 경우, 자동차의 무게가 감소하여 차량의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선루프에 사용되는 유리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루프의 무게가 감소하면서 차량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낮은 무게중심은 자동차의 주행 및 회전시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Particularly, in the automobile field, it is considered to replace glass with transparent plastic as the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and the improvement of fuel efficiency are a hot topic. In general, when the glass applied to a car is replaced with plastic, the weight of the car is reduced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and when the glass used in the sunroof of the car is replaced with plastic, the weight of the car roof As is decreas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moves downward, and the low center of gravity gives an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when driving and rotating the vehicle.

이러한 투명 플라스틱 글래이징(glazing) 부품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표면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내충격성, 저온충격성, 내화학성이 취약하고, 오랫동안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변색되거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s such a transparent plastic glazing component, a polycarbonate resi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is often used, but the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resin can be easily damaged, and the impact resistance, low 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re weak and external for a long time. It has a problem of discoloration or deterioration of properties when exposed to.

한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외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수지를 이용한 투명 플라스틱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경우,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 등은 우수하나 내충격성이 부족하여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쉽게 깨지는 문제가 있어, 우수한 물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으로서 단독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polycarbonate, development of transparent plastics using polymethylmethacrylate (PMMA) resins has also been made. In the case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t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tc., but lacks impact resistance, so it is easily broken from external stimuli,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alone as an automobile component requir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There is.

이에 따라,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여 투명 플라스틱 글래이징 부품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as a transparent plastic glazing component by compensating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olycarbon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우수한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및 투명성 등의 물성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물론, 물성 상승효과를 가지도록,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기재층으로 하여 이의 양면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표면층을 적층함으로써, 물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복합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ensure a long-term stabl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transparency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s well as to have a synergistic effe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sheet having significantly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by laminat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surface layer on both sides thereof using an alloy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as a base lay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광투과도를 가지면서 광확산성이 뛰어나 외부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시인성이 우수하고, 방담성이 탁월한 복합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sheet excellent in visibility and excellent in anti-fogging property while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having excellent light diffusion and effectively blocking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 플라스틱 글래이징 부품으로서 다양한 물성을 충족시킴으로써 선루프와 같은 자동차 외장재를 포함하여 그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broaden its application range including automotive exterior materials such as sunroof by satisfying various properties as transparent plastic glazing par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복합필터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layer compri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a surface filter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s a composite filter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알로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5 내지 5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95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y may be 5 to 5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50 to 95% by weight of polycarbonate resin.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표면층은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layer may include light diffusing particles.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평균입경이 0.001 내지 20 μm인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20 μm.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활석, 운모,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may be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silica, talc, mica, magnesium oxide and zinc oxide.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layer is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methylacrylate copolymer, ethylene-ethylacrylate copolymer, ethylene-butylacrylate copolymer and ethylene-vinyl It may be to further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ethylene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ate copolym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 수지 조성물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적층시킨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specifically, a base lay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and a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s co-extruded and laminat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압출은 200 내지 35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extrusion may be performed at 200 to 350°C.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술한 복합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외장재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otive exterior material comprising the composite shee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 외장재는 선루프, 프런트 글라스, 리어 글라스, 쿼터 글라스, 프런트 벤트글라스 및 리어 벤트글라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otive exterior material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sunroof, windshield, rear glass, quarter glass, front vent glass and rear vent glass.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내후성,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을 포함하여 현저히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가지며,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significantly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weath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excellent durability.

또한, 높은 광투과도와 탁월한 광확산성을 가짐에 따라, 선루프와 같은 유리 대체 수단에 적용 시 외부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시원한 개방감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it has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excellent light diffusivity, it ha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blocking external light and securing a cool openness and visibility when applied to a glass replacement means such as a sunroof.

