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98A - Sound device of bone conduction - Google Patents
Sound device of bone cond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4698A KR20200074698A KR1020180163389A KR20180163389A KR20200074698A KR 20200074698 A KR20200074698 A KR 20200074698A KR 1020180163389 A KR1020180163389 A KR 1020180163389A KR 20180163389 A KR20180163389 A KR 20180163389A KR 20200074698 A KR20200074698 A KR 202000746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one conduction
- vibration
- sound device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전도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로도 이용 가능한 진동 발생부를 내장한 골전도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and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ncorporating a vibration generating unit that can also be used as a speaker.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과 같은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과 같은 음향이나 휴대 단말기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전화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Recentl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may use a sound device such as a wired or wireless headset to receive a call such as music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a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o make a phone call.
이처럼, 휴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음향장치 중에서는 골전도(bone conduction) 현상을 이용한 제품이 개발되어 생산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oduct using a bone conduction phenomenon has been developed and produced among sound devices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이러한 골전도 형태의 음향장치는 골전도 현상을 이용한 이어폰으로서, 귀 주변 뼈와 피부를 통해 내이에 진동을 줌으로써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한다.The bone conduction type sound device is an earphone using a bone conduction phenomenon, and transmits sound in a manner that transmits sound by vibrating the inner ear through bones and skin around the ear.
따라서, 사용자의 귓속에 꽂는 일반 이어폰보다 청신경의 손상이 덜하며 사용에 좀 더 편리하다. Therefore, it damages the hearing nerve less and is more convenient to use than a regular earphone that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진동 발생기뿐만 아니라 스피커로도 동작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골전도 음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operating as a speaker as well as a vibration generator using one equipment.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골전도 음향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Therefore,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and to increase the freedom of design.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는 사용자의 두개골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상태로 동작하고,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음향을 출력하는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동작한다.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user's skull and a vibration portion that vibrates the contact portion, and the vibration portion is in a vibration state that generates vibration when a driving signal of a first driving frequency is applied. It operates, and when the driving signal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s applied, it operates as an air conduction speaker that outputs sound.
상기 특징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의 사용자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및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장착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is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mounting detection part and a user input part for detecting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user, and an operation connected to the user input part and the mounting detection part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through a wired cable.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음향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골전도로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By controlling the vibrating unit to the vibration state, the acoustic signal may be output as bone conduction.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의 출력 중에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골전도도 상기 벨소리를 출력하여 전화 수신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during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the operation control unit generates a vibration corresponding to a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ng unit, outputs the ring through the bone conduction, notifies the call reception state, and receives a call connection command from the user input unit. When possible, a phone call can be made to the bone conduction using the vibration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골전도로 상기 벨소리를 출력하여 전화 수신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controls the vibration unit to the vibration state, and then generates vibration corresponding to a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on unit. By outputting the ringtone as bone conduction, a call reception state is notified, and when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a phone call can be made to the bone conduction using the vibration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비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음향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공기전도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not mount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The vibration unit is controlled to the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so that the sound signal can be output in an air conduction manner.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의 출력 중에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음향 신호를 공기전도 방식으로 출력하여 상기 벨소리로 전화 수신 상태를 알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공기전도 방식으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during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ng unit in an air conduction manner to inform the call reception state of the ring tone, and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When it is possible to make a phone call by air conduction using the vibration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모드가 매너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한 후 진동을 발생시켜 전화 수신 상태를 통지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a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vibration unit to the vibration state by outputting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mode se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s a silent mode. The vibra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call reception status can be notified.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모드가 벨소리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음향 신호를 공기전도 방식으로 출력하여 상기 벨소리로 전화 수신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mode se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s a ringtone mode, thereby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to an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on unit is output by an air conduction method so that the call reception state can be informed by the ring tone.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이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telephone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and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the vibration unit Use it to make phone calls to bone conduction.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비장착 상태이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제어하여 공기전도 방식으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not moun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to control the vibration unit to the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so that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by an air conduction method. do.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이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and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to the vibration unit By outputting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he vibration unit is controlled to the vibration state so that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to the bone conduction using the vibration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비장착 상태이면, 공기전도 방식으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telephone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and i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not mounted, air conduction So that you can make phone calls.
상기 진동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 요크 및 상기 제1 요크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제1 코일과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왕복 운동하고, 마그네트 및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진동판을 포함하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동자는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향발생부는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와 다른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The vibrating unit includes a housing forming an internal space, a stator coupled to the housing, the stator including a first yoke and a first coil wound around the first yoke, and the inside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il and the first coil. An oscillator reciprocating in space, including a magnet and a weight, an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vibrator, and a second coil fac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agnet and a vibration plate coupled to the second coil and the housing. It may include a sound generating unit, and the vibrator generates the vibration when a driving signal of a first driving frequency is applied,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is applied with a driving signal of a second driving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irst driving frequency. When it is possible, the sound can be output.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100 내지 250Hz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50 내지 10kHz일 수 있다. The magnitude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may be 100 to 250 Hz, and the magnitude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may be 50 to 10 kHz.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판과 대향되면서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일부 시점에 상기 이격 공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ousing may include a separa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to form a separation space, and the vibration plate reciprocates in the interior space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coil and the magnet at some point in time. In the space can be located inside.
