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786A - 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786A
KR20200073786A KR1020180162349A KR20180162349A KR20200073786A KR 20200073786 A KR20200073786 A KR 20200073786A KR 1020180162349 A KR1020180162349 A KR 1020180162349A KR 20180162349 A KR20180162349 A KR 20180162349A KR 20200073786 A KR20200073786 A KR 2020007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ulture
film
film layer
cells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종욱
Original Assignee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786A/en
Publication of KR2020007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7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8General culture methods using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cell culture comprising a first film layer made of a polystyrene film and a second film layer containing silicon or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lm layer made of hydrophobic plastic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and a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film for cell culture.

Description

세포배양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Film for cell culture and cell culture kit comprising the same{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포배양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스티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1 필름층 및 실리콘을 함유하는 제2 필름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름층과 상기 제2 필름층 사이에 소수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세포배양용 필름, 및 외부 용기의 내측에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이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세포배양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culture film and a cell culture kit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comprises a first film layer made of a polystyrene film and a second film layer containing silicon, or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A cell culture film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lm layer made of hydrophobic plastic between the second film layers, and a cell culture kit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the cell culture films detachably stack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will be.

세포 또는 조직 배양 기술은 분자생물학을 포함한 생물학 연구에서 매우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술이며, 암 진단 연구, 암 치료 물질을 비롯한 바이오 신약 개발 연구, 유전자 치료 연구, 줄기세포 분화 연구, 특성 물질 생성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다.Cell or tissue culture technology is a very basic and important technology in biological research including molecular biology, and various studies such as cancer diagnosis research, biomedical drug development research including cancer treatment materials, gene therapy research, stem cell differentiation research, and research on the generation of characteristic substances It is a technology that is being used in the field.

전술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배양된 세포는 살아있는 세포의 상태로 세포의 기능적 또는 형태적 연구(live cell research)를 수행하기도 하고, 또는 세포 또는 조직 고정액을 선택하여 세포가 변성되지 않도록 고정(fixation)한 후 일련의 과정으로 된 면역세포학적 염색이나 면역 형광염색을 완료하고 봉입하여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형광현미경(fluorescent microscope),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confocal laser microscope) 등 실험 목적에 맞는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실험 결과의 계량화 및 실험의 재현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Cells cultured by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research purpose may perform a functional or morphological study (live cell research) of cells in the state of living cells, or select cells or tissue fixatives to fix the cells so that they do not denature ( After fixation, the immunocytologic staining or immunofluorescence staining in a series of processes is completed and sealed to fit the experimental purpose, such as an optical microscope, a fluorescent microscope, and a confocal laser microscope. By observing with a microscope, confidence in the quant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experiment can be secured.

종래의 세포 배양을 통한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nalysis method through the conventional cell culture is as follows.

먼저, 원형의 세포 또는 조직 배양용기에 멸균처리된 커버글라스를 용기의 내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커버글라스 위에 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가 생착되어 층을 이룬 뒤, 상기 커버글라스를 배양 접시로부터 분리하고, 이를 조직검사용 커버글라스 위에 부착시켜, 연구 목적에 맞게 적합한 현미경(microscope)으로 관찰 및 분석하는 방법이다.First, a cover glass sterilized in a circular cell or tissue culture container is placed inside a container, and after culturing the cells on the cover glass, cells are engrafted and layered, and then the cover glass is separated from the culture dish. And, it is attached to the cover glass for biopsy, and it is a method to observe and analyze with a microscop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몇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첫번째로, 플라스틱 세포배양면에 생착하여 자라도록 적응된 세포주가 유리 소재인 커버글라스 위에서 생착률이 바뀌어, 세포 성질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cause several problems. First, the cell line adapted to grow on the plastic cell culture surface and grow on the cover glass, which is a glass material, may change the cell properties.

두 번째로, 외부에서 유래된 커버글라스를 세포배양 용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세포배양 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여, 심할 경우 세포배양시 내부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Second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ver glass deriv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ell culture container, a change in the cell culture environment is caused, and in severe cases, internal contamination may occur during cell culture.

