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529A -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529A
KR20200074529A KR1020180163025A KR20180163025A KR20200074529A KR 20200074529 A KR20200074529 A KR 20200074529A KR 1020180163025 A KR1020180163025 A KR 1020180163025A KR 20180163025 A KR20180163025 A KR 20180163025A KR 20200074529 A KR20200074529 A KR 2020007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lothing
information
apparel
col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242B1 (ko
Inventor
도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riority to KR102018016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2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한 상의 또는 하의의 색상과 조합되는 색상을 갖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LOR INFORMATION OF COMBINED CLOTHES USING COLOR INFORMATION OF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검색한 의류, 상의 또는 하의의 색상과 조합되는 색상을 갖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구입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우며 귀찮은 일이 되는 경우가 많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의류를 직접 입어보고 어울리는지 판단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어울리는 의류를 선택하는 것은 어렵다.
상의와 어울리는 하의 또는 하의와 어울리는 상의를 선택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하며, 마음먹고 들른 매장에서 맘에 드는 상의 또는 하의는 발견했으나 상의와 어울리는 하의, 하의와 어울리는 상의는 발견하지 못하는 곤란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한 의류, 상의 또는 하의의 색상과 조합되는 색상을 갖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는, 의류가 포함된 복수의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진을 분석하여 임의의 의류의 색상에 대한 다른 의류의 색상 사이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임의의 의류의 색상에 대하여, 연관도가 가장 높은 의류의 색상을 어울리는 색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과 어울리는 복수의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연관도는 상기 특정 의류의 색상에 대해 등장 빈도 또는 색상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의 사진에 포함된 의류의 상의 영역 및 하의 영역을 분리하고 특정 상의의 색상과 연관도가 가장 높은 하의의 주요 색상을 저장하거나, 특정 하의의 색상과 연관도가 가장 높은 상의의 주요 색상을 저장한다.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색상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색상에 기반하여 의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의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의 사진의 날짜나 계절관련 정보를 상기 특정 의류의 색상과 어울리는 의류의 주요 색상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의류 정보는 상기 의류의 사진과 상기 의류에 대한 판매점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연관도는 상기 특정 의류의 색상에 대해 등장 빈도, 색상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이외에, 상기 사진의 날짜나 상기 계절관련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의류 정보는 상기 의류에 대한 키토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과 다른 색상과의 연관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색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색상에서 하나의 색상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색상과 관련된 키토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색상을 기반으로 검색된 의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검색한 의류, 상의 또는 하의의 색상과 조합되는 색상을 갖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한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 설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패키지의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의 분야 표시부에서 옷을 선택한 경우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도 7의 검색 결과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표시되는 색상 코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인터페이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과 연관된 의류 정보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말(200), 정보 제공 장치(300) 및 통신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기타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적 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300)는 예를 들어 워크스테이션, 서버, 일반용 컴퓨터, 기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적 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는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되며 통신망(150)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통신망(150)은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WI-FI,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타 과거, 현재에 개발되었거나 향후 사용 가능하게 되는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통신망(150)을 언급하지 않고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가 직접 통신하는 것처럼 설명한다.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단말(200)은 입력부(210), 표시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50)에게 송신한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센서, 터치패드, 키패드, 음성 입력, 기타 현재, 과거에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입력 처리 장치들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출력한다. 표시부(220)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 LED(발광 다이오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프로젝터, 기타 현재, 과거에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표시 장치들로써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예를 들어 정보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페이지나 정보 제공 결과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화면 출력 대신 음성 출력이나 진동 등 기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구성부가 표시부(220)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정보 제공 장치(300) 및/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통신부(230)는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한다. 통신부(23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은 통신망(150)의 유형이나 기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정보 제공 요청, 기타 데이터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송신하고,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따라 결과 페이지 및/또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동작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여러 연산 장치에 의하여 분산 처리될 수 있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동작 중 일부는 제1 서버가 수행하고 다른 동작은 제2 서버가 수행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연산 장치의 총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저장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나 저장부(240)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여러 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되는 경우 여러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저장부(240)나 제어부(250)가 하나의 객체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단말(200)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관점에 따라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30)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250)가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단말(200) 및/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통신부(310)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320)에게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통신부(31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은 통신망(150)의 유형이나 기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32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제어부(32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페이지 요청, 정보 제공 결과 페이지 요청, 기타 데이터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하면 저장부(33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오고(load) 페이지 정보를 생성하여 페이지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단말기(200)에게 전달한다.