상기 이격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acoustic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in the spacer.
상기 마그네트는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향할 수 있다. The magnet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rough which the center portion is penetrated, the first coil may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and the second coil may face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상기 음향발생부는 상기 제2 코일에 권선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yoke wound on the second coil.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골전도를 이용한 전화 통화나 음향 출력뿐만 아니라, 외부로 진동을 발생시키고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동작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 환경에 맞게 골전도 음향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며, 골전도 음향 장치에 대한 제품의 만족도 역시 향상된다.According to these features, as well as a phone call or sound output using bone conduction, as well as generating vibration outside and operating in an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the user controls the operating state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according to his surrounding environment. . Due to this, the user's satisfaction is greatly improved, and the product's satisfaction with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also improved.
또한, 하나의 진동부는 골전도 진동뿐만 아니라 진동 상태를 위한 진동 발생기 그리고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즉, 공기전도 스피커)로도 기능하므로, 골전도 음향 장치에 스피커나 진동 발생기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골전도 음향 장치에 대한 설계의 어려움이 크게 줄어들고, 골전도 음향 장치의 제조 비용 역시 줄어든다.In addition, since one vibrating unit functions as a vibration generator for a vibration state as well as a bone conduction vibration and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to the outside (ie, an air conduction speaker), it is necessary to mount a speaker or vibration generator i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none. Therefore, the difficulty in designing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great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also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의 조작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좌측 진동 발생부의 한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operation unit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the left vibration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2.
4A to 4C are flowcharts of an operation of a bone conduction sou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exist in the middle. do.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골전도 음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T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골전도 음향장치의 한 예로,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유선되어 연결되어 사용되는 유선 형태의 골전도 음향장치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형태의 골전도 음향장치에도 적용된다.Hereinafter, as an example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 typ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used in connection with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also applies to sound devices.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음향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xample will be described.
본 예의 골전도 음향 장치(1)는 본체(10), 본체(10)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 골전도 하우징(21, 22), 좌측 및 우측 골전도 하우징(21, 22)에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 접촉부(301, 302), 좌측 및 우측 접촉부(301, 302)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장착 감지부(40), 좌측 및 우측 골전도 하우징(21, 22) 내부에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 중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신호 케이블(60), 신호 케이블(60)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70), 그리고 신호 케이블(60)에 위치하는 조작부(80)를 구비한다.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of this exampl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left and right
본체(10)는 주로 사용자의 목에 위치하여 골전도 음향장치(1)가 안정적으로 두개골의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ain body 10 is mainly located on the user's neck and serves to support the bone conduction sounding device 1 to be stably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kull.
좌측 및 우측 골전도 하우징(21, 22)는 사용자의 좌측 두개골과 우측 두개골 부분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골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left and right
좌측 및 우측 접촉부(301, 302)는 해당 하우징(21,22)과 사용자의 두개골 사이에 위치하여 접해 있는 두개골 부분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골전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left and
이러한 접촉부(301, 302)는 두개골과 접촉 시 통증이나 불편함을 유발하지 않는 재료, 예를 들어, 탄성이 있는 실리콘이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장착 감지부(40)는 골전도 음향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mounting
이러한 장착 감지부(40)는 한 예로, 좌측 또는 우측 접촉부(301, 302)의 케이스의 외부나 내부에 위치하여 열감지 등으로 통해 해당 접촉부(301, 302)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부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일 수 있다.The mounting
장착 감지부(40)의 장착 위치에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ounting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 상태 또는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동작한다.The left and
본 예에서 진동 상태는 해당 접촉부(301, 302)를 진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골전도로 음향 신호나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 신호에 대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이다.In this example, the vibration state is a state in which vibration is generated by vibrating the corresponding
또한,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는 해당 음향 신호나 통화 신호를 공기전도 상태로 출력하여 해당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태이다.In addition, the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is a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sound signal or a call signal is output in an air conduction state to output the corresponding sound to the outside.
