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363A -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363A
KR20200072363A KR1020180160440A KR20180160440A KR20200072363A KR 20200072363 A KR20200072363 A KR 20200072363A KR 1020180160440 A KR1020180160440 A KR 1020180160440A KR 20180160440 A KR20180160440 A KR 20180160440A KR 20200072363 A KR20200072363 A KR 2020007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obstacle
speed
collisio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0609B1 (en
Inventor
권성률
임성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알웍스 filed Critical (주)에이알웍스
Priority to KR102018016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609B1/en
Publication of KR2020007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8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with means for avoiding collisions betwee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speed control of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comprising intertial navigation means, e.g. azimuth detect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path of a moving object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method includes: (a) a step wherein a moving object control apparatus obtains information on the speed and radius size of the obstacle, obtains a collision risk angle reflecting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nd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for a reference line, and obtains a relative speed reflecting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and a relativ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speed for the reference lin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reference line includes the positions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with the obstacle detected which is positioned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and (b) a step wherein the moving object control apparatus calculates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and controls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object with a first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as a first mode for avoiding th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when (i) the relative angle is less than 90 degrees, (ii) the collision risk angle exceeds the relative angle, and (iii)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Description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로부터 제1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선을 기준선이라고 가정할 때,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 및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와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를 고려한 충돌 위험 각도를 획득하며, 상기 이동체의 속도와 상기 장애물의 속도를 고려한 상대 속도 및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상대 속도에 대응되는 상대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i) 상기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ii) 상기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보다 크며, iii)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제2 소정거리이내 일 때, 상기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제1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1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헤딩 각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object to prevent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more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obstacle located at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is detected, and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ssuming that the lin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 reference line,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obtains the radius size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obstacle, and considers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round the reference line Obtaining a dangerous angle, obtaining a relative spe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and a relativ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speed based on the reference line; And i)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less than 90°, ii)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and iii)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as a first mode for avoiding collision with the obstacle, calculates a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through a first algorithm based on a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and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It relates to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드론(멀티콥터) 등의 이동체는 취미 생활로서 사용자들로부터 꾸준하게 인기를 얻어 왔고, 앞으로는 산업 영역에서도 드론(멀티콥터)이 보다 더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Vehicles such as drones (multicopters) have been steadily gaining popularity from users as a hobby, and in the future, drones (multicopters) can be utilized even more in the industrial field.

다수의 드론이 공중에서 동시에 비행하게 되면 드론끼리의 충돌 또는 드론과 다른 장애물 사이의 충돌도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드론 충돌은 드론이 파손되는 1차 피해, 뿐만 아니라 파손된 드론이 공중에서 떨어짐에 따라 2차 피해까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참고로, 드론의 장애물 회피 기술은 자동 비행의 필수 요소에 해당한다.When multiple drones fly in the air at the same time, collisions between drones or collisions between drones and other obstacles may occur frequently. The drone collision is not only the primary damage that the drone is broken, but also the secondary damage can occur as the damaged drone falls from the air, so a technique is needed to prevent this. For reference, the drone's obstacle avoidance technology is an essential part of automatic flight.

기존의 장애물 회피 기술은 대부분 비전 센서를 통해 이루어져왔으나, 상기 센서 기반 제품은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가시거리도 50M에 불과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단순한 회피 알고리즘을 이용할 뿐이어서 장애물을 회피하는 것에 의의를 둘 뿐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었다.Most of the existing obstacle avoidance technology has been achieved through a vision sensor, but the sensor-based product is not only expensive, but also has a visible distance of only 50M. In addition, in the past, only a simple avoidance algorithm was used, and the significance of avoiding obstacles was not considered, and the optimal route was not selected.

