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410A - Fixing Device for intubation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intub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410A
KR20200074410A KR1020180162758A KR20180162758A KR20200074410A KR 20200074410 A KR20200074410 A KR 20200074410A KR 1020180162758 A KR1020180162758 A KR 1020180162758A KR 20180162758 A KR20180162758 A KR 20180162758A KR 20200074410 A KR20200074410 A KR 20200074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tube
intubation
grip por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5280B1 (en
Inventor
이창윤
Original Assignee
메디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80B1/en
Publication of KR2020007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4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An intubat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adhering to a body; a grip portion for fixing a tu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grip portion includes a first member which is bent at least twice and has a groove so that a part thereof is penetrated, a second member which is bent at least twice and part of which is slidably formed in the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restor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Description

삽관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intubation}Fixing device for intubation

본 발명은 삽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진이 환자의 기관 내 관을 삽입할 시 안정적으로 관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ubation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capable of stably fixing a tube when a medical staff inserts a tube in a patient's organ.

일반적으로, 전신마취 수술을 하는 동안이나 중환자실에서 산소호흡기를 이용한 인공호흡을 위해 삽관하는 경우, 기도 확보를 위하여 그 튜브의 끝이 기관지의 분기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In general, when intubating for artificial respiration using an oxygen respirator during a general anesthesia operation or in an intensive care unit, it is most suitable that the tip of the tube is located in the bifurcation of the bronchus to secure the airway.

삽입된 기관내 삽관 튜브(endotracheal tube)를 고정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반창고를 이용하여 튜브를 고정하였으나, 삽입된 깊이가 적당하지 않으면 다시 반창고를 떼었다가 적당한 깊이로 삽입한 후 다시 반창고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order to fix the inserted endotracheal tube, the tube was previously fixed using a bandage, but if the inserted depth is not appropriate, the bandage should be removed again and inserted into the appropriate depth, and then fixed again with the bandage. There was a ship.

또한, 반창고로 고정하더라도 튜브가 입 안에 확실히 고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환자의 타액 분비물에 의하여 반창고가 잘 떨어져 자칫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it is fixed with a bandage, the tube is often not securely fixed in the mouth, and the bandage falls well due to the saliva secretion of the patient, which may cause serious problems in children or infants.

또한, 삽입된 튜브가 흔들림으로 인해 구강 및 기관 내에 상처가 생겨 상처에 세균 및 병원균이 침투함으로써 2차 감염의 위험이 있고,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튜브를 쉽게 손으로 빼낼 수 있어 심각한 응급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튜브를 환자가 치아로 누르는 경우도 있어 기도 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secondary infection due to the penetration of bacteria and pathogens into the wound because the inserted tube is shaken and the wound is formed in the oral cavity and organs, and the patient can easily pull out the tube by han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sulting in a serious emergency. It may occur,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difficulty in securing the airway because the patient sometimes presses the tube with the teeth.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0237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237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관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관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fixing device that allows the tube to be fixed or detached quickly and stably, and does not deform the shape of the tube.

또한, 관을 고정한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환자에게 관을 통해 산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capable of stably supplying oxygen or the like through the tube to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angle while the tube is fix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신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그립부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ubation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se portion adhered to the body, a grip portion for fixing the tu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 A first member that is bent at least twice and has a groove formed to penetrate a part, a second member that is bent at least twice, and a part is slidably formed in the groove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at least one.

이 때,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신체에 접착되게 구비되는 접착영역 및 상기 신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비접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n adhesive region provided to be adhered to the body and a non-adhesive region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는 연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base portion, and may include an extension region that can be adhered to the body.

또는, 상기 베이스부는,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retchable material.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part so that the tube is bent.

또는,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의 일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rip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tube with a wi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so that the tube can be bent.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또는,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rip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돌출되어 상기 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protrudes and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tube.

또는, 상기 홈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roove may be formed to be crossed to prevent the second member from separating from the first member.

그리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매립되는 매립부재 및 상기 매립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브릿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may include a buried member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and a bridge member extending from the buried member a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provided to adjust a distance from which the grip portion is spaced from the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찰에 의해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tubation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ent at least twice, a first member formed with a groove to penetrate a part, at least twice bent, and a part formed to be slidable in the groove 2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by fri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fixed.

