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786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786A
KR20200071786A KR1020180150447A KR20180150447A KR20200071786A KR 20200071786 A KR20200071786 A KR 20200071786A KR 1020180150447 A KR1020180150447 A KR 1020180150447A KR 20180150447 A KR20180150447 A KR 20180150447A KR 20200071786 A KR20200071786 A KR 2020007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ome device
information
vehic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운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786A/ko
Priority to US16/413,061 priority patent/US11142070B2/en
Publication of KR2020007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80
    • B60K35/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45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B60K2360/1438
    • B60K2360/164
    • B60K2360/165
    • B60K2360/166
    • B60K2360/563
    • B60K2360/569
    • B60K2360/58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0Input devices or features thereof
    • B60K2370/12Input devices or input features
    • B60K2370/14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B60K237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50Control arrangements; Data network features
    • B60K2370/52Control of displays
    • B60K35/28
    • B60K35/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2205/02Indo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by co-ordinating position lines of different shape, e.g. hyperbolic, circular, elliptical or rad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은 홈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영상 상에서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되, 디스플레이는 특정된 선택 영역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서, 라디오, CD(Compact Disk) 등의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비디오 서비스와, 목적지 안내 기능과 같은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에이브이엔 헤드 유닛(Audio Video Navigation Head Unit; 이하, 'AVN 헤드 유닛'이라 한다)이 차량 내에 구비된다.
최근에는 차량 IT 기술의 발달로 AVN 헤드 유닛에서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넥티비티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대표적으로는 스마트폰 등의 외부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연결을 통한 핸즈프리 통화, 음악 재생, 비디오 재생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가정 또는 사업장 등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홈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송신한 신호를 기초로 도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특정된 선택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차량 통신부는 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널로서 구현되어,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일부 영상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상기 차량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 및 위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위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지점의 위상을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상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외곽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홈 디바이스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을 선택 받기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홈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송신한 신호를 기초로 도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된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된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단계는, 터치 패널로서 구현된 입력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 및 위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위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지점의 위상을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상으로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외곽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홈 디바이스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제 공간과 유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차량에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와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 간의 배치도이다.
도 4는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공간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촬영 장치가 홈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판단하고 차량이 홈 디바이스를 특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특정된 홈 디바이스에 대해 선택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차량의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선택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영역이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조작 장치를 통해 선택 영역이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촬영 장치와 홈 디바이스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촬영 장치(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홈 디바이스를 촬영한 촬영 장치(2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홈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100)에 출력되는 영상 화면 상에서 홈 디바이스 선택 영역을 특정한다.
홈 디바이스는 는 생활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기로써, 내장된 통신 모듈을 통해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 에어컨, 냉장고, 청소 로봇, 조명 기기, 와인 냉장고, 세탁기 데스크 탑 등과 같은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시계, 안경 형태와 같은 웨어러블 형태의 사용자 단말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헤드 유닛(110), 차량 통신부(120), 및 차량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헤드 유닛(110)은 차량(100) 내 오디오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서, 차량(100) 내에서 사용자에게 지상파 라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라디오를 재생하는 라디오 서비스, CD(Compact Disk) 등을 재생하는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을 재생하는 비디오 서비스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차량(100)과 연결된 디바이스의 전화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헤드 유닛(110)은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음성을 입력 받아 상술한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내비게이션 서비스,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인식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유닛(110)은 차량(100) 내 대시 보드(미도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센터페시아(미도시)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헤드 유닛(110)을 통해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유닛(110)은 내비게이션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당업자들에게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110)은 후술할 통신부(120)를 통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페어링을 수행하고, 스마트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며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헤드 유닛(11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출력하는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헤드 유닛 입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헤드 유닛 입력부(112)는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의 전면에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 유닛 입력부(112)는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와 인접하지 않은 곳에 설치되어 버튼이나 다이얼 등 하드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헤드 유닛 입력부(11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헤드 유닛 입력부(112)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헤드 유닛(11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지원하는 모듈로,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과 같이 영상 촬영이 가능한 촬영 장치(200)와 페어링되어 촬영 장치(200)의 커넥티비티 기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통신부(120)는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USB, 단일의 외부 장치와 일-대-일로 통신하거나 소수의 외부 장치와 일-대-다로 통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 모듈 및 위성 등으로부터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부(120)는GSM/3GPP 계열의 통신 방식(GSM, HSDPA, LTE 어드밴스드), 3GPP2 계열의 통신 방식(CDMA 등) 또는 와이맥스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통신부(120)는 GPS 위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현재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송수신하거나,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통신부(120)는 차량(1) 근처에 위치한 이동 단말 또는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통신부(120)는 촬영 장치(200)와 연결되어 촬영 장치(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차량 제어부(130)는 촬영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0)에 설치된 모듈이 동작되도록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130)는 헤드 유닛(110)에 페어링된 촬영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홈 디바이스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200)가 촬영한 영상 상에서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부(130)는 와이파이(WIFI), USB,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통해 연결된 촬영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부(130)는 영상 상에서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을 함께 표시하도록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부(130)는 헤드 유닛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차량(100)에 설치된 모듈이 동작되도록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130)는 영상 상에 표시된 홈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홈 디바이스와 관련된 메뉴가 표시되도록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하거나, 선택된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차량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1),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32)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31)와 프로세서(132)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31)와 프로세서(132)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영 장치(200)는 헤드 유닛(110)과 페어링된 사용자 외부기기로, 휴대폰(Cellphone, PCS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넷북, 네비게이션(Navigation),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PC(tablet PC), 카메라, 동영상 촬영 기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량 통신부(120)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200)는 홍체 인식이나 카메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카메라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주변 공간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 결과로서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200)는 영상 촬영부(210), 촬영 장치 통신부(220), 및 촬영 장치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영상 촬영부(210)는 촬영 장치(200) 주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10)는 파노라마 카메라, 또는360도 카메라로서 구현되어 촬영 장치(200) 주변의 풍경을 하나의 공간 영상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공간 영상은 홈 디바이스가 구비된 사용자 공간의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공간 영상은 연속적인 영상 입력으로 이루어진 파노라마 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속적인 영상 입력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영상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는 촬영 장치 통신부(220)를 통해 차량(100)에 전달될 수 있다.