이에 본 발명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proposes a method of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object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 with an obstac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all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이동체가 정적/동적인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목적지점까지 비행가능 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mobile body to fly to a destination point while avoiding static/dynamic obstacles.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가 자동적으로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취미/오락, 재난재해 모니터링, 농산업용 분야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mobile body to automatically avoid obstacles, so that it can be used in many fields such as hobby/entertainment, disaster disaster monitoring, and agricultural industry.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알고리즘에서 벗어나, 간단하고 적은 계산을 통해 보다 작은 궤적을 그리며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하여 목적지까지의 효과적인 경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ate from an avoidance algorithm for simply avoiding an obstacle, and to select an effective path to a destination by making a smaller trajectory and avoiding an obstacle through simple and less calcul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제1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선을 기준선이라고 가정할 때,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 및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와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를 고려한 충돌 위험 각도를 획득하며, 상기 이동체의 속도와 상기 장애물의 속도를 고려한 상대 속도 및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상대 속도에 대응되는 상대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i) 상기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ii) 상기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보다 크며, iii)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제2 소정거리이내 일 때, 상기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제1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1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헤딩 각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object to prevent collision with an obstacle, in the state in which the obstacle located at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is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Assuming that the lin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 reference line,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obtains the radius size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obstacle, and considers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round the reference line Obtaining a risk angle, obtaining a relative spe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and a relativ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spe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and i) the magnitud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90° Smaller, ii)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and iii)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obstacle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vable body control device collides with the obstacle As a first mode for avoiding, a method is provided comprising calculating a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and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through a first algorithm based on a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상기 이동체로부터 제1 소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상기 장애물이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선을 기준선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 및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와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를 고려한 충돌 위험 각도를 획득하며, 상기 이동체의 속도와 상기 장애물의 속도를 고려한 상대 속도 및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상대 속도에 대응되는 상대 각도를 획득하고, i)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ii) 상기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보다 크며, iii)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제2 소정거리이내 일 때,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제1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1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헤딩 각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이동체 컨트롤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vement path of a moving object to prevent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lin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s a reference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obstacle located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Obtain radius size and speed information, obtain a collision risk angle considering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round the reference line, and obtain the relative speed and the reference line considering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Obtaining a relativ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speed as a center, i)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is less than 90°, ii)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and iii) the moving object and the When the distance between obstacles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as a first mode for avoiding collision with the obstacle,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bile body is calculated through a first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body and the obstacl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movement path of the moving objec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이동체가 정적/동적인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목적지점까지 비행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moving object can fly to the destination point while avoiding static/dynamic obstacles.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가 자동적으로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취미/오락, 재난재해 모니터링, 농산업용 분야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mobile body to automatically avoid obstacles, so that it can be used in many fields such as hobby/entertainment, disaster disaster monitoring, and agricultural industry.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기존의 회피 알고리즘에서 벗어나, 간단하고 적은 계산을 통해 보다 작은 궤적을 그리며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하여 목적지까지의 효과적인 경로를 선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eviating from an existing avoidance algorithm for simply avoiding obstacles, and selecting an effective route to a destination by drawing a smaller trajectory and avoiding obstacles through simple and less calcu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 컨트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목적 지점까지 최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장애물을 회피하고 목적지점으로 도달하기 까지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 관련 충돌 감지 각도 및 상대 각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의 자세 각 및 heading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와 장애물의 상대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의 heading 각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moving object moves along an optimal path to a target point while avoiding obsta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a moving object and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moving object avoids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trajectory until a moving object avoids an obstacle and reaches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a collision detection angle and a relative angle related to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osture angle and a heading angle of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relative distance between a moving object and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angular velocity of the heading of the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path of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xamples ar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plac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 컨트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체 컨트롤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도 1과는 달리 센서부(130)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베이스도 이동체 컨트롤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moving object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processor 120, and in some cases, unlike FIG. 1, may include a sensor unit 13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databas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100.

우선, 이동체 컨트롤 장치 (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mobile body control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is, Wi-Fi (WIFI),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Mobile WiMAX, WiBro , LTE (Long Term Evolution), Bluetooth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Zigbee), WLAN technology, etc. may be applied. In addition, when providing a service connected to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follow TCP/IP, a standard protocol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on the Internet.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프로세서(120)는 헤딩(heading) 각속도 제어부(120-1), 위치(속도) 제어부(120-2) 등 2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동체의 각속도 내지 이동 위치(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서(120)에서 다중루프(외부 루프, 내부 루프)를 이용할 수 있고 외부 루프에서 상기 각속도 내지 이동 위치 제어를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부 루프에서는 PID 제어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Next, the processo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control parts, such as a heading angular speed control unit 120-1 and a position (velocity) control unit 120-2. Can be controlled.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ultiple loop (outer loop, inner loop) may be used in the processor 120, and the angular velocity or movement posi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in the outer loop. Also, a PID controller can be used in the inner loop. The processo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 detailed description later.

또한, 센서부(130)는 이동체 컨트롤 장치(100)의 통신부(110)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에서의 센서부(130)는 라이다(LIDAR)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비전(VISION) 센서와 같은 다른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센서부(130)에서는 이동체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프로세서(120)에 대한 설명과 함께 뒤에서 알아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30 can be acces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mobile body control device 100. In principle, the sensor unit 130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AR sensor, and does not limit the inclusion of other sensors such as a VISION sensor. The sensor unit 130 may detect the movement of an obstacle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a description of the processor 120.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이동체는 드론, 멀티콥터 등의 원격 조정 이동체, 뿐만 아니라 무인 항공기, 유인 항공기, 열기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장애물은 정적인 대상, 동적인 대상을 모두 포함하며 특별히 대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장애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충돌 회피 알고리즘은 장애물을 회피하고 목적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빠른 방향 및 가장 짧은 경로를 탐색하고 있다.Meanwhile, the mobile bod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one, a multi-copter remotely controlled mobile body, as well as a drone, a manned aircraft, a hot air ballo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bstacl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static objects and dynamic objects, and the obje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searching for the fastest direction and the shortest path to avoid the obstacle and reach the destination.