세번째로, 유리의 깨지기 쉬운 성질로 인해, 세포배양에서 현미경 관찰까지의 일련의 과정 중, 세포가 생착된 커버글라스가 깨질 위험이 상주한다. Third, due to the fragile nature of the glass, there is a risk of breaking the cover glass engrafted with cells during a series of processes from cell culture to microscopic observation.

네번째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기 다른 세포배양 용기 상단의 커버글라스에 세포를 배양하고, 관찰 및 분석시 에러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Fourth,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re cultivated cells in a cover glass on the top of different cell culture vessels, and the probability of introducing errors during observation and analysis increases.

특히, 종래의 세포 배양을 통한 분석 방법에서 계대배양(subculture)을 할 경우가 있다. 즉,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접시에 배양하게 되면 세포 또는 조직이 접시에 부착하여 단층으로 계속 증식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나면 배양접시 전체를 차지하여 부착할 공간이 부족하여 증식이 멈추게 된다. 이 경우, 세포 또는 조직의 증식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세포의 일부를 떼어 다른 배양접시에 옮겨 주는 계대배양을 해야 한다. 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where subculture is performed in an analysis method through a conventional cell culture. That is, when the cells or tissues are cultured in a culture dish, the cells or tissues adhere to the dish and continue to multiply in a single layer. After a period of time, the entire culture dish is occupied and there is insufficient space to attach, so that the growth stops. In this case, in order to continue the proliferation of cells or tissues, a part of the cells must be removed and transferred to another culture dish.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플라스틱에 적응된 세포가 유리에서 배양조건이 달라서 세포성질의 변화를 초래하고, 커버글라스 삽입 및 분리 과정에서 외부 오염 가능성이 존재하며, 커버글라스가 깨질 우려가 있어서 취급에 어려움이 있고, 계대배양시 트립신 처리, 반복 분리 작업 등 배양절차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process, cells adapted to plastics have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in glass, resulting in changes in cellular properties, there is a possibility of extern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separating cover glass,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breaking the cover glass, making handling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cumbersome work of the culturing procedure, such as trypsin treatment and repeated separation during passag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와 상기 기재와 밀도가 상이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세포 배양면을 형성하는 내층을 갖는 세포배양 용기 형성용 다층 필름(특허문헌 1), 기재에 형성된 전도성 탄소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탄소 필름에 세포를 부착시켜 배양시키기 위한, 세포배양용 전도성 탄소 필름(특허문헌 2) 등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a multilayer film for forming a cell culture container having a base made of a polyethylene-based resin and an inner layer forming a cell culture surface made of a polyethylene-based resin having a different density from the base (Patent Document 1), Disclosed is a conductive carbon film (patent document 2) for cell culture, which includes a conductive carbon film formed on a substrate, for attaching and culturing cells on the conductive carbon film.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상기 다층 필름의 물성상의 한계로, 세포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s have limitations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multilayer film, which may affect cell activity, and cannot be observed by easily separating cultured cells or tissu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629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5629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30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8302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관찰할 수 있는 세포배양 키트에 적용될 수 있는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 for cell culture that can be applied to a cell culture kit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observed in cultured cells or tissues without affecting cell activ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세포배양용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생착해 자라는 세포의 계대배양 시, 필수적 과정인 효소처리(trypsinization)를 없애 사용자 편의성 증대와 세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포배양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above cell culture film, the cell culture kit capable of preventing user damage and cell damage by increasing the user convenience by eliminating enzymatic treatment (trypsinization), which is an essential process in the passage of cells that grow and grow.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스티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1 필름층; 및 실리콘을 함유하는 제2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film layer made of a polystyrene film; And it provides a film for cell culture having a 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film layer containing silic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필름층과 상기 제2 필름층 사이에 위치하고, 소수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제3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cell cultur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and further comprises a third film layer containing a hydrophobic plastic.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필름층의 두께가 0.01~0.20 mm인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culture film having a thickness of 0.01 to 0.20 mm of the first film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필름층의 두께가 0.01~0.04 mm인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culture film having a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layer of 0.01 to 0.04 m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필름층의 두께가 0.01~0.02 mm인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culture film having a thickness of 0.01 to 0.02 m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필름층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이온화를 통하여 친수성을 갖는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cell culture in which the first film layer has hydrophilicity through ionization by plasma treat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필름층이 상기 제3 필름층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점착성을 갖는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cell culture having adhesion so that the second film laye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third film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필름층이 상기 제1 필름층의 대향면의 반대면에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cell culture, wherein the second film layer further includes release pap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film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형지가 불소가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세포배양용 필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for cell culture, wherein the release paper is made of a fluorine-co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세포배양용 필름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ell culture kit comprising the film for cell cultur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 및 상기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세포배양 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container that provides a receiving space therein to the upper open; The cell culture film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stacked at least one inside the outer container; It provides a cell culture kit having; and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outer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필름은 세포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폴리스티렌 친수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표면층 및 소수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face layer made of a polystyrene hydrophilic film and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hydrophobic plastic that does not affect cell activity, it has an advantage of easily separating cultured cells or tissu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는 복수개의 적층된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을 구비하여,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의 베이스의 상면에서 조직 또는 세포를 배양한 후,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을 분리하여 그대로 관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ll cul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cked films for cell culture, after culturing tissues or cells o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of the cell culture film, the cell culture film is separated and left as it is. Can be observed.

