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812A -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812A
KR20200071812A KR1020180152363A KR20180152363A KR20200071812A KR 20200071812 A KR20200071812 A KR 20200071812A KR 1020180152363 A KR1020180152363 A KR 1020180152363A KR 20180152363 A KR20180152363 A KR 20180152363A KR 20200071812 A KR20200071812 A KR 2020007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present
network device
gener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기
김효구
Original Assignee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테라클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테라클론 filed Critical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812A/ko
Publication of KR2020007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앙 센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어느 PC에서도 TCP/IP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장비의 직접 관리를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 계층이 간소화 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추구하는 ICT 전체 산업의 고부가치화는 물론 신산업 발굴 및 서비스 창출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전국 통신업계에서 본 발명 기술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KT(한국통신) 연구소 또는 현장기술지원단에서 충분한 시험을 통해 제품 안정성 및 기술력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통신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기술 외의 새로운 접합 분야와 시장 생성 및 고용 창출 및 매출 증대 효과와 4포트부터 32포트까지 제품군의 개발 대형 통신업체 뿐 아니라 통신관련 연구시설 등에도 선택적으로 제품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업체 사용 시 기존 통합관리 시스템과 쉽게 연동 될 수 있도록 관련 라이브러리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고성능 시장을 점유하는 미국, 유럽등 기업과 중저가 시장에 등장한 중국 기업의 시장점유율 대체를 통한 수출 여건을 마련할 수 있으며, 중국, 인도 등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인 국가들의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 확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Next Generation Network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앙 센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어느 PC에서도 TCP/IP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장비의 직접 관리를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 계층이 간소화 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가입자 수가 많아짐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자사의 네트워크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필요성을 찾고 있다.
비교적 거대한 네트워크의 경우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위해서 능숙한 IT 전문가를 고용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기업들로 하여금 점점 확대되어 가는 네트워크와 축소되는 IT 예산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원거리 전자 통신(Telecommunication) 업체들은 항상 첨단 기술로써 서비스를 지원해 오고 있다.
성장일로에 있는 이들 업체들은 서비스 운영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의 제품은 가격이 비교적 고가(약 200만원 이상)이고, 비전문가가 관련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 하는 등 사용의 불편으로 실제 현장에서는 비교적 큰 통신업체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비교적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규 기기의 수요가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증권사, 은행 등과 같은 금융권의 기업에서는 정확한 데이터와 신속한 정보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금융권의 기업들은 전국의 각 지점들과 중앙의 전산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의 데이터 처리를 해야만 하는데 지점에 구축된 전산 시스템 장애가 생기거나 다운이 되면 큰 비용의 손실이 생기게 된다.
금융업계는 현재 전국 각 지점의 전산 시스템에 원격제어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며, 도입 이후 중앙에서 각 지점의 전산 시스템 및 전산 자원의 콘솔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시스템 장애 또는 다운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예방하고 더욱 안정적인 실시간 데이터 정보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관내 1만여 개 학교의 경우, 통신사 또는 외주업체를 통하여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를 받고 있다.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 장애 발생 시 해당업체에서 인력을 급히 파견하여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및 신속한 장애대책을 위하여 차세대 통신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4288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 센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어느 PC에서도 TCP/IP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장비의 직접 관리를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 계층이 간소화 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은,
2개 이상 설치 구성되는 이더넷포트부(100);와
LED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전원 온오프, 이더넷 연결여부, 시리얼포트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200);과
각각의 멀티 세션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자동으로 부여하기 위한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를 포함하는 콘솔스위처(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는,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이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연결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권한 우선순위를 자동 배분함으로써,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에 대하여 원격장비들(41, 42, 43, 44)의 멀티 세션(multisession)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을 통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추구하는 ICT 전체 산업의 고부가치화는 물론 신산업 발굴 및 서비스 창출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전국 통신업계에서 본 발명 기술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KT(한국통신) 연구소 또는 현장기술지원단에서 충분한 시험을 통해 제품 안정성 및 기술력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통신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기술 외의 새로운 접합 분야와 시장 생성 및 고용 창출 및 매출 증대 효과와 4포트부터 32포트까지 제품군의 개발 대형 통신업체 뿐 아니라 통신관련 연구시설 등에도 선택적으로 제품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업체 사용 시 기존 통합관리 시스템과 쉽게 연동 될 수 있도록 관련 라이브러리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고성능 시장을 점유하는 미국, 유럽등 기업과 중저가 시장에 등장한 중국 기업의 시장점유율 대체를 통한 