상기 충돌 회피 알고리즘의 경우, 단순 하나의 식이 아니라 기하학적 제약과 운동방정식이 조합된 것이다. 즉, 이동체가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제1 알고리즘이 이용되고, 이동체가 장애물을 회피하였고 목표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각속도가 변경되는 동작 모드인 제2 모드에서는 제2 알고리즘이 이용되며, 이동체가 장애물 이동 영역을 완전히 벗어나 목표지점까지 최적의 경로로 도달하는 동작 모드인 제3 모드에서 제3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it is not a simple equation, but a combination of geometric constraints and motion equations. That is, the first algorithm is used in the first mode, which is the operation mode for the moving object to avoid the obstacle, and the second algorithm is used in the second mode, th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moving object avoids the obstacle and the angular velocity is changed to reach the target point. It is used, and the third algorithm may be used in the third mode, which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moving object completely moves out of the obstacle moving area and reaches an optimal path to a target point.

이하에서는, 상기 제1, 2, 3 모드를 구분하는 조건 및 각 모드에서의 각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겠다.Hereinafter, conditions for classify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des and algorithms in each mod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목적 지점까지 최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moving object moves along an optimal path to a target point while avoiding obsta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프로세서(120)는 센서부(130)를 통해 이동체로부터 제1 소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소정 거리는 센서부(130)에 포함된 센서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장애물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 및 센서부(130)를 통해 장애물과 이동체 사이의 기하학적 정보를 획득(S210)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 정보와 관련해서는 도 3와 함께 보다 자세히 살펴보겠다.First, the processor 120 may sense an obstacle positioned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through the sensor unit 130. Here,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30. After detecting the obstacle, the processor 120 may acquire geometric information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moving o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ensor unit (S210 ). The geometric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a moving object and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 도시된 이동체 관련 변수를 살펴보면, M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고,

Figure pat00001
는 이동체의 속도이며,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에 대응되는 이동체의 heading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Figure pat00004
는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Looking at the variable related to the moving object shown in Figure 3, M corresponds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Figure pat00001
Is the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Figure pat00002
The
Figure pat00003
It means the heading angle of the moving object corresponding to. Also,
Figure pat00004
Indicates the radius of the mobile body.

도 3에 도시된 장애물 관련 변수를 살펴보면, O는 장애물의 현재 위치를 의미하고,

Figure pat00005
는 장애물의 속도이며,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에 대응되는 장애물의 heading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Figure pat00008
는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Looking at the obstacle-related variables shown in Figure 3, O mean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stacle,
Figure pat00005
Is the speed of the obstacle,
Figure pat00006
The
Figure pat00007
It means the heading angle of the obstacle corresponding to. Also,
Figure pat00008
Indicates the radius of the obstacle.

한편, 이동체의 위치와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선을 기준선이라고 가정할 수 있고, 도 3에서는 직선 MO가 기준선에 해당할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도 3(a)(b)는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의 방향 모두 좌측으로 향하고, 도 3(c)(d)는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의 방향 모두 우측으로 향한다. 또한,
Figure pat00013
의 방향에 따라 도 3(a)와 도 3(b)를 구분하고, 도 3(c)와 도 3(d)를 구분할 수 있다.Meanwhile, it may be assumed that a lin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 reference line, and in FIG. 3, the straight line MO will correspond to the reference line. At this time, based on the reference line, Figure 3 (a) (b) is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All of the directions are directed to the left.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All of the directions are towards the right. Also,
Figure pat00013
3(a) and 3(b), and 3(c) and 3(d).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부(110) 및 센서부(120)를 통해 위에서 살펴본 각각의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이동체의 속도, 반지름 크기 및 heading 각도 등은 센서부(120)를 거치지 않고서도 확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싱된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 및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충돌 위험 각도 및 상대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acquire each variable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ensor unit 120. Of course, the speed, radius size, and heading angle of the moving body can also be checked without going through the sensor unit 120. The processor 120 may acquire radius size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sensed obstacle, and may use it to obtain a collision risk angle and a relative angle.

