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806A -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 Google Patents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806A
KR20200071806A KR1020180151837A KR20180151837A KR20200071806A KR 20200071806 A KR20200071806 A KR 20200071806A KR 1020180151837 A KR1020180151837 A KR 1020180151837A KR 20180151837 A KR20180151837 A KR 20180151837A KR 20200071806 A KR20200071806 A KR 2020007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rinter
chamber
unit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664B1 (ko
Inventor
송종민
이수봉
이길중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테크
Priority to KR102018015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29C64/329Feeding using 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열가소성 분말을 저장하는 분말저장공간과, 상기 분말저장공간과 연통하고 3차원 성형품을 형성하는 성형공간과, 상기 분말저장공간의 분말을 성형공간으로 이송하는 분말공급유닛과, 상기 챔버 내부를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와, 상기 챔버의 바닥부가 열가소성 분말의 융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하는 경화방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3D printer with hardening prevention unit}
본 발명은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 사이에 PEEK(Polyetheretherketone) 분말의 용해를 방지하는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하여 분말을 고르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이 눌러붙음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분말공급유닛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조히터를 구비하여 3차원 성형품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한 수축을 방지하여 높은 치수정밀도를 갖는 3차원 성형품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 사이에 단열부재를 구비하여 PEEK 분말과 3차원 성형품이 최적의 상태로 보관 또는 성형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및 폭발방지를 위한 불활성가스를 성형공간 내부에 가열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분위기조성유닛을 구비하여 성형공간 내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소농도유지 유닛을 구비하여 성형공간 내부의 산소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3차원 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3차원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주조나 단조 등의 전통적인 가공방법을 사용해왔다. 또한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이용할 때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작업자가 수행해야 했다.
최근에는 3차원 성형품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3D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비전문가도 손쉽게 3차원의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점차 전통적인 가공방법을 대체하고 있다.
즉, 3D 프린터는 활자나 그림을 인쇄하듯이 입력된 2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실제 입체 모양을 그대로 제작하는 장비이며, 3D 프린팅 기술은 자동차, 의료, 예술, 교육분야로 확대되고 있고, 다양한 모형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3D 프린터의 원리는 절삭형과 적층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실제 적용되고 있는 3D 프린터의 대부분은 재료 손실이 없는 적층형에 해당된다.
적층형 3D 프린터는 레이저를 투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적층해 가는 방식으로 인쇄물이 완성되도록 한 것으로,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1964호에는 도 1과 같이 합성수지와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3D 적층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자료는 인쇄물을 만들기 위한 소재로서, 세라믹 분말과 열경화성 수지, 실란화합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슬러리 상태의 조성물이 적용되므로 건조시 수축이 발생하여 높은 치수정밀도를 만족시키기에 부족함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5124호에는 도 2와 같이 금속분말을 성형 대상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에 사용되는 분말도포장치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5331호에는 도 3과 같이 빌드 재료 분배기(106)로 빌드 재료(104)를 분배하면서 3차원 물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물체 생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1221호에는 도 4와 같이 피드 재료(130)를 스프레더(140)가 스프레딩하면서 층을 형성하고, 빔(175)에 의해 피드 재료(130)가 경화되게 하며, 냉각제 디스펜서(145)를 구비하여 플래튼(105)을 횡단하게 함으로써 피드 재료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적층 제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기술은 3차원 성형품으로 성형되지 않고 잔존하는 분말소재가 바닥의 열에 의해 용융되어 분말소재를 이송하는 구성장치의 이송 경로를 간섭함으로써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융된 분말소재는 눌러붙은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성형 공간 내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야기하게 되므로 성형된 3차원 성형품의 치수정밀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 사이에 PEEK(Polyetheretherketone) 분말의 용해를 방지하는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하여 분말을 고르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말이 