따라서,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접시에서 분리하여 조직검사용 커버글라스로 옮기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커버글라스를 세포배양 용기의 내부에 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세포의 생착률 변화가 없도록 하여 세포 배양 환경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ultured cells or tissues from the culture dish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cover glass for tissue examination can be omit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nge in the cell culture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need for the cover glass to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cell culture container so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engraftment rate of the cells.

또한,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포 또는 조직의 변성을 방지하고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세포 또는 조직을 검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naturation of cells or tissue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cultured cells or tissues, and to easily examine cells or tissues with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포배양 키트는 계대배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효소처리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효소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포 또는 조직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ll cultur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enzymatic treatment process to separate cells when passage is required, and thus denatures cells or tissues that may occur during enzymatic treatmen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세포 또는 조직을 2차원적으로 생장시키는 동시에 3차원 세포 집합체를 함께 생장시켜 일반적으로 생장한 세포의 검사와 함께 상기 세포 집합체의 관찰 및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ells or tissues to be grown two-dimensionally, and three-dimensional cell aggregates are grown together to allow observation and inspection of the cell aggregates together with the examination of generally grown cel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층 구조의 세포배양용 필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층 구조의 세포배양용 필름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layered structure of a film for cell culture of a thre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film for cell culture of a thre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 culture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 culture k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 culture k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 culture k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s us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층 구조의 세포배양용 필름(1300)의 적층 구조(1301, 1302, 1303)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층 구조의 세포배양용 필름(1300)의 모식도이다.1 shows a stacked structure (1301, 1302, 1303) of a three-layer structure cell culture film 1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view of the film 1300 for cell cultur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포배양용 필름(1300)은 폴리스티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1 필름층(1301), 실리콘을 함유하는 제2 필름층(1302) 및 상기 제1 필름층(1301)과 상기 제2 필름층 (1302) 사이에 존재하고, 소수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층(1303)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cell culture film 1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m layer 1301 made of a polystyrene film, a second film layer 1302 containing silicon, and the first film layer ( 1301) and between the second film layer 1302, and may include a third film layer 1303 made of a hydrophobic plastic.

본 발명의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에서, 상기 제1 필름층(1301)의 두께가 0.01~0.20 mm일 수 있고,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이온화를 통하여 친수성을 갖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예컨대, 200W에서 10초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cell culture film 1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layer 1301 may be 0.01 to 0.20 mm, and the hydrophilicity is obtained through ionization by plasma treatment. The plasma treatment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t 200 W for 10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에서, 상기 제2 필름층(1302)의 두께는 0.01~0.04 mm일 수 있고, 상기 제3 필름층(1303)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cell culture film 1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layer 1302 may be 0.01 to 0.04 mm, and may have adhesiveness to enable detachment with the third film layer 1303. have.