구체적으로,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와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를 합한 값을 R이라고 할 때, 이동체의 중심과 장애물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R보다 작은 경우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R(이동체의 반지름 크기 +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이동체의 현재 위치(M)가 이루는 각도를 충돌 위험 각도라고 지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um of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nd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is R, a collision occur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center of the obstacle is smaller than R. Accordingly, an angle formed by the circle having R as the radius (radius size of the movable body + radius of the obstacle) and the current position M of the movable body may be designated as a collision risk angle.

즉, 프로세서(120)는 기준선(MO)를 중심으로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와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를 고려한 충돌 위험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에서의 충돌 위험 각도는 β+ 또는 β-에 해당한다. That is, the processor 120 may acquire a collision risk angle in consideration of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round the reference line MO. The angle of collision risk in FIG. 3 corresponds to β+ or β-.

또한, 프로세서(120)는 이동체의 속도와 장애물의 속도를 고려하여 상대 속도(

Figure pat00014
)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관련 식은
Figure pat00015
(식 1)와 같다. 또한,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상대 속도에 대응하는 상대 각도 역시 획득될 수 있는 바, 도 3에서의 상대 각도는 α에 해당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considers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peed (
Figure pat00014
). The related expression for this
Figure pat00015
It is the same as (Equation 1). In addition, a relativ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speed around the reference line can also be obtained, and the relative angle in FIG. 3 corresponds to α.

상기 상대 각도 α가 0보다 크거나 같을 때, 이동체가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대 각도 α가 상기 충돌 위험 각도 β+를 따라가고, 상기 상대 각도 α가 0보다 작을 때, 이동체가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대 각도 α가 상기 충돌 위험 각도 β-를 따라가야 할 것이다. 도 4와 함께 보다 자세히 아래에서 살펴보겠다.When the relative angle α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 in order to avoid collision with the obstacle, the moving object follows the danger angle β+, and when the relative angle α is less than 0, the moving object is obstructed. In order to avoid collision with, the relative angle α must follow the risk of collision β-. It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with FIG. 4.

도 4는 이동체가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한 이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moving object after avoiding collision with an obstacle.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체의 중심(M)으로부터 장애물의 중심(O)으로의 벡터인

Figure pat00016
또는
Figure pat00017
(참고로,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는 동일)를 이동체의 속도 벡터
Figure pat00020
에 투영하였을 때, 각각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이동체와 장애물의 충돌은 회피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을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vector from the center of the moving object (M) to the center of the obstacle (O)
Figure pat00016
or
Figure pat00017
(Note that,
Figure pat00018
Wow
Figure pat00019
Is the same) velocity vector of the moving object
Figure pat00020
When projected on, it can be considered that collis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avoided when they are in opposite directions. Specifically, the above contents ar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pat00021
(식 2)
Figure pat00021
(Equation 2)

여기서, σ는 스칼라량이므로 cos α<0을 만족한다면, 이동체와 장애물의 충돌은 회피될 것이다.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이동체와 장애물이 충돌가능성이 있을 때 활성화되어야 하므로, 상대 각도 α가 아래의 관계를 만족할 시 활성화된다. Here, since σ is a scalar amount, if cos α<0 is satisfied, collis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will be avoided. Since the algorithm for avoiding collision must be activated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the relative angle α is activated when the following relationship is satisfied.

Figure pat00022
(식 3)
Figure pat00022
(Equation 3)

결국, 상대 각도 α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충돌 위험 각도(β+, β-)의 크기가 상대 각도 α의 크기보다 큰 경우를 만족해야 충돌 회피 알고리즘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Consequently,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may be activated only whe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α is less than 90° and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s β+ and β-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α.

또한,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멀 때는 이동체가 장애물을 즉시 회피해야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충돌 회피 알고리즘은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제2 소정거리이내 일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소정거리는 장애물 감지가능 구간인 제1 소정거리보다는 작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long, the moving object does not need to immediately avoid the obstacle. Accordingly,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may be limited to being activa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Here,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will be small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is an obstacle detecting section.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i) 상대 각도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ii)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보다 크며, iii)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제2 소정거리이내 일 때, 프로세서(120)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제1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1 알고리즘을 통해 이동체의 헤딩 각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S220)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i)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is less than 90°, ii)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and iii)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cessor 120 is a first mode for avoiding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calculates a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through a first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and controls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S220) )can do.

상대 각도 α와 충돌 위험 각도 β 사이의 관계가 α≥β 또는 α≤ β-를 만족하도록 이동체의 heading 각속도를 처리하는 제1 알고리즘을 구하기 위한 과정은 아래와 같다.The process for obtaining the first algorithm for processing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angle α and the collision risk angle β satisfies α≥β or α≤ β- is as follows.