이러한 각 진동부(501, 502)의 동작 상태는 조작부(80)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본 예의 골전도 음향장치가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고정형 단말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is a terminal to which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of this example is connected, and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fixed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이러한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구조는 다음에 자세히 설명한다.The structures of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신호 케이블(60)과 연결부(70)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신호 케이블(60)은 유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될 때 이용된다.The
연결부(7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또는 유선 케이블(예, 40)을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The
예를 들어, 골전도 음향장치(1)가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될 경우, 연결부(7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연결부(70)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일 경우, 골전도 음향장치(1)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연결부(70)는 본체(10)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e
반면,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골전도 음향장치(1)가 유선으로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될 경우, 연결부(10)는 연결잭의 형태이고, 연결부(10)는 3극 단자 또는 4극 단자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연결부(70)는 연결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해당 연결 구멍에 삽입되고, 연결부(70)와 연결된 신호 케이블(6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골전도 음향장치(1)는 서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by wire, the connection unit 10 is in the form of a connection jack, and the connection unit 10 has a 3-pole terminal or a 4-pole terminal. Can. In this case, the
이때, 신호 케이블(60)은 연결잭인 연결부(10)와 조작부(50)을 통해 송수신 되는 전기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골전도 음향장치(1) 쪽으로 송수신하는 신호선이다.At this time, the
조작부(80)는 골전도 음향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이다.The
도 1에서, 조작부(80)는 신호 케이블(50)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FIG. 1, the
또한, 골전도 음향장치(1)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무선 골전도 음향장치(1)인 경우, 조작부(80)는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하여 무선으로 골전도 음향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a wireless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이러한 조작부(8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81) 및 사용자 입력부(81) 및 동작 제어부(82)는 구비한다.2, the
사용자 입력부(81)는 사용자의 조작에 동작하여 해당 상태의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복수의 스위치는 골전도 음향장치(1)의 모드를 조작하는 모드 스위치,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볼륨 업(volume up) 스위치, 음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볼륨 다운(volume down) 스위치 및 구동 스위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witches is a mode switch for manipulating the mode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a volume up switch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모드 스위치는 전화 수신 상태를 진동으로 알려주는 매너 모드(manner mode) 또는 소리로 알려주는 벨소리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The mode switch is for selecting a manner mode for notifying the call reception state by vibration or a ringing mode for notifying by sound.
따라서, 동작 제어부(82)는 모드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매너 모드 또는 벨소리 모드를 판정한다.Accordingly, the
또한, 구동 스위치는 조작 횟수에 따라 해당 명령이 정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 corresponding comm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driving switch is operated.
예를 들어, 구동 스위치가 1회 조작 시 전화 연결 명령, 전화 종료 명령, 재생 명령 또는 일시 중지 명령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switch may be a call connection command, a call termination command, a play command, or a pause command in one operation.
또한, 음향 재생 중 구동 스위치가 연속해서 2회 조작되면, 음향 파일(예, MP3)에서의 다음 트랙(track)으로의 이동을 위한 것이고, 연속해서 3회 조작되면 이전 트랙으로의 이동을 위한 것일 수 있다.Also, if the drive switch is operated twice consecutively during sound reproduction, it is for moving to the next track in the sound file (eg MP3), and for moving to the previous track when operated three times in succession. Can.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81)의 적어도 일부 동작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at least 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동작 제어부(82)는 본 예의 골전도 음향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사용자 입력부(81), 연결부(70) 및 장착 감지부(40)에 연결되어 있다.The
따라서, 동작 제어부(82)는 이들(81, 70, 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으로 해당 구동 주파수를 갖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동작을 제어한다.Accordingly, the
이로 인해,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 상태나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기능한다. 본 예에서,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상태는 서로 동일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61, 62)는 모두 진동 상태이거나 모두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이다.For this reason, the left and
이러한 동작 제어부(82)의 제어에 의해, 본 예의 골전도 음향장치(1)는 연결부(70)를 통해 무선 또는 유선(60)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음향 신호나 전화를 수신하여 음향 청취나 전화 통화 동작을 실시한다. Under the control of the
본 예에서, 진동 상태를 위한 구동 주파수(제1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100 내지 250Hz일 수 있고,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를 위한 구동 주파수(제2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50 내지 10kHz일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requency (first driving frequency) for the vibration state may be 100 to 250 Hz, and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requency (second driving frequency) for the air conducting speaker state may be 50 to 10 kHz.