또한, 상기 제2 필름층(1302)은 상기 제1 필름층(1301)의 대향면의 반대면에 이형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이형지로는 경화된 실리콘이 묻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소가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econd film layer 1302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aper (not show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film layer 1301, so that the cured silicone does not come out of the release paper. For this purpos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coated with fluori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에서, 상기 제1 필름층(1301)과 상기 제2 필름층(1302) 사이에 위치하고, 소수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상기 제3 필름층(1303)은 프라이머층으로서, 그 두께는 0.01~0.02 mm일 수 있다.In the cell culture film 1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film layer 1303 locat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1301 and the second film layer 1302 and containing a hydrophobic plastic is a primer layer As, the thickness may be 0.01 ~ 0.02 mm.

상기 소수성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락트산(PL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ε-카프로락톤(PCL)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ydrophobic plastics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urethane, polycarbonate, polylactic acid (PLA),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oly-ε-caprolactone. (PCL)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may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제조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e embodiment for producing the cell culture film 1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우선, 실리콘과 촉매로 이루어진 제1 실리콘과 실리콘과 가교제로 이루어진 제2 실리콘을 일정한 배합비, 예컨대 상기 제1 실리콘 30 중량%와 상기 제2 실리콘 70 중량%로 혼합하고, 임펠러를 이용하여 900~10000 rpm, 바람직하게는 1000 rpm에서 0.5~2분, 바람직하게는 1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교반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5~15분,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진공 탈포 공정을 수행하여 실리콘을 제조한다. First, the first silicone made of silicon and the catalyst and the second silicone made of silicone and the crosslinking agent are mixed at a constant mixing ratio, for example, 30% by weight of the first silicone and 70% by weight of the second silicone, and 900-10000 by using an impeller. After stirring for 0.5 to 2 minutes, preferably 1 minute at rpm, preferably 1000 rpm, vacuum degassing is performed for 5 to 15 minutes, preferably 10 minutes, to remove bubbles that may occur after the stirring. Perform to prepare silicone.

이때, 상기 촉매로는 백금화합물, 유기주석화합물, 아민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가교제로는 아실계 유기과산화물 또는 알킬계 유기과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a platinum compound, an organotin compound, an amine, etc. may be used as the catalyst, and an acyl-based organic peroxide or an alkyl-based organic peroxide may be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아실계 유기과산화물로는 2,4-디클로로벤조일 페록사이드, 벤조일 페록사이드, p-클로로벤조일 페록사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계 유기과산물로는 디큐밀 페록사이드(dicumyl peroxide), 디-t-부틸 페록사이드(Di-t-butyl peroxide), 터트-부틸큐밀 페록사이드(tert-butylcumyl peroxide)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acyl-based organic peroxide include 2,4-dichlorobenzoyl peroxide, benzoyl peroxide, and p-chlorobenzoyl peroxide. Examples of the alkyl-based organic peroxide include dicumyl peroxide and di Examples include -t-butyl peroxide, tert-butylcumyl peroxid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후, 사전에 상기에서 제조한 실리콘을 도포할 폴리스티렌 필름 면에 소수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얇게, 바람직하게는 0.01~0.02 mm 발라준 후 5~15분간, 바람직하게는 10분간 건조시켜 준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는 독성이 없음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a primer made of hydrophobic plastic is thin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ystyrene film to which the above-prepared silicone is applied, preferably 0.01 to 0.02 mm, and then dried for 5 to 15 minutes, preferably 10 minut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firm in advance that the primer has no toxicity.