이 때, 상기 홈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ov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ember is formed to cros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first member.

그리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단이 돌출되어 상기 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ube.

또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그리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intubation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간편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관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임의로 가해지는 움직임에도 관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First, the tube can be quickly fixed or detached by a simple operation, and the tube is stably fixed and does not move even if a movement is applied arbitrarily.

둘째, 관이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의료진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환자의 상황에 맞도록 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econd, the angle of the tub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fit the patient's situation while the tube is not separated and fixed.

셋째, 관을 고정하는 부위가 신축성 재질의 라운드 모양으로 형성되어 관의 형상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산소, 의약품 등의 물질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Third, the portion fixing the tube is formed in a round shape of an elastic material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tube shape, so that substances such as oxygen and medicine can be stably suppli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1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그립부와 링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ntub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first member of the gri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member of the gri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intubation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rip portion and the lin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vealed in advance that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use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re not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conventional on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excluded in advanc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1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그립부와 링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The intubation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ntub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irst member of the gri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member of the gri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intubation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rip portion and the lin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베이스부(100), 그립부(200) 및 링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ntubation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portion 100, a grip portion 200 and a link portion 300.

베이스부(100)는 신체에 접착되어 상기 그립부(200)가 신체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이격되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에 삽입되는 관(50)은 환자의 코 또는 입을 통하여 산소 등의 물질을 환자에게 공급하므로 얼굴에 접착되도록 크기나 모양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ortion 100 is adhered to the body so that the grip portion 200 is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dy. In general, the tube 50 inserted into the body is supplied with a substance such as oxygen to the patient through the nose or mouth of the patient, so it is preferable to have a size or shape to adhere to the face.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는,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환자의 피부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하기 위함이며, 베이스부(100)의 형상 재질 등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tretchable material. This is to serve as a protection for the patient's skin, and the shape material of the base portion 1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이 때, 상기 베이스부(100)는, 접착영역(120)과 비접착영역(140)으로 나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영역(120)은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고, 상기 비접착영역(140)은 상기 신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100 may be provided divided into an adhesive region 120 and a non-adhesive region 140. The adhesive region 120 may be adhered to the body, and the non-adhesive region 140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비접착영역(140)은 그립부(200)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접착영역(120)은 비접착영역(140)으로부터 연장되어 신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adhesive region 140 is formed adjacent to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adhesive region 12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from the non-adhesive region 140 and contact the body.

환자마다 신체의 형상이 상이하므로 비접착영역(140)을 통해 환자에 맞게 접착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접착영(140)역은 접착영역(120)에 구비되는 접착제에 의한 환자의 2차 감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shape of the body is different for each patient, the portion to be adhered to the patien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non-adhesive area 140. In addition, the non-adhesive area 140 can fundamentally prevent the secondary infection of the patient due to the adhesive provided in the adhesive area 120.

또한 베이스부(100)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는 연장영역(16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10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ase portion 100, and may include an extension region 160 that can be adhered to the body.

연장영역(160)은 그립부(200)가 베이스부(100)의 중앙부에 위치되게 하여 그립부(200)의 고정을 보조할 수 있다.The extended region 160 may assist the fixing of the grip portion 200 by allowing the grip portion 200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100.

상기 연장영역(160)은 관(50)이 신체와 연결되는 지점을 회피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50)이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extension area 160 is preferably formed by avoiding the point where the tube 50 is connected to the body. This is to prevent the tube 5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and is not limited thereto.

그립부(200)는 상기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50)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제1부재(210), 제2부재(230) 및 탄성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 part 200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tube 50 inserted into the body, and may include a first member 210, a second member 230, and an elastic member 260.

제1부재(21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23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22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210 is bent at least twice, and a groove 220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art. The second member 230 is bent at least twice, and a part may be slidably formed in the groove 220.

그리고 탄성부재(260)는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260 may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30)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단지 후술할 외력을 가할 때 상기 제2부재(230)가 상기 제1부재(210)와 슬라이딩 되는 것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are preferably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it is easy for the second member 230 to slide with the first member 210 only when an external force to be described later is applied.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부재(21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 제1상단부분(212), 제1중단부분(214) 및 제1하단부분(216)이 형성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 wh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210 are bent at a right angle, the first upper part 212, the first middle part 214, and the first lower part 216, respectively. It can be formed.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제2부재(23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 제2상단부분(232), 제2중단부분(234) 및 제2하단부분(236)이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230 is bent at a right angle, the second upper portion 232, the second middle portion 234 and the second lower portion 236 It can be formed.