수출 여건을 마련할 수 있으며, 중국, 인도 등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인 국가들의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 확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콘솔스위처(1000)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이더넷포트부(100)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200)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디바이스 펌웨어 TELNET 프로토콜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SSH 프로토콜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원격 관리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멀티 세션(multisession) 접속을 허용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선 순위 권한을 가진 제1 관리자 단말(11)의 접속이 종료되는 경우, 통합 콘솔 스위치(20)는 후 순위 권한을 가졌던 제2 관리자 단말(12)에 읽기 권한 및 쓰기 권한을 모두 부여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통합 콘솔 스위치(20)를 포함한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은,
2개 이상 설치 구성되는 이더넷포트부(100);와
LED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전원 온오프, 이더넷 연결여부, 시리얼포트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200);과
각각의 멀티 세션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자동으로 부여하기 위한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를 포함하는 콘솔스위처(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는,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이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연결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권한 우선순위를 자동 배분함으로써,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에 대하여 원격장비들(41, 42, 43, 44)의 멀티 세션(multisession)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낸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모든 구성 및 작용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부"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콘솔스위처(1000)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솔스위처(1000)는, 이더넷포트부(100);와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200);과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라우터(30)를 통해 원격장비들(41, 42, 43, 44)과 접속되게 되며, 제1관리자단말(11) 및 제2관리자단말(12)을 통해 원격장비들을 원격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이더넷포트부(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S232 칩셋을 사용하여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시리얼 통신시 하기의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200)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2개 이상 설치 구성되어 복수 개의 외부단말인 원격장비들(41, 42, 43, 44)과 접속되게 되며, 제1관리자단말(11) 및 제2관리자단말(12)과도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200)은 LED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전원 온오프, 이더넷 연결여부, 시리얼포트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저전력을 위한 LED모듈 및 In put 100-240V ~1A Max 50/60Hz Out put 50V-7A 전원모듈을 탑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펌웨어 TELNET 프로토콜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을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SH 프로토콜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을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를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 계층이 간소화 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하드웨어 디바이스 구성은 2개의 Ethernet 포트 (RJ45타입, 10/100MB)와 32개의RS-232(RJ45타입)포트 탑재를 기본으로 한다.
전면부에는 LED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전원ON/OFF, Ethernet 연결 여부, 시리얼 포트 작동 유무를 사용자가 눈으로 쉽게 식별하게 한다.
후면부에는 각종 포트가 위치하게 된다. 이더넷 포트, RS-232포트, 전원공급(퓨즈내장), 콘솔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비 설정의 오류 복구 및 공장 초기화를 위한 Restore버튼도 마련하고 있으며, 과전류 방지를 위한 접지를 구성하게 된다.
종래의 원격 장비 관리를 위한 콘솔 시스템은 원격지 사용자에게 서버에 대한 계정으로 루트(root) 권한만을 부여하거나, 하나의 세션(session) 즉, 한 명의 관리자만 접속하여 관리하게 하는 방식만 가능하였으나 기존 통합 콘솔 시스템의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 및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 없이 콘솔스위처(1000)에 의해 다양한 원격 장비들을 통합 관리하고 콘솔스위처(1000) 자체적으로 각 멀티 세션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자동 부여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의 네트워크 관리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접근 권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멀티 세션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자동으로 부여하기 위한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는,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이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연결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권한 우선순위를 자동 배분함으로써,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에 대하여 원격장비들(41, 42, 43, 44)의 멀티 세션(multisession)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원격 관리 방식은 전체 루트 권한 부여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전체 루트 권한 부여 방식의 원격 장비 관리 방식에 따르면, 콘솔스위치(10)가 중계하게 되므로, 관리자 단말들(11, 12)이 원격 장비들(41, 42, 43, 44)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루트 권한은 서버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이 권한을 획득하게 되면 서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고 내부 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보안 및 안정성이 크게 저하될 것을 우려, 기능을 제한 운영하는 단점과 악의적인 사용자가 루트 권한을 획득하였을 경우, 그 심각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반면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말들(11,12)이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본 발명의 콘솔스위처(1000)는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연결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권한 우선순위를 자동 배분함으로써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에 대하여 멀티 세션(multisession) 접속을 허용한다.
즉, 제1관리자 단말(11)과 제2관리자 단말(12)이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콘솔스위처(1000)는 제1관리자 단말(11)과 제2 관리자 단말(12)의 제어 권한이 충돌하지 않도록, 제1관리자 단말(11)과 제2관리자 단말(12)의 권한 우선순위를 자동 배분한다.
