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823A -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823A
KR20200074823A KR1020190030336A KR20190030336A KR20200074823A KR 20200074823 A KR20200074823 A KR 20200074823A KR 1020190030336 A KR1020190030336 A KR 1020190030336A KR 20190030336 A KR20190030336 A KR 20190030336A KR 20200074823 A KR20200074823 A KR 2020007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wearable
bag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희
Original Assignee
정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희 filed Critical 정종희
Publication of KR2020007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 F24F2003/161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가방 및 마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방은 착탈식의 공기정화모듈, 상기 공기정화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공기정화모듈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는 상기 에어 튜브를 통하여 상기 공기정화모듈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에어 튜브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도 외부에서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로 호흡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공기정화기{Wearable Air Cleaner}
본 발명은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방에 공기정화모듈을 장착하여 마스크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대기 오염, 특히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환경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 많은 우려가 존재한다. 대기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폐질환부터 심지어 태아의 건강까지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는 인간의 삶에 매우 민감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은 외출 시에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으나, 마스크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미세먼지 여과율이 높지 않고, 마스크 틈새로 들어오는 미세먼지는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할 수 있는 가방에 공기정화모듈을 장착하고 이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마스크 내로 공급함으로써 호흡의 질을 높이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가방 및 마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가방은 착탈식의 공기정화모듈, 상기 공기정화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공기정화모듈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는 상기 에어 튜브를 통하여 상기 공기정화모듈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에어 튜브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방은 상기 에어 튜브가 바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부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방은 내부에 튜브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 튜브의 가방 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방은 브라켓 또는 주머니 형태의 배터리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방은 상기 에어 튜브를 탈착하기 위한 튜브 결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결속홈은 상기 가방의 가방끈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제1차 필터, 제2차 필터, 블로워, 배터리 단자, 및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로워의 작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운동 센서와 통신하고, 상기 운동 센서가 감지한 운동 상태를 수신하여 블로워의 작동 속도 제어에 상기 운동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센서는 상기 공기정화모듈의 부품이거나 상기 가방의 부속품일 수 있으나, 핸드폰에 내장된 센서와 같은 외부 기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공기 집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집중부는 상기 블로워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에어 튜브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보다 면적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는 일방향 공기만 통과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는 외부 마스크 및 내부 마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스크는 중앙에 호흡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마스크는 프레임 및 실리콘 재질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성부와 상기 에어 튜브 단부에 위치된 제1 자성부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의 단부 및 상기 에어 튜브 단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실링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에어 튜브의 결합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방의 가방끈 양 측에는 상기 가방끈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상기 돌출 라인에 탈착 가능한 제1 클립 및 상기 에어 튜브에 탈착 가능한 제2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립과 제2 클립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은 자성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도 외부에서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로 호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의 또 다른 고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공기정화모듈(200)을 장착할 수 있는 가방(100) 및 상기 공기정화모듈(2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에어 튜브(270)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는 마스크(300)를 포함한다.