정보 제공 장치(3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관점에 따라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10)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320)가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330)는 통신부(310)가 송수신하거나 제어부(320)가 제어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이하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그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패키지(설치 프로그램 코드)를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이라 칭한다.
정보 제공 장치(300)를 개발하는 개발자 또는 관리자는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패키지 배포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패키지 배포 서버가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패키지 배포 서버는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단말(200)에 전달한다.
패키지 배포 서버의 동작 및 정보 제공 장치(300)의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 대신 음성이나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한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하기 위한 페이지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HTML 문서 또는 기타 마크업 언어 문서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200)이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서식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으며, 컨텐츠에 해당하는 사항만이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단말(2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 또는 기타의 페이지 정보는 HTML 문서 형식으로 전달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42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3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HTML 문서를 해석하여 웹 페이지의 형태로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대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사용자(400)에게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400)가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정보 제공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고 기타 정보 제공을 위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단말(200)의 입력부(21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400)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단계 460에서 단말(200)의 통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식별할 수 있는 입력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7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키워드 및/또는 기타 정보 제공 설정)을 이용하여 결과 페이지 정보를 생성한다. 결과 페이지 정보는 예를 들어 HTML 문서 형식 및/또는 이미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48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결과 페이지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9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결과 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 페이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HTML형식의 결과 페이지 정보를 해석하여 결과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단계 495에서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결과 페이지를 사용자(400)에게 제공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형태의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음성을 통해 인터페이스나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표시부(220) 대신 음성 출력부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각적/청각적 방식 대신 현재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사용자(400)와의 관계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300)는 인터페이스 방식에 맞도록 페이지 정보 대신 다른 방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 설치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510에서 단말(200)은 패키지 배포 서버(500)에게 패키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패키지 요청 메시지는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단계 520에서 패키지 배포 서버(500)는 단말(200)에게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 (패키지)를 전달한다.
단계 530에서 단말(200)은 수신한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패키지)을 설치한다. 설치가 불필요하고 수신한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그대로 실행할 수 있는 경우 단계 530은 생략될 수 있다.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키지 배포 서버(500)가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패키지)을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정보 제공 장치(300)가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패키지)을 단말(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패키지의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도 5의 단말에서의 패키지 설치(530)에 따라 단말에 설치된 패키지의 인터페이스 페이지 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600)는 제목표시부(601), 인기 키토크 표시부(602), 분야 표시부(603), 인기 정보 표시부(604), 텍스트 입력부(605) 및 통합 음성 입력 버튼(606)를 포함한다.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600)를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키토크는 토크(talk)의 키(key)가 된다는 의미로서 사용되며, 키워드들과의 연관도 정보를 통해 표현, 정의되거나 그 특성, 활용방식, 성질 등이 표현, 정의될 수 있는 문자열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방식, 예를 들어 관리자의 수동 입력에 따라 정의/표현되는 키토크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키토크는 취향을 나타내는 필터로서 작용한다는 의미에서 취향필터라고 칭해질 수도 있는데, 취향필터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호사항, 기호를 나타내며 단어, 구문 또는 문장일 수 있다.