이하, 본 발명의 복합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Hereinafter, the composit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t this time,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to be used, unless otherwise defined, has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to effectively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In addition, the singular form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may b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 the context.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리를 투명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플라스틱 글래이징 제품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던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양면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이 형성된 복합시트를 제공함으로써, 광확산성 및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우수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tensifying research on plastic glazing products that replace glass with transparent plastic,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s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comprising an alloy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By providing a composite sheet having a surface layer form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light diffusion and impact resistance, as well as maintain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n the long ter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복합시트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sheet comprising a base layer compri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and a surface layer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and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양면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탁월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품질 안정성 및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mprove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by forming a surface layer comprising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on both sides of a base layer comprising an alloy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I can do it.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so it can realize quality stability and reliability that can maintain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블렌드(blend)한 것을 의미한다.The alloy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are blended.

상기 알로이를 기재층으로 포함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으며, 물성의 저하 없이 장기간 우수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By including the alloy as a base layer, it can have better dur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and can maintain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deteriorating physical properties.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알로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5 내지 5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9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0 내지 4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0 내지 3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 범위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사용할 경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과의 계면 상용성이 향상되어 밀착성이 우수하고,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y may include 5 to 5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50 to 95% by weight of polycarbonate resin. Preferably 10 to 4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60 to 90% by weight of polycarbonate resin, more preferably 10 to 3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70 to 90% by weight of polycarbonate resin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u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interfacial compatibility with the surface layer containing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s improved to provide excellent adhesion, significantly improve impact resistance and durability. It has an effe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50,000 g/mo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알로이 상태로 제공할 경우, 복합시트의 광학적 물성 및 성형가공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used in the art, and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200,000 g/mol, preferably 50,000 to 150,000 g/mo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above range is provided in a polycarbonate resin and an alloy state, optical properties and molding processability of the composite sheet may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재활용 수지로부터 얻어진 재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carbonate resi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used in the art, and may be a recycled polycarbonate resin obtained from recycled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200,000 g/mo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알로이 상태로 제공할 경우, 복합시트의 기계적 물성 및 성형가공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may be 10,000 to 500,000 g/mol, preferably 20,000 to 200,000 g/m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a polycarbonat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above range is provided in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n alloy,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ing processability of the composite sheet may be further improved.

이때,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시료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여 겔삼투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분석 컬럼은 WATERS사의 Styragel HR을 이용하였고, 표준물질은 폴리스티렌(PS)으로 하였다.At this tim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measured using gel osmosis chromatography (GPC) by dissolving the sample in tetrahydrofuran (THF), and the analysis column was Styragel HR from WATERS, and the standard material was polystyrene (PS). Di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시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상기 표면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며, 적층된 구성을 가짐에 따라, 장기간 우수한 물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영하 이하의 극도로 낮은 온도를 포함하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광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face layer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formed on both sides of a base layer compri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That is, 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rface layer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 base layer compri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and the surface layer sequentially stacked. 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urface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as it has a laminat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cur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especially in a wide temperature range including extremely low temperatures below subzero.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optical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표면층 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0,000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50,000 g/mol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형성할 경우,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충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n the surface layer is not limited to a larg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hibit the desire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10,000 to 200,000 g/mol, preferably 50,000 To 150,000 g/mol. When forming the surface layer containing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impact resistance due to long-term use, it is possible to maintain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표면층은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은 광확산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유리 대체 수단으로서의 향상된 광학적 특성은 물론,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의 현저한 향상 효과를 가진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layer may include light diffusing particles. The surface layer containing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includes light-diffusing particles, and thus has a remarkable improvement effect of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as well as improved optical properties as a glass replacement means.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평균입경이 0.001 내지 20 μm,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μ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광확산 입자는 상기 표면층 내 분산성이 좋으며, 높은 광투과도와 광확산성을 구현하면서도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더욱 선호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20 μm, preferably 0.01 to 15 μm, and more preferably 0.1 to 10 μm,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above range have good dispersibility in the surface layer, and may be more preferred in terms of securing mechanical properties while realizing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light diffus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확산 입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light-diffusing particl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2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유기계 입자보다는 무기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에 더욱 좋으며, 상기 광확산 입자로서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활석, 운모,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is not greatly limited, but it is bett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inorganic particles rather than organic particles, and calcium carbonate as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silica, talc, mica, magnesium oxide and zinc oxide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mixtur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are not limited to.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 일예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및 대전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various additives, antioxidants, ultraviolet stabilizers, flame retardants, and antistatic agents, which are commonly used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자외선안정제는 자외선으로 인한 수지 자체의 물성 저하 및 최종 성형품의 노화를 방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성물 내 다른 성분과의 조합에 따른 물성 상승효과를 구현하는 측면에서 선호될 수 있다.The ultraviolet stabilizer may be preferred in terms of not only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resin itself due to ultraviolet rays and aging of the final molded product, but also realizing a synergistic effect according to combination with other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

