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496A -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496A
KR20200073496A KR1020180161719A KR20180161719A KR20200073496A KR 20200073496 A KR20200073496 A KR 20200073496A KR 1020180161719 A KR1020180161719 A KR 1020180161719A KR 20180161719 A KR20180161719 A KR 20180161719A KR 20200073496 A KR20200073496 A KR 20200073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t
expression
emoticon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섭
황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랫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랫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랫팜
Priority to KR102018016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496A/ko
Publication of KR2020007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서비스 사용자가 채팅을 위해 작성한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표정으로 변경하고,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선별한 후에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USER TREMINAL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본 발명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모티콘은 채팅 서비스에서 서비스 사용자들의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써,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을 합성한 용어이다.
초창기의 이모티콘은 키패드에 있는 각종 기호와 문자의 단순 조합으로 만들어 졌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이모티콘에 대한 서비스 사용자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채팅 서비스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모티콘을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채팅 서비스에서 서비스 사용자가 채팅 상대에게 감정 표현을 위한 이모티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우선,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채팅 메시지를 도 10과 같은 채팅창의 메시지 표시창에 입력한 후 또는 입력 전에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11과 같이 채팅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모티콘에 해당하는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이 채팅창의 일부분에 표시되고, 서비스 사용자는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특정 이모티콘 썸네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이모티콘 썸네일에 해당하는 특정 이모티콘이 도 12와 같이 채팅창에 표시되어 채팅 상대에게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채팅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은 도 11과 같이 여러 종류의 표정 또는 동작을 표현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이 불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 사용자가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특정 이모티콘 썸네일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서비스 사용자가 채팅을 위해 작성한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표정으로 변경하고,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선별한 후에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중계를 통한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와의 채팅 진행시, 상기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와의 채팅을 위한 채팅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다수의 이모티콘을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다수의 이모티콘에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중계를 통해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와 채팅을 진행시, 상기 채팅창의 메시지 입력창이 공란인 경우, 상기 채팅창의 일부분에 위치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가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으면,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함과 아울러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인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상기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상기 기본 표정에서 상기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사용자가 작성한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가 채팅창의 일부분에 표시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의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표정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채팅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선별하고,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이모티콘 썸네을 목록을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채팅 서비스를 이용중인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에 대한 이모티콘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의 채팅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인터넷 통신망(120) 및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로써, 채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고,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통해 생성한 채팅창(40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와 채팅 서비스를 이용, 즉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와 채팅 메시지 및 각종 이모티콘 등을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다수의 이모티콘을 저장하고, 다수의 이모티콘에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도 3과 같이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다수의 감정 종류별로 표현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감정 종류는 분노, 슬픔, 두려움, 즐거움, 우울함 등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기(110)가 채팅창(40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와 채팅을 진행중인 상태에서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이 도 4와 같이 공란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는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위치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 중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기본 표정(예를 들어, 무표정한 표정)으로 표현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인 기본 아이콘을 추출하고, 이를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구비된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에, 사용자 단말기(110)는 형태소 분석, 키워드 인식, 화행 분석, 시맨틱 분석 등과 같은 다수의 자연어 이해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하여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인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작성 텍스트는 서비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의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작성한 텍스트를 의미한다.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으로 변경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 중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특정 표정으로 표현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인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을 추출하고,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하고 있던 기본 아이콘(440)을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510, 710)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미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표시, 즉 기본 아이콘(440)을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에서 특정 표정으로 변경한 후에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보내기 버튼(43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함과 아울러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되어 있던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삭제하고, 메시지 표시창(420)에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작성 텍스트가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선별하고,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함과 아울러 도 6 또는 도 8과 같이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에 대한 이모티콘을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에서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을 통해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기 전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기본 표정(도 4의 무표정한 얼굴 이미지 등)으로 표현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인 기본 아이콘(440)을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좋아^^'라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입력받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인 '좋아^^'를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함과 아울러 형태소 분석, 키워드 인식, 화행 분석, 시맨틱 분석 등과 같은 다수의 자연어 이해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 작성 텍스트인 '좋아^^'를 분석하여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인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좋아'는 분노, 슬픔, 두려움, 즐거움 등과 같은 다수의 감정 종류 중 즐거움에 해당하는 감정 표현 어구이므로,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사용자가 느끼는 특정 감정을 '즐거움'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도 4의 기본 아이콘(410)을 도 5와 같이 즐거움에 해당하는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510)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510)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 특정 감정인 '즐거움'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하고, 도 6과 같이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표시하여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인 '즐거움'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이모티콘을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에서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좋아^^'라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가 메시지 입력창(310)에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510)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0)가 도 4와 같이 기본 아이콘(440)을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기분 별로야'라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입력받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인 '기분 별로야'를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함과 아울러 형태소 분석, 키워드 인식, 화행 분석, 시맨틱 분석 등과 같은 다수의 자연어 이해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 작성 텍스트인 '기분 별로야'를 분석하여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인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분 별로야'는 분노, 슬픔, 두려움, 즐거움, 우울함 등과 같은 다수의 감정 종류 중 '우울함'에 해당하는 감정 표현 어구이므로,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사용자가 느끼는 특정 감정을 '우울함'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도 4의 기본 아이콘(440)을 도 7과 같이 우울함에 해당하는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710)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710)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 특정 감정인 '우울함'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특정 감정 이모니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하고, 도 8과 같이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표시하여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인 '우울함'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이모티콘을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에서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 사용자는 도 8과 같이 '기분 별로야'라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가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710)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채팅 메시지 보내기 버튼(43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채팅 메시지 전송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전송함과 아울러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되어 있던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메시지 표시창(4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특정 표정에서 기본 표정으로 재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인터넷 통신망(120)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 간의 데이터 송수신과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수단으로서, 유선랜망, 무선랜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LTE-A(LTE Advanced)망, 5세대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110)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에 제공하는 장치로써, 단일 서버 또는 두 개 이상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에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그리고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사용자 단말기(110)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 간의 채팅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한다.
다시 말해서,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간의 채팅 진행을 위한 채팅창(400)의 메시지 표시창(420)에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채팅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채팅 메시지를 게시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선택한 이모티콘을 채팅창(400)의 메시지 표시창(420)에 게시하거나,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에서 선택한 이모티콘을 채팅창(400)의 메시지 표시창(420)에 게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채팅창(400)에 포함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의 표정을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채팅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선별하고,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이모티콘 썸네을 목록을 생성 및 채팅창(400)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채팅 서비스를 이용중인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에 대한 이모티콘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메모리부(230), 정보 입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망 등을 통해 연결된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무선 통신부(210)는 서비스 사용자가 정보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작성 텍스트 및 이모티콘 중 하나 이상을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전송한 채팅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 중 하나 이상을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가 음성 통화 중인 경우, 음성 통화 관련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과 같은 음성 연결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또는 GUI 등과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 간의 채팅 진행을 위한 채팅창(4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rystal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50)의 동작, 즉 사용자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30)는 다수의 이모티콘을 저장하고, 다수의 이모티콘에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30)는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다수의 감정 종류별로 표현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감정 종류는 분노, 슬픔, 두려움, 즐거움, 우울함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마이크로 SD 메모리 등), 램(Ram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부(240)는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보 입력부(240)는 사용작 작성 텍스트를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5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유닛(Application Processor Unit)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와 채팅을 진행할 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기(110)가 채팅창(40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와 채팅을 진행중인 상태에서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이 도 4와 같이 공란인 경우, 제어부(250)는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위치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 중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기본 표정(예를 들어, 무표정한 표정)으로 표현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인 기본 아이콘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부(220)에서 기본 아이콘을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250)는 정보 입력부(240)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에, 제어부(250)는 형태소 분석, 키워드 인식, 화행 분석, 시맨틱 분석 등과 같은 다수의 자연어 이해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하여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인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250)는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으로 변경한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 중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특정 표정으로 표현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인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부(220)가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하고 있던 기본 아이콘(440)을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510, 710)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미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250)는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표시, 즉 디스플레이부(220)에서 기본 아이콘(440)을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에서 특정 표정으로 변경한 후에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채팅창(400)에 포함된 보내기 버튼(430)이 선택되면, 제어부(25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함과 아울러 메시지 입력창(410)에 입력된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삭제하고,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메시지 표시창(420)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특정 표정에서 기본 표정으로 재변경하는 제어를 수행, 즉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특정 표정에서 기본 표정으로 재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작성 텍스트가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250)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선별하고,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함과 아울러 도 6 또는 도 8과 같이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 즉 디스플레이부(220)에서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된 사용자 작성 텍스트 및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기반하여 변경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 아이콘을 학습하여 추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된 경우 기존에 학습된 기변경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 아이콘을 우선적으로 추천하여 변경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에 대한 이모티콘을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에서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10)와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미도시) 간의 채팅 진행시에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표시중인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에 사용자 작성 텍스트가 입력되기 전, 즉 메시지 입력창(410)이 공란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는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위치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설정한다(S91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 중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기본 표정(예를 들어, 무표정한 표정)으로 표현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인 기본 아이콘을 추출하고 이를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구비된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S92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함과 아울러 형태소 분석, 키워드 인식, 화행 분석, 시맨틱 분석 등과 같은 다수의 자연어 이해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하여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인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S930).