눌러붙음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분말공급유닛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히터를 구비하여 3차원 성형품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한 수축을 방지하여 높은 치수정밀도를 갖는 3차원 성형품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 사이에 단열부재를 구비하여 PEEK 분말과 3차원 성형품이 최적의 상태로 보관 또는 성형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및 폭발방지를 위한 불활성가스를 성형공간 내부에 가열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분위기조성유닛을 구비하여 성형공간 내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소농도유지유닛을 구비하여 성형공간 내부의 산소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3차원 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열가소성 분말을 저장하는 분말저장공간과, 상기 분말저장공간과 연통하고 3차원 성형품을 형성하는 성형공간과, 상기 분말저장공간의 분말을 성형공간으로 이송하는 분말공급유닛과, 상기 챔버 내부를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와, 상기 챔버의 바닥부가 열가소성 분말의 융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하는 경화방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방지유닛은, 상기 챔버의 바닥부 내부로 유체가 경유하도록 안내하는 유체안내관과, 상기 유체안내관에 유체 이동을 강제하는 유체강제기와, 상기 챔버의 바닥부에서 냉각부위를 구획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안내관은, 상기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을 제외한 바닥부 내부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공간 외측에는 상기 히터보다 낮은 열로 발열하여 3차원 성형품을 가열하는 보조히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 사이에 PEEK(Polyetheretherketone) 분말의 용해를 방지하는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하여 분말을 고르게 적층할 수 있게 되며, 보조히터를 구비하여 3차원 성형품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높은 치수정밀도를 갖는 3차원 성형품의 성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말이 눌러붙음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분말공급유닛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 사이에 단열부재를 구비하여 PEEK 분말과 3차원 성형품이 최적의 상태로 보관 또는 성형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화재 및 폭발방지를 위한 불활성가스를 성형공간 내부에 가열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분위기조성유닛을 구비하여 성형공간 내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산소농도유지유닛을 구비하여 성형공간 내부의 산소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3차원 성형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1964호에 개시된 3D 적층 프린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5124호에 개시된 3차원 프린터에 사용되는 분말도포장치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5331호에 개시된 3차원 물체 생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4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1221호에 개시된 적층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에서 성형공간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7의 "A"부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160)을 구비한 3D프린터(이하 '3D프린터(100)'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160)을 구비한 3D프린터(100)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160)을 구비한 3D프린터(1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3D프린터(100)는 케이스(1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좌측부 내부에는 3차원 성형품(P)이 성형되고, 우측부는 3D프린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유닛(120) 배치된다.
상기 제어유닛(120)은 3D프린터(100) 내부의 열가소성 분말 공급량, 온도, 산소 농도, 레이저 동작 등의 제어를 위한 구성으로, 다수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 내부 상측에는 챔버(130)가 위치한다. 상기 챔버(130)는 도어(112) 개방시 선택적으로 전방이 개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112)를 차폐하는 경우 챔버(130) 내부는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씰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30)는 상기 열가소성 분말의 보관 및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한 3차원 성형품(P)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즉, 상기 챔버(130)의 좌측부는 열가소성 분말이 보관되는 분말저장공간(140)이 구비되고, 챔버(130)의 우측부는 레이저조사기(152) 및 출력판(154)이 구비되어 일정 두께만큼 적층되는 열가소성 분말에 빔을 조사함으로써 3차원 성형품(P)이 높이 방향으로 증가하면서 성형될 수 있도록 성형공간(150)이 구비된다.
상기 분말저장공간(140)과 성형공간(150)의 하측에는 각각 실린더(156)가 구비되어 하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부가 승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열가소성 분말 및 3차원 성형품(P)을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120)의 우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경화방지유닛(160)이 구비된다. 상기 경화방지유닛(160)은 챔버(130) 내부의 바닥면 중에서 분말저장공간(140)과 성형공간(150) 사이에 위치한 바닥면의 온도를 낮추어 열가소성 수지가 용해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챔버(130) 내부는 3차원 성형품(P)을 형성한 후 급격한 냉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가소성 분말의 용해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가열된다.