이 때, 상기 제1중단부분(214)에 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단부분(234)은 상기 홈(2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가 상호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groove 220 is formed in the first stop portion 214 and the second stop portion 23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roove 220 so that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230s are mutually slid.

구체적으로는, 상기 홈(220)은, 상기 제2부재(230)가 상기 제1부재(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roove 220 may be formed to be crossed so as to prevent the second member 230 from separating from the first member 210.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30)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특이성에 의해, 그립부(20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이 가해지는 경우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튕기거나 하여 삽관 고정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due to the peculiarity formed by bending,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grip part 200 or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he intubation device is fixed by bouncing in an unexpected direction.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 as.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제1부재(210)에 형성되는 홈(220)이 교차되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2부재(23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1부재(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부재(230)가 양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groove 220 formed in the first membe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rossing and the second member 2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here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does not occur and the first member ( 210), the second member 230 can only slide in both directions.

탄성부재(260)는 상기 제1부재(210)와 상기 제2부재(230)를 연결하며 가해지는 외력에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60 connects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이 때, 상기 탄성부재(260)가 제1하단부분(216)과 제2하단부분(236)을 연결하는 경우 관(50)은 제1상단부분(212)과 제2상단부분(232)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탄성부재(260)가 제1상단부분(212)과 제2상단부분(232)을 연결하는 경우 관(50)은 제1하단부분(216)과 제2하단부분(236)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elastic member 260 connects the first lower portion 216 and the second lower portion 236, the pipe 50 is between the first upper portion 212 and the second upper portion 232 If provided, or when the elastic member 260 connects the first upper portion 212 and the second upper portion 232, the pipe 50 is the first lower portion 216 and the second lower portion 236 It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즉, 관(50)이 구비되는 공간과 탄성부재(260)가 구비되는 공간은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작동의 편의성을 위함일 뿐이며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space provided with the tube 50 and the space provided with the elastic member 260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which is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only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2부재(230)의 일부가 상기 제1부재(210)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외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1부재(2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일단부는 가까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타단부는 멀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가 적어도 2회 절곡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as a part of the second member 230 slides on the first member 210,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One end of the first member 210 and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230 may be close.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230 may be separated. This is because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are formed by bending at least twice.

상기 제1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타단부가 멀어져 형성되는 공간으로 관(50)을 끼울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을 제거하는 순간 상기 제1부재(2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일단부에 탄성부재(260)에 의한 복원력이 가해져 멀어지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pipe 50 as a space formed away. In addition, the moment of removing the external force,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member 260 is applied to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210 and one end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230, and the distance is dissipated.

이 때, 상기 제1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타단부는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찰에 의해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5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230 are close to each other, due to fri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It is possible to fix the tube 50 inserted into the body.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잠금부재(238)가 형성되어 관(50)이 상기 제1부재(210)와 상기 제2부재(2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적으로 상기 관(50)을 고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is provided with a slidable locking member 238 so that the tube 50 is provided with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The tube 50 can be fixed in a double way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space formed by the.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잠금부재(238)는 상기 관(50)을 고정한 후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되어 관을 다중 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the locking member 238 is fixed to the tube 50 and then sli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to multi-fix the tube. Can.

또한, 상기 그립부(200)는, 상기 관(5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돌출(240)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protrudes 240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pipe 50. .

이는, 상기 관(5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240)되는 정도나 부위는 문제되지 않는다.This is to prevent the tube 50 from coming off, and the extent or portion of the protrusion 240 is not a problem.

예컨대, 상기 관(50)의 규격에 맞추어 돌출(240)되는 정도가 정해질 수 있다. 또는, 돌출(240)되는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동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egree of protrusion 24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tube 50. Alternatively, a pupil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to be protruded 240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sliding.

이 때, 상기 그립부(200)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part 200 is partially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구체적으로는, 관(50)과 접촉하는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부분이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어 관(50)이 찌그러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3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ube 50,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to prevent the tube 50 from being deformed or the like.

