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142A -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 Google Patents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142A
KR20200072142A KR1020180159980A KR20180159980A KR20200072142A KR 20200072142 A KR20200072142 A KR 20200072142A KR 1020180159980 A KR1020180159980 A KR 1020180159980A KR 20180159980 A KR20180159980 A KR 20180159980A KR 20200072142 A KR20200072142 A KR 2020007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ortion
expansion frame
rear end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985B1 (ko
Inventor
이재원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너스
Priority to KR102018015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904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serrated profile, i.e. saw-tooth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eu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에 대향하며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척추체간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있는 각각의 전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켜 주는 케이지 본체;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1 확장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2 확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Expandable Cage for Intervertebral Body}
본 발명은 확장형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척추는 복수의 척추체로 구성되고, 서로 인접한 척추체의 사이에는 디스크라고 일컫는 추간원판이 위치되어 척추를 유연하게 움직이게 하는 동시에 척추체가 곧게 펴질 수 있도록 지탱한다.
한편, 추간원판은 사람의 경우 통상 23개가 위치되며, 강한 탄력성과 팽창성을 가지는 섬유연골로 형성되고, 척추의 부위에 따라 그 크기 및 두께가 다르게 구성된다.
이러한 추간원판이 파손되면 서로 인접한 척추체의 사이에서 윤활작용을 상실하고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을 유발한다.
추간원판의 파손으로 인한 요통의 치료법으로는, 요통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약물을 투약하여 치료가 일부 가능하지만 요통이 심하게 발생할 경우에는 척추융합술을 시행한다.
통상의 척추융합술은, 손상된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하지 않도록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의 부분을 제거하고, 척추체에 나사못을 설치하여 서로 인접한 척추체가 손상된 디스크를 압박하지 않도록 척추체를 고정하는 시술방법의 하나이다.
그러나,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융합술은 나사못을 서로 인접한 척추에 설치하기 때문에 신체를 크게 절개해야 하며, 무리한 동작으로 인해 설치된 나사못이 체결이 해제된 경우 재시술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척추체간 융합술용 케이지이다.
이러한 척추체간 융합술용 케이지는, 나사못 대신 서로 인접한 척추체의 사이에 케이지를 삽입하여 신체를 작은 크기로 절개할 수 있으면서, 용이하게 척추체간 융합술을 시술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척추체간 융합술용 케이지는, 척추체간에 삽입할 수 있는 높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한정된 높이보다 높은 크기의 케이지를 설치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척추체간으로 수평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어 수직 방향으로 확장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228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573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척추체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 후 확장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추가적인 프레임을 설치하여 보다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는,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에 대향하며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척추체간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있는 각각의 전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켜 주는 케이지 본체;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1 확장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2 확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지 본체는,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이 각각 상기 제2 지지부와 직각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제1 지지 몸체;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몸체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몸체는, 척추체간에서 상기 케이지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본체가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톱니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돌기를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몸체와 직각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전단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파인 걸림턱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후단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기 위한 추가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제2 확장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향하며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몸체;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의 다른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1 체결홈; 및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하부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다른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체결홈의 후단 및 상기 제2 체결홈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확장 프레임의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지지부에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는,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추가 확장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추가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확장형 케이지와는 달리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확장이 가능하여 환자의 환부에 대응하여 다양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켜 환자의 신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인 프레임을 설치하여, 환자의 척추로 보다 큰 하중이 전해지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아니하고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1의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의 제1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의 제2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의 제1 확장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는, 케이지 본체(100), 제1 확장 프레임(200) 및 제2 확장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케이지 본체(100)는, 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척추체간의 제1 척추체 및 제2 척추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0)와, 제1 확장 프레임(200) 및 제2 확장 프레임(300)에 의해 제1 지지부(110)에 대향하며 연결 설치되어 척추체간의 제1 척추체 및 제2 척추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는, 척추체간으로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척추체간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있는 각각의 전단부(도 1의 좌측 머리 부분)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즉, 전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될 수 있다.
