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538A - 디바이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538A
KR20200072538A KR1020207014694A KR20207014694A KR20200072538A KR 20200072538 A KR20200072538 A KR 20200072538A KR 1020207014694 A KR1020207014694 A KR 1020207014694A KR 20207014694 A KR20207014694 A KR 20207014694A KR 20200072538 A KR20200072538 A KR 2020007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obile
ids
devices
communic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395B1 (ko
Inventor
클린트 매클렐런
Original Assignee
인디 헬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디 헬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인디 헬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7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ID를 수신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그리고 사용자 ID 및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매니저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공급자 서버; 사용자 ID 및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시키도록, 그리고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ID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매니저 서버; 공급자 서버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수신된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매니저로부터 수신되는 디바이스 ID와 비교하도록, 그리고 디바이스 ID가 매치하는 경우,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디바이스와 자동적으로 페어링하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원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그러한 디바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자동적으로 페어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헬스(mHealth)(모바일-헬스(m-health)로 또한 쓰이며 커넥티드 헬스(connected health)로도 또한 지칭됨)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의학 및 공중 보건(public health)의 실천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인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에 대한 약어이다. 그 용어는, 보건 서비스(health service), 정보 및 데이터 수집을 위해,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및 PDA,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워치와 같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모바일헬스 분야는, 보건 서비스 및 정보를 위한, 컴퓨터, 이동 전화, 통신 위성, 환자 모니터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용도인 이헬스(eHealth) 및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의 하위 세그먼트로서 출현하였다. 모바일헬스 애플리케이션은, 커뮤니티 및 임상 건강 데이터를 수집함에 있어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 개업의, 연구원, 및 환자에 대한 건강 관리 정보의 전달, 환자 활력 징후(vital sign)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모바일 원격 의료를 통한) 케어(care)의 직접적인 제공을 포함한다.
모바일헬스 공간 내에서, 프로젝트는, (특히, 접근하기 어려운 모집단에 대한) 건강 관리 및 건강 관련 정보에 대한 증가된 액세스; 질병을 진단 및 추적하는 향상된 능력; 더욱 시기 적절하고, 더욱 실용적인 공중 보건 정보; 및 의료 종사자에 대한 지속적인 의료 교육 및 트레이닝에 대한 확장된 접근성을 비롯한,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운영된다. 한 분석 회사에 따르면, 전 세계 대략 280만 명의 환자가 2012년 말에 통합 연결성을 갖춘 기기에 기초하여 홈 모니터링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었다. 도면은, PC 또는 이동 전화에 연결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환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통합된 연결성(connectivity)을 갖는 모니터에 의존하는 시스템 또는 통합된 셀룰러 또는 고정 회선 모뎀을 갖는 모니터링 허브를 사용하는 시스템만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모바일헬스의 성장하는 세그먼트는, 체중계, 혈압 커프(blood pressure cuff), 혈당 측정기, 활동 추적기 및 단거리 무선 연결성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와 같은 원격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PC, 랩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수반한다.
오늘날, 700만 명보다 더 많은 환자가, 이제는, 그들의 케어 루틴의 필수 부분으로서, 연결된 의료 디바이스의 사용 및 원격 모니터링으로부터 이익을 얻고 있다고 Berg Insights의 새로운 추정치는 말하고 있다. 공급자 및 환자가 모바일헬스 도구의 편리함을 빠르게 수용함에 따라 2016년에 원격 모니터링 사용은 44%만큼 증가하였다. 원격 모니터링의 사용은 47.9%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로 자신의 성장을 지속하여 2021년까지 50.2백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면, 원격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능력은 그러한 디바이스의 채택을 잠재적으로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모바일헬스 공간을 훨씬 더욱더 큰 레이트에서 성장시키는 촉매가 될 수 있다. 현재,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많은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PC와 인터페이싱하지 않는다. 오히려, 종래의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허브와 인터페이싱하고, 그 허브는, 그 다음, 원격 백엔드 시스템과 인터페이싱하거나, 또는 디바이스 그 자체가, 그들이 백엔드와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허용하는 셀룰러 성능을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의 통합기(integrator)는 허브 및 디바이스의 완전한 제어를 가질 수 있으며 모든 디바이스를 쉽게 식별하고 그들을 페어링할 수 있다.