그런 다음, 폴리스티렌 필름 위에 게이지(gage), 바람직하게는 20㎛ 게이지를 올리고, 상기 폴리스티렌 필름 위에 상기에서 제조한 실리콘을 도포한 후, 도포가 완료된 폴리스티렌 필름을 건조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60℃의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본 발명의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제조할 수 있다.Then, a gage, preferably a 20 μm gauge, is placed on the polystyrene film, and the silicone prepared above is coated on the polystyrene film, followed by drying of the polystyrene film, which is completed, preferably an oven at 60° C. In the drying for 1 hour, the cell culture film 1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100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세포배양용 필름(2300)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20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culture kit 1000 including the cell culture film 1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or the above cell cul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culture kit 2000 including the film 2300.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세포배양용 필름(3300)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3000)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세포배양용 필름(4300)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40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culture kit 3000 including the cell culture film 3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culture kit 4000 including the cell culture film 4300.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용기(1200, 2200, 3200, 4200); 상기 외부 용기(1200, 2200, 3200, 4200)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 2300, 3300, 4300); 및 상기 외부 용기(1200, 2200, 3200, 4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1100, 2100, 3100, 4100);를 구비하는 세포배양 키트(1000, 2000, 3000, 4000)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container (1200, 2200, 3200, 4200) that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cell culture film (1300, 2300, 3300, 4300)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1200, 2200, 3200, 4200) at least one is detachably stacked; And a cover part (1100, 2100, 3100, 4100) coupl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200, 2200, 3200, 4200).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포배양 키트(10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외부용기(1200),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세포배양용 필름(1300) 및 상기 외부용기(1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11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ell culture kit 1000 is provided with an outer container 1200 that is open at the top and provides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or more detachably stack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1200. It has a cell culture film (1300) and a cover portion (1100)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external container (1200).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1000)는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에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할 수 있는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의 상면에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별도로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세포 또는 조직이 배양된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상기 외부용기(1200)에서 분리함으로써 세포 또는 조직을 필름에서 분리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The cell culture k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ly include a cell culture film 1300 capable of culturing cells or tissues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1200. In this case, after culturing cells or tissues on the top surface of the cell culture film 1300, the cell culture film 1300 in which the cells or tissues are cultured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cultured cells or tissues is the external container ( 1200), the process of separating cells or tissues from the film can be omitted.

또한,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조직검사용 현미경 등에 커버 글래스(cover glass) 대용으로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세포 또는 조직의 분리시 발생할 수 있는 조직 또는 세포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세포 또는 조직의 분리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조직 또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cell culture film 1300 as a cover glass as a substitute for a tissue inspection microscope or the like, tissue or cell degeneration that may occur during separation of cells or tissues can be prevented. It is possible to omit the separation process of tissues, so that tissues or cells can be observed more quickly and easil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세포배양 키트(100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ell culture kit 10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1200)는 내부에 전술한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수용하여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3, the external container 1200 accommodates the above-described cell culture film 1300 therein to provide a space for culturing cells or tissues.

이 경우, 상기 외부용기(1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1200)는 그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uter container 1200 has an open top to accommodate the cell culture film 1300 therein. In addition, the outer container 1200 has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as necessary.

상기 외부용기(1200)의 재질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을 블로잉(blowing) 또는 사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external container 120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or exampl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thod such as blowing or injection.

한편, 상기 커버부(1100)는 상기 외부용기(1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1100)는 상기 외부용기(1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이용하여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하는 경우에 미생물 또는 이물질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portion 1100 is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outer container 1200. The cover portion 1100 is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external container 1200 to prevent microorganisms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when culturing cells or tissues using the cell culture film 1300 can do.

이때, 상기 커버부(1100)는 상기 외부용기(1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용기(1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100)도 상기 외부용기(120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등을 블로잉(blowing) 또는 사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11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container 1200 to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200. 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1100 may be manufactured by using a method such as blowing or injection, such as a synthetic resin, such as the outer container 1200.

한편,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에는 세포배양용 필름(13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이 한 개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은 두 개 이상, 즉 복수개로 구비되어 집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집합체를 구성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a film 1300 for cell culture may be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1200.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and assumed that there is one film 1300 for cell culture, but the film 1300 for cell culture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that is, a plurality to form an aggregat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ell culture film 1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constitutes an aggregat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은 상기 외부용기(1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120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도 이에 대응하여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ell culture film 130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container 1200, and may be seat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1200.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container 1200 has a circular shape, the cell culture film 1300 may also have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hereto.