촬영 장치 통신부(220)는 영상 촬영부(2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를 차량(100)에 전송하거나, 촬영 장치 제어부(230)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정보를 차량(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와도 연결될 수 있다.
촬영 장치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 안테나(미도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촬영 장치 안테나가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수신 신호의 위상을 측정하여 촬영 장치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촬영 장치 통신부(22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하나로 결합되어 전술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위상을 측정하는 과정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 신호의 세기와 위상을 측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촬영 장치 통신부(220)는 차량(100) 또는 홈 디바이스 등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지원하는 구성요소로서, 차량(100)과 통신하는 촬영 장치 통신부(2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차량(100)의 차량 통신부(12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촬영 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촬영 장치(2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촬영 장치(200)에 내장된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촬영 장치(2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영상 촬영부(210)가 주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도록 영상 촬영부(210)를 제어할 수 있고, 영상 촬영부(2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를 차량(100)에 전달하도록 촬영 장치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영상 촬영부(2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와 촬영 장치 통신부(220)에 의해 측정된 홈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의 세기 및 위상을 기초로 촬영 장치(200) 주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정보를 영상 정보와 함께 차량(100)에 전송하도록 촬영 장치 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직접 수신 신호의 세기와 위상을 기초로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와 위상에 대한 정보를 차량(100)에 전송하여, 차량(100)이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촬영 장치 제어부(230)가 직접 수신 신호의 세기와 위상을 기초로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를 차량(100)에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영상 촬영부(210)를 통해 획득된 공간 영상 상에서 영상 분석을 통해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를 특정할 수 있고, 판단된 홈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특정된 공간 영상의 홈 디바이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 정보는 촬영 장치 통신부(230)를 통해 차량(100)에 전달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100)이 직접 위치 정보와 공간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 분석 및 매칭 과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00)의 차량 제어부(130)가 촬영 장치(200)로부터 위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분석 및 매칭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영상 분석을 통해 홈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방법은 공간 영상 상에서 색상과 형태 분석을 통해 판단하는 등 다양한 공지 기술이 존재하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촬영 장치(2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31),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232)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31)와 프로세서(232)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231)와 프로세서(232)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100)과 촬영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200)가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와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 간의 배치도이고, 도 4는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공간 영상의 예시도이고, 도 5는 촬영 장치가 홈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판단하고 차량이 홈 디바이스를 특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특정된 홈 디바이스에 대해 선택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200) 주변에 복수개의 홈 디바이스들(D1-D5)이 배치된 경우, 촬영 장치(200)의 영상 촬영부(210)는 복수개의 홈 디바이스(D1-D5)가 배치된 주변 공간에 대한 도 4와 같은 공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공간 영상은 추후 차량(100)의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 상에서 표시되는 관심 영역(ROI)에 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200)의 촬영 장치 통신부(220)는 복수개의 홈 디바이스들(D1-D5)로부터 각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각 수신 신호의 세기(RSSI1 내지 RSSI5)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 통신부(220)는 각 신호의 세기(RSSI1-RSSI5)가 최고인 지점의 위상(θ1-θ5; 이하, "수신 신호의 위상"이라 함)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RSSI1 내지 RSSI5)와 위상(θ1 내지 θ5)에 대한 정보를 촬영 장치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복수개의 홈 디바이스들(D1-D5)의 수신 신호 세기(RSSI1RSSI5) 및 위상(θ1-θ5)에 기초하여 각 홈 디바이스(D1-D5)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촬영 장치 제어부(230)는 홈 디바이스들(D1-D5)의 위치 정보와 영상 촬영부(210)에 의해 획득된 공간 영상의 영상 정보를 차량(100)에 전송하도록 촬영 장치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100)의 차량 제어부(130)는 차량 통신부(120)를 통해 촬영 장치(200)로부터 홈 디바이스들(D1-D5)의 위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차량 제어부(130)는 영상 분석을 통해 공간 영상 상에서 복수개의 홈 디바이스들(D1-D5)을 각각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부(130)는 판단된 홈 디바이스들(D1-D5)의 위치 정보와 공간 영상 상에서 특정된 홈 디바이스들(D1-D5)들 매칭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부(130)는 영상 분석을 통해 공간 영상에서 홈 디바이스들(D1-D5)의 외곽 영역을 추출하고, 사용자가 홈 디바이스들(D1-D5)을 선택할 수 있도록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영역(S1-S5)을 공간 영상 상에서 생성할 수 있다.