이처럼, 동작 제어부(82)에서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진동 상태가 변하게 되어,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즉, 진동 주파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 또는 가청 주파수 대역을 갖게 되고, 이러한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이나 해당 상태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states of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좌측 및 우측 골전도 하우징(21, 22)을 통해 해당 접촉부(301, 302)로 전달되어 해당 접촉부(301, 302)를 진동시킨다. Vibr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동작 제어부(82)는 동작 중에 발생한 데이터 또는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821)를 구비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저장부(821)는 동작 제어부(82)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동작 제어부(82)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이러한 동작 제어부(82)의 동작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구조를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s of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이미 기술한 것처럼,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좌측 진동부(501)에 대하여 설명한다.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먼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좌측 진동부(501)는First, as shown in Figure 3, the
하우징(110), 고정자(120), 진동자(130), 탄성체(140), 음향발생부(150) 및 회로부(160)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후술되는 진동판(153)의 일면과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케이스(111), 음향홀(112) 및 브라켓(113)을 포함한다.The
케이스(111)는 브라켓(113)이 결합되는 부분이 개방된 통 형태를 가지고, 케이스(111)의 상면은 하우징(110)의 타면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1)는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의 둘레보다 상부의 둘레가 작게 형성되는 단턱을 지닌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이다.The
케이스(111)의 하부에는 브라켓(113)이 결합되고, 케이스(111)의 내부에는 고정자(120), 진동자(130), 탄성체(140), 음향발생부(150) 및 회로부(160)의 일부가 실장될 수 있다.A
또한, 하우징(110)은 후술되는 진동판(153)과 대향되면서 이격되어 이격 공간(S)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며, 이격부는 이격 공간(S) 및 음향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격부에는 하우징(111)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홀(11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음향홀(112)의 개수는 복수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t least one
또한, 음향홀(112)은 케이스(111)의 상면과 수직하도록 관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음향이 발생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음향이 외부의 한점으로 모아지거나 방사상으로 퍼질 수 있도록 음향홀(112)의 관통 방향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브라켓(113)은 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와 결합되는 판 형태를 지님에 따라 하우징(110)의 일면을 구성한다. 브라켓(113)은 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와 상응하도록 원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스(11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고정자(12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결합되고, 이러한 고정자(120)는 제1 요크(121) 및 제1 코일(122)을 포함한다.The
제1 요크(121)는 원판의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회전체로서, 브라켓(113)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된다. 제1 요크(121)의 상부는 하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The
제1 코일(122)은 제1 요크(121)에 권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122)은 제1 요크(121)의 상부를 제외한 중앙부 측부를 둘러싸도록 권선되고, 이러한 제1 코일(1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후술되는 마그네트(131)와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자기 회로가 제1 코일(122) 쪽으로 집중하도록 한다.The
제1 인출선(123)은 제1 코일(122)의 권선부에서 컨택부(162)까지 연장되어 제1 코일(122)과 컨택부(16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선으로 제1 코일(122)에 포함된다. 이러한 제1 인출선(123)은 후술되는 컨택부(162)에 연결되되,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컨택부(162)와 연결된다.The
진동자(130)는 마그네트(131) 및 중량체(132)를 포함한다.The
마그네트(131)는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트(131)는 제1 요크(121) 및 제1 요크(121)에 권선된 제1 코일(122)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이때, 마그네트(131)의 내주면은 제1 요크(121)의 상부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마그네트(131)의 내주면은 제1 요크(121) 및 제1 코일(122)와 접하지 않으면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이와 같은 마그네트(131)는 제1 코일(1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 코일(122)과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함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하고, 그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When the
중량체(132)는 정해진 크기의 중량을 가지는 물체로서, 중량체(132)의 질량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체(132)는 진동자(130)의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는 질량을 조정할 수 있고, 중량체(132)의 질량을 조정하여 진동자(300)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The
중량체(132)는 마그네트(13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그네트(131)와 결합됨에 따라 마그네트(131)와 일체로 진동하게 된다.The
탄성체(140)는 하우징(110) 및 진동자(130)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체(140)는 진동자(130)를 하우징(11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탄성체(140)의 상부는 마그네트(131)의 하부와 연결되고, 그에 따라 탄성체(140)는 마그네트(131)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체(140)는 제1 코일(1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그네트(131)와 자기 회로를 형성함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운동하는 마그네트(1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음향발생부(150)는 제2 요크(151), 적어도 일부가 마그네트(131)와 대향되는 제2 코일(152) 및 제2 코일(152)와 하우징(110)에 결합된 진동판(153)을 포함한다.The
제2 요크(151)는 제2 코일(152)에 권선된다. 구체적으로 제1 요크(121)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1 요크(121)와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도 2에는 제2 요크(151)의 외경은 마그네트(1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요크(151)의 외경은 마그네트(131)의 내경보다 작은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제2 요크(151)의 외경과 마그네트(131)의 외경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요크(151)는 진동판(153)의 하면 중앙부에 밀착된다.The
제2 코일(152)은 마그네트(131)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제2 코일(152)의 권선된 권선부의 내경이 마그네트(1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코일(151)의 내경은 마그네트(131)의 내경보다 작은 것도 가능하다. 본 예는 제2 요크(151)의 내경과 마그네트(131)의 내경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코일(152)은 진동판(153)의 타면과 결합된다.The
또한, 제1 코일(122) 및 제2 코일(152)은 마그네트(131)의 서로 다른 면과 대향하도록 위치한다.In addition, the
