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962A -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962A
KR20200073962A KR1020190066253A KR20190066253A KR20200073962A KR 20200073962 A KR20200073962 A KR 20200073962A KR 1020190066253 A KR1020190066253 A KR 1020190066253A KR 20190066253 A KR20190066253 A KR 20190066253A KR 20200073962 A KR20200073962 A KR 20200073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jection
lighting
advertis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321B1 (ko
Inventor
이형래
Original Assignee
이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래 filed Critical 이형래
Publication of KR2020007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조명설치홀이 구비되며 외면에 광고용 문구가 새겨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조명설치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명모듈이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플렉서블하게 구비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명부가 상하 방향으로 고르게 배치되어 그 발광 효과가 외면에 고르게 미치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ADVERTISING SCULPTURE OF AIR INJECTION TYPE}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부에 의한 발광 효과가 외면에 고르게 미쳐 보다 효과적인 광고를 가능하게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조형물의 형태와 그 외면에 새겨진 광고용 문구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광고 매체를 의미한다.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원통형을 비롯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킨 후 접어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기 때문에 각종 영업소, 운동회, 야유회, 특정 단체 모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내부에 조명을 설치함으로써 외면에 새겨진 광고용 문구를 더욱 부각시키는 기술을 도입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0788호(특허문헌 1) 및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692호(특허문헌 2)가 개시된 바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은, 야외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램프안정기겸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상부에 돌출된 탑지지부 외측으로 송풍공과 튜브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송풍공으로 바람이 송풍되게 하는 다수의 모터팬을 갖는 하체수단과, 상기 탑지지부에 하측결합부가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는 브로워에 의해 압축공기가 에어주입구을 통해 충진되는 충진공간부를 갖는 길다란 형태의 플렉시블에어충진탑과, 상기 플렉시블에어충진탑 상부에 고정되는 받침부 및 받침부에 고정되는 램프소켓에 결합되는 조명램프를 구비하여 램프안정기겸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수단과, 상기 튜브결합부에 하단부가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고 모터팬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순환되는 순환공간부 내부에는 플렉시블에어충진탑이 위치되게 설치되어 모터팬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조명램프가 냉각되는 동시에 튜브상단부 내면에는 빛반사부재를 부착시켜 조명램프의 빛이 반사되도록 형성되고 램프빛이 투과되는 플렉시블바람막이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야외 조명장치는, 조명 효과가 외피(플렉시블바람막이 튜브에 해당)의 전면에 고르게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0788호 (2008.08.06.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0000호 (2014.03.11.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부가 상하 방향으로 고르게 배치되어 그 발광 효과가 외면에 고르게 미치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를 가능하게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 설치 타입 및 벽 설치 타입 등 다양한 타입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조명설치홀이 구비되며 외면에 광고용 문구가 새겨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조명설치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명모듈이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플렉서블하게 구비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바디는, 외면에 광고용 문구가 새겨지는 외피, 및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외피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상기 조명설치홀이 구비되는 제 1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상기 외피와 상기 제 1 튜브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외피의 내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튜브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는,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상기 조명설치홀이 구비되며 외면에 광고용 문구가 코팅 방식으로 새겨지는 제 2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바디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 상기 조명설치홀의 내벽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상기 조명부의 상하 방향 중 하나의 단부를 상기 조명설치홀의 개구부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제 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끼움홀이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압착 흡착판, 및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조명부의 하나의 단부 측 전선이 걸려 접히도록 가압하는 이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상기 바디의 하부가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고정레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상기 전원부를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는 전원부보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조명부가 상하 방향으로 고르게 배치되어 그 발광 효과가 외면에 고르게 미치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조명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지면 설치 타입 및 벽 설치 타입 등 다양한 타입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 200)은, 바디(110, 210), 조명부(120, 220) 및 전원부(130, 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 200)은, 제 1 고정수단(140), 제 2 고정수단(150, 240), 플레이트부(160), 고정레그부(170), 전원보관부(180, 250) 및 결합부(190, 26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 210)는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조명설치홀(112a, 211a)이 구비되며, 외면에 광고용 문구(111a, 211c)가 새겨지는 구성이다.