각 홈 디바이스(D1-D5)의 선택 영역은 홈 디바이스(D1-D5)의 외곽 영역을 포함하되, 외곽 영역과 같거나 외곽 영역보다 더 크게 마련될 수 있으며, 각 홈 디바이스(D1-D5)의 선택 영역은 상호 구분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도 7은 차량의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는 홈 디바이스들의 선택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영역이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다른 조작 장치를 통해 선택 영역이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 상에는 공간 영상의 일부 영상(ROI)이 표시될 수 있고,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 상에 표시되는 일부 영상(ROI)은 사용자의 헤드 유닛 입력부(112)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 상에서 스와이프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공간 영상 중 관심 영역(ROI)을 선택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스와이프(swipe), 드래그(drag) 및 탭(tap) 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 등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동작이면 그 입력에 제한은 없다.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 상에 표시되는 일부 영상(ROI)에는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D1, D2, D5)의 선택 영역(S1-S3)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8과 같이 터치 입력을 통해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 상에 표시되는 어느 한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S2)을 선택할 수 있고, 도 9와 같이 다이얼 회전 조작 또는 버튼 조작에 의해 어느 한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S2)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 다양한 조작 방법을 통해 어느 한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이 선택되면, 차량 제어부(130)는 선택된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을 출력하도록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촬영 장치와 홈 디바이스 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우선, 촬영 장치(200)는 촬영 장치(200)의 주변을 촬영하고(1100), 주변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D)에 대한 공간 영상을 획득한다(1200).
촬영 장치(2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D)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1300),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위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D)의 위치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촬영 장치(200)는 공간 영상의 영상 정보와 홈 디바이스(D)의 위치 정보를 차량(100)에 전송하고(1400), 차량(100)은 공간 영상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공간 영상 상에서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D)를 특정하고, 홈 디바이스(D)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 영상 상의 홈 디바이스(D)와 홈 디바이스(D)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0)은 매칭된 홈 디바이스(D)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홈 디바이스(D)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생성하고, 공간 영상 중 관심 영역의 영상과 관심 영역 상에 포함된 홈 디바이스(D)의 선택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1500).
전술한 차량(100) 및 촬영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200: 촬영 장치

Claims (19)

  1. 홈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송신한 신호를 기초로 도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특정된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신부는 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널로서 구현되어,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 및 위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위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지점의 위상을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상으로서 판단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외곽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영역을 생성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홈 디바이스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키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을 선택 받기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차량.
  11. 홈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송신한 신호를 기초로 도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된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된 선택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간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단계는,
    터치 패널로서 구현된 입력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일부 영상을 선택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 및 위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위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홈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지점의 위상을 상기 홈 디바이스의 위상으로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디바이스의 외곽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홈 디바이스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0150447A 2018-11-29 2018-11-2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071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47A KR20200071786A (ko) 2018-11-29 2018-11-2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6/413,061 US11142070B2 (en) 2018-11-29 2019-05-15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47A KR20200071786A (ko) 2018-11-29 2018-11-2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786A true KR20200071786A (ko) 2020-06-22

Family

ID=7085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447A KR20200071786A (ko) 2018-11-29 2018-11-2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42070B2 (ko)
KR (1) KR20200071786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778A (ja) * 2008-05-22 2009-12-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宅内監視制御システム、宅内監視制御方法、および監視制御装置
KR101219904B1 (ko) * 2010-11-12 2013-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01930B1 (ko) * 2012-03-0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디바이스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를 위한 타임라인 u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42070B2 (en) 2021-10-12
US20200171948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544B2 (en) Notification apparatus and object position notification method thereof
US115464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KR102450840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9619019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scree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25556B1 (ko) 주변 위치 정보의 증강 현실 배치
CN103167412B (zh) 用于显示移动终端的位置的设备和方法
US9733718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5009448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20157065A1 (en) Electronic apparatus
US9372657B2 (en) Multi-scre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ID setting apparatus, and ID setting method
EP3018895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132096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5511715A (zh) 一种利用无边框触屏启动程序助手的方法及装置
KR20150117938A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192406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558711B2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US1118430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message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70071654A (ko)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나리오 생성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휴대용 단말기, 및 게이트웨이 장치
CN111527732B (zh) 电子装置、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46645B1 (ko) 영상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71786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3031838B (zh) 屏幕录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132264B1 (ko) e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04364B1 (ko)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22074A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