우선, 이동체와 데카르트 좌표 관계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First, the equations of the moving object and Cartesian coordinates are as follows.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3

또한, 장애물과 데카르트 좌표 관계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In addition, the eq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stacles and Cartesian coordinates is as follows.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4

또한,

Figure pat00025
(참고로, 도 3(a)(b)의 경우)일 때의 각도
Figure pat00026
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참고로,
Figure pat00027
는 이동체의 heading 각도를 의미하고,
Figure pat00028
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대 속도인
Figure pat00029
에 대응되는 각도에 해당한다.Also,
Figure pat00025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Fig. 3 (a) (b)) angle
Figure pat00026
Is calculated as follows. Note that,
Figure pat00027
Means the heading angle of the moving object,
Figure pat00028
Is relative velocity relative to the horizon
Figure pat00029
Corresponds to the angle corresponding to.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이라 하면
Figure pat00032
Speaking of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3

싸인 법칙을 적용하면 Applying the sign law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에서
Figure pat00037
.
Figure pat00036
in
Figure pat00037
.

이동체와 움직이는 장애물 사이의 거리

Figure pat00038
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Distance between moving object and moving obstacle
Figure pat00038
Is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를 트래킹 오차라 하면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1
Is the tracking error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7

여기서here

Figure pat00048
.
Figure pat00048
.

Lyapunov 함수를 고려하여Taking into account the Lyapunov function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음수

Figure pat00051
를 얻기 위한 ω는negative
Figure pat00051
Ω to get

Figure pat00052
(식 4) 여기서,
Figure pat00053
는 양수이다.
Figure pat00052
(Equation 4) Here,
Figure pat00053
Is positive.

또한,

Figure pat00054
(참고로, 도 3(c)(d)의 경우)일 때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Also,
Figure pat00054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FIG. 3(c)(d)), the relational expression is as follows.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식 5) 여기서,
Figure pat00061
는 양수이다.
Figure pat00060
(Equation 5) where:
Figure pat00061
Is positive.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조건의 경우인 도 3(a) 내지 도 3(d) 모두 식 4(식 5)가 도출되며, 이는 제1 알고리즘에 해당한다. 즉,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알고리즘을 통해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이동체의 heading 각속도(ω)를 계산하고,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different conditions, in FIGS. 3(a) to 3(d), Equation 4 (Equation 5) is derived,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algorithm. That is, the processor 120 may calculate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ω of the moving object to avoid collision with the obstacle through the first algorithm, and control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참고로, 상기 제1 알고리즘에 따라 heading 각속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동체의 속도는 일정할 수 있다.For reference, even when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irst algorithm, the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may be constant.

도 5는 이동체가 장애물을 회피하고 목적지점으로 도달하기 까지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trajectory until a moving object avoids an obstacle and reaches a destination point.

참고로, 도 5(a) 내지 도 5(d) 역시 도 3(a) 내지 도 3(d)와 마찬가지로, 기준선(MO)을 기준으로, 도 5(a)(b)는

Figure pat00062
,
Figure pat00063
의 방향 모두 좌측으로 향하고, 도 5(c)(d)는
Figure pat00064
,
Figure pat00065
의 방향 모두 우측으로 향한다. 또한,
Figure pat00066
의 방향에 따라 도 5(a)와 도 5(b)를 구분하고, 도 5(c)와 도 5(d)를 구분할 수 있다.For reference, FIGS. 5(a) to 5(d) are similar to FIGS. 3(a) to 3(d), based on the reference line MO, FIGS. 5(a)(b)
Figure pat00062
,
Figure pat00063
All of the directions are toward the left, and Fig. 5(c)(d) is
Figure pat00064
,
Figure pat00065
All of the directions are towards the right. Also,
Figure pat00066
5(a) and 5(b)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and FIG. 5(c) and 5(d) may be distinguished.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체가 S를 시작점, T를 목표지점으로 하여 곡선 QMT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의 중심이 점 Q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관계로부터 생성된 상대 각도 α가 90°에 해당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충돌 회피 알고리즘은 상대 각도 α가 90°의 크기보다 작을 때 활성화되므로 점 Q에서는 충돌 회피 알고리즘이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moving object moves according to the curve QMT with S as a starting point and T as a target point. Here, when the center of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Q, the relative angle α gener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corresponds to 9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is activated when the relative angle α is smaller than the size of 90°,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will not be activated at point Q.