상기 바디(110, 210)는 원기둥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에서, 상기 바디(110)는, 외면에 상기 광고용 문구(111a)가 새겨지는 외피(111), 및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외피(111)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상기 조명설치홀(112a)이 구비되는 제 1 튜브(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111)는 상기 외피(111)는 직물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튜브(112)의 팽창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피(111)는 그 일측에 개폐부(111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튜브(112)는 개폐부(111b)를 통해 상기 외피(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11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크로 방식, 버튼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튜브(112)는 그 중앙에 상기 조명설치홀(112a)이 구비되어 중공 형태 내지는 튜브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튜브(112)는 상기 조명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하여 상기 외피(111) 측으로 전달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튜브(112)는 그 일측에 상기 외피(111)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제 1 튜브(112)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11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튜브(112)는 상기 공기주입구(112b) 이외에 공기의 인출입되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되어 수영용 튜브와 유사한 원리로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된다.
특히, 상기 제 1 튜브(112)는 공기가 주입된 경우 상기 조명설치홀(112a)의 내벽이 상기 조명부(120)를 가압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조명부(12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에서, 상기 바디(210)는,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상기 조명설치홀(211a)이 구비되며, 외면에 상기 광고용 문구(211c)가 코팅 방식으로 새겨지는 제 2 튜브(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용 문구(211c)는 UV 코팅법에 의해 상기 제 2 튜브(211)의 외면에 새겨지는 것이 효과적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광고용 문구(211c) 이외의 바탕 무늬도 상기 제 2 튜브(211)의 외면에 코팅 방식으로 새겨질 수 있다.
상기 제 2 튜브(211)는, 상기 제 1 튜브(112)와 같이, 그 중앙에 상기 조명설치홀(211a)이 구비되어 중공 형태 내지는 튜브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튜브(211)는, 상기 제 1 튜브(112)와 같이, 상기 조명부(220)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하여 외면 측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광고용 문구(211c) 및 바탕 무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튜브(211)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고정수단(240)이 관통 결합되는 중앙플랜지부(2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플랜지부(212)는 상기 제 2 튜브(211)의 상기 조명설치홀(211a)의 개구부(211a-1)를 막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플랜지부(212)는 상기 조명설치홀(211a)의 상기 개구부(211a-1) 양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 1 실시예에서의 상기 조명설치홀(112a)의 개구부(112a-1)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튜브(211)는, 상기 제 1 튜브(112)와 같이, 그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제 2 튜브(21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2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튜브(211)는 상기 공기주입구(211b) 이외에 공기가 인출입되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되어 수영용 튜브와 유사한 원리로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된다.
특히, 상기 제 2 튜브(211)는, 상기 제 1 튜브(112)와 같이, 공기가 주입된 경우 상기 조명설치홀(211a)의 내벽이 상기 조명부(220)를 가압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조명부(12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상기 조명부(120, 220)는 상기 바디(110, 210)의 상기 조명설치홀(112a, 211a)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명모듈(121, 221)이 전선(122, 222)을 매개로 연결되어 플렉서블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조명모듈(121, 221)은 상기 조명부(120, 220)의 상하 방향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 2 고정수단(150, 240)에 감기면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짝을 이루는 2개소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고정수단(150, 2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상기 조명부(120, 220)의 단부는 해당 부분의 상기 전선(122, 222)이 상기 제 2 고정수단(150, 240)에 가장 인접하되 상호 부착된 한 쌍의 상기 조명모듈(121, 221)을 연결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조명모듈(121, 221)은 LED 조명 기술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조명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20, 220)는 상기 조명설치홀(112a, 211a)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구비되므로 그 발광 효과가 상기 바디(110, 210)의 외면에 전체에 고르게 미치게 된다.