진동판(153)은 탄성 혹은 신축성을 가진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외에 금속 재질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진동판(153)의 재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진동판(153)은 하우징(110)의 일면과 대향되는 하우징(110)의 타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진동판(153)의 테두리 부분은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진동판(153)의 가운데 부분은 이격부와 대향되면서 이격된다. 이때, 진동판(153)은 하우징(110)과 용접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접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진동판(153)은 상기한 직접 결합하는 방식 이외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한 간접 결합 방식으로 하우징(110)과 결합할 수도 있다.The
또한, 진동판(153)은 하우징(110)의 일면과 대향되는 하우징(110)의 타면에 결합되고, 이러한 진동판(153)은 제2 코일(152)과 마그네트(131)와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내부 공간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일부 시점에 이격 공간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한 구성요소인 제2 요크(151) 및 제2 요크(152)를 둘러싸는 제2 코일(152)은 진동판(153)의 하면에 밀착되어 제2 코일(15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진동판(153)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한다.In addition, the
전술한 탄성체(140)와 음향발생부(150)는 진동자(13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The above-described
제2 인출선(154)은 제2 코일(152)의 권선부에서 양단까지 연장되고, 하우징(110)의 일면과 하우징(110)의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제2 인출선(154)은 제2 코일(152)와 컨택부(16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선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실장된 진동자(13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 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제2 인출선(154)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 회로부(160)의 컨택부(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회로부(160)는 회로기판(161), 컨택부(162) 및 신호 입력단(165, 166)을 포함한다.The
회로기판(161)은 폴리이미드 필름,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등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전기 부품을 부착하고 서로 접속하여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다.The
회로기판(161)은 하우징(110)의 일면에 결합되고, 컨택부(162) 및 신호입력단(165, 16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61)은 브라켓(113)의 상면에 적층되고 회로기판(161)의 상부에는 제1 코일(122)이 위치할 수 있다.The
또한, 회로기판(161)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61)의 컨택부(16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신호 입력단(165, 166)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한다. 컨택부(162)와 신호 입력단(165, 166)은 회로기판(161)의 도전성 패턴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컨택부(162)는 회로기판(161)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전체이다. 컨택부(162)는 제1 코일(122) 및 제2 코일(152) 각각의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신호 입력단(165, 166)은 제1 신호입력단(165) 및 제2 신호입력단(166)을 포함하고, 이러한 신호 입력단(165, 166)은 컨택부(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제1 신호입력단(165)은 컨택부(162)를 통해 제1 인출선(123)과 연결되어 고정자(120)와 진동자(13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first
또한, 제2 신호입력단(166)은 컨택부(162)를 통해 제2 인출선(154)과 연결되어 음향발생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second
본 예에서, 고정자(120)와 진동자(130)는 진동 모드에서 동작하므로, 동작 제어부(14))에 의해 제1 신호입력단(165)으로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며, 음향 모드일 때 동작하는 음향 발생부(150)를 위해 동작 제어부(14)는 제2 신호입력단(166)으로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In this example, since the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좌측 진동부(501)는 동작 제어부(82)의 제어에 따라 진동 발생기(예, 진동 모터)인 진동 상태로 동작하여 진동 발생이나 골전도 동작을 실시하거나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동작하여 해당 음향을 외부로 출력한다.As already described, the
다음,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로 하여, 본 예의 골전도 음향장치(1)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of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본 예의 골전도 음향장치(1)가 연결부(7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면,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전화 수신이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화 통화 동작이나 음향 출력 동작의 제어를 시작한다.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of this example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먼저, 동작 제어부(82)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동작 제어부(82)는 장착 감지부(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좌측 또는 우측 진동부(501, 502) 중 적어도 하나가 두개골과 접해 있는 지, 즉, 골전도 음향장치(1)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장착되어 있는 지 판단한다(S11).First, when the operation of the
골전도 음향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된 상태로 판단되면(S11), 동작 제어부(82)는 연결부(70)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MP3 신호 등과 같은 음향 신호가 전송되는지 판단한다(S12).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mounted on the skull (S11), the
음향 신호가 외부 기기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면(S12), 동작 제어부(82)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진동자(130)를 동작시켜 진동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고 전송되는 음향 신호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골전도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13).When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ich is an external device (S12), the
다음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입력부(8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4), 판독된 사용자 입력부(81)의 동작 상태에 맞게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상태를 제어한다(S15).Next, the
예를 들어, 동작 제어부(65)는 사용자 입력부(81)의 구동 스위치의 조작 횟수에 따른 구동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음향 신호의 출력을 일시 중지시키거나 다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다음 트랙 또는 이전 트랙의 음향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65 transmi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ive switch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operation of the drive switch of the
또한,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입력부(81)의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현재 출력 중인 음향 신호의 크기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처럼 음향 신호가 골전도로 출력 중인 상태에서,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6).In this state, while the sound signal is being output as bone conduction, the
전화가 연결부(7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동작 제어부(82)는 저장부(821)에 저장되어 있는 지정된 벨소리의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해당 벨소리의 음향 신호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지정된 벨소리가 골전도로 사용자의 귀속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17).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귀속에서 인지되는 벨소리를 의해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by the ringtone recognized in his or her own.