상기 자외선안정제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계, 벤조페논(benzophenone)계,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및 트리아진(triazine)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ALS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UV stabilizer may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mixtures selected from benzotriazol, benzophenone, 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and triazine systems, Preferably, it may be more effective to use a HALS-based comp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로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ethylene copolymer. As the ethylene copolymer, an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an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an ethylene-methylacrylate copolymer, an ethylene-ethylacrylate copolymer, an ethylene-butylacrylate copolymer and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It may be to use any one or two or more ethylene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preferably using an 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 is more effect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범위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을 포함한 물성 전반에 걸쳐 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thylene copolymer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but is limited to the above range no. The ethylene copolymer in the above range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can realize a more remarkably improved effect ove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scratch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특히,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상기의 기재층과 함께 사용함에 따라, 습도가 매우 높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복합시트의 김서림 방지 성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광학특성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Particularly, as the surface layer containing the ethylene copolymer is used together with the base layer, the anti-fog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sheet is excellent even in a poor environment with very high humidity, and the optical properties can be stably implemented to be more effective. to b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acrylate-based monomer and an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 carboxyl group derived from an acrylic acid-based monomer.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acrylic copolymer may be derived from an acrylate-based monomer and an acrylic acid-based monomer, and for example, the acrylate-based monomer i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ic Acrylate, 2-ethylbutyl 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hexyl acrylate, heptyl acrylate, octyl acrylate, n-pentyl acrylate, vinyl acrylate, lauryl 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2-ethyl 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lauryl methacrylate may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and the acrylic acid-based monomers in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etc. It may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복합시트의 내스크래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저온에서도 우수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용 환경 조건하에서 산소, 열, 빛 등에 의한 열화, 균열 및 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품질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acrylic copolymer is included, scratch resistance of the composite sheet can be further improved, and excellent properties can be maintained even at low temperatures. In addition, deterioration, cracking, and discoloration by oxygen, heat, light, etc. under pract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prevented, and thus excellent quality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secured even in long-term use.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적 특성을 확보하면서도 내후성 및 내화학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The carboxyl group-containing acrylic copolymer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Weathe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while securing optical properties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는 적용 분야에 따라 그 두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0.5 내지 50 mm,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10 mm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층은 기재층 대비 두께가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두께 범위에서 목적하는 물성 저하 없이 내충격성 및 광확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면에서 효과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shee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thicknes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ield, but may be specifically 0.5 to 50 mm, more specifically 1.0 to 10 mm. At this time, the surfac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50%, preferably 2 to 20%, compared to the base layer. Although effective in terms of securing impact resistance and light diffusion without deteriorating desired physical properties in the above-described thickness range,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표면층은 더욱 향상된 내후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난연제, 광확산제, 슬립제, 활제, 