제목표시부(601)는 패키지의 제목을 표시한다. 또한 제목표시부(601)는 공지사항이나 키토크에 대한 힌트등을 표시한다. 키토크에 대한 힌트는 각 분야별로 설정된 속성에 대한 설정값과 속성에 대한 키토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야가 스타인 경우 속성에 대한 설정값은 외모, 성격, 분위기, 지성미, 특이취향, 신조어 등이고, 외모에 대한 키토크는 "잘생긴", "귀여운", "화려한", "눈부신", "눈에띄는", "예쁜", "우아한", "육감적인", "관능적인", "빛나는", "통통한", "말끔한", "풋풋한", "아름다운" 등일 수 있다.
인기 키토크 표시부(602)는 현재 인기있는 키토크와 키토크가 적용되는 분야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인기 키토크 표시부(602)는 키토크 "커플을 위한"과 키토크가 적용되는 분야 "영화"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분야 표시부(603)는 검색이 수행될 분야를 표시한다. 분야는 키토크를 기반으로 정보가 추출되는 항목일 수 있다. 분야는 예를 들어, 스타, 영화, 방송, 웹툰, 맛집, 숙박, 요리, 와인, 아트, 맥주, 여행(국내), 액티비티(국내), 옷, 화장품, 헤어, 선물, 음악, 도서, 쥬얼리, 시계, 패션소품, 아이웨어, 신발, 간편식품, 편의시설, 프랜차이즈음식점, 커피전문점, 가방, 향수 등의 항목일 수 있다. 분야 표시부(603)는 분야와 함께 분야에 대한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작은 이미지 또는 글자로 구성된 분야 목록을 표시한다.
인기 정보 표시부(604)는 사용자가 통합 음성 입력 버튼(606)을 통하여 음성으로 입력하거나 텍스트 입력부(605)를 통하여 입력한 텍스트 중에서 인기가 많은 검색어 또는 사용자가 많이 검색한 정보에 대하여 관리자가 선정하고 구성한 단어, 어구 또는 문장을 단독으로 또는 관련 이미지와 결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인기 정보 표시부(604)는 '스테이크랑 먹기 좋은 와인', '종로에 유명한 막걸리집', '영화 베놈 평점 어때'또는 '지금 완전 핫하다는 정 부회장님 맛집'와 같은 일상생활 언어 수준의 단어, 어구 또는 문장을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부(605)는 음성 대신 사용자로부터 키토크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설정한 키토크 중에서 일부를 입력받는다.
통합 음성 입력 버튼(606)이 선택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패키지가 설치된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입력부(210)를 작동시키고 표시부(220)를 통해 음성 입력이 작동중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듣고 있어"등으로 사용자에게 음성 입력이 작동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마이크등의 음성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의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으로 입력어를 입력받으며 입력어는 단어이거나 구문이거나 문장일 수 있다.
패키지가 설치된 단말(200)은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한다.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은 패키지가 설치된 단말(200)의 제어부(25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정보 제공 장치(300)가 단말(200)에 입력된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음성을 인식한 후 텍스트로 변환하여 변환된 텍스트를 단말(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패키지가 설치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분야 관련 단어를 추출하거나 키토크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 맛있고 깔끔한 맛집 없냐"라고 음성으로 입력한 경우 패키지가 설치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내용에서 키토크 "깔끔한"과 키토크 "맛있는"과 유사한 "맛있고"를 추출하고 분야에 해당하는 "맛집"을 추출한다.
패키지가 설치된 단말(200)은 추출된 키토크를 기반으로 각 분야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되는 정보는 각 분야에 해당하는 객체 정보일 수 있다.
단말(200)은 각 분야별로 각 분야에 해당하는 객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야가 "맛집"인 경우, 정보제공장치(300)가 제공한 "맛집" 분야에서의 맛집 정보가 표시되며, 분야가 "연예인"인 경우 영화배우나 탤런트, 가수 등의 이미지와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페이지(600)는 취향발견 버튼(60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한 취향을 선택하여 검색이 가능한 페이지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 은 도 6의 분야 표시부에서 옷을 선택한 경우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700)은 제목표시부(710), 추천 키토크 표시부(720), 검색결과 필터부(730), 검색결과 정렬부(740), 검색결과 크기조정부(750), 검색결과 표시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목표시부(710)는 검색 대상 카테고리를 포함한 패키지의 제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목표시부(7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키토크 표시부(720)는 검색 대상 카테고리와 연관된 키토크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결과 필터부(730)는 의류에 대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기 위한 검색 결과 필터링 항목을 표시하고 검색 결과 필터링 항목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한다.