이때 챔버(130) 내부의 벽면을 이루는 판재, 특히 바닥부는 열가소성 분말이 이송되는 경로로서 점차 가열되어 열가소성 분말의 용해 온도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으며, 이때 분말저장공간(140) 내부에서 성형공간(150)으로 이송되는 열가소성 분말은 눌러붙게 되어 원활한 성형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타 부품등과 충돌하여 파손을 야기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화방지유닛(160)은 상기 챔버(130) 내부의 바닥면을 냉각시켜 열가소성 분말의 융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열가소성 분말이 눌러붙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화방지유닛(160)의 하측에는 분위기조성유닛(170)이 구비된다. 상기 분위기조성유닛(170)은 챔버(130) 내부로 가열된 불활성가스를 공급하여 3차원 성형품(P)의 급냉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성형공간(150)에서 적층되면서 3차원으로 성형되는 3차원 성형품(P)은 급격한 온도 변화를 겪지 않도록 주위에서 가열되는데, 상기 챔버(130) 내부의 불활성가스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질소나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게 되면 3차원 성형품(P)을 급격하게 냉각시키게 되어 치수정밀도가 고르지 못하고, 불량한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위기조성유닛(170)은 불활성가스를 가열하여 데운 상태로 상기 챔버(13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위기조성유닛(170)은 산소농도유지유닛(도시되지 않음)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산소농도유지유닛은 챔버(130) 내부에 설치된 산소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챔버(130) 내부의 산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설정농도(예컨대 0.5%) 이하가 될 수 있도록 분위기조성유닛(170)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130) 내부의 산소농도가 0.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산소농도유지유닛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분위기조성유닛(170)을 가동시킴으로서 불활성 가스를 챔버(130) 내부로 주입시킴으로써 산소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산소농도유지유닛은 PEEK 소재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분말을 적용하여 3차원 성형품(P)을 제조시에 산소 농도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균일한 색상의 3차원 성형품(P)을 얻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3D프린터(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160)을 구비한 3D프린터(1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방지유닛(160)을 구비한 3D프린터(100)에서 성형공간(150)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7의 "A"부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챔버(130) 내부에는 다수 부품이 내장된다. 상기 챔버(130)의 좌측부에는 열가소성 분말이 저장되는 분말저장공간(140)이 구비되고, 우측에는 3차원 성형품(P)이 성형되는 성형공간(150)이 위치한다.
상기 분말저장공간(140)은 실린더(156)와 연동하는 지지판(158)의 승강에 의해 크기가 조절되며, 상기 성형공간(150)은 실린더(156)와 연동하는 출력판(154)의 승강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130)의 바닥부, 즉 상기 분말저장공간(140)과 성형공간(150)의 상단부에는 분말공급유닛(134)이 구비된다. 상기 분말공급유닛(134)은 열가소성 분말을 편편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블레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판(158)이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열가소성 분말이 올라온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공간(150)의 상측에 열가소성 분말을 편편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성형공간(150)의 우측에는 분말회수유닛(180)이 구비된다. 상기 분말회수유닛(180)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분말공급유닛(134)에 의해 이송된 열가소성 분말 중 성형공간(150) 상측에 공급되고 남은 잉여 분말을 내부로 수용하여 보관하게 된다.
상기 챔버(130)의 중앙부측에는 히터(132)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히터(132)는 챔버(130) 내부에서 발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분말은 343℃에서 용융점을 갖는 PEEK(Polyetheretherketone)가 채택되었으므로, 상기 챔버(130)는 PEEK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인 320℃ 가 되도록 히터(132)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132)는 챔버(130) 내부를 320℃ 정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온도로 발열하는 상태이며, 레이저조사기(152)가 빔을 쏘아 3차원 성형품(P)을 성형하는 중에도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챔버(130)의 바닥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열을 흡열함으로써 열가소성 분말의 융점(PEEK의 경우 343℃)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분말공급유닛(134)의 동작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공급되는 열가소성 분말은 성형공간(150)에 도착하기 전에 바닥부와 접촉하여 용융됨으로써 눌러붙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경화방지유닛(160)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경화방지유닛(160)은 상기 챔버(130)의 바닥부 내부로 유체가 경유하도록 안내하는 유체안내관(162)과, 상기 유체안내관(162)에 유체 이동을 강제하는 유체강제기(164)와, 상기 챔버(130)의 바닥부에서 냉각부위를 구획하는 단열부재(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체안내관(162)은 차가운 기체나 액체가 챔버(130) 내부에서 냉각하고자 하는 부위를 경유하여 유체강제기(164)로 회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 분말저장공간(140)과 성형공간(150)을 제외한 바닥부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안내관(162)은 분말저장공간(140)의 좌측, 분말저장공간(140)과 성형공간(150) 사이, 성형공간(150)과 분말회수유닛(180)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상측의 열을 흡열함으로써 열가소성 분말이 바닥부에 눌러붙지 않도록 방지하며, 분말공급유닛(134)의 동작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유체강제기(164)는 열을 흡열할 수 있는 기체나 액체 등 다양한 형태의 소재가 적용 가능한 대상물을 강제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펌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흡열하여 데워진 기체나 액체를 내부로 경유시키면서 다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재(166)는 냉각되어져야 할 부위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부위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단열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말저장공간(140)과 성형공간(15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성형공간(150)의 좌측 벽 외측에는 보조히터(159)를 구비하여 성형공간(150) 내부의 3차원 성형품(P)이 급격하게 수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히터(159)는 히터(132)보다는 낮은 열을 발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성형공간(150)을 외측에서 둘러 싸도록 배치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3D프린터 110. 케이스