충전제,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은 필요에 따라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준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layer is a UV stabilizer,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 heat stabilizer, a flame retardant, a light diffusion agent, a slip agent, a lubricant, a filler, and a dye in order to secur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roved weather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And any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gments. The type and content of these additive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t a level commonly used in this field, if necessa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 수지 조성물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적층시킨 것이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coextruding a base lay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and a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 시 사용되는 공압출기는 압출기의 수나 구조에 따라 동일 성분으로 구성된 수지,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수지를 2층 이상으로 압출 피복할 수 있어, 다기능성 복합시트의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extruder used in the co-extrusion can be extrusion-coated resin composed of the same component or two or more different resins in two or more layers according to the number or structure of the extruder, multifunctional composi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e of the sheet is easy.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메인 압출기와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2종의 서브 압출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압출기를 통하여 상기 조성물을 공압출함으로써, 복합시트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Specifically, a main extruder extruding the base layer resin composition and two sub extruders extruding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and a composite sheet can be effectively produced by coextruding the composition through each extruder. .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수지 조성물 및 표면층 수지 조성물은 20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300℃에서 공압출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온도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layer resin composition and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may be coextruded at 200 to 350°C, preferably 230 to 300°C, but are not limited to the temperature rang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각각 티다이, 블로운 및 튜블러 타입 압출기 등에서 선택되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품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1축 압출기 또는 2축 압출기 등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may be coextruded using an extruder selected from a T-die, blown and tubular type extruder, respectively, and may be single-axis depending on the shape and use of the product. An extruder or a twin-screw extruder can be freely select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복합시트는 우수한 기계적, 광학적 특성을 구비하여 유리를 대체할 수 있어, 투명 플라스틱 글래이징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자동차 외장재로 적용하여 장기 품질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and can replace glass, so it can be applied to a transparent plastic glazing product, and specifically applied as an automotive exterior material to secure long-term quality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do.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 외장재는 선루프, 프런트 글라스, 리어 글라스, 쿼터 글라스, 프런트 벤트글라스 및 리어 벤트글라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otive exterior material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unroof, windshield, rear glass, quarter glass, front vent glass and rear vent glass.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합시트는 자동차 외의 운송수단 농기계 또는 중장비 등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형품은 도어 부품, 스포일러, 탱크 플랩, 락커 판넬, 사이드 판넬, 트림, 펜더(fenders), 리드, 후드, 루프, 범퍼, 페시아(fascia), 그릴(grille), 휠 부품, 프레임, 램프, 랙 또는 러닝 보드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parts used for transportation vehicles other than automobiles, agricultural machinery or heavy equipment. For example, the molded article may include door parts, spoilers, tank flaps, rocker panels, side panels, trims, fenders, leads, hoods, roofs, bumpers, fascias, grilles, wheel parts, frames , Lamp, rack or running bo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는 현저히 향상된 광학특성, 내충격성, 내후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을 구현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품질 안정성 및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어, 상기 운송수단 외에도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건물이나 가구, 가전제품 및 주방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remarkably improved optical properties, impac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can implement quality stability and reliability that can maintain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transportation means ,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buildings, furniture, household appliances, and kitchenware.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a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referenc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may b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 the context.