다음,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입력부(8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8).Next, the
사용자 입력부(81)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된 상태로 판단되면(S18), 동작 제어부(82)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를 해당 상태로 진동시켜 골전도로 통화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 입력부(81)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화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9, S110).When it is determined that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81 (S18), the
하지만, 단계(S12)에서, 음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동작 제어부(82)는 전화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11).However, in step S12, if no sound signal is received, the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수신된 상태이면(S111), 동작 제어부(82)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가 진동 상태로 동작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저장부(82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벨소리의 음향 신호를 골전도로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출력하여 지정된 벨소리가 사용자의 귀속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112).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111), the
따라서, 사용자는 귀속에서 출력되는 벨소리에 의해 전화 수신을 인지한다.Therefore, the user recognizes the call reception by the ringtone output from the user.
그런 다음, 이미 기술한 것처럼,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입력부(81)를 통해 전화 통화 명령이 입력된 후 전화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진동 동작에 의한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13-S115).Then, as described above, the
하지만, 단계(S11)에서, 장착 감지부(40)의 동작에 의해 골전도 음향장치(1)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착용된 상태가 아닌 경우면, 동작 제어부(82)는,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은 동작을 실시한다.However, in step S11, i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not worn on the skull of the user by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즉, 도 4b의 단계(S21)에서처럼, 동작 제어부(82)는 전화 수신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지 판단한다(S21).That is, as in step S21 of FIG. 4B, the
전화가 수신되는 상태이면(S21),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설정된 모드가 매너 모드인지 판단한다(S22).When a call is received (S21), the
설정된 동작 모드가 매너 모드이면(S22), 동작 제어부(82)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가 진동 상태로 동작하도록 한 후, 저장부(821)에 저장된 패턴으로 진동이 발생하도록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를 동작 시킨다(S23).If the set operation mode is a manner mode (S22), the
이러한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동작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는 정해진 패턴으로 정해진 주기로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는 두개골에 골전도 음향장치(1)가 장착되지 않더라도 전화 수신 상태를 인지한다.By the operation of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다음,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입력부(8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S24), 장착 감지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골전도 음향 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25).Next, the
골전도 음향 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된 상태이면(S25), 동작 제어부(82)는 단계(S114)로 넘어가, 이미 기술한 것과 같이, 골전도를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mounted on the skull (S25), the
하지만,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즉, 골전도 음향 장치(1)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착용된 상태가 아니면,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가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전화 통화를 실시하고자 하는 상태로 판단한다.However, if it is not connected, that is, i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not worn on the user's skull, the
따라서, 동작 제어부(82)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의 음향발생부(150)를 동작시켜 해당 진동부(501, 502)가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동작하도록 한 후(S26),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통화 신호를 출력하여 전화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를 이용해 스피커 상태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7, S28).Accordingly, the
하지만, 단계(S22)에서, 매너 모드가 아닌 경우,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판정한다(S29).However, in step S22, if it is not a manner mode, the
이런 경우, 동작 제어부(82)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가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고, 저장부(82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해진 벨소리를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출력한다(S210).In this case, the
따라서, 사용자는 골전도 음향 장치(1)의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에서 출력되는 벨소리를 인지하여 전화 수신 상태를 인지한다.Accordingly, the user recognizes the call reception state by recognizing the ringtones output from the left and right vibrating
그런 다음, 이미 기술한 것처럼,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입력부(81)를 통해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는 판단한다(S211).Then, as described above, the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S211), 동작 제어부(82)는 접촉 감지부(20)를 이용하여 골전도 음향 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212).When a telephone connection command for a phone call is input (S211), the
골전도 음향 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된 상태가 아니면(S212), 동작 제어부(82)는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통화 신호를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출력하여 통화 내용이 소리로서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S213, S214).I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not mounted on the skull (S212), the
반면, 골전도 음향 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된 상태이면(S212), 동작 제어부(82)는 다시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가 진동 상태로 동작하도록 한 후 통화 신호를 진동으로 전달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15-S217).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mounted on the skull (S212), the
다시 단계(S21)로 넘어가, 골전도 음향 장치(1)가 두개골에 장착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지 않으면, 동작 제어부(82)는, 도 4c에 도시한 것처럼, 음향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31).Moving back to step S21, if a call is not received while the bone conduction acoustic device 1 is not mounted on the skull, the
음향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제어부(82)는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가 동작하도록 한 후 수신되는 음향 신호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한다(S32).When the sound signal is received, th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82)는 사용자 입력부(81)의 조작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상태를 제어한다(S33, S34).Then, th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82)는 음향 신호에 해당하는 음향을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를 통해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35).Then, the
전화가 수신된 상태로 판단되면(S35), 동작 제어부(82)는 지정된 벨소리에 해당하는 음향을 좌측 및 우측 진동부(501, 502)로 출력하여, 전화 수신 상태를 벨소리로 알린다(S36).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received (S35), th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82)는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입력부(81)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전화 통화가 이루어져, 좌측 및 우측 진동부(21, 22)를 이용하여 외부로 통화 내용이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출력되도록 한다(S37-S38).Then, when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the
이러한 본 발명의 골전도 음향 장치(1)는 골전도를 이용한 전화 통화나 음향 출력뿐만 아니라, 외부로 진동을 발생시켜 전화 수신 상태를 알려주고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전화 통화나 음향 출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 환경에 맞게 골전도 음향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며, 골전도 음향 장치(1)에 대한 제품의 만족도 역시 향상된다.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a phone call or sound output using bone conduction, but also generates a vibration to the outside to inform a call reception state and makes a phone call or sound output in an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according to his or her surroundings, the user's satisfaction is greatly improved, and the product satisfaction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 is also improved.