그러한 종래의 시스템의 문제점은, 통합기가 모든 디바이스의 완전한 제어를 필요로 하고 허브를 활용하는 것은 추가적인 월별 셀룰러 요금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용 사례는, 허브가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월별 셀룰러 요금인 추가 비용을 지원할 수 없다.
원격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스마트폰과 인터페이싱하는 것은, 환자/소비자가 그들 자신의 셀룰러 폰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허브 또는 여분의 셀룰러 회선에 대한 비용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바이스에서의 문제점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셋업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종종,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이한 제조자에 의해 형성되며 그 디바이스를 상이한 제조자에게 등록하고, 그 다음, 그 자신의 고유한 페어링 프로토콜 또는 프로시저를 가질 수 있는 디바이스를 페어링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사용자가 다수의 디바이스를 갖는 경우, 이 문제는 배가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프로토콜의 사용 및 그에 대한 고수(adherence)에서의 채택 및 관심은 제한된다.
다수의 원격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자동적으로 페어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ID를 수신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ID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그리고 사용자 ID 및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매니저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공급자 서버; 사용자 ID 및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associate)시키도록, 그리고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ID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매니저 서버; 공급자 서버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수신된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매니저로부터 수신되는 디바이스 ID와 비교하도록, 그리고 디바이스 ID가 매치하는 경우,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디바이스와 자동적으로 페어링하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징 디바이스 및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징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ID 정보를 수신하도록,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단거리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디바이스 ID를, 이미징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디바이스 ID와 비교하도록, 그리고 디바이스 ID가 매치하는 경우,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디바이스와 자동적으로 페어링하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및 다른 특징부, 양태 및 실시형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라는 제목이 부여된 부문에서 설명된다.
특징부, 양태 및 실시형태가 첨부하는 도면과 연계하여 설명되는데, 첨부하는 도면에서:
도 1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 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또는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유선 또는 무선 프로세싱 시스템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은 다수의 디바이스의 자동 페어링을 허용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시스템(100)에서, 공급자(102)는, 다수의 타입의 건강 또는 웰니스(wellness) 정보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112)와 인터페이싱할 사용자에게 다수의 디바이스(104)를 제공한다. 디바이스(104)는 건강 또는 웰니스 모니터링 디바이스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다른 타입의 원격 디바이스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시스템(100)에서, 다양한 엔티티 또는 참가자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성능을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11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시스템(100)은 모바일 디바이스(112)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는 그 사용자를 관리하는 엔티티인 공급자(102)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매니저(106)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04)와 모바일 디바이스(112) 사이의 관계를 관리할 것이다.
시스템(100)에서, 공급자 시스템/서버(102)와 관련되는 공급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12)의 사용자에게 디바이스(104)를 제공할 것이다. 디바이스(104)는 디바이스 매니저 시스템/서버(106)와 관련되는 디바이스 매니저 또는 제3자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저, 공급자(102)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113)을 다운로드할 것이고, 애플리케이션(113)을 셋업 또는 등록함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113)은, 네트워크(114)를 통해 확립되는 통신 링크(116)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2)와 관련되는 사용자 ID를 제공할 것이다.
그 다음, 공급자(102)는 사용자에게 전송될 디바이스(104)의 각각에 대한 디바이스 ID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 ID(들)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MAC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디바이스(104)는, 디바이스 ID를 얻기 위해 스캐닝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이미지화될 수 있는 또는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라벨(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 ID 및 관련된 디바이스 ID는 네트워크(114)를 통해 확립되는 통신 링크(118)를 통해 디바이스 매니저(106)로 전송되는데, 이 경우, 그것은 데이터베이스(들)(108), 예를 들면, 테이블(들)(110)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 ID는 무선으로 또는 디바이스(104)로부터 서버(102)로의 유선 연결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그 다음, 디바이스 매니저(106)는 네트워크(114)를 통해 확립되는 통신 링크(120)를 통해 디바이스 ID를 모바일 디바이스(112) 및 애플리케이션(113)으로 전송할 것이다. 이제, 애플리케이션(113)은, 자신이 인터페이싱할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ID를 갖는다.