[실시예 1][Example 1]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g/mol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80 중량%와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g/mol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20 중량%를 혼합한 후에, 260℃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릿 상태의 알로이를 제조하였다. 상기 펠릿 상태의 알로이를 100℃에서 12 시간 건조하여 기재층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80% by weight of a polycarbonat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g/mol and 20% by weight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0,000 g/mol, the mixture is put into a twin-screw extruder at 260°C to form pellets of alloy. Was prepared. The alloy in the pellet state was dried at 100° C. for 12 hours to prepare a resin composition for a base layer.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g/mol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 안정제를(HALS계, 키마소푸 944(CIBA-GEIGY사)) 1 중량부 첨가하여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 addition, 1 part by weight of an ultraviolet stabilizer (HALS-based, Chimasofu 944 (CIBA-GEIGY))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0,000 g/mol to prepare a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

상기 기재층 수지 조성물과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한 후, 피드 블록 다이에 공급하여 표면층/기재층/표면층의 적층구조를 갖는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기재층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압출기는 배럴 직경 65㎜, 스크류의 L/D=35, 실린더 온도를 260℃로 하고,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압출기는 배럴 직경 32㎜, 스크류의 L/D=32, 실린더 온도를 270℃로 하였다. 또한, 각 층은 500μm/5,000μm/500μm의 두께를 갖도록 하였다.The base layer resin composition and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were introduced into each extruder, melted and kneaded, and then supplied to a feed block die to prepare a specimen having a layered structure of a surface layer/base layer/surface layer. At this time, the extruder extruding the base layer resin composition has a barrel diameter of 65 mm, the screw L/D=35, the cylinder temperature is 260°C, and the extruder extruding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has a barrel diameter of 32 mm, the screw L/ D=32, and the cylinder temperature was set to 270°C. In addition, each layer had a thickness of 500 μm/5,000 μm/500 μm.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의 상기 알로이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5 중량%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로 사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n the alloy of Example 1,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95% by weight of polycarbonate resin and 5%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were used.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의 표면층 수지 조성물에 평균입경이 9 μm인 활석 2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by weight of talc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9 μm was further added to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of Example 1.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의 표면층 수지 조성물에 평균입경이 9μm인 활석 2 중량부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AA; Ethylene-ethylacrylate, Dupont-Mitsui Polychem, EEA A703, ethylacrylate 25중량%) 5 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2 parts by weight of talc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9 μm and 5 parts by weight of ethylene-ethyl acrylate (EAA; Ethylene-ethylacrylate, Dupont-Mitsui Polychem, EEA A703, ethylacrylate 25% by weight) were added to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of Example 1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의 표면층 수지 조성물에 평균입경이 9μm인 활석 2 중량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AA; Ethylene-ethylacrylate, Dupont-Mitsui Polychem, EEA A703, ethylacrylate 25중량%) 5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80,000 g/mol인 아크릴산-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 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2 parts by weight of talc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9 μm in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of Example 1, 5 parts by weight of ethylene-ethylacrylate (EAA; Ethylene-ethylacrylate, Dupont-Mitsui Polychem, EEA A703, ethylacrylate 25% by weight) an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his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by weight of the 180,000 g/mol acrylic acid-acrylate copolymer was further added.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1에서, 표면층/기재층/표면층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각 층의 두께를 1,300㎛/5,000㎛/1,30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In Example 1, in the layered structure of the surface layer/base layer/surface layer,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each layer was adjusted to 1,300 μm/5,000 μm/1,300 μm.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1의 표면층 수지 조성물에 평균입경이 25 μm인 활석 2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 parts by weight of talc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5 μm was further added to the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of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g/mol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 안정제를(HALS계, 키마소푸 944(CIBA-GEIGY사)) 1 중량부 첨가한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 압출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은 직경 65㎜, 스크류 L/D=35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70℃에서 실시하였다.Melt the resin composition by adding 1 part by weight of an ultraviolet stabilizer (HALS system, Chimasofu 944 (CIBA-GEIGY))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0,000 g/mol, Kneading extrusion was performed to prepare specimens of the same size as in Example 1. At this time, extrusion was performed at 270°C using a twin-screw extruder having a diameter of 65 mm and a screw L/D=35.

(평가)(evaluation)

(1) 내충격성(1) Impact resistance

상온(25℃)에서 시편을 바닥에 놓고 3kg 무게의 추를 0.5m 높이에서 떨어뜨리는 것을 1회로 하여 크랙(crack)이 발생하는지 유무를 확인하였다. 10회 이상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면 ◎, 7~9회에서 크랙이 발생하면 ○, 2~6회에서 크랙이 발생하면 △, 1회에서 크랙이 발생하면 ×로 표기하였다. 또한, 상기 시편을 -50℃에서 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내충격성을 시험하였다. Placing the specimen at room temperature (25°C) on the floor and dropping the weight of 3kg from a height of 0.5m was performed once to check whether cracking occurred. If cracks do not occur more than 10 times, ◎, when cracks occur in 7 to 9 times, ○, when cracks occur in 2 to 6 times, and △, when cracks occur in 1 time, are denoted as ×. In addition, after the specimen was left at -50°C for 4 hours, the impact resistance was test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2) 투과율(%)(2) Transmittance (%)