즉, i) 상기 상대 각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고 18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ii) -180°보다 크거나 같고 -9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만족하므로 상기 Q에 중심이 위치하는 이동체는 장애물과의 충돌이 회피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That is, i) when the relativ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90° and less than or equal to 180°, or ii) greater than or equal to -180° and less than or equal to -90°, the mobile body centered in Q is satisfied. It can be determined that collision with an obstacle is avoided.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점 Q이후의 지점부터는 목표지점 T에 도달하기 위한 제2 모드로서, 이동체 및 목표지점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2 알고리즘을 통해 이동체의 heading 각속도를 새로이 계산하고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S230)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cessor 120 is a second mode for reaching the target point T from the point after the point Q, and newly calculates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through the second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target point, and The movement path may be controlled (S230).

여기서, 상기 제2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Here, the second algorithm is as follows.

Figure pat00067
(식 6) 여기서,
Figure pat00068
는 양수이다.
Figure pat00067
(Eq. 6) where:
Figure pat00068
Is positive.

결국,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 6에 의한 heading 각속도(ω)에 따라 곡선 QM을 그리면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점 M에 이동체의 중심이 위치하는 경우, 장애물의 이동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서술하겠다.As a result, the processor 120 may move at a constant speed while drawing a curve QM according to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ω according to Equation 6. For reference, when the center of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point M,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outside the moving area of the obstacl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특정 지점에서의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상대 각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고 18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180°보다 크거나 같고 -9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만족하는 상태에서, 기준선과 장애물이 움직이는 방향 사이의 각도를 p라고 하고, 이동체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D * sin p ≥ R(이동체의 반지름 + 장애물의 반지름)일 경우의 특정 지점에서의 이동체는 장애물의 이동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Baseline and obstacle with a relative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90° and less than or equal to 180° or a case greater than or equal to -180° and less than or equal to -90° at a specific point When the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s is p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D, the moving object at a specific point when D * sin p ≥ R (radius of the moving object + radius of the obstacle) is the moving of the obstacl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located outside the area.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말하면, p를 벡터

Figure pat00069
(
Figure pat00070
)의 역벡터와 벡터
Figure pat00071
의 역벡터 사이의 각도
Figure pat00072
라고 보고, D는 벡터
Figure pat00073
(
Figure pat00074
)의 크기에 해당하므로 결국,
Figure pat00075
를 만족해야 할 것이며, 도 5에서는 이동체의 중심이 점 M에 위치할 때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 5, vector p
Figure pat00069
(
Figure pat00070
) Inverse vector and vector
Figure pat00071
Angle between inverse vectors of
Figure pat00072
And D is a vector
Figure pat00073
(
Figure pat00074
), so in the end,
Figure pat00075
5, it is determined that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when the center of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point M.

상기 특정 지점에 이동체의 중심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프로세서(120)는 목표지점 T에 도달하기 위한 제3 모드로서, 이동체 및 목표지점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3 알고리즘을 통해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를 새로이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S240)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er of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the specific point, the processor 120 is a third mode for reaching the target point T, and the moving object is moved through a third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target point. The position to be newly calculated, and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can be controlled (S240).

참고로, 도 5에서는 점 M에 이동체의 중심이 위치할 때, 장애물의 이동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점 M에서부터의 이동체는 위치(속도) 제어부(120-2)에 따라 이동해야 할 위치가 지정될 것이다. 이때, 헤딩(heading) 각속도 제어부(120-1)에 의한 처리 역시 경우에 따라 가능할 것이다.For reference, in FIG. 5, when the center of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t point M, it is determined that it is outside the moving area of the obstacle. Therefore, the moving object from point M will be assigned a position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speed) control unit 120-2. At this time, the processing by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control unit 120-1 may also be possible in some cases.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우선, 상기 이동체가 일정 속도로 상기 목표지점에 도달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이동체의 일정한 속도는 제1 모드, 제2 모드에서의 이동체의 속도와 동일(참고로, 제1, 2 모드에서는 각속도가 변경될 뿐, 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고려되는 오차

Figure pat00076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In the third mode, the processor 120 may first control the moving object to reach the target point at a constant speed. For reference, the constant speed of the moving object may be the same as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i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for reference, the angular speed is changed only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and the speed is the same). Error considered at this time
Figure pat00076
Is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pat00077
(식 7) 여기서,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7
(Equation 7) Here,
Figure pat00078

또한, 프로세서(120)는 이동체가 목표 지점에 근접하였을 경우, 목표지점에서 이동체를 정지시키기 위해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체와 목표지점 사이의 거리가 1m이내인 것으로 감지될 때 이동체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고려되는 오차

Figure pat00079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Further, the processor 120 may decrease the speed to stop the moving object at the target point when the moving object is close to the target point. For example,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may be reduc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target point is detected to be within 1 m. Error considered at this time
Figure pat00079
Is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pat00080
(식 8)
Figure pat00080
(Equation 8)

제3 모드에서의 프로세서(즉, 위치(속도) 제어부(120-2))는 식 7, 식 8을 이용한 제3 알고리즘을 통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ocessor (that is, the position (velocity) control unit 120-2) in the third mode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through the third algorithm using Equation 7, Equation 8.