112. 도어 120. 제어유닛
130. 챔버 132. 히터
134. 분말공급유닛 140. 분말저장공간
150. 성형공간 152. 레이저조사기 154. 출력판 156. 실린더
158. 지지판 159. 보조히터
160. 경화방지유닛 162. 유체안내관
164. 유체강제기 166. 단열부재
170. 분위기조성유닛 180. 분말회수유닛
P . 3차원 성형품

Claims (4)

  1.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열가소성 분말을 저장하는 분말저장공간과,
    상기 분말저장공간과 연통하고 3차원 성형품을 형성하는 성형공간과,
    상기 분말저장공간의 분말을 성형공간으로 이송하는 분말공급유닛과,
    상기 챔버 내부를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와,
    상기 챔버의 바닥부가 열가소성 분말의 융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하는 경화방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방지유닛은,
    상기 챔버의 바닥부 내부로 유체가 경유하도록 안내하는 유체안내관과,
    상기 유체안내관에 유체 이동을 강제하는 유체강제기와,
    상기 챔버의 바닥부에서 냉각부위를 구획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관은,
    상기 분말저장공간과 성형공간을 제외한 바닥부 내부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간 외측에는 상기 히터보다 낮은 열로 발열하여 3차원 성형품을 가열하는 보조히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KR1020180151837A 2018-11-30 2018-11-30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KR10220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837A KR102202664B1 (ko) 2018-11-30 2018-11-30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837A KR102202664B1 (ko) 2018-11-30 2018-11-30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06A true KR20200071806A (ko) 2020-06-22
KR102202664B1 KR102202664B1 (ko) 2021-01-13

Family

ID=7114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837A KR102202664B1 (ko) 2018-11-30 2018-11-30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1566A (ja) * 2014-02-13 2015-08-24 日本電子株式会社 3次元積層造形装置
WO2017081812A1 (ja) * 2015-11-13 2017-05-18 技術研究組合次世代3D積層造形技術総合開発機構 3次元積層造形装置、3次元積層造形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3次元積層造形装置の製造プログラム
JP2018003087A (ja) * 2016-06-30 2018-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3次元造形装置、および3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KR101855184B1 (ko) * 2017-11-24 2018-05-11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가변형 레이저 조사장치를 구비한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1566A (ja) * 2014-02-13 2015-08-24 日本電子株式会社 3次元積層造形装置
WO2017081812A1 (ja) * 2015-11-13 2017-05-18 技術研究組合次世代3D積層造形技術総合開発機構 3次元積層造形装置、3次元積層造形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3次元積層造形装置の製造プログラム
JP2018003087A (ja) * 2016-06-30 2018-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3次元造形装置、および3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KR101855184B1 (ko) * 2017-11-24 2018-05-11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가변형 레이저 조사장치를 구비한 3d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664B1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96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objects utiliz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US201602362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US108503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object
US11351727B2 (en) Three-dimension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8105529B1 (en) Heated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method
JP6021256B2 (ja) 繊維複合成形品のプレス成形方法、繊維複合成形品の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繊維複合成形品の金型
US109675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generative manufacturing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KR102331977B1 (ko) 액상 다이렉트 적층이 가능한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CZ2015205A3 (cs) Zařízení k tisku 3D objektů
JP2021504664A (ja) プレートを熱処理する炉装置のための温度調節ユニット
JP2023115028A (ja) 積層造形装置及び積層造形方法
KR20200071806A (ko) 경화방지유닛을 구비한 3d프린터
KR101780208B1 (ko) 로딩/언로딩수단을 구비한 냉각성형장치
KR20160036955A (ko) 잉크헤드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JP3066606B2 (ja) 3次元物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981859B1 (ko) 3차원 프린터
KR102272998B1 (ko) 분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60112063A (ko) 금속 조각을 이용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80041518A (ko) 3차원 프린터
US20220379553A1 (en) Particle material preheating device and use in 3d methods
KR20190036838A (ko) 삼차원 프린터
JP6960867B2 (ja) 積層造形装置
KR102064034B1 (ko) 3차원 금속 프린팅용 노즐장치
WO2019117851A1 (en) Separating element production in additive manufacturing
KR102160683B1 (ko) 3d프린터용 분말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