ASTM D1003의 규정에 의거하여 헤이즈 미터(NIPPON DENSHOKU사, YDP02-0D)를 사용하여 두께 2mm의 시편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ASTM D1003, a haze meter (NIPPON DENSHOKU, YDP02-0D) was us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transmittance of a specimen having a thickness of 2 mm.

(3) 광확산성(3) Light diffusion

변각 광도계를 이용하여 수광각 0°의 광선 투과율 I0, 수광각 75°의 광선 투과율 I75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된 값이 90% 이상이면 ◎, 85% 이상이면 ○, 75% 초과 90% 미만이면 △, 75% 미만이면 ×로 표기하였다. If one measures the acceptance angle 0 ° of the light transmittance I 0, acceptance angle 75 ° of the light transmittance I 75 using a goniophotometric measurement is a value calculated then by the formula at least 90% ◎, is more than 85% ○, 75% If it is less than 90%, it is indicated by Δ, and if it is less than 75%, x.

(식) 광확산율 = (I75/I0) × 100(Equation) Light diffusion rate = (I 75 /I 0 ) × 100

(4) 아이조드 충격강도(kgf·cm/cm2)(4) Izod impact strength (kgf·cm/cm 2 )

ASTM D256의 규정에 의거하여 Notched 시편(1/4″)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easured using Notched Specimen (1/4″) according to ASTM D256.

(5) 내스크래치성(5) Scratch resistance

BSP(Ball-type Scratch Profile)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편의 표면에 1000g 하중과 75mm/min 속도로 0.7mm 지름의 구형의 금속 팁을 이용하여 20mm의 길이의 스크래치를 가한 뒤, 가해진 스크래치의 프로파일을 접촉식 표면 프로파일 분석기(XP-1)를 통해 지름 2㎛인 금속 스타일러스의 팁을 이용하여 스캔하여, 스크래치의 프로파일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Scratch width(㎛)를 산출하였다. 측정된 Scratch width가 감소할수록 내스크래치성은 증가한다.BSP (Ball-type Scratch Profile) test was performed. The surface of the specimen was subjected to a 20 mm length of scratch using a spherical metal tip of 0.7 mm diameter at a speed of 75 mm/min and a load of 1000 g, and then the profile of the applied scratch was diameter through a contact surface profile analyzer (XP-1). Scanning was performed using a tip of a 2 µm metal stylus to measure the profile of the scratch, from which a Scratch width (µm) was calculated. The scratch resistance increases as the measured scratch width decreases.

(6) 촉진내후성(6) Accelerated weathering

재료의 옥외 사용 하에서의 내구성을 단기간에 판단할 수 있는 실험으로서, JIS K 7350-4 에 준거한 오픈 프레임 카본 아크 램프를 구비한 선샤인 웨더 미터 (스가 시험기사 제조, 300선샤인 웨더 미터)를 사용하여, 5000 시간 동안 재료의 열화를 촉진시켜 표면이 변색되거나 갈라짐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표면에 일체 변화가 없으면 ◎, 변색 또는 갈라짐이 2 개(0.25㎠ 이내 크기) 이하 발생하면 ○, 3개 이상 10 개 미만 발생하면 △, 10 개 초과하면 ×로 표기하였다.As an experiment that can judge the durability of the material under outdoor use in a short period of time, using a sunshine weather meter (made by Suga Test Instruments, 300 sunshine weather meter) equipped with an open frame carbon arc lamp conforming to JIS K 7350-4, It was observed whether the surface was discolored or cracked by promo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material for 5000 hours. If there is no change on the surface, ◎, if discoloration or cracking occurs in 2 or less (sizes within 0.25 cm2) or less, △ when 3 or more and less than 10 occur, and × if more than 10 are indicated.