또한, 상기 그립부(200)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part 200 is partially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이는, 관(50)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또는 관(50)에 의해 환자의 신체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상태를 올바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that the patient's condition is correctly determined by preventing the patient's body from being obscured by the fixation of the tube 50 or the tube 50.

링크부(300)는 베이스부(100) 및 그립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링크부(300)는, 매립부재(320) 및 브릿지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part 300 may connect the base part 100 and the grip part 200. In this case, the link part 300 may include a buried member 320 and a bridge member 340.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매립부재(32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매립될 수 있고, 브릿지부재(340)는 상기 매립부재(3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립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200)가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buried member 320 may be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100, the bridge member 340 is extended from the buried member 320 a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200, the The grip unit 200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body.

매립부재(320)는 베이스부(100)에 매립되므로 후술할 그립부(200)의 신체로부터의 거리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브릿지부재(340)에 골격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Since the buried member 320 is buried in the base portion 100, it may serve as a skeleton to the bridge member 340 that allows the distance of the grip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body.

브릿지부재(340)는 적어도 2회 절곡되어 절곡되는 지점 사이의 부분의 높낮이가 변경됨에 따라 그립부(200)가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ridge member 340 is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part 200 and the body apart from the body as the height of the portion between the points bent and bent at least twice is ch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formed.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200)는, 상기 관(50)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링크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in FIG. 5, the grip part 2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part 300 so that the tube 50 is bent.

구체적으로는 그립부(200)와 링크부(300)는 힌지(280) 결합되어, 힌지(280) 결합되는 부분의 각도 변화에 따라 관(50)이 휘어지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link portion 300 are coupled to the hinge 280, so that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tube 5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hinge 280 is coupled.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에 상황에 따라 관(50)을 통해 신체 내부로 공급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edical staff can adjust the degree to be supplied into the body through the tube 50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the patient.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부(200)는, 상기 관(50)이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50)의 일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290)로 연결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 the grip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a part of the tube 50 and a wire 290 capable of adjusting length so that the tube 50 is bent.

즉,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와이어(290)는 그립부(200)와 관(50)의 그립부(2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290)의 길이 조절에 따라 관(50)의 휘어지는 정도가 변할 수 있다.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 6, the wire 29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grip portion 200 of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pipe 50 and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wire 290 ( The degree of bending of 50) can be changed.

예를 들어, 와이어(290)의 길이가 가장 길어지는 경우 관(50)은 그립부(200)와 수직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와이어(290)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와이어(290)가 연결되는 그립부(200)의 일부와 예각을 이루며 관(50)이 휘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wire 290 is the longest, the pipe 50 may maintain a vertical relationship with the grip part 200 and the wire 290 is connected as the length of the wire 290 is shortened. The pipe 50 may be bent while forming an acute angle with a part of the grip part 200.

그리고 상기 링크부(300)는 일단부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부재(340)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200)에 결합되어, 환자에 관(50)에 대한 이물감을 덜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관(50)을 통한 물질의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300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t one end, and may be coupled to the grip portion 200. For example, the bridge member 340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coupled to the grip part 200, so that the patient feels less foreign body to the tube 50, and at the same time, the material through the tube 50 Supply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상기 링크부(3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인 의료진은 환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300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100. Through this, the medical staff as a user can more effectively attach and use the intubation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50: 관
100: 베이스부
120: 접착영역
140: 비접착영역
160: 연장영역
200: 그립부
210: 제1부재
212: 제1상단부분
214: 제1중단부분
216: 제1하단부분
220: 홈
230: 제2부재
232: 제2상단부분
234: 제2중단부분
236: 제2하단부분
238: 잠금부재
240: 돌출부분
260: 탄성부재
280: 힌지
290: 와이어
300: 링크부
320: 매립부재
340: 브릿지부재
50: tube
100: base
120: bonding area
140: non-adhesive area
160: extended area
200: grip
210: first member
212: first upper portion
214: first stop
216: first lower portion
220: home
230: second member
232: second upper part
234: second stop
236: second lower part
238: locking member
240: protrusion
260: elastic member
280: hinge
290: wire
300: link section
320: buried member
340: bridge member

Claims (16)