검색 결과 필터링 항목은 느낌, 디자인, 이벤트, 카테고리등의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기 위한 키토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느낌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필터부(730)는 느낌에 관한 복수의 필터로서 "섹시한", "여성스러운", "편안한", "깔끔한", "점잖은", "시크한", "고급스러운"등의 느낌에 관한 키토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자인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필터부(730)는 디자인에 관한 복수의 필터로서 "슬림한", "여리여리한", "심플한", "날씬해보이는" 등의 디자인에 관한 키토크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에 관한 키토크는 "데이트", "결혼식", "면접", "출근", "파티", "여행"등의 이벤트에 맞는 의류를 선택하기 위한 키토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에 관한 키토크는 "셔츠/블라우스", "티셔츠", "가디건", "스웨트셔츠/후드", "니트", "원피스", "점프수트", "캐주얼 아우터", "스커트/스칸츠"등의 의류의 종류에 관한 키토크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결과 정렬부(740)는 검색결과를 낮은 가격순 또는 높은 가격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검색결과 크기 조정부(750)는 검색결과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고 한 줄당 복수개의 검색결과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한 줄당 하나의 검색결과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검색결과 표시부(760)는 정보제공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검색결과를 표시한다.
검색결과 표시부(760)는 한 줄당 복수개의 검색결과를 표시하거나 한 줄당 하나의 검색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결과는 의류의 사진, 의류에 관한 키토크와 의류의 판매점 및 의류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결과는 정보제공장치(300)가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상의 또는 하의와 어울리는 색상을 포함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도 7의 검색 결과에서 하나의 의류를 선택하면, 단말(200)은 종합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한다.
종합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의류의 사진, 색상, 제품코드, 판매가격, 사이즈, 기장, 소재 등의 기본 정보와 기분에 따른 코디 정보, 분위기에 따른 코디 정보, 이벤트나 피부톤에 따른 코디 정보 및 색상 코디 인터페이스 페이지(800)를 포함한다.
도 8은 사용자가 도 7의 검색 결과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표시되는 색상 코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색상 코디 인터페이스 페이지(800)는 페이지 제목 표시부(810), 페이지 설명부(820) 및 색상 선택부(830)를 포함한다.
페이지 제목 표시부(810)는 "여자 옷 코디", "남자 옷 코디" 및 "함께 입으면 좋은 색상" 등의 페이지를 설명하는 문장이나 어구를 포함한다.
페이지 설명부(820)는 페이지에 대한 특징 및 페이지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한다.
색상 선택부(8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과 어울리는(연관도가 높은) 복수의 색상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색상 중 하나의 색상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단말(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을 정보제공장치(300)로 전송한다.
정보제공장치(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을 포함하는 의류를 검색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을 키토크로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8의 인터페이스 페이지에서'파란색'을 선택한 경우 정보제공장치(300)는 '파란색'을 키토크로 사용하여 이 키토크가 포함된 의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인터페이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과 연관된 의류 정보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의류 정보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900)는 키토크 표시부(910), 정렬방법선택부(920) 및 의류정보표시부(930)를 포함한다.
키토크 표시부(910)는 의류 정보의 검색에 사용된 키토크를 표시한다. 키토크는 도 8의 인터페이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방법선택부(920)는 순위미반영탭(921) 및 순위반영탭(922)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순위미반영탭(921) 및 순위반영탭(922)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검색된 의류 정보의 정렬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순위미반영탭(921)을 선택하면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내의 순위가 미반영되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등록일 또는 가격순으로 정렬된 의류 정보 결과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순위반영탭(921)을 선택하면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내의 순위가 반영되어 사용자의 취향이나 등록일 또는 가격순으로 정렬된 의류 정보 결과가 표시된다. 즉,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내의 순위가 최우선적으로 반영되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등록일 또는 가격이 그 다음으로 반영된다.