도 6 내지 도 11은 충돌 회피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을 때, 이동체의 움직임 관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6 to 11 show results of experiments related to movement of a moving object when th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is used.

우선, 도 6(a)는 장애물이 정적인 상태에서 충돌 감지 각도 및 상대 각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장애물이 동적인 상태에서 충돌 감지 각도 및 상대 각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First, FIG. 6(a) shows the change of the collision detection angle and the relative angle when the obstacle is static, and FIG. 6(b) shows the change of the collision detection angle and the relative angle when the obstacle is dynamic.

도 7(a)는 장애물이 정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자세 각 및 heading각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장애물이 동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자세 각 및 heading각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7(a) shows the posture angle and heading angle of the mobile body while the obstacle is static, and Fig. 7(b) shows the posture angle and heading angle of the mobile body while the obstacle is dynamic.

도 8(a)는 장애물이 정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와 장애물의 상대 거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장애물이 동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와 장애물의 상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FIG. 8(a) shows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n a static state, and FIG. 8(b) shows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n a dynamic state.

도 9(a)는 장애물이 정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heading 각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장애물이 동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heading 각속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9(a) shows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bile body in the state where the obstacle is static, and Fig. 9(b) shows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bile body in the state where the obstacle is dynamic.

도 10(a)는 장애물이 정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속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장애물이 동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0(a) shows the speed of the mobile body in a state where the obstacle is static, and FIG. 10(b) shows the speed of the mobile body in a state where the obstacle is dynamic.

도 11(a)는 장애물이 정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장애물이 동적인 상태에서, 이동체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Fig. 11(a) shows the path of the mobile body in a state where the obstacle is static, and Fig. 11(b) shows the path of the mobile body in the state where the obstacle is dynamic.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claims that are equally or equivalently modified as well as the claims below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say

100: 이동체 컨트롤 장치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20-1: 헤딩(heading) 각속도 제어부
120-2: 위치(속도) 제어부
130: 센서부
100: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processor
120-1: Heading angular speed control
120-2: Position (speed) control
130: sensor unit

Claims (6)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체로부터 제1 소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선을 기준선이라고 가정할 때,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 및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와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를 고려한 충돌 위험 각도를 획득하며, 상기 이동체의 속도와 상기 장애물의 속도를 고려한 상대 속도 및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상대 속도에 대응되는 상대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i)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ii) 상기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보다 크며, iii)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제2 소정거리이내 일 때, 상기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제1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1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헤딩 각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object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a) When the obstacle located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is sensed, assuming that the lin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 reference line,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the radius of the obstacle Obtain size and speed information, obtain a collision risk angle considering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round the reference line, and center the relative speed and the reference line considering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Obtaining a relativ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speed; And
(b) i)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is less than 90°, ii)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and iii)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as a first mode for avoiding collision with the obstacle, calculates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through a first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and moves the moving object Controlling the path;
How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c) i) 상기 상대 각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고 18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ii) -180°보다 크거나 같고 -9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만족할 때, 상기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충돌이 회피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목표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제2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목표지점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2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헤딩 각속도를 새로이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 i) when the relativ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90° and less than or equal to 180°, or ii) when greater than or equal to -180° and less than or equal to -90°, the movable body control device comprises: A second mode for reaching the target point by considering collision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as avoided, and newly calculating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through a second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target point And controlling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제2항에 있어서,
(d) i-1) 상기 상대 각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고 18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i-2) -180°보다 크거나 같고 -9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만족하며, ii) 상기 기준선과 상기 장애물이 움직이는 방향 사이의 각도를 p라고 하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D * sin p를 계산한 값이 상기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와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가 상기 장애물의 이동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목표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제3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목표지점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3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를 새로이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2,
(d) i-1) the relativ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90° and less than or equal to 180°, or i-2) greater than or equal to -180° and less than or equal to -90°, and ii) When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obstacle moving direction is p,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is D, the calculated value of D * sin p is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If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um,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considers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is outside the moving area of the obstacle and as the third mode for the moving object to reach the target point, the moving object and th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a position where the moving object moves through a third algorithm based on a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arget points and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컨트롤 장치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이동체가 일정 속도로 상기 목표지점에 도달하도록 컨트롤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목표지점으로부터 특정 거리이내 일 때, 상기 이동체가 상기 목표지점에서 정지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controls the moving object to reach the target point at a constant speed in the third mode, and when the moving object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arget point, the moving object is stopped at the target point Method of reducing the speed of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은 LIDAR 센서 또는 vision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bstacle is characterized by being detected by a LIDAR sensor or a vision sensor.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상기 이동체로부터 제1 소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상기 장애물이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선을 기준선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 및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이동체의 반지름 크기와 상기 장애물의 반지름 크기를 고려한 충돌 위험 각도를 획득하며, 상기 이동체의 속도와 상기 장애물의 속도를 고려한 상대 속도 및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상대 속도에 대응되는 상대 각도를 획득하고, i)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ii) 상기 충돌 위험 각도의 크기가 상기 상대 각도의 크기보다 크며, iii)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제2 소정거리이내 일 때,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제1 모드로서,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장애물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한 제1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헤딩 각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컨트롤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이동체 컨트롤 장치.
I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object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Communication; And
When the obstacle located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bile body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assuming that the lin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body and the location of the obstacle is a reference line, the radius of the obsta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btain size and speed information, obtain a collision risk angle considering the radius size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radius size of the obstacle around the reference line, and center the relative speed and the reference line considering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To obtain a relativ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speed, i)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is less than 90°, ii) the size of the collision risk angle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relative angle, and iii)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As a first mode for avoiding collision with the obstac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e heading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is calculated through a first algorithm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object and the obstacle, A processor that controls a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Moving objec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KR1020180160440A 2018-12-12 2018-12-12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80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40A KR102180609B1 (en) 2018-12-12 2018-12-12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40A KR102180609B1 (en) 2018-12-12 2018-12-12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63A true KR20200072363A (en) 2020-06-22
KR102180609B1 KR102180609B1 (en) 2020-11-18