일단 사용자가 디바이스(104)를 수신하면, 그들은, 사용되고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 메커니즘, 예를 들면, WiFi, 블루투스 등이 인에이블되고, 그 다음 애플리케이션(113)을 론칭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12) 및 디바이스(104)는, 종종, 다른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이다. 디바이스(104)가 모바일 디바이스(112)와 연결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113)은 디바이스 ID를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페어링하여 수신을 시작할 것이고, 실시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4)를 모바일 디바이스(112) 및 애플리케이션(113)과 페어링하기 위해, 특별한 무언가를 할 필요가 없다.
물론, 사용자는 측정을 행하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먼저, 디바이스를 셋업하고 그들을 배치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전원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 또는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 및 디바이스가 턴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그들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해야 하거나, 그들을 착용해야 하거나, 그들을 배치해야 하거나, 등을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혈압 커프를 착용하고 그것을 활성화해야 하거나, 또는 체중계에 올라서야 하거나, 등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일단 페어링되고 정보/데이터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113)은 디바이스(112)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및/또는 그 정보를 저장 및 분석을 위해 공급자(102) 또는 몇몇 다른 백엔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훨씬 더 용이한 통합을 허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12)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원격 모니터링 디바이스(104)와 페어링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것에 의한 훨씬 더 많은 채택 및 고수는 말할 것도 없다.
소비자 실시형태에 더욱 직접적으로, 디바이스(112)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기성품(off-the-shelf)인 디바이스(104)를 간단히 구매하고, 그 다음, 디바이스 ID를 획득하기 위해, 디바이스(112)에 포함되는 스캐너 또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라벨(111)을 스캔 또는 이미지화할 수 있다. 그 다음, 디바이스 ID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동 페어링 및 정보/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113)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유선 또는 무선 시스템(55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550)은, 도 1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으로서 또는 그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시스템(550)은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서버,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차량 내비게이션 및/또는 제어 시스템, 또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프로세서 대응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이, 다른 컴퓨터 시스템 및/또는 아키텍처도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시스템(550)은 프로세서(56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출력을 관리하기 위한 보조 프로세서, 부동 소수점 수학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 프로세서, 신호 프로세싱 알고리즘의 빠른 실행에 적절한 아키텍처를 갖는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메인 프로세싱 시스템에 종속되는 슬레이브 프로세서(예를 들면, 백엔드 프로세서), 이중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시스템에 대한 추가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 또는 코프로세서와 같은 추가적인 프로세서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보조 프로세서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560)와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560)는 통신 버스(555)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버스(555)는 시스템(550)의 스토리지와 시스템의 다른 주변 컴포넌트 사이의 정보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제어 버스(도시되지 않음)를 비롯한, 통신 버스(555)는 또한 프로세서(560)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의 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 버스(555)는, 예를 들면, 산업 표준 아키텍처(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ISA"), 확장식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마이크로 채널 아키텍처(Micro Channel Architecture: "MCA"), 주변 장치 컴포넌트 인터커넥트(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로컬 버스, 또는 IEEE 488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general-purpose interface bus: "GPIB"), IEEE 696/S-100 등을 포함하는 미국 전기 전자 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에 의해 발표되는 표준을 준수하는 버스 아키텍처와 같은 임의의 표준 또는 비표준 버스 아키텍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550)은 메인 메모리(56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보조 메모리(5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565)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모듈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프로세서(560)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명령어 및 데이터의 저장을 제공한다. 메인 메모리(565)는, 통상적으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및/또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와 같은 반도체 기반의 메모리이다. 다른 반도체 기반 메모리 타입은,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를 비롯하여, 예를 들면,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램버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RDRAM"),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등을 포함한다.
보조 메모리(570)는, 옵션 사항으로(optionally), 내부 메모리(575) 및/또는 착탈식(removable) 매체(580),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드라이브,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착탈식 매체(580)는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판독 및/또는 기록된다. 착탈식 저장 매체(580)는,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CD, DVD, SD 카드 등일 수도 있다.
착탈식 저장 매체(580)는,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즉,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착탈식 저장 매체(580) 상에 저장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는, 프로세서(560)에 의한 실행을 위해 시스템(550)으로 판독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보조 메모리(570)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데이터 또는 명령어가 시스템(550)으로 로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다른 유사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수단은, 예를 들면, 외부 저장 매체(595) 및 인터페이스(5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저장 매체(595)의 예는,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외부 광학 드라이브, 또는 그리고 외부 광자기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 메모리(570)의 다른 예는,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EEPROM과 유사한 블록 지향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 기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외부 매체(595)로부터 시스템(550)으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착탈식 저장 매체(580) 및 통신 인터페이스(590)가 또한 포함된다.