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으로 변경한다(S95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감정 표현 아이콘 중에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특정 표정으로 표현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인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을 추출하고,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하고 있던 기본 아이콘(440)을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510, 710)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미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표시, 즉 기본 아이콘(440)을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특정 표정으로 변경한 상태에서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저장한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선별하고,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함과 아울러 도 6 또는 도 8과 같이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S960, S970).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감정에 대한 이모티콘을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에서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할 때에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각각에 대한 서비스 사용자의 사용 빈도를 확인하고,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10)가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에서 특정 표정으로 변경한 후에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보내기 버튼(43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함과 아울러 메시지 입력창(410)에 표시되어 있던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삭제하고, 메시지 표시창(420)에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채팅창(400)의 일부분에 위치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이 특정 표정에서 기본 표정으로 재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채팅창(400)의 메시지 입력창(410)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된 사용자 작성 텍스트가 입력된 상태에서는 특정 감정 표현 아이콘(510, 710)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메시지 입력창(410)이 공란인 상태에서는 기본 아이콘(440)이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결합되어 상기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110)에 저장 및 설치됨으로써, 상기 과정을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중계를 통한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와의 채팅 진행시, 상기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와의 채팅을 위한 채팅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다수의 이모티콘을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다수의 이모티콘에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중계를 통해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 단말기와 채팅을 진행시, 상기 채팅창의 메시지 입력창이 공란인 경우, 상기 채팅창의 일부분에 위치한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에 표시된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기본 표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가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받으면,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입력함과 아울러 특정 감정을 표현한 어구인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상기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상기 기본 표정에서 상기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된 사용자 작성 텍스트 및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기반하여 변경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 아이콘을 학습하여 추가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포함된 경우 기존에 학습된 기변경된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특정 표정 아이콘을 우선적으로 추천하여 변경하도록 기능하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형태소 분석, 키워드 인식, 화행 분석 및 시맨틱 분석을 포함하는 다수의 자연어 이해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감정 표현 어구가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모티콘 입력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이모티콘 썸네일 중에서 상기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선별하고, 상기 특정 감정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 썸네일 만을 포함한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채팅창의 일부분에 상기 특정 감정 이모티콘 썸네일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채팅창에 포함된 보내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서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삭제하고, 상기 사용자 작성 텍스트를 상기 채팅창에 포함된 메시지 표시창에 입력하며, 상기 아이콘 캐릭터의 표정을 상기 특정 표정에서 상기 기본 표정으로 재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1020180161719A 2018-12-14 2018-12-14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20200073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19A KR20200073496A (ko) 2018-12-14 2018-12-14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19A KR20200073496A (ko) 2018-12-14 2018-12-14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96A true KR20200073496A (ko) 2020-06-24

Family

ID=7140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719A KR20200073496A (ko) 2018-12-14 2018-12-14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4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1232A1 (en) * 2021-03-19 2022-09-2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emojis, vehicle, and method for generating emojis
KR20240062218A (ko) 2022-10-28 2024-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서의 프로필 이미지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1232A1 (en) * 2021-03-19 2022-09-2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emojis, vehicle, and method for generating emojis
US11922538B2 (en) 2021-03-19 2024-03-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emojis, vehicle, and method for generating emojis
KR20240062218A (ko) 2022-10-28 2024-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서의 프로필 이미지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9502A1 (en) Diverse emojis/emoticons
US117583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ing messages based on a recipient relationship
CN110750971A (zh) 基于上下文的自动完成建议
US11134034B2 (en) Systems, methods, and storage media configured to integrat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into a communication between real-world users
KR20200073496A (ko)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20200073497A (ko)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US20240080294A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message receiv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KR20190134100A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75397A (ko) 이모티콘을 포함한 통신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
KR20200073502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90134080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JP6636604B2 (ja) 感情テキスト表示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90134049A (ko)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20190134082A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38959B1 (ko)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20190134055A (ko)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90134069A (ko)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20190134074A (ko)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JP2016053865A (ja) 感情テキスト表示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018321B1 (ko)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US11474691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on a mobile terminal screen
KR20190134065A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21648A (ko)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20190134059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00073504A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