상기 가방(100)은 일반적인 가방이 개량된 형태로서, 통상의 가방과 같이 수납공간을 가질 뿐 아니라 공기정화모듈(200)을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11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110)에 장착된 공기정화모듈(2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마스크(3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에어 튜브(270)가 통과하는 튜브 개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 튜브(270)의 제1 단부는 공기정화모듈(200)의 공기 집중구(242h)에 결합되고, 상기 가방(100) 내부에 형성된 튜브 장착부(140)를 따라 연장하여 튜브 개구(1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된 에어 튜브(270)는 사용 중에는 마스크(300)에 연결되고, 비 사용 중에는 가방(100)에 결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화된 공기로 호흡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에어 튜브(270)의 제2 단부를 마스크(300)의 커넥터(330)에 결합한다. 도 1에 도시된 마스크(300)는 두 가지 구성으로 나뉘어 도시되었다. 귀고리(311)를 포함하는 외부 마스크(310)는 일반적인 마스크로서, 디자인이 적용된 패션 마스크일 수 있다. 즉, 다양한 디자인을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마스크(310)는 내부 마스크(3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 마스크(320)는 기본적으로 프레임(321) 및 커넥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21) 및 에어 튜브(270)가 결합되는 커넥터(330)를 포함하면 기본적인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마스크(320)는 상부 프레임(322) 및 하부 프레임(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람의 얼굴 형상에 맞추기 쉽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322)과 하부 프레임(323)은 가요성(flexible)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340)는 마스크의 내부에서 외부로만 공기를 통과시키고, 마스크의 외부에서 내부로는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체크 밸브(340)는 일방향 밸브이다.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330)를 통해 들어오는 정화된 공기를 들이쉬고, 상기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상기 체크 밸브(3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270)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더 이상 사용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자는 에어 튜브(270)를 가방끈(120) 상에 형성된 튜브 결속홈(130)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가방끈(120)에는 튜브 결속홈(130)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튜브 결속홈(130)은 상기 튜브 개구(131)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끈(120)은 제1 부착 부재(132) 및 제2 부착 부재(1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착 부재(132)의 일 단부는 상기 튜브 결속홈(130)의 일측 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착 부재(132)의 타 단부는 상기 튜브 결속홈(130)의 타측 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2 부착 부재(133)에 탈착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부착 부재(132)가 상기 제2 부착 부재(133)에 접착될 때 상기 튜브 결속홈(130)에 놓인 에어 튜브(270)를 덮음으로써 상기 에어 튜브(270)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제1 부착 부재(132) 및 제2 부착 부재(133)는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벨크로(velcro)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끌어당기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튜브 결속홈(130)의 길이는 상기 튜브 개구(131)로부터 노출된 에어 튜브(270)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결속홈(130)의 끝에 자성 고정부(130m)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 튜브(270)의 제2 단부에 형성된 제1 자성부(270m)와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에어 튜브(270)가 더욱 잘 고정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0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스크(300)는 외부 마스크(310) 및 내부 마스크(32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스크(320)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커넥터(330) 및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체크 밸브(340)가 상기 내부 마스크(3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마스크(310)는 일반 마스크의 형태를 가지나, 상기 내부 마스크(32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부 마스크(320)의 외곽을 씌우는 덮개(3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덮개(312)는 외부 마스크(310)와 내부 마스크(320)의 손쉬운 탈착을 위해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마스크(320)는 호흡기(코, 입)와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실리콘과 같이 피부에 접촉이 잘 되는 재질의 접촉부(32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부(324)의 중앙에는 호흡기가 막히지 않도록 호흡구(32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324)는 실리콘 또는 반영구적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척이 가능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마스크(320)와 외부 마스크(310) 사이에는 에어 튜브(270)에 커넥터(330)에 연결 가능하도록 작은 틈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270)와 커넥터(330)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 튜브(270)는 제2 단부에 제1 자성부(270m) 및 제1 실링부(270s)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330)는 제2 자성부(330m) 및 제2 실링부(330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부(270m)와 제2 자성부(330m)는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 관계에 있어야 한다. 상기 제1 자성부(270m)와 제2 자성부(330m)가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에어 튜브(270)의 측면 실링부(271)가 커넥터(330)의 내면(331)과 접촉하여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링부(270s)와 상기 제2 실링부(330s)는 상기 제1 자성부(270m)와 제2 자성부(330m)의 인력에 의해 서로 압착되면서 공기의 누설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30)는 내부에 유입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332)는 바깥쪽이 좁고 안쪽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 튜브(27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조금 줄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유입부(332)는 바깥쪽과 안쪽의 면적 차이가 없을 수도 있으며, 상기 유입부(332)의 형태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튜브(270)의 제2 단부는 'ㄱ'자로 형성된 절곡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73)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마스크(310)와 내부 마스크(320) 사이의 공간을 최소로 차지하게 되어 마스크(300) 착용 시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고, 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100)의 정면도이다.