케이지 본체(100)는, 제1 확장 프레임(200)과 제2 확장 프레임(300)이 직립함에 따라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켜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척추체간이라 함은, 서로 이웃하는 제1 척추체 및 제2 척추체, 즉 추간원판(椎間圓板)이 위치되는 사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본체(100)는, 제1 확장 프레임(200)의 일측(도 1를 기준으로 제1 확장 프레임(200)의 상측 부분)이 제1 지지부(110)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2 확장 프레임(300)의 일측(도 2를 기준으로 제2 확장 프레임(300)의 상측 부분)이 제1 지지부(110)의 전단(경사지도록 형성된 머리 부분)으로부터 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확장 프레임(200) 및 제2 확장 프레임(300)이 각각 제2 지지부(120)와 직각을 형성함에 따라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의 도 1를 참조하면, 제1 확장 프레임(200)은, 일측이 제1 지지부(1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부(110)의 전단 또는 제1 지지부(110)의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제2 지지부(120)의 상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110)의 상부라 함은, 척추체간에 삽입된 후 제1 척추체 또는 제2 척추체와 대향하며 지지하는 부분(즉, 제1 확장 프레임(20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의 도 2를 참조하면, 제2 확장 프레임(300)은, 일측이 제1 지지부(1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부(110)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제2 지지부(120)의 하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110)의 하부라 함은, 척추체간에 삽입된 후 제1 지지부(110)의 상부가 지지하는 제1 척추체 또는 제2 척추체와 대향하고 있는 제2 척추체 또는 제1 척추체와 대향하며 지지하는 부분(즉, 제2 확장 프레임(30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2 지지부(120)의 상부 또는 하부라 함은, 대향하며 연결 설치된 제1 지지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기존의 확장형 케이지는, 척추체간으로 수평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척추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삽입된 후,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두 척추체 사이를 확장 및 지탱하는 것에 그쳤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질환으로 얇아진 디스크 공간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1 지지부(110)의 일측(즉, 제2 지지부(120)와 대향하고 있지 않는 외측)이 제1 척추체와 대향하고 제2 지지부(120)의 일측(즉, 제1 지지부(110)와 대향하고 있지 않는 외측)이 제2 척추체와 대향하거나, 제2 지지부(120)의 일측이 제1 척추체와 대향하고 제1 지지부(110)의 일측이 제2 척추체와 대향하도록 눕힌 상태로 케이지 삽입용 케뉼라를 통해 척추의 디스크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척추의 디스크 공간으로 삽입이 완료되면, 별도의 케이지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눕혀졌던 방향을 회전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의 상부 또는 하부가 제1 척추체 또는 제2 척추체와 대향하도록 바로잡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지 삽입 도구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확장 프레임(200)과 제2 확장 프레임(300)을 직립시킴에 따라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가 완전히 확장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 및 지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의 각각의 구성들은, 폴리에터에터캐톤(polyetheretherketone, PEEK)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터에터캐톤이라 함은, 티타늄(titanium)을 대신할 고성능 생체 적합 물질로서, 금속과 같이 사출성형, 몰딩, 가공, 압출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충격 및 마모에 강하며,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방사선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이와 같이, 폴리에터에터캐톤으로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를 형성할 경우, 신체의 친화력이 높아 신체에 거부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아 신체에 장기간 이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10)는, 기존의 확장형 케이지와는 달리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확장이 가능하여 환자의 환부에 대응하여 다양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켜 환자의 신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1의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의 제1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110)는, 제1 지지 몸체(111), 제1 슬라이딩홈(112) 및 제2 슬라이딩홈(113)을 포함한다.
제1 지지 몸체(111)는, 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제1 척추체 및 제2 척추체를 지지하고, 제1 척추체를 지지를 지지하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되고, 제2 척추체를 지지를 지지하는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2 슬라이딩홈(113)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몸체(111)는,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된 후 다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돌기(114)를 제외한 제1 지지 몸체(111) 전단부의 높이가 약 8mm 내지 10mm, 예를 들어 9mm 등으로 형성된다고 할 경우, 이탈방지돌기(114)를 제외한 제1 지지 몸체(111) 후단부의 높이는 약 6mm 내지 8mm, 예를 들어 7mm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지지 몸체(111)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몸체(111)는, 척추체간에서 케이지 본체(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지 본체(100)가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톱니 모양으로 돌출 형성(약 0.5mm 내지 1.5mm, 예를 들어 1mm 등)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돌기(114)를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20) 제1 지지부(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이탈방지돌기(114) 역시 형성하나, 동일한 내용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슬라이딩홈(112)은, 제1 확장 프레임(200)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제1 지지 몸체(111)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 몸체(111)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약 10mm 내지 14mm, 예를 들어 12mm 등)로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홈(113)은, 제2 확장 프레임(300)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제1 지지 몸체(111)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 몸체(11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홈(112)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길이(약 10mm 내지 14mm, 예를 들어 12mm 등)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부(110)는, 제1 확장 프레임(200) 및 제2 확장 프레임(300)이 제1 지지 몸체(111)와 직각을 형성한 경우, 제1 확장 프레임(200) 및 제2 확장 프레임(300)의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홈(112)의 전단 및 제2 슬라이딩홈(113)의 후단에 제2 지지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파인 걸림턱(115)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부(110)는, 제1 슬라이딩홈(112)의 후단 및 제2 슬라이딩홈(113)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약 0.5mm 내지 1.5mm, 예를 들어 1mm 등)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기 위한 추가 체결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체결홈(116)은, 도 9에서 후술하는 제1 추가 확장 프레임(400) 또는 제2 추가 확장 프레임(500)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회동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의 제2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120)는, 제2 지지 몸체(121), 제1 체결홈(122) 및 제2 체결홈(123)을 포함한다.