한편,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은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은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어 상기 외부용기(1200)의 베이스(1202)에 점착되거나, 또는 레진(resin) 또는 실리콘 소재의 폴리머 레진(polymer resin) 등과 같이 세포 또는 조직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소재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ell culture film 130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1200. For example, the cell culture film 1300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dhered to the base 1202 of the external container 1200, or a resin or a polymer resin made of silicone or the like. Likewise, it can be adhered using an adhesiv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growth of cells or tissues.

여기서, '점착'이라 함은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이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에 부착되지만,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 또는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에 오염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term'adhesive' means that the cell culture film 1300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1200, but does not leave contamination inside the cell culture film 1300 or the outer container 1200. It can be defined as a stat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또한,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손잡이부(1310A, 1310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상기 외부용기(1200)의 내측 베이스(1202)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핀셋 등의 분리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리도구를 사용하여 매우 얇은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을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이러한 분리 과정에서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의 세포 또는 조직에 변성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cell culture film 1300 may be bent toward the upper portion to form handle portions 1310A and 1310B. A separation tool such as tweezers may be used to separate the cell culture film 1300 from the inner base 1202 of the outer container 1200. However,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very thin film for cell culture 1300 using such a separation tool, and in this separation process, denaturation may occur in cells or tissue of the cell culture film 130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은 상기 외부용기(12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한 쌍의 손잡이부(1310A, 131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1310A, 1310B)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1300)의 가장자리의 일부가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Therefore, the cell culture film 1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air of handle portions 1310A, 1310B along the edge of the cell culture film 1300 for easy separation from the external container 1200. ). In this case, rather than attaching a separate member to form the handle portions 1310A and 1310B,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cell culture film 1300 serves as a handl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2000)의 분해 사시도이다.Meanwhile,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culture kit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세포배양 키트(20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외부용기(2200), 상기 외부용기(2200)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세포배양용 필름(2300) 및 상기 외부용기(2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21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ell culture kit 2000 is provided with an outer container 2200 that is open at the top and provides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or more detachably stack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2200. It has a cell culture film 2300 and a cover portion 2100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external container 2200.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2300)은 다수개의 배양홀(2320)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ll culture film 2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ulture holes 2320.

즉,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2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배양홀(2320)이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23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2300)이 상기 외부용기(2200)의 내측 베이스(2202)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배양홀(2320)을 통해 상기 외부용기(2200)의 내측 베이스(2202)의 상면이 노출된다.That is, a plurality of culture holes 2320 may be formed through the cell culture film 2300 as illustrated in FIG. 4 in the cell culture film 2300. Thus, when the film for cell culture 2300 is seated on the inner base 2202 of the outer container 2200,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ase 2202 of the outer container 2200 through the culture hole 2320. It is exposed.

종래 기술의 경우, 세포 또는 조직의 계대배양(subculture)을 하는 경우에 배양접시에서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에 효소처리 과정(trypsinization)을 수행하고, 세포 또는 조직을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효소처리 과정은 매우 민감한 과정으로서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정확하게 분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을 분리하기 위하여 효소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세포 또는 조직이 변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subculture of cells or tissues, an enzyme treatment process (trypsinization) is performed on cells or tissues cultured in a culture dish, and cells or tissues are separated. However, this enzyme treatment process is a very sensitive process,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accurately separating cultured cells or tissu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cells or tissues may be denatur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with enzymes to separate cultured cells or tissues.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포배양 키트(2000)의 경우 세포 또는 조직을 계대배양하는 경우에 전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세포 또는 조직에 대한 효소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ell culture kit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ells or tissues are subcultured, as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enzyme treatment process for cells or tissues can be omitted and easily separated. have.

도 5는 상기 세포배양 키트(3000)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culture kit 300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세포배양 키트(30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외부용기(3200), 상기 외부용기(3200)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세포배양용 필름(3300A ~ 3300G) 및 상기 외부용기(3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31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ell culture kit 3000 is provided with an outer container 3200 that is open at the top and provides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or more detachably stack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3200. It has a cell culture film (3300A ~ 3300G) and a cover portion (3100)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external container (3200).