브라켓(110)의 정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11)에는 공기정화모듈(200)을 탈착할 수 있도록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모듈(200)의 최외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첫 관문인 그릴(210)이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11)에는 표시부(2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표시부(213)는 도면과 같이 그릴(210)에 형성되거나, 상기 그릴(210)과 별도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 수 있다.
가방(100) 안쪽에는 5V 규격의 보조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배터리 홀더(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모듈(200)의 분해도이다.
상기 공기정화모듈(200)은 그릴(210), 제1 필터(220), 제2 필터(230), 블로워(240), 제어부(250) 및 전원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블로워(240)가 작동하면, 외부 공기가 그릴(210)을 통하여 유입되고, 제1 필터(220) 및 제2 필터(2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외부 공기는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블로워(240)의 토출구(241)로 배출되고, 공기 집중기(242)에 의해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집중기(242)의 제1 단부(242a)는 상기 토출구(241)와 맞닿아 있는데 이 부분의 면적이 정화된 공기가 최종적으로 빠져나가는 제2 단부(242b)의 면적보다 크다.
상기 제1 필터(220)는 헤파필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H13 등급의 미세먼지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230)는 활성탄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242b)에는 에어 튜브(270)의 제1 단부가 결합되는 공기 집중구(242h)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210)의 전면에는 표시부(21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13)는 바람직하게는 LED 표시등이다. 상기 표시부(213)는 제어부(250)로부터 공기정화모듈(2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표시를 달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정화모듈(200)과 별도로 단지 흡입구(111)에 설치된 표시부(213)는 제어부(250)의 명령에 따라 단순히 on/off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감지하는 운동 센서(400)와 무선 통신, 특히 블루투스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동 센서(400)는 사용자가 정지 중인지 움직이는지, 움직인다면 빨리 움직이는지 천천히 움직이는지를 판단하여 제어부(250)에 해당 운동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운동 센서(400)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호흡량 및 공급해야 할 공기의 양을 판단하고 블로워(240)의 작동 속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람이 앉아 있을 때는 18 lpm(litter per minute), 걸을 때는 26.4 lpm, 뛸 때는 55 lpm, 격렬한 운동을 할 때는 120 lpm의 공기가 필요하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운동 센서(400)로부터 운동 상태가 '앉음'인지, '걸음'인지, '뜀'인지 또는 '격렬한 운동'인지 판단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따라 블로워의 작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센서(400)는 공기정화모듈(200)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가방(100)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휴대폰에 내장된 센서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운동 센서(400)가 사용자의 휴대폰에 내장된 센서라면,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제어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공기정화모듈(200), 특히 제어부(250)를 조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공기정화량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구성인 공기정화모듈(200)은 그 자체가 공기정화 장치이므로, 가방(100)에서 분리하여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석 또는 자성부는 네오디움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자석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블로워(240)는 크기가 크고 전력 소모가 클수록 성능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호흡량이 많은 성인과 아동을 위한 제품이 서로 다르게 최적화될 수 있고, 운동량 및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의 또 다른 고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가방(100)의 가방끈(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방끈 모두의 양 측에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과 같은 딱딱한 가요성 재질의 돌출 라인(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라인(150)에는 제1 클립(160)이 제1 집게(16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집게(162)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 라인(150)에 힘으로 끼워질 수 있거나 빨래집게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고정력을 가질 수도 있다.
유사하게, 상기 에어 튜브(270)에는 제2 클립(170)이 제2 집게(17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집게(172)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 튜브(270)에 힘으로 끼워질 수 있거나 빨래집게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고정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클립(160)은 제3 자성부(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립(170)은 제4 자성부(171)를 포함하여 서로 자성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클립(160)은 연결선(169)에 의해 가방(100)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제1 클립(160)을 상기 돌출 라인(150)으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분실되지 않는다.