(7) 내화학성(7) Chemical resistance

에틸알콜을 사용하여 시편의 표면을 5N의 힘으로 10회 왕복하여 문질른 다음, 표면의 변색 또는 갈라짐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표면에 일체 변화가 없으면 ◎, 변색 또는 갈라짐이 2 개(0.25㎠ 이내 크기) 이하 발생하면 ○, 3개 이상 10개 미만 발생하면 △, 10개 초과하면 ×로 표기하였다.Using ethyl alcohol, the surface of the specimen was rubbed by reciprocating 10 times with a force of 5N, and then it was observed whether discoloration or cracking of the surface occurred. If there is no change on the surface, ◎, if discoloration or cracking occurs in 2 or less (sizes within 0.25 cm2) or less, △ when 3 or more and less than 10 occur, and × if more than 10 are indicated.

(8) 방담성(anti-fog) : 80℃로 유지한 온수욕의 수면으로부터 5㎝ 높이에 시편을 두고, 온수욕으로부터의 스팀을 연속 조사하여, 조사로부터 10 초 후의 흐려짐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흐려짐이 전혀 관찰되지 않으면 ◎, 스팀 조사 후 일순간만 흐려진 후 흐려짐이 관찰되지 않으면 ○, 약간 흐려짐이 관찰되면 △, 완전히 흐려지면 ×로 표기하였다. (8) Anti-fog: The specimen was placed at a height of 5 cm from the surface of the hot water bath maintained at 80°C, and the steam from the hot water bath was continuously irradiat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oudiness after 10 seconds from irradiation was visually confirmed. . If no cloudiness was observed at all, ◎, after steam irradiation for a moment, after cloudiness was not observed, ○, if blurring was observed, △;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내충격성
(25℃)
Impact resistance
(25℃)
내충격성
(-50℃)
Impact resistance
(-50℃)
××
투과율(%)Transmittance (%) 8787 8585 9292 9494 9595 8484 8686 8989 광확산성Light diffusion ××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2)
Izod impact strength
(kgfcm/cm 2 )
6060 5151 7373 8686 8888 6464 6262 1717
스크래치 넓이(㎛)Scratch area (㎛) 289289 296296 225225 210210 182182 306306 256256 384384 촉진 내후성Accelerate weatherability 내화학성Chemical resistance 방담성Antifogging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물성 전반에 걸쳐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내후성, 내화학성 및 방담성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는 광확산성과 광투과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examples exhibited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throughout the physical properties, and also exhibited excellent performance in weather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antifogging propert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 general, both light diffusion and light transmission in a trade-off relationship were excellent.

특히, 실시예 3 내지 5는 광확산성, 저온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에 있어서 현저한 물성 향상을 나타냈으며,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4 및 5의 경우, 보다 우수한 촉진 내후성 및 방담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articularly, Examples 3 to 5 showed remarkable physical property improvement in light diffusivity, low 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in Examples 4 and 5 further comprising an ethylene copolymer, better accelerated weatherability and antifogging properties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secured.

또한, 실시예 5와 같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광확산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도 더욱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when further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 carboxyl group as in Example 5,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exhibits excellent light diffusivity but also scratch resistance is further improved.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들에 비하여 광확산성 및 내충격성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 촉진 내후성, 내화학성 및 방담성에 있어서도 물성이 좋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not only significantly lower in light diffusivity and impact resistance than in Examples, but also had poor physical properties in terms of scratch resistance, accelerated weather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antifogging properti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general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who have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