의류정보표시부(930)는 검색된 의류 정보를 표시한다. 의류 정보는 의류의 사진, 의류에 대한 판매점 정보 및 의류의 명칭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의류 정보는 의류에 대한 키토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01에서 정보제공장치(300)는 의류가 포함된 복수의 사진을 획득한다. 사진은 상의와 하의 또는 원피스를 착용하고 촬영된 것을 포함하며 인터넷의 포털사이트, 카페, 블로그, SNS, 다수의 홈페이지 및 커뮤니티 사이트 등을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단계 1002에서 정보제공장치(300)는 수집된 복수의 사진을 분석하여 의류의 특정 색상과 어울리는(연관도가 가장 높은) 주요 색상을 저장한다. 또한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사진이 촬영된 날짜를 포함하거나 계절이 판단가능한 경우 촬영된 날짜나 계절을 해당 색상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300)는 복수의 사진에 포함된 의류의 상의 영역 및 하의 영역을 분리하고 상의의 주요 색상과 하의의 주요 색상을 연결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원피스와 같은 상의와 하의의 구분이 없는 의류의 경우 원피스와 함께 등장하는 다른 의류의 주요 색상을 원피스의 색상과 연결시켜 저장할 수 있다.
수집된 사진에서 의류의 상의 영역 및 하의 영역, 또는 기타 의류 영역을 분리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진 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sk R-CNN(Regions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Mask R-CNN의 기초가 되는 R-CNN 방식은 먼저 i) 이미지를 입력받고 ii) 영역 제안 또는 바운딩 박스를 만든다. 바운딩 박스를 만들기 위해 셀렉티브 서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색상이나 강도 패턴이 유사한 인접 픽셀을 합쳐서 바운딩 박스를 만드는 방식이다. iii) 만들어진 바운딩 박스의 사이즈를 일원화시키고 CNN(AlexNet의 변형 버전)에 입력하여 이미지를 분류한다. iv) 바운딩 박스 좌표를 정확히 조정하기 위해 선형 회귀 모델을 사용한다. R-CNN을 발전시킨 Fast R-CNN, Faster R-CNN, Mask R-CNN이 알려져 있고, 이 Mask R-CNN이 상의 및 하의에 해당하는 영역을 분리하는 방법의 예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고, 의류의 상의 및 하의에 해당하는 영역을 분리하는 다른 기술이 본 명세서의 기술들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https://tensorflow.blog/2017/06/05/from-r-cnn-to-mask-r-cnn/ 또는 https://youtu.be/kcPAGIgBGRs에서 확인될 수 있다.
주요 색상은 상의, 하의 또는 원피스의 색상에 대해 미리 정해진 비율 또는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으로 검색되거나 확인되는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영역의 색은 비교적 비유사한 둘 이상의 색상(그룹)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한 사진에서 의류 영역에 표시된 색을 유사색 범위 내의 색끼리 합쳐서 색상 그룹을 만들어 저장될 수 있다. 유사색 범위의 판단은 예를 들어 각 색을 Red/Green/Blue 값을 기초로 벡터로 나타내어 벡터 간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내인 경우 유사 색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색상 그루핑을 위해 사용되는 이미 알려진 기술 또는 미래에 알려질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사진에서 상의와 하의가 한 사람의 의류로서 등장한다고 가정한다. 상의의 주요 색상 그룹이 A라고 하고 하의의 주요 색상 그룹이 B라면 색상 그룹 A와 색상 그룹 B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상의에서 주요 색상 그룹 A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 및 하의에서 색상 그룹 B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함께 연결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의의 색상 그룹 A와 하의의 색상 그룹 B가 연관되어 저장된 빈도와 색상 그룹 B가 해당 의류에서 평균적으로 차지하는 면적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의 색상 그룹 A에 대한 하의 색상 그룹 B 간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의의 주요 색상 그룹 A와 함께 등장하는 하의의 주요 색상 중 색상 그룹 B의 등장 빈도가 x고 색상 그룹 B가 해당 의류들에서 평균적으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y라면 x와 y를 곱한 값이 색상 그룹 A에 대한 색상 그룹 B의 연관도가 될 수 있다. 단순 곱셈 대신 x와 연관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하고 y와 연관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다른 연산방식(xlog(y), x√y 등 )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등장 빈도만이 사용되고 면적 비율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의의 주요 색상 그룹이 A를 포함하는 경우 정보제공장치(300)는 색상 그룹 A에 대한 다른 색상 그룹들의 연관도를 토대로 연관도가 높은 색상 그룹 (예를 들어 색상 그룹 B)들이 연관도 순서대로 단계 1003에서 사용될 수 있다.