이 경우,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3300A ~ 3300G)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세포배양용 필름 집합체(330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 집합체(3300)는 복수개의 개별 세포배양용 필름(3300A ~ 3300G)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개별 세포배양용 필름(3300A ~ 3300G)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310A, 3310B)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cell culture film (3300A ~ 3300G)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to form a cell culture film aggregate (3300). 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cell culture film aggregate 3300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ell culture films 3300A to 3300G. The handle portions 3310A and 3310B formed on the individual cell culture films 3300A to 3300G a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3300A ~ 3300G)을 복수개 구비하게 되면, 본 실시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3000)를 사용하여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하는 경우에 1회 세포 배양이 끝난 후에 세포배양 키트(3000)를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a plurality of the film for cell culture (3300A ~ 3300G) is provided, in the case of culturing cells or tissues using the cell culture kit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cell culture is completed once, the cell culture kit 3000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repeatedly, rather than discarding it.

즉, 제1단(최상단)에 위치한 세포배양용 필름(3300A)에서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한 후,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3300A)을 분리하고, 그 하단인 제2단에 위치한 세포배양용 필름(3300B)에 다시 새롭게 세포 또는 조직을 배양할 수 있다. That is, after culturing cells or tissues in the cell culture film 3300A located at the first stage (top), the cell culture film 3300A is separated, and the cell culture film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stage Cells or tissues can be newly cultured at (3300B).

따라서,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3300A ~ 3300G)의 개수만큼 상기 세포배양 키트(3000)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1회 사용하고 버리는 경우에 비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세포의 검사 및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cell culture kit 3000 can be repeatedly used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the film for cell culture (3300A to 3300G), thereby increasing economical efficiency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nd discarding it once, and furthermore, more easily and easily Cell examination and observation becomes possible.

이때,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3300A~3300G)을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세포배양용 필름(3300A~3300G)은 분리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세포배양용 필름(3300A~3300G)은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어 점착되거나, 혹은 레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폴리머 레진 등과 같이 세포 또는 조직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소재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the cell culture film (3300A ~ 3300G) is provided, the plurality of cell culture films (3300A ~ 3300G) may be detachably stack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lm for cell culture (3300A ~ 3300G)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be adhered, or a resin or a material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growth of cells or tissues, such as polymer resin of silicone material, Can be adhered.

이때, '점착'이라 함은 상기 복수개의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3300A~3300G)이 서로 부착되지만,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3300A~3300G)을 분리하는 경우에 다른 세포배양용 필름에 오염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adhesive' means that the plurality of the cell culture films (3300A to 3300G) are attached to each other, but when separating the cell culture film (3300A to 3300G), leaving no contamination on other cell culture films It can be defined as a stat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도 6은 상기 세포배양 키트(4000)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culture kit 400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세포배양 키트(40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외부용기(4200), 상기 외부용기(4200)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세포배양용 필름(4300A~4300G) 및 상기 외부용기(4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41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ell culture kit 4000 is provided with an outer container 4200 that is open at the top and provides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or more detachably stack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4200. It has a cell culture film (4300A ~ 4300G) and a cover portion (4100)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external container (4200).

이 경우,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4300A~4300G)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세포배양용 필름 집합체(4300)를 구성하며,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세포배양용 필름(4300A~4300G)은 복수개의 배양홀(4320A~4320G)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ll culture film (4300A ~ 4300G)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to form a cell culture film aggregate (4300), further, the plurality of cell culture film (4300A ~ 4300G) is a plurality of culture holes (4320A) ~4320G).

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 키트(4000)의 경우,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계대배양을 하는 경우에 배양된 세포 또는 조직의 분리를 위한 효소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ell culture kit 4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4, the enzyme treatment process for separation of cultured cells or tissues may be omitted when performing subculture.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being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2000, 3000, 4000 : 세포배양 키트
1100, 2100, 3100, 4100 : 커버부
1200, 2200, 3200, 4200 : 외부용기
1300, 2300, 3300, 4300 : 세포배양용 필름
1301 : 제1 필름층
1302 : 제2 필름층
1303 : 제3 필름층
1000, 2000, 3000, 4000: Cell culture kit
1100, 2100, 3100, 4100: Cover part
1200, 2200, 3200, 4200: External container
1300, 2300, 3300, 4300: Cell culture film
1301: first film layer
1302: second film layer
1303: third film layer