또한, 각 진동부(501, 502)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상태뿐만 아니라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도 기능하므로, 골전도 음향 장치(1)에 스피커 장착이나 외부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진동 발생기(예, 진동모터)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피커나 진동 발생기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므로 본 예의 골전도 음향 장치(1)에 대한 설계의 어려움이 크게 줄어들고, 골전도 음향 장치(1)의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 골전도 음향 장치
10: 본체
21: 좌측 골전도 하우징
22: 우측 골전도 하우징
310: 좌측 접촉부
302: 우측 접촉부
40: 장착 감지부
501: 좌측 진동부
502: 우측 진동부
70: 연결부
80: 조작부
81: 사용자 입력부
82: 동작 제어부
110: 하우징
111: 케이스
112: 음향홀
113: 브라켓
120: 고정자
121: 제1 요크
122: 제1 코일
123: 제1 인출선
130: 진동자
131: 마그네트
132: 중량체
140: 탄성체
150: 음향발생부
151: 제2 요크
152: 제2 코일
153: 진동판
154: 제2 인출선
160: 회로부
161: 회로기판
162: 컨택부
165: 제1 신호입력단
166: 제2 신호입력단
S: 이격 공간1: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10: main body
21: left bone conduction housing 22: right bone conduction housing
310: left contact 302: right contact
40: mounting detection unit 501: left vibration unit
502: right vibrating part 70: connecting part
80: control panel 81: user input
82: motion control unit 110: housing
111: case 112: acoustic hall
113: bracket 120: stator
121: first yoke 122: first coil
123: first lead line 130: vibrator
131: magnet 132: weight
140: elastic body 150: sound generating unit
151: second yoke 152: second coil
153: diaphragm 154: second lead wire
160: circuit unit 161: circuit board
162: contact unit 165: first signal input terminal
166: second signal input terminal S: separation space
Claims (20)
상기 접촉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상태로 동작하고,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음향을 출력하는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동작하는
골전도 음향장치.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skull; And
Vibration unit vibrating the contact portion
Including,
The vibration unit operates in a vibration state that generates vibration when a driving signal of a first driving frequency is applied, and operates in a state of air conduction speaker that outputs sound when a driving signal of a second driving frequency is applied.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의 사용자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및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장착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는 골전도 음향장치.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mounting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user; And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user input unit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and the mounting detection unit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further comprising.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골전도 음향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unit is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through a wired cable.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음향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골전도로 출력하는
골전도 음향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By controlling the vibrating unit to the vibration state, the sound signal is output to the bone conduction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의 출력 중에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골전도도 상기 벨소리를 출력하여 전화 수신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during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the operation control unit generates a vibration corresponding to a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ng unit, outputs the ring through the bone conduction, notifies the call reception state, and receives a call connection command from the user input unit.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o make a phone call to the bone conduction using the vibration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골전도로 상기 벨소리를 출력하여 전화 수신 상태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controls the vibration unit to the vibration state, and then generates vibration corresponding to a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on unit.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hat outputs the ringtone as a bone conduction to notify a call reception state, and when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a phone call is made to the bone conduction using the vibration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비장착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음향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공기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골전도 음향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not mount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to the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to output the sound signal in an air conduction manner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의 출력 중에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음향 신호를 공기전도 방식으로 출력하여 상기 벨소리로 전화 수신 상태를 알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공기전도 방식으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during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ng unit in an air conduction manner to inform the call reception state of the ring tone, and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o make a phone call by air conduction method using the vibration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모드가 매너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한 후 진동을 발생시켜 전화 수신 상태를 통지하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n a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vibration unit to the vibration state by outputting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mode se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s a silent mode.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s and notifies the call reception status.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모드가 벨소리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진동부로 정해진 벨소리에 해당하는 음향 신호를 공기전도 방식으로 출력하여 상기 벨소리로 전화 수신 상태를 알리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when the mode se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s a ringtone mode, thereby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to an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ing tone determined by the vibrating unit in an air conduction manner to inform the call reception state with the ring tone.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이면,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telephone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and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the vibration unit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o make a phone call with bone conduction.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비장착 상태이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공기전도 스피커 상태로 제어하여 공기전도 방식으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not moun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the vibration unit to control the vibration unit to the air conduction speaker state so that a telephone call is made through an air conduction method.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이면, 상기 진동부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부를 상기 진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골전도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0,
When a call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and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to the vibration unit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hat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control the vibrating unit to the vibrating state so that a telephone call is made to the bone conduction using the vibrating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전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장착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골전도 음향장치가 비장착 상태이면, 공기전도 방식으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telephone conn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moun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mounting detection unit, and if the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s not mounted, air conduction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that allows phone calls to be made in a manner.