제2 지지 몸체(121)는, 제1 확장 프레임(200) 및 제2 확장 프레임(300)에 의해 제1 지지부(110)에 대향하며 연결 설치되어 척추체간의 제2 척추체를 지지하고, 제1 척추체를 지지하는 상부 전단에 제1 체결홈(122)을 형성하고, 제2 척추체를 지지하는 하부 후단에 제2 체결홈(123)을 형성한다.
제1 체결홈(122)은, 제2 지지 몸체(121)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어 제1 확장 프레임(200)의 다른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체결홈(123)은, 제2 지지 몸체(121)의 하부 후단에 형성되어 제2 확장 프레임(300)의 다른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지지부(120)는, 제1 체결홈(122)의 후단 및 제2 체결홈(123)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약 0.5mm 내지 1.5mm, 예를 들어 1mm 등)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확장 프레임의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 슬라이딩홈(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슬라이딩홈(124)은, 도 9에서 후술하는 제1 추가 확장 프레임(400) 또는 제2 추가 확장 프레임(500)의 다른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의 제1 확장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확장 프레임(200)은, 연결 프레임(210), 제1 체결볼트(220) 및 제2 체결볼트(230)를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210)은, 일측이 제1 체결볼트(220)에 의해 제1 지지부(1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부(110)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제2 체결볼트(230)에 의해 제2 지지부(120)의 상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한다.
제1 체결볼트(220)는, 제1 지지부(110)에 연결 프레임(210)의 일측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 프레임(210)의 일측에 체결하며, 제1 지지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홈(112)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체결볼트(230)는, 제2 지지부(120)에 연결 프레임(210)의 다른 일측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제2 지지부(1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 프레임(210)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며, 제2 지지부(120)의 제1 체결홈(122)에서 회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확장 프레임(200)은, 제2 확장 프레임(300)에도 동일하게 적용을 할 수 있으므로, 제2 확장 프레임(30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확장 프레임(200)은, 제2 체결볼트(230)가 제1 체결홈(122)에서 회동함에 따라 제1 체결볼트(220)가 제1 슬라이딩홈(112)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연결 프레임(210)이 각각의 지지부와 직각을 형성하여 제1 지지부(110)과 제2 지지부(120)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20)는, 케이지 본체(100), 제1 확장 프레임(200), 제2 확장 프레임(300), 제1 추가 확장 프레임(400) 및 제2 추가 확장 프레임(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지 본체(100), 제1 확장 프레임(200) 및 제2 확장 프레임(3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추가 확장 프레임(400)은, 일측이 제1 지지부(110)의 상부 후단(즉, 도 6에서 제1 슬라이딩홈(112)이 위치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추가 체결홈(116))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며, 다른 일측이 제2 지지부(120)의 상부(즉, 도 7에서 제1 체결홈(122)이 위치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추가 슬라이딩홈(124))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지지부(120)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추가 확장 프레임(500)은, 일측이 제1 지지부(110)의 하부 전단(즉, 도 6에서 제2 슬라이딩홈(113)이 위치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추가 체결홈(116))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며, 다른 일측이 제2 지지부(120)의 하부(즉, 도 7에서 제2 체결홈(123)이 위치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추가 슬라이딩홈(124))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지지부(120)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여기서, 제1 추가 확장 프레임(400) 및 제2 추가 확장 프레임(500)은, 도 8에서 상술한 제1 확장 프레임(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20)는, 제1 확장 프레임(200)과 제2 확장 프레임(300) 이외에, 제1 확장 프레임(200)과 제2 확장 프레임(300)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제1 추가 확장 프레임(400) 및 제2 추가 확장 프레임(50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제1 척추체와 제2 척추체로부터 보다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손 없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지 본체 110: 제1 지지부
111: 제1 지지 몸체 112: 제1 슬라이딩홈
113: 제2 슬라이딩홈 114: 이탈방지돌기
115: 걸림턱 116: 추가 체결홈
120: 제2 지지부 121: 제2 지지 몸체
122: 제1 체결홈 123: 제2 체결홈
124: 추가 슬라이딩홈 200: 제1 확장 프레임
210: 연결 프레임 220: 제1 체결볼트
230: 제2 체결볼트 300: 제2 확장 프레임
400: 제1 추가 확장 프레임 500: 제2 추가 확장 프레임

Claims (11)

  1.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에 대향하며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척추체간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있는 각각의 전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확장시켜 주는 케이지 본체;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1 확장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2 확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본체는,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이 각각 상기 제2 지지부와 직각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제1 지지 몸체;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하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몸체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몸체는,