Family

ID=7114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440A KR102180609B1 (en) 2018-12-12 2018-12-12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6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3397A (en) * 2021-05-20 2021-09-0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Underground pipe jacking operation pipe cable obstacle avoiding method and device
CN117472066A (en) * 2023-12-27 2024-01-30 成都流体动力创新中心 Obstacle avoidance control method with locally optimal course angular veloc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90B1 (en) * 2009-03-03 201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avigation based on collision predi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90B1 (en) * 2009-03-03 201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avigation based on collision predi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3397A (en) * 2021-05-20 2021-09-0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Underground pipe jacking operation pipe cable obstacle avoiding method and device
CN113343397B (en) * 2021-05-20 2023-01-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Underground pipe jacking operation pipe cable obstacle avoiding method and device
CN117472066A (en) * 2023-12-27 2024-01-30 成都流体动力创新中心 Obstacle avoidance control method with locally optimal course angular velocity
CN117472066B (en) * 2023-12-27 2024-03-26 成都流体动力创新中心 Obstacle avoidance control method with locally optimal course angular velo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609B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as et al. Autonomous flight for detection, localization, and tracking of moving targets with a small quadrotor
Savkin et al. Reactive and the shortest path navigation of a wheeled mobile robot in cluttered environments
Savkin et al. A simple biologically inspired algorithm for collision-free navigation of a unicycle-like robot in dynamic environments with moving obstacles
Teimoori et al. A biologically inspired method for robot navigation in a cluttered environment
US91452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eer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JP2021093215A (en) Flying body control device, flying bod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18060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ving path of a moving vehic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64575B1 (en) Method to obstacle avoidance for wheeled mobile robots
JP4552869B2 (en) Tracking method for moving objects
KR101622260B1 (en) Impact time control guidance method and device
WO2021037071A1 (en) Flight control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Zhang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 guidance law for ground target circumnavigation using range-based measurements
Wilhelm et al. Circumnavigation and obstacle avoidance guidance for UAVs using Gradient Vector Fields
KR1021568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pact angle considered look angle limits of air vehicle
US11137768B2 (en) Position estimation system,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Choi et al. Vision-based reactive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007632A (en) Carrying drone that recognizes object location by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map
US11614750B2 (en) Self-propelled device, self-prope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90061212A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teering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Munishkin et al. Safe navigation with the collision avoidance of a brownian motion obstacle
KR102239699B1 (e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curvature path following
Huskić et al. A simple and efficient path following algorithm for wheeled mobile robots
KR101602311B1 (en) Terminal homing method for flight vehicle and apparatus thereof
KR101989525B1 (en) Two-axes gimbaled rf seeker and mehtod for estimating guidance filter model
KR102266983B1 (en) Level maintain device that supports level maintain function when obstacles is recognize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