시스템(550)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90)는, 시스템(550)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면, 프린터), 네트워크, 또는 정보 소스 사이에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코드는 통신 인터페이스(590)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시스템(55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90)의 예는, 단지 몇몇의 이름을 거론하자면,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 무선 데이터 카드, 통신 포트, PCMCIA 슬롯 및 카드, 적외선 인터페이스, 및 IEEE 1394 파이어 와이어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90)는, 이더넷 IEEE 802 표준, 파이버 채널,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비동기식 디지털 가입자 회선(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 "ADSL"), 프레임 릴레이, 비동기식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통합 디지털 서비스 네트워크(integrated digital services network: "ISDN"),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CS"), 송신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직렬 회선 인터넷 프로토콜/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serial line Internet protocol/point to point protocol: "SLIP/PPP") 등과 같은 업계에 공표된 프로토콜 표준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또한, 커스터마이징된 또는 비표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도 또한 구현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90)를 통해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전기 통신 신호(605)의 형태이다. 이들 신호(605)는 통신 채널(600)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59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통신 채널(60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양한 다른 통신 링크일 수도 있다. 통신 채널(600)은 신호(605)를 반송하며(carry), 단지 몇몇의 이름을 거론하자면, 유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종래의 전화 회선, 셀룰러 전화 링크,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링크, 또는 적외선 링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즉,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메인 메모리(565) 및/또는 보조 메모리(570)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90)를 통해 수신되어 메인 메모리(565) 및/또는 보조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시스템(550)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설명에서, 용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프로그램)를 시스템(550)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매체의 예는, 메인 메모리(565), 보조 메모리(570)(내부 메모리(575), 착탈식 매체(580), 및 외부 저장 매체(595)를 포함함), 및 통신 인터페이스(59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임의의 주변 장치 디바이스(네트워크 정보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함)를 포함한다. 이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시스템(550)에 실행 가능한 코드, 프로그래밍 명령어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한 실시형태에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고 착탈식 매체(580), I/O 인터페이스(585),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590)를 통해 시스템(550)에 로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에서, 소프트웨어는 전기 통신 신호(605)의 형태로 시스템(550)에 로딩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56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560)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부 및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550)은 또한, 음성을 통한 그리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옵션 사항인 무선 통신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는 안테나 시스템(610), 무선 시스템(615) 및 기저 대역 시스템(620)을 포함한다. 시스템(550)에서, 무선 주파수("RF") 신호는, 무선 시스템(615)의 관리 하에서 안테나 시스템(610)에 의해 무선으로(over the air) 송신 및 수신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안테나 시스템(61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및 안테나 시스템(610)에 송신 및 수신 신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플렉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경로에서, 수신된 RF 신호는 멀티플렉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무선 시스템(615)으로 전송하는 저노이즈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무선 시스템(615)은 다양한 주파수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부(radio)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무선 시스템(615)은 하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에서 복조기(도시되지 않음) 및 변조기(도시되지 않음)를 결합할 수도 있다. 복조기와 변조기는 또한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유입(incoming) 경로에서, 복조기는, 무선 시스템(615)으로부터 기저 대역 시스템(620)으로 전송되는 기저 대역 수신 오디오 신호를 남기면서 RF 캐리어 신호를 제거한다.
수신된 신호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기저 대역 시스템(620)은 신호를 디코딩하고 그것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 다음, 신호는 증폭되어 스피커로 전송된다. 기저 대역 시스템(620)은 또한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기저 대역 시스템(620)에 의해 인코딩된다. 기저 대역 시스템(620)은 또한 송신을 위해 디지털 신호를 코딩하고, 무선 시스템(615)의 변조기 부분으로 라우팅되는 기저 대역 송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기는 기저 대역 송신 오디오 신호를 RF 캐리어 신호와 혼합하여, 안테나 시스템으로 라우팅되며 전력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할 수도 있는 RF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전력 증폭기는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그것을 안테나 시스템(610)으로 라우팅하는데, 안테나 시스템에서 신호는 송신을 위해 안테나 포트로 스위칭된다.