한편, 상기 조명부(120, 220)는 상기 바디(110, 210)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 상기 조명설치홀(112a, 211a)의 내벽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에서, 상기 조명부(120)는 상기 제 1 튜브(112)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 상기 조명설치홀(112a)의 내벽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에서, 상기 조명부(220)는 상기 제 1 튜브(211)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 상기 조명설치홀(211a)의 내벽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130, 230)는 상기 조명부(120, 2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전원부(130, 230)는 상기 조명부(120, 220)에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부(130, 230)는 상기 전선(122, 222)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120, 2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130, 230)는 온오프 스위칭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부(130, 230)는 점멸 패턴 등 다양한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120, 22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부(130, 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 200)이 주변 건물 등의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작동되도록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설치 위치에 따라 주변의 전기를 이용해야 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 200)은 상기 전원부(130, 230)를 휴대용으로 제작하여 설치 편의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상기 제 1 고정수단(140)은 특히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10)가 상기 외피(111)와 상기 제 1 튜브(112)를 가지는 구조로 된 경우 상기 외피(111)와 상기 제 1 튜브(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고정수단(140)은, 상기 외피(111)의 내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41), 및 상기 제 1 튜브(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41)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1)는 직물재로 된 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결합부재(142)와 상호 짝을 이루는 버튼 방식 또는 벨크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재(142)는 상기 고정부재(141)가 끈 형태로 구성될 때 상기 고정부재(141)가 관통하여 감길 수 있는 띠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141)와 상호 짝을 이루는 버튼 방식 또는 벨크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피(111)와 상기 제 1 튜브(112)는 공기 주입 또는 배출에 따른 상기 제 1 튜브(112)의 팽창 또는 수축의 반복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가 필요 범위 이상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 고정수단(150, 240)은 상기 조명부(120, 220)의 상하 방향 중 하나의 단부를 상기 조명설치홀(112a, 211a)의 상기 개구부(112a, 211a)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에서, 상기 제 2 고정수단(150)은 상기 외피(111)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링부재(1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151)는 상기 외피(111)의 천정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명부(120)의 하나의 단부 측 전선(122)이 상기 링부재(151)를 관통하여 걸려 접히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에서, 상기 제 2 고정수단(240)은, 상기 바디(210)(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튜브(211)를 의미함)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흡착부(241a) 및 흡착부(241a)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디(210)(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튜브(211)를 의미함)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끼움홀(241b-1)이 구비되는 돌출부(241b)를 포함하는 압착 흡착판(241), 및 상기 끼움홀(241b-1)에 끼워져 상기 조명부(220)의 하나의 단부 측 전선(222)이 걸려 접히도록 가압하는 이음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착 흡착판(241)은 상기 돌출부(241b)가 상기 제 2 튜브(211)에 형성된 상기 중앙플랜지부(212)에 관통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제 2 튜브(2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착 흡착판(241)은 설치 대상체의 일면에 부착되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후술하는 결합부(190, 26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음부재(242)를 제외하고 상기 조명부(220)의 하나의 단부 측 전선(222)이 상기 끼움홀(241b-1)에 직접 끼워지는 구조도 균등 범위 내에서 변경된 구조라고 할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수단(150, 240)은 상기 조명부(120, 220)의 상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의 위치를 상기 바디(110, 210)의 특정 부분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바디(110, 210)의 팽창 또는 수축의 반복(높이의 차이 발생)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 200)의 안정적인 구부러짐(보관 상태) 및 펼쳐짐(설치 상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고정수단(150, 240)은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조명부(120, 220)의 하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플레이트부(160)는 상기 바디(110, 220)의 