한편, 제2 클립(170) 역시 가방(100), 제1 클립(160) 또는 에어 튜브(270)에 얇은 선에 의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자성부(161) 및 제4 자성부(171)는 네오디움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자석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가방
110: 브라켓
120: 가방끈
130: 튜브 결속홈
131: 튜브 개구
150: 돌출 라인
160: 제1 클립
170: 제2 클립
200: 공기정화모듈
210: 그릴
213: 표시부
220: 제1 필터
230: 제2 필터
240: 블로워
250: 제어부
260: 전원부
300: 마스크
310: 외부 마스크
320: 내부 마스크
324: 접촉부
330: 커넥터
340: 체크 밸브
400: 운동 센서

Claims (15)

  1. 착탈식의 공기정화모듈, 상기 공기정화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공기정화모듈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 튜브를 포함하는 가방; 및
    상기 에어 튜브를 통하여 상기 공기정화모듈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에어 튜브가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은 상기 에어 튜브가 바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은 상기 에어 튜브를 탈착하기 위한 튜브 결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결속홈은 상기 가방의 가방끈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제1차 필터, 제2차 필터, 블로워, 배터리 단자, 및 전원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로워의 작동 속도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동 센서와 통신하고, 상기 운동 센서가 감지한 운동 상태를 수신하여 블로워의 작동 속도 제어에 상기 운동 상태를 반영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센서는 상기 공기정화모듈의 부품이거나 상기 가방의 부속품이거나 외부 기기일 수 있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공기 집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집중부는 상기 블로워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에어 튜브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보다 면적이 좁은,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일방향 공기만 통과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외부 마스크 및 내부 마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스크는 중앙에 호흡구가 형성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스크는 프레임 및 실리콘 재질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부와 상기 에어 튜브 단부에 위치된 제1 자성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단부 및/또는 상기 에어 튜브 단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실링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에어 튜브의 결합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14.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가방끈 양 측에는 상기 가방끈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라인에 탈착 가능한 제1 클립 및 상기 에어 튜브에 탈착 가능한 제2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립과 제2 클립은 서로 결합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은 자성 결합하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KR1020190030336A 2018-12-17 2019-03-18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KR202000748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544 2018-12-17
KR20180163544 2018-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823A true KR20200074823A (ko) 2020-06-25

Family

ID=7140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336A KR20200074823A (ko) 2018-12-17 2019-03-18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48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20A (ko) * 2020-12-10 2022-06-17 신진숙 부착식 양압기 마스크
KR20220089810A (ko)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연우 가방 일체형 공기정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20A (ko) * 2020-12-10 2022-06-17 신진숙 부착식 양압기 마스크
KR20220089810A (ko)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연우 가방 일체형 공기정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4192B2 (en) Versatile and multi-purpose breathing mask
US4996983A (en) Inhaler filtration device with housing supportable by spectacle temple
CN210376932U (zh) 具备空气净化功能的眼镜
TWI632934B (zh) 改良呼吸裝置
US9833645B2 (en) Personal air filter
KR101776114B1 (ko) 목걸이 타입의 휴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1905431B1 (ko) 공기정화 마스크 시스템
US20100108071A1 (en) Apparatuses to filter air
US20030154983A1 (en) Personal air filtering device
CN105617565B (zh) 一种过滤式呼吸面罩
KR101797071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
CN105962482A (zh) 便携式空气净化口罩
JP2022524942A (ja) 個人用エアクリーナー
KR20200074823A (ko)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EP4122550A1 (en) Mask apparatus
CN111135492A (zh) 易于更换过滤器的过滤空气用过滤部及带有过滤部的口罩
KR20180112736A (ko) 호흡구 구분 마스크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CN208865074U (zh) 一种可携带的气体供应装置及呼吸辅助系统
KR102484402B1 (ko) 전동식 공기 정화 호흡기
KR20210043228A (ko) 휴대용 공기 청정기
CN111135495A (zh) 口罩用排出阀、带有该排出阀的口罩及该口罩的挂带部
KR101943208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1819144B1 (ko) 정화공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안경
CN207767587U (zh) 一种家用网状便清理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