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828A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828A
KR20200072828A KR1020180160852A KR20180160852A KR20200072828A KR 20200072828 A KR20200072828 A KR 20200072828A KR 1020180160852 A KR1020180160852 A KR 1020180160852A KR 20180160852 A KR20180160852 A KR 20180160852A KR 20200072828 A KR20200072828 A KR 2020007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river
display device
reflector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오혜린
이호윤
황지수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2828A/ko
Publication of KR2020007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 및 운전자의 시야 사이에 위치하며, 광을 부분적으로 1차 반사 및 투과시키는 반투과 필름부 및 상기 반투과 필름부로부터 반사된 1차 반사광을 2차 반사시켜 상기 운전자의 시야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계기판에 관한 영상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이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순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쉬 보드에 장착된 기본 계기판을 통한 차량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행 방향의 전방에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 중에 차량 주행정보와 주변상황 정보를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해주는 매체로 개발중인 여러 시스템이 있는데 그 중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가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이하, 'HUD'라 함)란 차량이나 항공기 주행 중 운전자 정면 즉 운전자의 주시야 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차량주행 정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운전시 차량전방 시야 확보 및 운행에 필요한 차량 정보 시인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하여, 대쉬보드에 장착된 기본 계기판을 통한 차량 정보 제공 외에 HUD가 적용되어, 운행에 필요한 주요 정보들을 운행 방향의 전방에 함께 투영한다. HUD 가 장착될 경우, 운전자가 전방 도로를 주시한 채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사고의 위험성을 낮춰주는 결과를 가져온다.
HUD는 영상 생성 유닛, 영상을 전방 공간상에 투영(반사) 시켜주는 반사 유닛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유닛들은 차량 가격 상승 요인이 되어, HUD 적용에 따른 주행 안전성의 월등한 상승에도 불구하고, 저변 확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부터 용이하게 운전자의 주시야 범위 내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 및 운전자의 시야 사이에 위치하며, 광을 부분적으로 1차 반사 및 투과시키는 반투과 필름부 및 상기 반투과 필름부로부터 반사된 1차 반사광을 2차 반사시켜 상기 운전자의 시야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계기판에 관한 영상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윈도우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사광을 상기 운전자의 시야를 향하도록 상기 리플렉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잇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 부재는 윈도우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영상 생성 유닛을 생략한 채 반투과 필름부 및 리플렉터만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면서, 나아가 저비용으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투과 필름부(110) 및 리플렉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반투과 필름부(110)는 계기판(10) 및 운전자(60)의 시야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반투과 필름부(110)는 상기 계기판(10)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필름부(110)는 광의 일부를 1차 반사하고 나머지 부분을 투과시킨다. 이로써, 상기 반투과 필름부(110)를 투과한 광은 운전자(60)의 시야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운전자(60)가 반투과 필름부 이면을 향해 형성된 계기판(10)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투과 필름부(110)을 통하여 1차 반사된 광은 리플렉터(130)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필름부(110)는 반투과 필름 및 구동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는 반투과 필름을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60)의 시야에 따라 상기 반투과 필름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130)는 상기 반투과 필름부(110)로부터 반사된 1차 반사광을 2차 반사시킨다. 상기 리플렉터(130)는 1차 반사된 1차 반사광을 2차 반사시켜 상기 운전자(60)의 시야를 향하도록 한다. 상기 리플렉터(130)는, 운전자(60)가 2차 반사광을 이용하여 상기 계기판(10)에 관한 영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리플렉터(130)는 윈도우(2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리플렉터(130)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투과 필름부(110), 리플렉터(130) 및 각도 조절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 부재(150)는 윈도우(12)의 내면에 고정된다. 각도 조절 부재(150)는 리플렉터(130)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로써, 반투과 필름부(110)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광을 리플렉터(130)가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부재(150)는 상기 윈도우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도 조절 부재(150)는 볼 조인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각도 조절 부재(150)는 리플렉터(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플렉트(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부재(150)를 더 포함함으로써, 운전자(60)의 시야 범위 내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갖고 낮은 부품비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계기판 60: 운전자
110: 반투과 필름부 130: 리플렉터
150: 각도 조절 부재

Claims (4)

  1. 계기판 및 운전자의 시야 사이에 위치하며, 광을 부분적으로 1차 반사 및 투과시키는 반투과 필름부; 및
    상기 반투과 필름부로부터 반사된 1차 반사광을 2차 반사시켜 상기 운전자의 시야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계기판에 관한 영상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윈도우 내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사광을 상기 운전자의 시야를 향하도록 상기 리플렉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부재는 윈도우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60852A 2018-12-13 2018-12-13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72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52A KR20200072828A (ko) 2018-12-13 2018-12-13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52A KR20200072828A (ko) 2018-12-13 2018-12-13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28A true KR20200072828A (ko) 2020-06-23

Family

ID=7113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852A KR20200072828A (ko) 2018-12-13 2018-12-13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28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6650A (zh) * 2022-06-17 2022-09-16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避免夜间成像问题的无帽檐结构组合仪表布置方法
KR20230113477A (ko) 2022-01-22 2023-07-3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차량용 헤드업 윈도우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477A (ko) 2022-01-22 2023-07-3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차량용 헤드업 윈도우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N115056650A (zh) * 2022-06-17 2022-09-16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避免夜间成像问题的无帽檐结构组合仪表布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5524B (zh) 抬頭顯示系統
US11175500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the same
US11199701B2 (en) Head-up display apparatus
US11029517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US10935839B2 (en) Display device
US11092804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CN110300915B (zh) 虚像显示装置
CN110300913B (zh) 虚像显示装置
US108842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12444974A (zh) 一种抬头显示设备、成像系统和车辆
KR20200072828A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35139A1 (en) Head-up display, head-up display method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KR20170008430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US11360303B2 (en) Head up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of head up display system
KR102349541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312958B (zh) 虚像显示装置
CN113970845A (zh) 多焦平面抬头显示设备
US10725294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KR20170008431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7372618B2 (ja) 車載表示装置
CN113495423B (zh) 投影设备及投影方法
WO2023093018A1 (zh) 抬头显示装置及汽车
WO2024004297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23058488A1 (ja) 画像投影装置および画像投影方法
JP2020016897A (ja) 虚像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