하부가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에서, 상기 플레이트부(160)는 지면에 평행한 구조로 상기 외피(111)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160)와 함께 상기 외피(111)를 물어 잡는 샌드위치 구조로 보조플레이트부(161)를 더 설치하면, 양 자는 상기 외피(10)의 하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고, 지면에 설치될 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레그부(170)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160)의 하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에서, 상기 고정레그부(170)는 상기 플레이트부(160)의 하면 둘레를 따라 4개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레그부(170)는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상기 전원보관부(180)의 최하단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보관부(180, 250)는 상기 전원부(130, 230)를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10, 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에서, 상기 전원보관부(180)는 상기 플레이트부(16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보관부(180)는 상기 외피(1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조명부(120)의 상기 전선(122)과 연결된 상기 전원부(130)를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13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 튜브(112)의 상기 조명설치홀(112a)의 상기 개구부(112a-1)에 삽입되어 보관되거나, 상기 외피(111)와 상기 제 1 튜브(11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전원보관부(180)에 보관하는 것이 착탈 용이성 확보에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에서, 상기 전원보관부(250)는 상기 제 2 튜브(211)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전원보관부(250)는 상기 제 2 튜브(2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조명부(220)의 상기 전선(222)과 연결된 상기 전원부(230)를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전원보관부(250)는 상기 조명설치홀(211a)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전선(222)과 상기 전원부(230)의 연결 용이성을 확보되는 한 상기 제 2 튜브(211)의 외면 어디에든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23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2 튜브(211)의 상기 조명설치홀(211a)의 상기 개구부(211a-1)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전원보관부(250)에 보관하는 것이 착탈 용이성 확보에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90, 260)는 설치 대상체의 일면(예: 지면, 벽면, 탁자 상면, 천정면 등)에 구비되는 결합부재(미도시)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에서, 상기 결합부(190)는 상기 외피(111)의 외면에 부착 설치되는 띠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200)에서, 상기 결합부(260)는 상기 제 2 튜브(211)의 외면에 부착 설치되는 띠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90, 260)는 설치 대상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예: 후크 걸이)에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결합부(190, 260)는 설치 대상체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와 함께 벨크로 방식, 버튼 방식 등으로 결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90, 260)는 상기 전원보관부(180, 250)가 직물재의 주머니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원보관부(180, 25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바디(110, 2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 후 상기 전원부(130, 230)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120, 220)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100, 200)을 사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원부(130, 230)는 상기 전원보관부(180, 250)에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은 조명부가 상하 방향으로 고르게 배치되어 그 발광 효과가 외면에 고르게 미치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를 가능하게 하고, 조명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하며, 지면 설치 타입 및 벽 설치 타입 등 다양한 타입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광고매체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110: 바디 111: 외피
111a: 광고용 문구 111b: 개폐부
112: 제 1 튜브 112a: 조명설치홀
112a-1: 개구부 112b: 공기주입구
120: 조명부 121: 조명모듈
122: 전선
130: 전원부
140: 제 1 고정수단 141: 고정부재
142: 고정결합부재
150: 제 2 고정수단 151: 링부재
160: 플레이트부 161: 보조플레이트부
170: 고정레그부
180: 전원보관부
190: 결합부
200: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210: 바디 211: 제 2 튜브
211a: 조명설치홀 211a-1: 개구부
211b: 공기주입구 211c: 광고용 문구
212: 중앙플랜지부
220: 조명부 221: 조명모듈
222: 전선
230: 전원부
240: 제 2 고정수단 241: 압착 흡착판
241a: 흡착부 241b: 돌출부
241b-1: 끼움홀 242: 이음부재
250: 전원보관부
260: 결합부

Claims (10)