날짜/계절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특정 계절 또는 특정 날짜구간의 사진에 대하여만 위의 과정을 수행하여 색상 간의 날짜 구간 반영 연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날짜 구간 반영 연관도는 사용자가 날짜/계절 등을 고려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점의 날짜/계절을 반영하여 추천 결과를 주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의 색상에 대한 하의 색상 연관도 산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의 색상에 대한 상의 색상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1003에서 정보제공장치(300)는 검색결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정보와 의류의 색상을 확인한다.
정보제공장치(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과 어울리는 색상(연관도가 가장 높은 색상)으로 저장된 색상들을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저장부(330)를 통하여 검색한다. 선택한 의류의 색상(그룹)이 둘 이상인 경우 둘 이상의 각 색상 그룹에 대해 연관도가 가장 높은 색상그룹으로 저장된 색상그룹들을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저장부(330)를 통하여 검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한 의류의 색상그룹이 둘 이상인 경우 선택한 의류에서 각 색상그룹이 차지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각 색상그룹에 연관된 색상그룹의 검색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한 의류에서 색상그룹 G가 차지하는 영역이 80%고 색상그룹 H가 차지하는 영역이 20%라면 G와 연관도가 높은 색상그룹 4개와 H와 연관도가 높은 색상 그룹 1개를 검색해서 단계 1004에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1004에서 정보제공장치(300)는 검색된 복수의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페이지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로 송신한다.
의류의 주요 색상이 저장될 때 촬영 날짜나 계절도 포함되어 저장되므로 사용자에게 송신되는 복수의 색상은 현재의 계절,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계절(날짜 구간)을 고려하여 검색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계절 또는 특정 날짜 구간의 사진에 대하여만 위의 과정을 수행하여 획득된 날짜 구간 반영 연관도가 사용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300)는 이와 같이 계절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과 어울리는(연관도가 가장 높은) 복수의 색상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색상 중 하나 이상의 색상을 선택하면 단말(200)이 선택한 색상의 식별 정보를 정보제공장치(300)에게 송신하고 정보제공장치(300)는 선택된 색상에 기반하여 의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의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로 송신한다. 단말(200)은 수신한 의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의류 정보는 의류의 사진, 의류에 대한 판매점 정보 및 의류에 대한 키토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특정 의류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의류를 구매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의류가 포함된 복수의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진을 분석하여 임의의 의류의 색상에 대한 다른 의류의 색상 사이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임의의 의류의 색상에 대하여, 연관도가 가장 높은 의류의 색상을 어울리는 색상으로써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과 어울리는 복수의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도는 상기 임의의 의류의 색상에 대해 등장 빈도 또는 색상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진에 포함된 의류의 상의 영역 및 하의 영역을 분리하고 특정 상의의 색상과 연관도가 가장 높은 하의의 주요 색상을 저장하거나, 특정 하의의 색상과 연관도가 가장 높은 상의의 주요 색상을 저장하는 것인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색상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색상에 기반하여 의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의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진의 날짜나 계절관련 정보를 특정 의류의 색상과 어울리는 의류의 주요 색상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정보는 상기 의류의 사진과 상기 의류에 대한 판매점 정보를 포함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도는 상기 특정 의류의 색상에 대해 등장 빈도, 색상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상기 사진의 날짜나 상기 계절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정보는 상기 의류에 대한 키토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장치.