Claims (11)

폴리스티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1 필름층; 및
실리콘을 함유하는 제2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세포배양용 필름.
A first film layer made of a polystyrene film; And
A second film layer containing silicon; A cell culture film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과 상기 제2 필름층 사이에 위치하고, 소수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제3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lm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and containing a hydrophobic plast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은 두께가 0.01~0.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m layer has a thickness of 0.01 to 0.2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층은 두께가 0.01~0.0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ilm layer has a thickness of 0.01 to 0.04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름층은 두께가 0.01~0.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film layer has a thickness of 0.01 to 0.02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이온화를 통하여 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m layer has hydrophilicity through ionization by plasma treat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층은 상기 제3 필름층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점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film layer is a cell culture fil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dhesive so as to be detachable with the third film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층은 상기 제1 필름층의 대향면의 반대면에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ilm layer further comprises a release pap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film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불소가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필름.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release paper is made of a fluorine-co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배양용 필름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키트.A cell culture kit comprising the film for cell cul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제10항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구비되는 상기 세포배양용 필름; 및
상기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 키트.
The method of claim 10,
An outer container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cell culture film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stacked at least one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A cell culture kit comprising a;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outer container.
KR1020180162349A 2018-12-14 2018-12-14 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KR202000737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349A KR20200073786A (en) 2018-12-14 2018-12-14 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349A KR20200073786A (en) 2018-12-14 2018-12-14 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786A true KR20200073786A (en) 2020-06-24

Family

ID=7140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349A KR20200073786A (en) 2018-12-14 2018-12-14 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78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299A (en) 2010-09-06 2013-05-29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Multilayer film and cell culture container
KR20160078302A (en) 2016-04-11 2016-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Conductive carbon film for culturing cell, and method of culturing cel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299A (en) 2010-09-06 2013-05-29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Multilayer film and cell culture container
KR20160078302A (en) 2016-04-11 2016-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Conductive carbon film for culturing cell, and method of culturing cell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4326B2 (en) Selective particles transfer from one device to another
CN103597068A (en) Membrane-separation-type culture device, membrane-separation-type culture kit, stem cell separation method using same, and separation membrane
US20100047860A1 (en) Device for storing specimen slice and instrument for microscopic observation provided with the same
CN103710263A (en) Cell culture apparatus
CN111197068B (en) Method for drug sensitivity test based on super-hydrophobic microarray chip
EP3395939B1 (en) Cell sorting, culture, and growth vessel; and cell sorting, culture, and growth method
Teshima et al. Parylene mobile microplates integrated with an enzymatic release for handling of single adherent cells
JP6459219B2 (en) Cell culture vessel
US20150225686A1 (en) Method for detaching cells from adhesion surface and cell detachment system
JP6476914B2 (en) Cell culture substrate having two kinds of porous membrane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and cell culture instrument having the cell culture substrate
KR20200073786A (en) Film for cell culture and kit for cell culture comprising the same
Heath et al. Biomaterials patterned with discontinuous microwalls for vascular smooth muscle cell culture: biodegradable small diameter vascular grafts and stable cell culture substrates
DeRosa et al. Microtextured polystyrene surfaces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ade by a simple solvent treatment method
KR101571608B1 (en) Cell culture plate capable being separated into slides and method for analyzing cell using the slide
KR102062585B1 (en) Cell Culture Kit
JP5240816B2 (en) Cell adhesion control film
KR20170114525A (en) Petri dish comprising elastic coating layer
Mancinelli et al. Recreating cellular barriers in human microphysiological systems in-vitro
KR20190135956A (en) Cell Culture Kit
US201100209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biological cells from a stem cell culture
Sherry et al. A simple method for using silicone elastomer mask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ell migration without cellular damage or substrate disruption
JP6472601B2 (en) Groove structure that expresses cell exclusion
US83042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biologic cell aggregates
CN105420105A (en) Bioch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712073B2 (en) Petri dish cell culture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