예를 들어, 제1관리자 단말(11)과 제2관리자 단말(12)이 시간차를 두고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콘솔스위처(1000)는 제1관리자 단말(11)과 제2관리자 단말(12)에 대하여 접속을 허용하되, 제1관리자 단말(11)에는 읽기 권한 및 쓰기 권한을 모두 부여하고, 제2관리자단말(12)에 읽기 권한만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은 텔넷(TELNET) 프로토콜 또는 시큐어셸(Secure Shell, SSH) 프로토콜에 따라 보안 인증을 제공하는 통합 콘솔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장비 관리 방법으로서, 관리자단말(11), 콘솔스위처(1000), 라우터(30), 원격 장비(40)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하에서 동작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순위 권한을 가진 제1 관리자 단말(11)의 접속이 종료되는 경우, 통합 콘솔 스위치(20)는 후 순위 권한을 가졌던 제2 관리자 단말(12)에 읽기 권한 및 쓰기 권한을 모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콘솔 스위치(20)는 장치 정보, 네트워크 설정, 시리얼포트 설정이 가능한 GUI를 제공하게 되며, 보안 알고리즘이 적용된 관리자 암호 설정 및 맥주소, 허용에 관한 ACL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SYSLOG 자체 저장 또는 전용 서버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설정값 저장 및 복원 또는 복구가 가능한 모듈을 탑재하고 있으며, 리얼 타임 모니터링 시스템 웹 콘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추구하는 ICT 전체 산업의 고부가치화는 물론 신산업 발굴 및 서비스 창출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전국 통신업계에서 본 발명 기술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KT(한국통신) 연구소 또는 현장기술지원단에서 충분한 시험을 통해 제품 안정성 및 기술력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통신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기술 외의 새로운 접합 분야와 시장 생성 및 고용 창출 및 매출 증대 효과와 4포트부터 32포트까지 제품군의 개발 대형 통신업체 뿐 아니라 통신관련 연구시설 등에도 선택적으로 제품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업체 사용 시 기존 통합관리 시스템과 쉽게 연동 될 수 있도록 관련 라이브러리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고성능 시장을 점유하는 미국, 유럽등 기업과 중저가 시장에 등장한 중국 기업의 시장점유율 대체를 통한 수출 여건을 마련할 수 있으며, 중국, 인도 등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인 국가들의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 확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이더넷포트부
200 :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
300 : 접근권한자동부여부
1000 : 콘솔스위처

Claims (1)

  1.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2개 이상 설치 구성되는 이더넷포트부(100);와
    LED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전원 온오프, 이더넷 연결여부, 시리얼포트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저전력 LED모듈 및 전원모듈(200);과
    각각의 멀티 세션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자동으로 부여하기 위한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를 포함하는 콘솔스위처(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근권한자동부여부(300)는,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이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연결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의 권한 우선순위를 자동 배분함으로써,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들(11, 12)에 대하여 원격장비들(41, 42, 43, 44)의 멀티 세션(multisession)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KR1020180152363A 2018-11-30 2018-11-30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KR20200071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63A KR20200071812A (ko) 2018-11-30 2018-11-30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63A KR20200071812A (ko) 2018-11-30 2018-11-30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12A true KR20200071812A (ko) 2020-06-22

Family

ID=7114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363A KR20200071812A (ko) 2018-11-30 2018-11-30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18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884A (ko) 2004-01-29 2006-05-15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통합콘솔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서버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884A (ko) 2004-01-29 2006-05-15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통합콘솔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서버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1354B (zh) 无人值班变电站自动化系统的远程集约化管控系统
Davis et al. A cyber-physical modeling and assessment framework for power grid infrastructures
US201100392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yber security management of industrial control systems
CN101110702A (zh) 一种命令行接口权限分级的方法及其系统
EP20376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devices in a secure manner
CN105139139A (zh) 用于运维审计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及系统
CN109302404A (zh) 一种广域运维系统的远程维护操作认证方法
CN101719259A (zh) 用于银行的网络设备的维护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01951366A (zh) 一种基于字符终端的单点登录方法及系统
Jelacic et al. Security risk assessment-based cloud migration methodology for smart grid OT services
CN105356596B (zh) 无人值班变电站的集约化远程管控系统
KR20200071812A (ko) Iot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장치 원격제어시스템
CN114301948A (zh) 一种用于高炉生产的工业控制网络架构
George et al. A case study of implementing cybersecurity best practices for electrical infrastructure in a refinery
CN115002174B (zh) 一种网络设备中央控制智能化管理系统及方法
Holstein et al. Cyber security management for utility operations
Preston et al. Integrating cyber security requirements into a power management system
Cleveland IEC 62351-7: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management technologies-network and system management in power system operations
Januszewski et al. Remote access gateway to power plant automation equipment with cybersecurity functions (Functionalities, Work Systems)
Hutton et al. Deploying Software-Defined Networking in Operational Technology Environments
George et al. Implementing Cybersecurity Best Practices for Electrical Infrastructure in a Refinery: A Case Study
CN102487378B (zh) 一种用于保障信息安全的前置安全系统
CN113949533A (zh) 一种调度数据网络离线审计平台
Czechowski et al. ITC system security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challenges for electric power industry
Kong et al. Architecturing a secured network: Communications and setting up a secure VPN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