    척추체간에서 상기 케이지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본체가 척추체간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톱니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돌기를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몸체와 직각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전단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파인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후단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확장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하기 위한 추가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확장 프레임 및 제2 확장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향하며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몸체;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의 다른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1 체결홈; 및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하부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확장 프레임의 다른 일측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체결홈의 후단 및 상기 제2 체결홈의 전단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확장 프레임의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 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지지부에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11.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추가 확장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추가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KR1020180159980A 2018-12-12 2018-12-12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KR10216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80A KR102163985B1 (ko) 2018-12-12 2018-12-12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80A KR102163985B1 (ko) 2018-12-12 2018-12-12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42A true KR20200072142A (ko) 2020-06-22
KR102163985B1 KR102163985B1 (ko) 2020-10-12

Family

ID=7114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80A KR102163985B1 (ko) 2018-12-12 2018-12-12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14B1 (ko) * 2022-04-08 2023-03-15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4732A1 (en) * 2009-03-13 2012-01-05 University Of Toledo Minimally Invasive Collapsible Cage
US20130116791A1 (en) * 2011-11-04 2013-05-09 Boo Holdings, Llc Expandable intervertebral spacer implant
KR20130082281A (ko) 2012-01-11 2013-07-19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KR20150115732A (ko) 2012-12-14 2015-10-14 패시트-링크 아이엔씨. 계단식으로 확장가능한 추간 케이지
JP2018517465A (ja) * 2015-05-12 2018-07-05 ニューヴェイジヴ,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拡張可能な脊柱前彎椎間インプラント
JP2018525131A (ja) * 2015-08-25 2018-09-06 アイエムディーエ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拡張可能な椎間イ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4732A1 (en) * 2009-03-13 2012-01-05 University Of Toledo Minimally Invasive Collapsible Cage
US20130116791A1 (en) * 2011-11-04 2013-05-09 Boo Holdings, Llc Expandable intervertebral spacer implant
KR20130082281A (ko) 2012-01-11 2013-07-19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KR20150115732A (ko) 2012-12-14 2015-10-14 패시트-링크 아이엔씨. 계단식으로 확장가능한 추간 케이지
JP2018517465A (ja) * 2015-05-12 2018-07-05 ニューヴェイジヴ,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拡張可能な脊柱前彎椎間インプラント
JP2018525131A (ja) * 2015-08-25 2018-09-06 アイエムディーエ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拡張可能な椎間インプラン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14B1 (ko) * 2022-04-08 2023-03-15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WO2023195610A1 (ko) * 2022-04-08 2023-10-12 김현성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85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398B2 (en) Expandable implant assembly
US11813175B2 (en) Spinous process fix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9114023B2 (en) Interbody fusion device with snap on anterior plate and associated methods
US9943349B2 (en) Orthopedic devices with a locking mechanism
US7338500B2 (en) Internal pedicle insul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90298540A1 (en) Expandable intervertebral cage
US10231842B2 (en) Intervertebral tension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
US8920505B2 (en) Minimally invasive lateral intervertebral fix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1352820B1 (ko)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EP2764851A1 (en) Staged expansion vertebra retaining device
US9474624B1 (en) Intervertebral fusion cage
US20150305882A1 (en) Vertebral body replacement
US9179946B2 (en) Low-profile anterior vertebral plat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20150282947A1 (en) Vertebral body replacement
WO2018200530A1 (en) Expandable spinal interbody assembly
US9839449B2 (en) Translational plate and compressor instrument
KR20200072142A (ko) 척추체간 확장형 케이지
US8728132B2 (en) Internal pedicle insul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346366B1 (ko) 추간체 유합 보형재
US11202658B2 (en) Connector for simultaneously fixing screw head and rod
CN215018795U (zh) 椎管扩大装置
US20230355404A1 (en) Interbody Fusion Device
KR102573983B1 (ko)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