  1.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조명설치홀이 구비되며, 외면에 광고용 문구가 새겨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조명설치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명모듈이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어 플렉서블하게 구비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외면에 광고용 문구가 새겨지는 외피; 및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외피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상기 조명설치홀이 구비되는 제 1 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상기 제 1 튜브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외피의 내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튜브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의 상기 조명설치홀이 구비되며, 외면에 광고용 문구가 코팅 방식으로 새겨지는 제 2 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바디에 공기가 주입된 경우 상기 조명설치홀의 내벽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상하 방향 중 하나의 단부를 상기 조명설치홀의 개구부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제 2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디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끼움홀이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압착 흡착판; 및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조명부의 하나의 단부 측 전선이 걸려 접히도록 가압하는 이음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가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고정레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를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는 전원보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KR1020190066253A 2018-12-14 2019-06-04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KR102300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2418 2018-12-14
KR1020180162418 2018-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62A true KR20200073962A (ko) 2020-06-24
KR102300321B1 KR102300321B1 (ko) 2021-09-09

Family

ID=7107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53A KR102300321B1 (ko) 2018-12-14 2019-06-04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0321B1 (ko)
WO (1) WO2020122693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88B1 (ko) 2008-02-21 2008-08-06 진원인더스트리(주) 야외 조명장치
KR20110087649A (ko) * 2010-01-26 2011-08-03 조재익 에어간판
KR200468082Y1 (ko) * 2012-04-13 2013-07-22 김선화 이미용실 표시등
KR200468356Y1 (ko) * 2011-09-14 2013-08-08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엘이디 광고장치
KR101298556B1 (ko) * 2012-07-20 2013-08-26 이현우 조명 어셈블리를 구비한 에어간판
JP2013231969A (ja) * 2012-04-27 2013-11-14 Han Il Qu Ledモジュールを備えたエアー看板
JP2018138964A (ja) * 2017-02-24 2018-09-06 株式会社クエストアンドトライ 空気圧式立体物
KR102014003B1 (ko) 2015-09-03 2019-10-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280U (ja) * 2007-06-28 2007-09-06 西川リビング株式会社 袋状布団カバー
KR101244002B1 (ko) * 2012-05-02 2013-03-15 구한일 엘이디 모듈이 구비된 회전식 에어 간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88B1 (ko) 2008-02-21 2008-08-06 진원인더스트리(주) 야외 조명장치
KR20110087649A (ko) * 2010-01-26 2011-08-03 조재익 에어간판
KR200468356Y1 (ko) * 2011-09-14 2013-08-08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엘이디 광고장치
KR200468082Y1 (ko) * 2012-04-13 2013-07-22 김선화 이미용실 표시등
JP2013231969A (ja) * 2012-04-27 2013-11-14 Han Il Qu Ledモジュールを備えたエアー看板
KR101298556B1 (ko) * 2012-07-20 2013-08-26 이현우 조명 어셈블리를 구비한 에어간판
KR102014003B1 (ko) 2015-09-03 2019-10-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 시스템
JP2018138964A (ja) * 2017-02-24 2018-09-06 株式会社クエストアンドトライ 空気圧式立体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693A1 (ko) 2020-06-18
KR102300321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5440B2 (en) Decorative light defusing novelty lamp
US20040180604A1 (en) Inflatable figure assembly
US20080173341A1 (en) Canopy with illumination device
US6572247B2 (en) Bulb shade
US8635794B1 (en) Modular inflatable scene
US6626559B1 (en) Decorative light
KR20200073962A (ko)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KR101264192B1 (ko) 엘이디 모듈이 구비된 에어 간판
DE29719975U1 (de) Mit Druckluft betriebene Saugdüse
US20080170384A1 (en) Lamp
KR200473087Y1 (ko) 나무결 문양을 갖는 조명등기구
KR102269183B1 (ko) 공기 주입식 광고용 조형물
KR102283606B1 (ko) 팽창성 장식용 시스템
US8979290B2 (en)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KR100850788B1 (ko) 야외 조명장치
US20070076404A1 (en) Dummy wire structure of light string
KR200386409Y1 (ko) 에어간판용 고정장치
KR200448376Y1 (ko) 조명 기구용 갓
CA2809629A1 (en)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KR101575752B1 (ko) 접이식 다용도 우산꽂이
CN209101073U (zh) 一种可收纳的led灯具
US20060026874A1 (en) Inflatable lighted seasonal display
KR20150130611A (ko) 스텐드 조명장치
CN219264055U (zh) 一种便于拆装的氛围灯
KR101672485B1 (ko) 휴대용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