신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그립부를 연결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삽관 고정장치.
A base portion adhered to the body;
A grip portion for fixing the tu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Including,
The grip portion,
A first member that is bent at least twice and has a groove formed therethrough;
A second member that is bent at least twice and is slidably formed in the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tubation fixtur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신체에 접착되게 구비되는 접착영역; 및
상기 신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비접착영역;
을 포함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An adhesive region provided to be adhered to the body; And
A non-adhesive area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Intubation fixtur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는 연장영역;
을 포함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An extension region formed to extend from the base portion and adhered to the body;
Intubation fixtur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tretchabl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ortion, an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portion so that the tube can be b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의 일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ortion, an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tube with a wi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so that it can be b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ortion,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ortion,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돌출되어 상기 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ortion, an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protrudes and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tu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the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ember is formed to cros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first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매립되는 매립부재; 및
상기 매립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브릿지부재;
를 포함하는 삽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portion,
A buried member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And
A bridge member extending from the buried member,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provided to adjust a distance from which the grip portion is spaced from the body;
Intubation fixture comprising a.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찰에 의해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A first member that is bent at least twice and has a groove formed therethrough;
A second member that is bent at least twice and is slidably formed in the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cluding,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fixed to the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body by fri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groove, the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ember is formed to cros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first memb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단이 돌출되어 상기 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he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ub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tubation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KR1020180162758A 2018-12-17 2018-12-17 Fixing Device for intubation KR102195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758A KR102195280B1 (en) 2018-12-17 2018-12-17 Fixing Device for intub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758A KR102195280B1 (en) 2018-12-17 2018-12-17 Fixing Device for intub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410A true KR20200074410A (en) 2020-06-25
KR102195280B1 KR102195280B1 (en) 2020-12-24

Family

ID=714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758A KR102195280B1 (en) 2018-12-17 2018-12-17 Fixing Device for intub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8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969U (en) * 1998-12-26 1999-03-25 이희영 Medical Tube Fixing Attachment
KR20130102370A (en) 2012-03-07 2013-09-17 이나리 Fixing apparatus for endotracheal intubation
KR20140103546A (en) * 2013-02-18 2014-08-27 김원철 Fixing apparatus for endotracheal tube
KR101622741B1 (en) * 2015-12-22 2016-05-19 (주)지앤더블류 Apparatus for fixing medical tube unit
JP2018047126A (en) * 2016-09-23 2018-03-29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Fixing clip for medical tub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969U (en) * 1998-12-26 1999-03-25 이희영 Medical Tube Fixing Attachment
KR20130102370A (en) 2012-03-07 2013-09-17 이나리 Fixing apparatus for endotracheal intubation
KR20140103546A (en) * 2013-02-18 2014-08-27 김원철 Fixing apparatus for endotracheal tube
KR101622741B1 (en) * 2015-12-22 2016-05-19 (주)지앤더블류 Apparatus for fixing medical tube unit
JP2018047126A (en) * 2016-09-23 2018-03-29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Fixing clip for medical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280B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3505C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said device
US9114223B2 (en) Strapping force indicator accessory
DK3188781T3 (en) SEALING MECHANISM FOR ANESTHETIC AIRWAY DEVICES
US20140202459A1 (en) Intubation device
KR100777454B1 (en)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JPH06508272A (en) breathing face mask
CN204582223U (en) A kind of fixture being applied to naso-tracheal intubation
WO2019162024A1 (en) Snorkel ventilating airway and bite-block
US20070084468A1 (en) MO O2 Mask
KR100902666B1 (en)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KR101789125B1 (en) Adhesive mouthpiece for medical purposes
KR101780958B1 (en)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KR20200074410A (en) Fixing Device for intubation
KR102025911B1 (en) Face mask for airway maintenance
CN208770019U (en) It is suitble to the correction elasticity of torsion pad of arc facing
US10258755B2 (en) Transitional airway
KR20170116559A (en) Biting block assembly for supporting endo tube
KR101914410B1 (en) Nasal cannula fixer
KR100902665B1 (en) The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KR101815373B1 (en) Endotracheal tube oral anchor
CN218529494U (en) Oral trachea cannula fixer
JP6278409B2 (en) Cannula artificial nose fitting
CN215083795U (en) Head-mounted tracheal cannula fixer
KR20160023259A (en) Nasal cannula holder
CN219354979U (en) Tooth protective sleeve suitable for intubation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