  9.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색상과 다른 색상과의 연관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색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색상에서 하나의 색상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색상과 관련된 키토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색상을 기반으로 검색된 의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정보는 상기 의류의 사진과 상기 의류에 대한 판매점 정보를 포함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도는 상기 의류의 색상에 대한 다른 색상의 등장 빈도, 다른 색상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
  12. 제 9 항에서 있어서,
    상기 의류 정보는 상기 의류에 대한 키토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프로그램.
KR1020180163025A 2018-12-17 2018-12-17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4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25A KR102242242B1 (ko) 2018-12-17 2018-12-17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25A KR102242242B1 (ko) 2018-12-17 2018-12-17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29A true KR20200074529A (ko) 2020-06-25
KR102242242B1 KR102242242B1 (ko) 2021-04-21

Family

ID=7140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25A KR102242242B1 (ko) 2018-12-17 2018-12-17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94B1 (ko) * 2023-04-24 2024-01-25 주식회사 엔피오이 인공지능에 기반한 소비자 맞춤형 가방 추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800A (ko) * 2011-09-08 2013-03-18 에버클라우드 주식회사 아이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스타일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10836A (ko) * 2014-03-20 2015-10-05 배계윤 컬러 조합에 기초한 코디 추천 시스템
KR20160049853A (ko) * 2014-10-28 2016-05-10 함승철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KR20170003046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바디엘 의상 코디 시스템 및 방법
KR101886161B1 (ko) * 2017-12-05 2018-08-07 엄나래 Ai 기반 개인 의류 토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800A (ko) * 2011-09-08 2013-03-18 에버클라우드 주식회사 아이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스타일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10836A (ko) * 2014-03-20 2015-10-05 배계윤 컬러 조합에 기초한 코디 추천 시스템
KR20160049853A (ko) * 2014-10-28 2016-05-10 함승철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KR20170003046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바디엘 의상 코디 시스템 및 방법
KR101886161B1 (ko) * 2017-12-05 2018-08-07 엄나래 Ai 기반 개인 의류 토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94B1 (ko) * 2023-04-24 2024-01-25 주식회사 엔피오이 인공지능에 기반한 소비자 맞춤형 가방 추천 시스템
KR102654946B1 (ko) * 2023-04-24 2024-04-04 주식회사 엔피오이 인공지능에 기반 소비자 패션 스타일에 기초한 선호 상품 추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242B1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2396B2 (en)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for affiliated colors
US11216861B2 (en) Color bas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10186054B2 (en) Automatic image-based recommendations using a color palette
US10402917B2 (en) Color-relat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ing affiliated colors
US9679532B2 (en) Automatic image-based recommendations using a color palette
US9542704B2 (en) Automatic image-based recommendations using a color palette
US9727983B2 (en)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US9652868B2 (en)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US20150379006A1 (en) Automatic image-based recommendations using a color palette
US9607010B1 (en) Techniques for shape-based search of content
US11132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style mapping
KR20200011569A (ko)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 및 사용
CN105426462A (zh) 一种基于图像元素的图像搜索方法和装置
US11783408B2 (en) Computer vision based methods and systems of universal fashion ontology fashion rating and recommendation
KR20200048508A (ko) 개인화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42242B1 (ko)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9057255A (ja) 顧客服飾品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101852905B1 (ko) 앱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182125B2 (ja) コーディネート提案装置及び方法
US20230289862A1 (en) Method for providing fashion item recommendation service to user by using swipe gesture
KR20200091515A (ko)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9046428A (ja) 服飾品分類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