Claims (1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복합시트.
A base layer comprising an alloy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a surface layer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containing composite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5 내지 50 중량%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95 중량% 포함하는 복합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alloy is a composite sheet comprising 5 to 5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50 to 95% by weight of polycarbonate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surface layer is a composite sheet comprising light-diffusing particl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평균입경이 0.001 내지 20 μm인 복합시트.
According to claim 3,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are composite sheet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20 μ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활석, 운모,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복합시트.
According to claim 3,
The light-diffusing particles are composite sheets of any one or more mixtures selected from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silica, talc, mica, magnesium oxide and zinc ox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복합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surface layer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methylacrylate copolymer, ethylene-ethylacrylate copolymer, ethylene-butylacrylate copolymer an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 composite sheet further comprising any one or more ethylene copolymer selecte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로이를 포함하는 기재층 수지 조성물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적층시킨 복합시트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obtained by coextruding and laminating a base lay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lloy of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and a surface lay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은 200 내지 350℃에서 수행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extrus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performed at 200 to 350 ℃.
제 1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복합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외장재. An automotive exterior material comprising the composite sheet of any one of claims 1 to 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외장재는 선루프, 프런트 글라스, 리어 글라스, 쿼터 글라스, 프런트 벤트글라스 및 리어 벤트글라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자동차 외장재.
The method of claim 9,
The automotive exterior material is any one selected from sunroof, windshield, rear glass, quarter glass, front vent glass and rear vent glass.
KR1020180163903A 2018-12-18 2018-12-18 Composite sheet KR102203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03A KR102203684B1 (en) 2018-12-18 2018-12-18 Composit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03A KR102203684B1 (en) 2018-12-18 2018-12-18 Composit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340A true KR20200075340A (en) 2020-06-26
KR102203684B1 KR102203684B1 (en) 2021-01-18

Family

ID=7113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903A KR102203684B1 (en) 2018-12-18 2018-12-18 Composite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6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973A (en)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Composite sheet having matt metallic surface properti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557A (en) * 1997-07-15 2000-11-25 뮐러 르네 Plastic glazing, in particular for motor c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12201832A (en) * 2011-03-28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KR101609129B1 (en) * 2014-09-12 2016-04-05 신흥화학(주)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layered film
KR101614855B1 (en) * 2014-11-26 2016-04-2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Multilayer polycarbonate sheet
KR20170029692A (en) * 2015-09-07 2017-03-16 전면근 deco-tile top shee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557A (en) * 1997-07-15 2000-11-25 뮐러 르네 Plastic glazing, in particular for motor c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12201832A (en) * 2011-03-28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KR101609129B1 (en) * 2014-09-12 2016-04-05 신흥화학(주)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layered film
KR101614855B1 (en) * 2014-11-26 2016-04-2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Multilayer polycarbonate sheet
KR20170029692A (en) * 2015-09-07 2017-03-16 전면근 deco-tile top shee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973A (en)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Composite sheet having matt metallic surface properti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684B1 (en)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280B1 (en) Vinylidene fluoride-based resin film
KR100653495B1 (en) Polymeric materials haning improved weathering resistanc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EP3718770B1 (en) Vinylidene fluoride-based resin multi-layered film
CN106218153A (e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ed in laminated safety glass
JP2005047179A (en) Heat ray shielding resin sheet
WO2015125595A1 (en) Resin film
KR102203684B1 (en) Composite sheet
KR101993703B1 (en) Composite sheet
JP5630638B2 (en) Vinylidene fluoride film
KR20160080277A (en) Multi-layer sheet
CN107250261B (en)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laminate
KR102181552B1 (en) Composite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uturing thereof and product having the same
KR101511535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vehicle exterior
US11485847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film
EP4082745A1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KR20170108982A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using same
JPH09176476A (en) Ultraviolet-resist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H02179743A (en) Composite sheet
JP4498859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H10138436A (en) Polycarbonate laminate sheet
TW202102551A (en) Resin composition, molded body using said resin composition, and film structure, building structure and adhesive molded body each using said resin composition or said molded body
WO201902207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layered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s therefor
JPH10166512A (en) Frontal plate of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