기저 대역 시스템(620)은 또한 프로세서(56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560)은 데이터 저장 영역(565 및 57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560)은, 메모리(565) 또는 보조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는 명령어(즉,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기저 대역 프로세서(610)로부터 수신되어 데이터 저장 영역(565)에 또는 보조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수신시 실행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시스템(550)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저장 영역(565)은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또한, 예를 들면,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와 같은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하드웨어에서 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상태 머신의 구현예는 또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둘 모두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더구나,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는, 상기에서 설명된 도면 및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모듈, 회로, 및 방법 단계가, 종종, 전자적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둘 모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교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가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숙련된 자는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나 그러한 구현 결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을 야기하는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모듈, 블록, 회로 또는 단계 내의 기능의 그룹화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특정한 기능 또는 단계는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나의 모듈, 블록 또는 회로로부터 다른 것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모듈, 및 방법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함께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그러나 대안예에서, 프로세서는 임의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로 직접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네트워크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예에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또한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가 상기에서 설명되었지만,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단지 예에 불과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설명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의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질 때 따르는 청구범위의 관점에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ID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사용자 ID 및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매니저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공급자 서버;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이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associate)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매니저 서버;
    상기 공급자 서버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ID를, 디바이스 매니저로부터 수신되는 디바이스 ID와 비교하도록,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ID가 매치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디바이스와 자동적으로 페어링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ID는 체중계, 혈압 커프(blood pressure cuff), 혈당 측정기 및 활동 추적기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ID의 각각은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추가적인 셋업 또는 액션 없이, 페어링된 상기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측정치의 수신을 시작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상기 측정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시키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측정치 데이터를 상기 공급자 서버에게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스템.
  7. 애플리케이션, 이미징 디바이스 및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ID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거리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디바이스 ID를,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디바이스 ID와 비교하도록,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ID가 매치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ID와 관련되는 디바이스와 자동적으로 페어링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체중계, 혈압 커프, 혈당 측정기, 및 활동 추적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ID의 각각은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추가적인 셋업 또는 액션 없이, 페어링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측정치의 수신을 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상기 측정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측정치 데이터를 상기 공급자 서버에게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공급자 서버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207014694A 2017-10-25 2018-10-15 디바이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46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93,903 2017-10-25
US15/793,903 US10701746B2 (en) 2017-10-25 2017-10-25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iring of devices
PCT/US2018/055941 WO2019083763A1 (en) 2017-10-25 2018-10-15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DEVICE MATC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538A true KR20200072538A (ko) 2020-06-22
KR102246395B1 KR102246395B1 (ko) 2021-04-29

Family

ID=6616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694A KR102246395B1 (ko) 2017-10-25 2018-10-15 디바이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701746B2 (ko)
EP (1) EP3701767A4 (ko)
JP (1) JP6849203B2 (ko)
KR (1) KR102246395B1 (ko)
CN (1) CN111480390B (ko)
CA (1) CA3080244C (ko)
WO (1) WO2019083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347B2 (en) * 2019-06-28 2020-12-01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10377726A1 (en) * 2020-05-27 2021-12-02 Medtronic Minimed,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ssociating a non-medical device with a medical device