상기 진동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 요크 및 상기 제1 요크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제1 코일과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왕복 운동하고, 마그네트 및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진동판을 포함하는 음향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향발생부는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와 다른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골전도 음향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vibration unit,
A housing forming an interior space;
A stator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yoke and a first coil wound around the first yoke;
An oscillator reciprocating in the internal space by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ils and including a magnet and a weight;
An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vibrator; And
Sound generating unit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il facing the magnet and the diaphragm coupled to the second coil and the housing
Including,
The vibrator generates the vibration when a driving signal of a first driving frequency is applied,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outputs the sound when a driving signal of a second driving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applied.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100 내지 250Hz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50 내지 10kHz인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5,
The size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100 to 250Hz, and the size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is 50 to 10kHz.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판과 대향되면서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일부 시점에 상기 이격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5,
The housing includes a spac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to form a space apart,
The diaphragm is located inside the separation space at some point while reciprocating in the interior space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coil and the magnet.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상기 이격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홀이 형성된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7,
A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soun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spacer.
상기 마그네트는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향하는
골전도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5,
The magne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through which the middle portion passes,
The first coil is oppos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The second coil is opposite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magnet
Bone conduction sound device.
상기 음향발생부는 상기 제2 코일에 권선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하는
골절도 음향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sound gener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yoke wound on the second coil
Fracture sound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3389A KR102195075B1 (en) | 2018-12-17 | 2018-12-17 | Sound device of bone cond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3389A KR102195075B1 (en) | 2018-12-17 | 2018-12-17 | Sound device of bone cond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4698A true KR20200074698A (en) | 2020-06-25 |
KR102195075B1 KR102195075B1 (en) | 2020-12-24 |
Family
ID=7140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3389A KR102195075B1 (en) | 2018-12-17 | 2018-12-17 | Sound device of bone cond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5075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4363A (en) * | 2003-03-28 | 2004-10-06 | 에스텍 주식회사 | Speaker for generating both vibration and sound |
KR20100121176A (en) * | 2009-05-08 | 2010-11-17 | (주)그란츠에이앤티 | Wirelss bone conduction headset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
KR101503868B1 (en) | 2013-01-25 | 2015-03-18 | 이남규 | Speaker whit vibration motor |
KR101771607B1 (en) * | 2016-09-02 | 2017-08-25 | 김대익 | Dual type apparatus for listening |
KR20180075929A (en) * | 2016-12-27 | 2018-07-05 | 최병철 | Bone conduction wearabl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2018
- 2018-12-17 KR KR1020180163389A patent/KR10219507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4363A (en) * | 2003-03-28 | 2004-10-06 | 에스텍 주식회사 | Speaker for generating both vibration and sound |
KR20100121176A (en) * | 2009-05-08 | 2010-11-17 | (주)그란츠에이앤티 | Wirelss bone conduction headset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
KR101503868B1 (en) | 2013-01-25 | 2015-03-18 | 이남규 | Speaker whit vibration motor |
KR101771607B1 (en) * | 2016-09-02 | 2017-08-25 | 김대익 | Dual type apparatus for listening |
KR20180075929A (en) * | 2016-12-27 | 2018-07-05 | 최병철 | Bone conduction wearabl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5075B1 (en) | 2020-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26025B2 (en) | Speaker | |
CN104796828B (en) | A kind of loudspeaker module | |
EP2408219A1 (en) | Micro speaker | |
KR20100044381A (en) | Vibration motor | |
US7231057B2 (en) | Multi-function actuator capable of preventing vibration | |
JP2002102799A (en) | Vibrator with vibration transmitter and its fitting structure | |
JP2003145048A (en) | Bone conduction vibrating actuator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US20200045465A1 (en) | Speaker | |
US9456281B2 (en) | Miniature speaker | |
CN109863756B (en) | Bone conduction speaker and bone conduction headphone device | |
US6717305B2 (en) | Apparatus hav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m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nd a part of vibration generating means | |
KR20160067344A (en) | Multi-Function Microspeaker | |
KR102127977B1 (en) | Wireless headset | |
KR200287504Y1 (en) | Speaker including dc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 |
KR20200047158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421900Y1 (en) | Speaker for mobile-phone | |
KR20060058078A (en) | Speaker for mobile-phone | |
KR101057077B1 (en) | Multifunction micro speaker | |
KR100842092B1 (en) | Vibrating mechanism of electric sounder | |
JP2012119845A (en) | Electromagnetic electric-acoustic transducer | |
US10631092B2 (en) | Speaker | |
KR102195075B1 (en) | Sound device of bone conduction | |
JP2006345212A (en) | Call termination reporting system,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electrical device | |
KR20120005288A (en) | Multi-function micro-speaker | |
KR100317743B1 (en) | producing system of vibration and sou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