US11711860B2 (en) * 2021-06-06 2023-07-25 Kyndryl, Inc. Device pairing by cognitive compu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8900A1 (en) * 2006-08-31 2008-03-06 Richard Berthelsdorf Patient device for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with an implant
WO2015047681A1 (en) * 2013-09-30 2015-04-02 John Sherman Facilitating user input via arm-mounted device interfacing with head-mounted device
US20150220696A1 (en) * 2006-03-30 2015-08-06 At&T Mobility Ii Llc Measurement, collection, reporting and processing of health condition data
US20160328576A1 (en) * 2015-05-08 2016-11-10 YC Wellness, Inc. Integration platform and application interfaces for remote data management and security
WO2017109663A1 (en) * 2015-12-22 2017-06-29 GOGINENI, Shyamala Devi A smart bio-fluids diagnostic monitoring system and a method of monitoring healthines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4848A2 (en) 2005-09-29 2008-06-2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dical training system for casualty simulation
US20090292178A1 (en) * 2008-05-21 2009-1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users during an interactive activity
US20100205209A1 (en) * 2009-02-12 2010-08-12 Medixine Oy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personal intake
US8914523B2 (en) * 2010-05-17 2014-12-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 internet protocol registry for mobile internet protocol based communications
US20120182939A1 (en) * 2011-01-14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Telehealth wireless communication hub and service platform system
US9974108B2 (en) * 2012-02-06 2018-05-15 Nuvectra Corporation Paired communication between an implanted medical device and an external control device
KR101581656B1 (ko) * 2012-07-16 2016-0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장치, 이를 이용한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9705989B2 (en) * 2013-09-13 2017-07-11 Polar Electro Oy Pairing of devices
US20160072677A1 (en) * 2014-09-04 2016-03-10 Abhay Gupta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Home Area Network Devices to Smart Meters and Utility Accounts
CN104680213A (zh) * 2015-02-12 2015-06-03 无锡识凌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之间快速连接及数据传输的控制方法
CN106413124B (zh) * 2015-07-31 2021-03-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设备绑定方法和装置
EP3326425A4 (en) 2015-08-20 2019-03-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PHERAL DEVICE MATCHING
CN105357629A (zh) * 2015-11-20 2016-02-2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与智能家电的绑定方法及装置
US20180116560A1 (en) * 2016-10-31 2018-05-03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ody parts of an individu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0696A1 (en) * 2006-03-30 2015-08-06 At&T Mobility Ii Llc Measurement, collection, reporting and processing of health condition data
US20080058900A1 (en) * 2006-08-31 2008-03-06 Richard Berthelsdorf Patient device for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with an implant
WO2015047681A1 (en) * 2013-09-30 2015-04-02 John Sherman Facilitating user input via arm-mounted device interfacing with head-mounted device
US20160328576A1 (en) * 2015-05-08 2016-11-10 YC Wellness, Inc. Integration platform and application interfaces for remote data management and security
WO2017109663A1 (en) * 2015-12-22 2017-06-29 GOGINENI, Shyamala Devi A smart bio-fluids diagnostic monitoring system and a method of monitoring healthi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4701A1 (en) 2019-04-25
KR102246395B1 (ko) 2021-04-29
EP3701767A1 (en) 2020-09-02
CA3080244A1 (en) 2019-05-02
CN111480390B (zh) 2021-09-17
US10701746B2 (en) 2020-06-30
CA3080244C (en) 2021-01-12
JP6849203B2 (ja) 2021-03-24
EP3701767A4 (en) 2021-07-28
US11419168B2 (en) 2022-08-16
JP2021503262A (ja) 2021-02-04
CN111480390A (zh) 2020-07-31
US20200329517A1 (en) 2020-10-15
WO2019083763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91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iring of devices
US10530817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plurality of protocol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401795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iring of devices
CN107785070A (zh) 一种基于移动医疗云平台的移动便携式体检系统
CN113438628B (zh) 用于数据交互的方法和装置
US10187774B2 (en) Method to improve connectivity to a wireless low energy peripheral device when being accessed by multiple central devices
TW201421417A (zh) 透過藍牙/Wi-Fi與行動電話裝置以傳輸生理偵測訊號的方法
US20150200835A1 (en) Method for providing status messaging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685075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 with serial data output and client device with audio port
KR20170111230A (ko)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70054680A (ko) 전자 장치 간 통신 연결 수립 방법 및 장치
CN110290585A (zh) 上报ca组合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360495B1 (ko)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8125965B1 (en) Wireless multi-mode system and method
CN111784279A (zh) 基于二维码的定位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8323198B (zh) 一种配置外部设备的方法及设备
CN110769397B (zh) 机器人连接网络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1747859B1 (ko)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22115A (ko) 통신 환경에 기반한 메시지 송신 방법 및 그 장치
CN203313183U (zh) 基于nfc功能的数据传输系统
US20170359681A1 (en) Managing location sharing requests
KR20180010028A (ko) 사물 인터넷용 범용 게이트웨이
KR20150023579A (ko) 가변적통신경로로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헬스케어 장치 및 방법
CN105678044A (zh) 电子健康档案系统中业务处理方法及电子健康档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